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286Y1 - 옥내배관 세관장치 - Google Patents

옥내배관 세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286Y1
KR200276286Y1 KR2020020004227U KR20020004227U KR200276286Y1 KR 200276286 Y1 KR200276286 Y1 KR 200276286Y1 KR 2020020004227 U KR2020020004227 U KR 2020020004227U KR 20020004227 U KR20020004227 U KR 20020004227U KR 200276286 Y1 KR200276286 Y1 KR 200276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ater
opening
valv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동
김길남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길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길남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20020004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2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286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폴리피그에 강력한 추진압력을 제공하는 제반장치를 수도 계량기측에 연결하여 옥내에서 배관의 세관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물의 압송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관내부의 폐쇄율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관내부의 부식생성물을 제거시킬 수 있는 옥내배관 세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압송에 필요한 소정량의 물이 내재되는 물 탱크; 상기 물탱크의 배출라인에 연결되어 물을 압송하기 위한 소정 압력을 제공하는 압송력 제공수단; 일단이 상기 압송력 제공수단의 배출부에 연결되어 물의 압송경로를 제공하는 고압호스;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폴리피그 삽입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압호스를 연결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중 어느 한 곳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에 내장되며 회전동작에 의해 물의 이동경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구가 형성되며 배관라인의 연통구를 차단시, 폴리피그를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구가 밸브몸체의 폴리피그 삽입개구에 연통하는 상태로 노출되는 볼밸브를 포함하며 계량기함과 교체되어 설치되는 제수겸용 클리닝밸브; 상기 클리닝밸브의 개폐구에 삽입되어 상기 고압호스를 통해 압송되는 물의 추진력에 의해 전진하면서 배관내벽면에 부착된 스케일을 분리하기 위한 폴리피그; 및 상기 압송력 제공수단에서 제공되는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옥내배관 세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옥내배관 세관장치{A cleaning apparatus of pipes in the building}
본 고안은 빌딩, 아파트 및 단독주택등에서의 냉난방수와 같은 각종 유체를 수송 및 공급하는 옥내배관의 내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부식생성물을 청소하기 위한 옥내배관 세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관내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스케일을 분리시키기 위한 폴리피그가 삽입된 클리닝 밸브에 고압으로 물을 압송시켜 배관내에 생성된 스케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옥내배관 세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국민 식생활이 높아지면서 먹는 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수도꼭지에서 배출되는 적수와 출수불량의 원인이 정수장 또는 상수도관의 부식으로 인한 문제보다는 옥내배관의 부식 또는 노화도로 인한 비중이 점차 커지면서 옥내배관과 갱생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가 매우 커지고 있는 상황에 있다.
통상적으로, 옥내배관의 사용 연한은 급수배관, 급탕배관, 난방배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5∼10년 이상이 경과되면, 물속에 포함되어 있던 각종 이물질이 관 내부에 퇴적되거나, 관내면이 산화되면서 부식에 의해 녹 또는 스케일이 생성되어 관을 급격히 노화시키고 있으며, 상기 스케일층은 물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여 수압을 감소시킴으로써 출수불량을 야기하고, 또 녹은 적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배관 내부에 존재하는 녹 또는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포탄형태로 이루어진 클리닝 폴리피그(cleaning polly pig)를 배관내에 삽입하고, 상수도의 수압을 이용하여 물의 흐름방향으로 상기 폴리피그를 전진시키면서 배관내면과 마찰시켜 관 내벽면에 부착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있다.
또한,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1-0034967호에서는 배관을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폴리피그를 간편히 삽입할 수 있는 제수밸브 겸용 클리닝 밸브를 제안하여 세관공정을 실시하고 있다. 폴리피그와 클리닝 밸브를 배관라인에 설치하여 스케일을 제거하는 종래의 세관공법에서는 압송원으로서 상수도의 수압을 이용하거나, 상수도의 수압 자체가 약할 경우, 컴퓨레셔를 이용하여 폴리피그를 배관으로 압송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빌딩이나, 아파트, 단독주택에서 급수용으로 사용되는 배관은 주로 15cm의 관직경을 가지는 소형배관이고, 상기 폴리피그는 상기 배관의 직경보다 통상 2∼3mm정도 큰 직경을 가지므로, 상수도의 수압을 이용하여 폴리피그를 압송하는 경우에는 폴리피그의 추진력이 약하고, 관내부의 폐쇄율이 큰 경우에는 폴리피그의 전진이 어려워 실질적으로 배관내면에 부착된 녹이나 스케일을 제거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며, 콤퓨레셔를 이용하는 방식은 가정용 전원을 사용할 수가 없어 콤퓨레셔를 가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장치가 필요하고, 또 소음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 소형건물의 세관작업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폴리피그에 강력한 추진압력을 제공하는 압송장치를 수도 계량기측에 연결하여 옥내에서 배관 세관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물의 압송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관내부의 폐쇄율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관내부의 부식생성물을 제거시킬 수 있는 옥내배관 세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압송되는 물에 와류를 형성시켜 상기 폴리피그가 회전하면서 관 내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스케일 제거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옥내배관 세관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옥내배관 세관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요부인 제수밸브 겸용 클리닝밸브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요부인 폴리피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옥내배관 세관장치를 이용한 세관과정을 약식화하여 나타낸 배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물탱크 2: 부스터 펌프
3: 고압호스 4: 체크밸브
5: 클리닝 밸브 6: 폴리피그
8: 콘트롤 박스 9: 제1압력계
10: 제2 압력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압송에 필요한 소정량의 물이 내재되는 물 탱크; 상기 물탱크의 배출라인에 연결되어 물을 압송하기 위한 소정 압력을 제공하는 압송력 제공수단; 일단이 상기 압송력 제공수단의 배출부에 연결되어 물의 압송경로를 제공하는 고압호스;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폴리피그 삽입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압호스를 연결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중 어느 한 곳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에 내장되며 회전동작에 의해 물의 이동경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구가 형성되며 배관라인의 연통구를 차단시, 폴리피그를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구가 밸브몸체의 폴리피그 삽입개구에 연통하는 상태로 노출되는 볼밸브를 포함하며 계량기함과 교체되어 설치되는 제수겸용 클리닝밸브; 상기 클리닝밸브의 개폐구에 삽입되어 상기 고압호스를 통해 압송되는 물의 추진력에 의해 전진하면서 배관내벽면에 부착된 스케일을 분리하기 위한 폴리피그; 및 상기 압송력 제공수단에서 제공되는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옥내배관 세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1 내지 도4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옥내배관 세관장치는 주택이나 아파트, 소형 건물의 급수용으로 사용되는 배관에 적용되며, 폴리피그에 강력한 추진압력을 제공하여 관내부의 폐쇄율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관내부의 부식생성물을 제거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송에 필요한 소정량의 물이 내재되는 물 탱크(1)와, 상기 물탱크(1)의 배출라인에 연결되어 물을 압송하기 위한 소정 압력을 제공하는 부스터 펌프(booster pump)(2)와; 상기 부스터 펌프(2)의 배출부에 연결되어 그를 통해 압송되는 물을 일방향으로만 압송하며 역류를 방지하도록 개폐되는 체크밸브(4)와; 상기 체크밸브(4)상에 장착되며, 그를 통과하는 물의 압력을 계측하는 제1 압력계(9)와; 상기 체크밸브(4)의 배출부에 연결되어 물의 압송경로를 제공하는 고압호스(3)와; 배관의 세관시마다 계량기 박스내의 계량기와 교체되어 설치되어 제수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개폐되고, 후술할 폴리피그가 삽입되도록 제수시 그 중앙통로가 외부와 연통하도록 개구상태로 노출되며 그 배출부 일측에 상기 고압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홀(21d)이 형성된 클리닝 밸브(5)와; 상기 클리닝밸브(5)의 개폐구에 삽입되어 상기 고압호스(3)를 통해 압송되는 물의 추진력에 의해 배관내부를 세관하기 위한 폴리피그(6)와; 상기 부스터 펌프(2)에 제공되는 단상의 전원동력을 3상의 전원동력으로 변환시켜 부스터 펌프(2)에 인가하는 인버터(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부스터 펌프(2)에 제공되는 압력을 제어하며, 내부에 누전차단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 콘트롤 박스(8)와; 상기 클리닝밸브(5)상에 장착되며, 그를 통과하는 물의 압력을 계측하는 제2 압력계(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밸브(5)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각각 나선돌기를 갖는 유입구(21a)와 유출구(21b)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1a) 및 유출구(21b)의 연통부에 직각방향으로 폴리피그 삽입구(21c)가 형성되며, 측면에 유출구와 연통되어 고압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홀(21d)이 형성된 밸브몸체(21)와; 상기 밸브몸체(21)에 누수가 방지되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내장되며, 상기 회전동작에 의해 물의 이동경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구(22a)가 형성된 볼(22)과, 상기 볼(22)에 회전동작을 제공하는 레버(23)를 포함하는 볼밸브(24)와; 상기 볼밸브(24)의 레버(23)가 관통되며, 상기 밸브몸체(21)의 폴리피그 삽입구를 차폐하는 마개(25)로 구성되어, 상기 볼밸브(24)의 개폐구(22a)가 배관라인의 연통상태를 차단하도록 회전동작할 경우, 상기 개폐구(22a)가 상기 폴리피그 삽입구(21c)와 연통되어 폴리피그(6)를 삽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레버를 연통상태로 회전하면, 상기 폴리피그(6)는 배관라인의 흐름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폴리피그(6)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탄성이 강한 스폰지체나 우리탄등의 발포성 수지로 형성되고, 외부는 탄성력이 있고, 매우 질긴 특성을 가지되, 외주면에 나선형 돌기(6a)가 구비되며, 후단부에 나선상으로 회전하는 유체추진날개(6b)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도에서는 계량기함이 위치되는 곳에 본 고안의 클리닝 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평상시에는 계량기 박스(41)내의 제수밸브(42)가 개방된 상태에서, 유수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배관라인을 따라 이동하여 각 가정과 빌딩등에 공급된다. 오랜시간이 경과되어 배관라인의 내부에 스케일(각종 이물질 및 산화철등의 녹성분)이 끼어 수압이 낮아지고 수질이 나쁘게 되면, 세관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기 박스(41)내의 제수밸브(42)를 폐쇄하고, 상기 제수밸브(42) 일측에 설치된 계량기함 대신에 클리닝 밸브(5)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볼밸브(24)의 개폐구(22a)가 밸브몸체(21)의 유입구(21a)와 유출구(21b)에 연통하는 위치를 갖도록 조작된 연통상태에서, 상기 볼밸브(24)의 레버(23)를 회전시켜 물의 연통상태를 차단상태로 변환한다.
다음에, 상기 클리닝밸브(5)의 밸브몸체(21)에 형성된 관통홀(21a)에 고압호스(3)를 연결하고, 상기 폴리피그 삽입구(21c)를 차폐하고 있던 마개(25)를 이탈시킴에 따라 개방되는 밸브몸체(21)의 폴리피그 삽입부(21c)에 폴리피그(6)를 삽입하고, 레버(23)를 물의 연통상태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세관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본 작업이 완료된 후, 제수밸브(42)를 개방시키면 상수도압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21)의 유출부(21b)를 통해 폴리피그가 배관내로 삽입되어 전진을 위한 대기상태로 된다. 이 상태는 제2 압력계(10)의 움직임을 통하여 인지하게 된다.
그리고, 콘트롤 박스(8)에서 전원스위치를 온(on)시켜 가정용 전원을 연결하게 되면, 인버터에 의해 220V 단상전압을 380V 3상 전압으로 전환하여 부스터펌프(2)를 가동시킴으로써 고속회전으로 물탱크(1)에 내재된 물을 체크밸브(4)와 고압호스(3)를 통해 밸브몸체의 유출부측으로 물을 압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압의 물은 배관내에서 대기하고 있는 폴리피그(6)에 강한 추진력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폴리피그(6)는 배관라인을 따라 이송하면서 배관라인 내면에 부착된 스케일을 분리시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스터 펌프(2)의 가동에 의한 물의 압력은 제1 및 제2 압력계(9, 10)를 통하여 계측되고 상기 콘트롤 박스(8)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적절한 압력으로 유지된 상태로 물이 압송된다. 또한, 상기 소정압의 물이 클리닝 밸브(5)를 통과할 때, 밸브몸체(21)의 유출구(21b)에 형성된 나선돌기에 의해 상기 물은 와류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피그(6)의 구조도 외주면에 나선돌기(6a)가 형성되고 후면에 유체추진날개(6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폴리피그(6)는 물의 압송력을 받을 때 회전하면서 추진됨으로써 배관라인의 내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압을 지속적으로 받는 폴리피그(6)는 배관라인을 따라 이동하여 수도꼭지를 통해 스케일과 함께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적으로 물의 압송력을 조절하여 물을 배관내에 투입함으로써 폴리피그에 강력한 추진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와류를 형성시켜 상기 폴리피그가 회전하면서 배관내부를 전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옥내배관의 내벽면에 부착된 스케일의 제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물의 압송력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의 가동 전원을 가정용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물의 압송력을 콘트롤러에 의해 조절하여 관내부의 폐쇄율에 관계없이 폴리피그를 전진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부식 생성물의 제거효율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옥내에 음용이 가능한 상태의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다른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압송에 필요한 소정량의 물이 내재되는 물 탱크;
    상기 물탱크의 배출라인에 연결되어 물을 압송하기 위한 소정 압력을 제공하는 압송력 제공수단;
    일단이 상기 압송력 제공수단의 배출부에 연결되어 물의 압송경로를 제공하는 고압호스;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폴리피그 삽입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고압호스를 연결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중 어느 한 곳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에 내장되며 회전동작에 의해 물의 이동경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구가 형성되며 배관라인의 연통구를 차단시, 폴리피그를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개폐구가 밸브몸체의 폴리피그 삽입개구에 연통하는 상태로 노출되는 볼밸브를 포함하며 계량기함과 교체되어 설치되는 제수겸용 클리닝밸브;
    상기 클리닝밸브의 개폐구에 삽입되어 상기 고압호스를 통해 압송되는 물의 추진력에 의해 전진하면서 배관내벽면에 부착된 스케일을 분리하기 위한 폴리피그; 및
    상기 압송력 제공수단에서 제공되는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옥내배관 세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송력 제공수단에 제공되는 단상의 동력전원을 3상의 동력전원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인버터를 포함하는 옥내배관 세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송력 제공수단이 부스터 펌프로 이루어진 옥내배관 세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압송력 제공수단의 배출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압호스에 연결되어 일측으로만 물을 압송하도록 개폐되는 일방향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옥내배관 세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개폐수단이 체크밸브로 이루어진 옥내배관 세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밸브의 유출구측에 설치되어 그를 통과하는 물의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계를 더 포함하는 옥내배관 세관장치.
KR2020020004227U 2002-02-08 2002-02-08 옥내배관 세관장치 KR200276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27U KR200276286Y1 (ko) 2002-02-08 2002-02-08 옥내배관 세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227U KR200276286Y1 (ko) 2002-02-08 2002-02-08 옥내배관 세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105A Division KR100423546B1 (ko) 2002-02-07 2002-02-07 옥내배관 세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286Y1 true KR200276286Y1 (ko) 2002-05-21

Family

ID=7311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227U KR200276286Y1 (ko) 2002-02-08 2002-02-08 옥내배관 세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28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727A (ko) * 2002-06-05 2003-12-1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난방설비용 설비보호제 투입장치
KR100847227B1 (ko) * 2008-02-05 2008-07-17 강영철 피그를 이용한 배관 내면의 세정방법 및 그 장치
KR100930817B1 (ko) * 2009-02-10 2009-12-09 강영철 피그세정기를 사용하기 위한 세정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727A (ko) * 2002-06-05 2003-12-11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난방설비용 설비보호제 투입장치
KR100847227B1 (ko) * 2008-02-05 2008-07-17 강영철 피그를 이용한 배관 내면의 세정방법 및 그 장치
KR100930817B1 (ko) * 2009-02-10 2009-12-09 강영철 피그세정기를 사용하기 위한 세정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90350A1 (en) Water Supply Control Assembly with Automatic Shut-off and Duty Cycle Reset
US9845592B2 (en) Waste disposal system, and method of its use
US10478871B2 (en) Side-opening sleeve valve
CN214368557U (zh) 管道堵漏装置
US6321773B1 (en) Water valve assembly and water draining method
KR200276286Y1 (ko) 옥내배관 세관장치
KR100423546B1 (ko) 옥내배관 세관장치
CN105697819B (zh) 一种三通换向阀
CN205242506U (zh) 安装于无负压供水设备稳流补偿罐中的清洁装置
CN108670088A (zh) 一种管路残留水处理装置、淋浴器及处理方法
KR100788395B1 (ko) 건물의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장치
GB2252122A (en) Waste water diverter valve
JP3782931B2 (ja) 水道施設の残圧回収発電装置
JP2007507634A (ja) トイレ・タンク充填バルブ及び操作方法
CN207204783U (zh) 多功能螺旋水钻管道清洗机
CN205580012U (zh) 太阳能热水器及太阳能热水器冬季防冻装置
KR100855029B1 (ko) 밸브 및 관로 세척 방법
JP6653508B2 (ja) 住宅の給水システム
CN219952104U (zh) 一种水源井抽灌转换系统
CN107335665A (zh) 多功能螺旋水钻管道清洗机
CN205300004U (zh) 太阳能热水器及太阳能热水器冬季防冻装置
CN219863145U (zh) 一种马桶控制的电动水阀
CN102777619A (zh) 下水管道疏通阀
JPH0910717A (ja) 給水系管路の開放型循環洗浄方法
CN208219284U (zh) 一种托辊加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