KR100788395B1 - 건물의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395B1
KR100788395B1 KR1020060078196A KR20060078196A KR100788395B1 KR 100788395 B1 KR100788395 B1 KR 100788395B1 KR 1020060078196 A KR1020060078196 A KR 1020060078196A KR 20060078196 A KR20060078196 A KR 20060078196A KR 100788395 B1 KR100788395 B1 KR 100788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ipe
ball
wate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남
Original Assignee
(주)동호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호플랜트 filed Critical (주)동호플랜트
Priority to KR1020060078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F16K5/14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 F16K5/20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for plugs with spheric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옥내 배관을 청소 작업함에 있어서 저항에 따른 작업 장애 발생을 없애고 스케일 제거를 위한 작업수단을 급송하는 수단으로 고압의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을 손쉽게 하고 친환경적으로 건물의 옥내 배관을 청소 할 수 있는 밸브장치 및 그 청소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건물의 상수도관이나 난방 배관의 계량기함 자리에 교체 접속되도록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상기 유입구나 유출구중 어느 하나에 펌프로부터 압송되는 고압의 물을 밸브 몸체내로 도입하는 호스가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호스접속공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통하거나 또는 연통상태를 차단토록 회전 작동하되, 연통 차단 작동시 그의 밸브공이 수직을 향하게 되는 볼과, 그 볼을 회전 작동시키도록 상기 밸브몸체의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레버로 구성된 볼밸브와;
상기 밸브몸체의 밸브실과 연통하도록 밸브몸체의 상부로 설치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해 상기 볼밸브의 밸브공에 투입되어지는 0.8~1.5㎜ 직경의 다수의 세라믹볼들;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상수도관이나 난방 배관의 스케일 제거를 위한 옥내 배관 청소 방법은 펌프에 접속되어 펌프로부터 고압의 물을 공급받게 되는 밸브장치를 계량기함을 떼어내고 그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청소되어질 배관에 접속하는 단계와; 밸브장치의 밸브몸체 상부에 마련된 호퍼를 통해 0.8~1.5㎜ 직경 크기의 세라믹볼들을 투입한 후 상기 볼밸브를 회전 작동하여 그의 밸브공을 수직으로 위치시켜 호퍼에 투입된 세라믹 볼들을 밸브공내에 수용토록 하는 하는 단계와;
상기 밸브장치의 볼밸브를 회동 작동시켜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가 밸브공을 통해 연통하도록 개방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발생한 수압에 의해 상기 세라믹볼들을 압송시켜 배관내의 스케일을 떨어내어 제거하는 단계; 로 배관 세정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옥내 배관 청소, 세라믹볼, 밸브장치, 호퍼

Description

건물의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장치{Valve device for pipe cleas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옥내 배관 세관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옥내 배관 세관장치를 이용한 배관 청소 과정을 개략하여 나타낸 배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옥내 배관 청소에 사용되는 세라믹 볼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 장치에 세라믹 볼을 투입하는 작업을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장치에 세라믹 볼을 투입 후 세정 작업 준비를 완료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옥내 배관 청소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종래 배관 청소 작업에 사용되어 온 피그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종래기술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탱크 2 : 펌프
3 : 호스 4 : 체크밸브
5 : 클리닝밸브 6 : 세라믹볼
10 : 크리닝피그 21 : 밸브몸체
21a : 유입구 21b : 유출구
21d : 호스접속공 22 : 볼
22a : 밸브공 23 : 레버
24 : 볼밸브 25 : 호스접속공
26 : 호퍼 27 : 니플
42 : 제수밸브
본 발명은 상수도나 난방용 등의 배관을 청소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수변 박스의 제수 밸브 하류측에 설치하여 좁쌀크기의 많은 세라믹 볼들을 높은 수압을 이용하여 배관 내부를 지나도록 급송시켜 스케일을 제거하므로써 간편하고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건물의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장치 및 배관 청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상수도 배관등을 설치한 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내부에 고형물 등의 각종 이물질이 퇴적되거나 배관 내면이 산화되면서 녹 등이 생성된다.
이와같이 상수도 배관 내부에 이물질이나 녹 등이 퇴적되면 용수의 품질을 떨어뜨려 음용기준을 충족할 수 없게 되고, 난방 배관의 경우에는 열전도율을 떨어뜨려 에너지 소모를 가져오게 되므로 이들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 로 관을 청소해주게 되는데 그 중 하나는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크리닝 피그(10)라 불리는 도구를 배관 내부에 투입시켜 수압에 의해 크리닝 피그(10)를 이송시켜 청소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한 크리닝 피그(10)는 신축성이 있는 스펀지나 우레탄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마치 총알 모양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청소 작업이 이루어질 배관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만들어져 관 내부를 통과하면서 배관 내에 퇴적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녹 등을 떨어내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9는 종래 크리닝피그(10)를 사용하여 상수도 배관의 세정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수도 배관(20)의 경우 중간에 관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수 밸브(35)가 설치되는데, 이 제수밸브(35)는 제수변 박스(30)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수변박스(30)의 상부에는 맨홀 뚜껑(31)이 구비된다.
이와같은 상수도 배관(20)을 상기한 크리닝 피그(10)로 청소하기 위해서는 관 내부에 크리닝 피그(10)를 삽입해야 되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제수밸브(35)의 하류측 배관(20')을 절단하여 분리한 다음, 여기에 크리닝 피그(10)를 삽입하고, 커플링 등으로 다시 배관(20')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수밸브(35)를 개방한 다음, 상류측에서 유동하는 수압을 이용하여 크리닝 피그(10)를 배관(20) 내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크리닝 피그(10)가 배관(20)내를 통과하면서 이물질 등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배관 설치 구조는 크리닝 피그(10)를 이용하여 관내부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관을 절단하고, 크리닝 피그(10)를 삽입한 다음 다시 연결한 후, 관 내부를 청소해야 되기 때문에 배관 내부의 청소 작업이 상당히 까다롭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분 출원인은 등록 특허 제 0341062호를 통해 제수밸브의 하류측에 필요시 개방하여 크리닝 피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 피그용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배관 청소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배관 청소용 피그 밸브를 제공한 바 있다.
상기한 본 출원인에 의한 선 발명의 배관 청소용 피그 밸브는, 양측부에 제수밸브 및 배관이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측 개구부에도 크리닝 피그가 삽입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유체가 내부를 흐를 수 있도록 한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 본체를 밀폐시키는 밸브 뚜껑으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 본체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상류측 배관을 통과한 크리닝 피그가 밸브 본체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하므로써 선 발명은 배관 청소시에 밸브 뚜껑만을 개방하여 크리닝 피그를 삽입 후 상수도 물의 수압에 의해 크리닝 피그를 이송시켜 청소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크리닝피그(10)에 의한 배관 청소 방식은 수압이나 펌프압을 이용하는 것을 막론하고 배관(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피그(10)를 사용하고 있어 배관내에 스케일이 많이 퇴적되어 있는 경우 크리닝 피그(10)가 받게 되는 저항력 이 커서 크리닝 피그(10)가 전진하지 못하게 되어 작업이 중단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펌프의 급송압을 높여 해결하는 방안은 약해진 배관의 파손을 가져올 수 있어 이 역시 바람직한 해결 방안이 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때문에 크리닝피그(10)를사용하는 대신 샌드(모래)를 사용하므로써 샌드 입자들이 배관의 내벽면을 쳐서 스케일을 떨어내게 되는 배관 청소 방식이 제안되어 사용중에 있다.
그런데 상기한 샌드에 의한 스케일 제거 방식은 샌드의 주성분이 규사이기 때문에 샌드의 송출 수단으로 고압의 물을 사용하는 경우 샌드가 서로 엉겨붙게 되기 때문에 물을 사용치 못하고 압축 공기를 송출수단으로 이용하게 되는데, 같은 압력이라 하더라도 압축공기는 팽창성이 있어 고압의 압축 공기에 의해 약해진 상태의 배관이 터지게 되는 부작용을 수반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방식 역시 사용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건물의 옥내 배관을 청소 작업함에 있어서 저항에 따른 작업 장애 발생을 없애고 스케일 제거를 위한 작업수단을 급송하는 수단으로 고압의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을 손쉽게 하고 친환경적으로 건물의 옥내 배관을 청소할 수 있는 밸브장치 및 그 청소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장치는 건물의 상수 도관이나 난방 배관의 계량기함 자리에 교체 접속되도록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는 밸브몸체와;
상기 유입구나 유출구중 어느 하나에 펌프로부터 압송되는 고압의 물을 밸브몸체내로 도입하는 호스가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호스접속공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통하거나 또는 연통상태를 차단토록 회전 작동하되, 연통 차단 작동시 그의 밸브공이 수직을 향하게 되는 볼과. 그 볼을 회전 작동시키도록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레버로 구성된 볼밸브와;
상기 밸브바디의 밸브실과 연통하도록 밸브바디의 상부로 설치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해 상기 볼밸브의 밸브공에 투입되어지는 0.8~1.5㎜ 직경의 다수의 세라믹볼들;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건물의 상수도관이나 난방 배관의 스케일 제거를 위한 옥내 배관 청소 방법은 펌프에 접속되어 펌프로부터 고압의 물을 공급받게 되는 밸브장치를 계량기함을 떼어내고 그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청소되어질 배관에 접속하는 단계와; 밸브장치의 밸브몸체 상부에 마련된 호퍼를 통해 0.8~1.5㎜ 직경 크기의 세라믹볼들을 투입한 후 상기 볼밸브를 회전 작동하여 그의 밸브공을 수직으로 위치시켜 호퍼에 투입된 세라믹 볼들을 밸브공내에 수용토록 하는 하는 단계와;
상기 밸브장치의 볼밸브를 회동 작동시켜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가 밸브공을 통해 연통하도록 개방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발생한 수압에 의해 상기 세라믹볼들을 압송시켜 배관내의 스케일을 떨어내어 제거하는 단계; 로 배관 세정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세라믹볼들의 투입 및 압송작업은 1~3회 실시되며, 그후 상기 호퍼를 통해 크리닝 피그를 밸브장치내에 투입시켜 마무리 세정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게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옥내배관 세관장치는 주택이나 아파트, 소형 건물의 급수용으로 사용되는 배관에 적용되며, 크리닝피그에 강력한 추진압력을 제공하여 관내부의 폐쇄율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관내부의 부식생성물을 제거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송에 필요한 소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1)와, 상기 물탱크(1)의 배출라인에 연결되어 물을 압송하기 위한 소정 압력을 제공하는 부스터 펌프(booster pump)(2)와; 상기 부스터 펌프(2)의 배출부에 연결되어 그를 통해 압송되는 물을 일방향으로만 압송하며 역류를 방지하도록 개폐되는 체크밸브(4)와; 상기 체크밸브(4)상에 장착되며, 그를 통과하는 물의 압력을 계측하는 제1압력계(9)와; 상기 체크밸브(4)의 배출부에 연결되어 물의 압송경로를 제공하는 고압호스(3)와; 배관의 세관시마다 계량기 박스내의 계량기와 교체되도록 설치되어 제수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개폐되고 후술할 세라믹 볼 들이 투입 될때 그 중앙통로의 밸브실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개구상태로 노출되며 그 배출부(21b) 일측에 상기 고압호스(3)를 니플(27)을 개재하여 연결하기 위한 호스접속공(25)이 형성된 클리닝 밸브(5)와; 상기 클리닝밸브(5)의 호퍼(26)를 통해 밸브 장치내로 투입되어 상기 고압호스(3)를 통해 압송되는 물의 추진력에 의해 배관내부를 진행하면서 세관 작업을 수행하는 세라믹 볼(6)과; 상기 부스터 펌프(2)에 제공되는 단상의 전원동력을 3상의 전원동력으로 변환시켜 부스터펌프(2)에 인가하는 인버터(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부스터펌프(2)에 제공되는 압력을 제어하며, 내부에 누전차단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 콘트롤 박스(8)와; 상기 클리닝 밸브(5)상에 장착되며, 그를 통과하는 물의 압력을 계측하는 제2압력계(9a)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옥내 배관 세정 장치의 요부를 구성하는 밸브장치인 클리닝밸브(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각각 나선돌기를 갖는 유입구(21a)와 유출구(21b)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1a) 및 유출구(21b)의 연통부(밸브실)에 직각인 상측 방향으로 세라믹 볼들(6)이 투입되기 위한 호퍼(26)가 형성되며, 측면에 유출구(21b)와 연통되어 펌프(2)측의 고압호스(3)를 연결하기 위한 니플(27)이 접속되는 호스 접속공(25)이 형성된 밸브몸체(21)와; 상기 밸브몸체(21)에 누수가 방지되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내장되며, 상기 회전 동작에 의해 물의 이동경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공(22a)이 형성된 볼(22)과, 상기 볼(22)에 회전 동작을 제공하는 레버(23)를 포함하는 볼밸브(24)로 구성되어 상기 볼밸브(24)의 밸브공(22a)이 배관라인의 연통상태를 차단하도록 회전 동작 할 경우, 상기 밸브공(22a)이 수직이 되어 호퍼(26)와 연통되어 세라믹볼(6)들을 호퍼(26)를 통해 밸브공(22a)내에 수용되도록 투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레버(23)를 연통상태로 회전시키면, 상기 세라믹볼(6)들은 배관라인의 물 흐름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세라믹볼(6)들은 직경(D)이 0.8~1.5㎜크기로 점토를 고온에서 구워 성형한 것으로 매우 단단하고 물에 잘 불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는 계량기함이 위치되는 곳에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장치인 의 클리닝 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바, 평상시에는 계량기박스(41)내의 제수밸브(42)가 개방된 상태에서 유수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배관라인을 따라 이동하여 각 가정과 빌딩등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나, 오랜시간이 경과되어 배관라인의 내부에 스케일(각종 이물질 및 산화철 등의 녹성분)이 끼어 수압이 낮아지고 수질이 나쁘게 되면, 본 발명의 세관장치를 배관에 접속하여 세관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랑기박스(41)내의 제수밸브(42)를 폐쇄하고, 상기 제수밸브(42) 일측에 설치된 계량기 함 대신에 본 발명의 밸브장치인 클리닝 밸브(5)를 설치한다(단계 1).
그리고 상기 볼밸브(24)의 밸브공(22a)이 밸브몸체(21)의 유입구(21a)와 유출구(21b)에 연통하는 위치를 갖도록 조작된 연통상태에서, 상기 볼밸브(24)의 레버(23)를 회전시켜 물의 연통상태를 차단상태로 변환한다.
다음에 상기 클리닝밸브(5)의 밸브몸체(21)에 형성된 관통홀(21a) 호스접속공(25)에 니플(27)을 통해 고압호스(3)를 연결하고(이 호스(3)의 타단은 펌프(2)와 물탱크(1)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몸체(21)의 호퍼(21c)에 다수의 세라믹볼(6)들을 투입하고 (단계2), 레버(23)를 물의 연통상태로 회전시키면, 밸브공(22a)은 수평이 되어 밸브공(22a)내에 투입된 세라믹볼(6)들이 물의 흐름 방향에 위치되어지게 된다(단계3).
상기와 같이 세관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 작업이 완료된 후, 제수밸브(42)를 개방시키면 상수도압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21)의 유출부(21b)를 통해 세라믹볼(6)들이 배관내로 삽입되어 전진을 위한 대기상태로 된다. 이 상태는 제2압력계(9a)의 움직임을 통하여 인지하게 된다.
그리고 볼밸브(24)를 다시 닫고 콘트롤박스(8)에서 전원스위치를 온(on)시켜 가정용 전원을 연결하게 되면, 인버터에 의해 220V 단상전압을 380V 3상 전압으로 전환하여 부스터 펌프(2)를 가동시킴으로써 물탱크(1)에 저장된 물을 체크밸브(4)와 고압호스(3)를 통해 밸브몸체의 유출부측으로 물을 압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압의 물은 배관내에서 대기하고 있는 세라믹볼(6)들에 강한 추진력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작은 알갱이들인 세라믹볼(6)들이 배관라인을 따라 이송하면서 배관라인 내면에 부착된 스케일을 분리시켜 이송하게 된다(단계 4).
여기서 세라믹볼(6)들의 투입 세정 작업은 1~3회 실시하며, 필요에 따라 후처리 작업으로 크리닝피그(10)를 호퍼(26)를 통해 투입하여 마무리 세정 작업을 실시하여 관 내면에 잔류하는 스케일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스터펌프(2)의 가동에 의한 물의 압력은 제1 및 제2 압력계(9,9a)를 통하여 계측되고 상기 콘트롤 박스(8)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적절한 압력으로 유지된 상태로 물이 압송된다.
상기 수압을 지속적으로 받는 세라믹볼들(6)과 크리닝피그(10)는 배관라인을 따라 이동하여 수도꼭지를 통해 스케일과 함께 배출된다.
이와같이 1차로 작고 단단한 알갱이들인 세라믹볼들(6)을 사용하여 세라믹볼들(6)이 배관의 내벽면을 강타하여 스케일들을 떨어내고 마무리 작업으로 관체의 직경보다 큰 크리닝피그(10)를 사용하면 배관 내면을 큰 저항 없이 매끈하게 세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작고 단단한 알개이들인 세라믹 볼을 강한 수압에 의해 분사하듯이 압송시켜 관체 내벽면에 타격을 가해 스케일을 떨어내게 되므로써 압송 저항에 따른 전진 불능 현상 없이 세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2차 로 크리닝피그로서 마무리 작업을 하면 깨끗하게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어 옥내에 음용이 가능한 상태의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건물의 상수도관이나 난방 배관의 계량기함 자리에 교체 접속되도록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또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볼 밸브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밸브실을 가지는 밸브몸체와;
    상기 유입구나 유출구 중 어느 하나에 펌프로부터 압송되는 고압의 물을 밸브몸체 내로 도입하는 호스가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호스접속공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통하거나 또는 연통상태를 차단토록 회전 작동하되, 연통 차단 작동시 밸브공이 수직을 향하게 되는 볼과, 그 볼을 회전 작동시키도록 상기 밸브몸체의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레버로 구성된 볼밸브와;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된 밸브실과 연통하도록 밸브몸체의 상부로 설치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해 상기 볼밸브의 밸브공에 투입되어지는 0.8~1.5㎜ 직경의 다수의 세라믹볼들;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장치.
  2. 건물의 상수도관이나 난방배관을 청소하기 위하여 배관으로부터 계량기함을 떼어낸 후, 펌프에 접속되어 펌프로부터 고압의 물을 공급받게 되는 볼밸브 작동식의 밸브장치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상기 청소되어질 배관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밸브장치의 밸브몸체 상부에 마련된 호퍼를 통해 0.8~1.5㎜ 직경 크기의 세라믹볼들을 투입한 후 볼 밸브를 회전 작동하여 볼밸브의 밸브공을 수직으로 위치시켜 호퍼에 투입된 세라믹 볼들을 밸브공내에 낙하시켜 수용토록 하는 하는 단계와;
    상기 밸브장치의 볼 밸브를 원 위치로 회동 작동시켜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가 밸브공을 통해 연통하도록 개방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펌프를 가동시켜 발생한 수압에 의해 상기 세라믹볼들을 압송시켜 배관내의 스케일을 떨어내어 제거하는 단계; 로 배관 세정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 배관 청소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세라믹볼들의 투입 및 압송작업은 1~3회 실시되며, 그후 상기 호퍼를 통해 크리닝 피그를 밸브장치내에 투입시켜 마무리 세정 작업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건물의 옥내배관 청소 방법.
KR1020060078196A 2006-08-18 2006-08-18 건물의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장치 KR100788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196A KR100788395B1 (ko) 2006-08-18 2006-08-18 건물의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196A KR100788395B1 (ko) 2006-08-18 2006-08-18 건물의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8395B1 true KR100788395B1 (ko) 2008-01-02

Family

ID=3921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196A KR100788395B1 (ko) 2006-08-18 2006-08-18 건물의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7083A (zh) * 2023-08-08 2023-09-05 康硕(德阳)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球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4078A (ja) 1984-02-03 1985-08-27 Arubatsuku Service Kk バルブ装置
JPH02183797A (ja) * 1989-01-09 1990-07-18 Hitachi Ltd ボール洗浄装置用系統切替弁
KR20010034967A (ko) * 2000-04-25 2001-05-07 김길남 배관라인의 청소를 위한 제수밸브 겸용 크리닝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4078A (ja) 1984-02-03 1985-08-27 Arubatsuku Service Kk バルブ装置
JPH02183797A (ja) * 1989-01-09 1990-07-18 Hitachi Ltd ボール洗浄装置用系統切替弁
KR20010034967A (ko) * 2000-04-25 2001-05-07 김길남 배관라인의 청소를 위한 제수밸브 겸용 크리닝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7083A (zh) * 2023-08-08 2023-09-05 康硕(德阳)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球阀
CN116697083B (zh) * 2023-08-08 2023-10-13 康硕(德阳)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球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5592B2 (en) Waste disposal system, and method of its use
TWI355973B (en) Purge drain valve, washing system, rinse cycle sen
JP6232650B1 (ja) 管路洗浄装置および管路洗浄方法
US20100304024A1 (en) Working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an interior of a pipework system as well as a subdistributor and a working equipment for the treatment of a pipework system
US10478871B2 (en) Side-opening sleeve valve
FI122107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neumaattisess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KR102530861B1 (ko) 탁수유입 급속차단 자동 드레인 시스템 밸브
KR20060098704A (ko) 급수관로의 수질 감시 및 제어용 밸브
KR100788395B1 (ko) 건물의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장치
KR20120046363A (ko) 플러싱밸브를 이용한 상수도관 청소방법
EP0969153A2 (en) Sewer system
KR20140140369A (ko) 배관 세척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JP6041400B2 (ja) 管路洗浄装置および管路洗浄方法
JP2923482B2 (ja) 配水管の洗浄方法および装置
CN216705350U (zh) 一种基于气液固三相自适应清洗供水管道的装置
KR100855029B1 (ko) 밸브 및 관로 세척 방법
ES2368364T3 (es) Procedimiento de revestimiento para revestir el interior de un sistema de tuberías así como subdistribuidores y dispositivos de tratamiento para tratar un sistema de canalizaciones.
KR200276286Y1 (ko) 옥내배관 세관장치
CN113857169A (zh) 一种基于气液固三相自适应清洗供水管道的装置及供水管道冲洗方法
KR100906681B1 (ko)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KR100423546B1 (ko) 옥내배관 세관장치
JPH0910717A (ja) 給水系管路の開放型循環洗浄方法
CZ295219B6 (cs) Způsob proplachování spádového potrubí odpadních vod a spádové potrubí odpadních vod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JP6663205B2 (ja) 自動排液装置及び排液方法
JP2017101432A (ja) 貯水槽の洗浄方法および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