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718A - 이앙기 - Google Patents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718A
KR20140138718A KR1020147025553A KR20147025553A KR20140138718A KR 20140138718 A KR20140138718 A KR 20140138718A KR 1020147025553 A KR1020147025553 A KR 1020147025553A KR 20147025553 A KR20147025553 A KR 20147025553A KR 20140138718 A KR20140138718 A KR 20140138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fan
output
cooling
suc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유키 쿠로다
쇼이치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70643A external-priority patent/JP58299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70646A external-priority patent/JP5844192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04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with the engine main axis, e.g. crankshaft axis, transversely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60K5/1216Resilient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pports relative to the motor o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냉각계 부품이나 동력 전달계 부품과 같은 주변 부품을 엔진(5) 주변에 효율 좋게 콤팩트하게 배치한 이앙기(1)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원발명의 이앙기(1)는 주행 기체(2)에 탑재된 엔진(5)과, 상기 엔진(5)의 동력을 변속해서 상기 주행 기체(2)의 주행부(3, 4)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6)와, 상기 주행 기체(2)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23)를 구비한다. 상기 엔진(5)의 일측면에 엔진 공냉용 흡인 팬(71)을 설치한다. 상기 엔진(5) 중 상기 흡인 팬(71)과 반대측의 타측면에는 상기 흡인 팬(71)과는 별개로 배출 팬(91)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이앙기{RICE PLANTING MACHINE}
본원발명은 묘재대 및 복수의 식부조를 갖고, 연속적으로 모종 이식 작업을 행하는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앙기에 있어서, 주행 기체에 탑재된 엔진에 냉각 팬을 설치하고, 상기 냉각 팬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냉각풍에 의해 엔진을 냉각하는 기술은 잘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등 참조).
일본 특허 공개 평 5-4283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1-199251호 공보
그런데, 이앙기에 관해서는 수전으로의 가라앉음을 적게 하거나 전장을 짧게 해서 침지를 적게 하거나 하기 위해서 종전부터 경량화·콤팩트화의 요청이 있고, 주행 기체에 있어서의 엔진 탑재 스페이스에 제약이 있는(협소한) 경우가 많다. 또한, 엔진에는 냉각 팬뿐만 아니라 각종 보기류나 미션 케이스로의 동력 전달계와 같은 여러 가지 주변 부품을 부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냉각 효율에 배려하면서 좁은 엔진 탑재 스페이스 내에 엔진과 함께 주변 부품을 효율적이며 또는 콤팩트하게 배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원발명은 상기 현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냉각계 부품이나 동력 전달계 부품과 같은 주변 부품을 엔진 둘레에 효율 좋게 콤팩트하게 배치한 이앙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주행 기체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의 동력을 변속해서 상기 주행 기체의 주행부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와, 상기 주행 기체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엔진의 일측면에 엔진 공냉용 흡인 팬이 설치되어 있는 이앙기로서, 상기 엔진 중 상기 흡인 팬과 반대측의 타측면에는 상기 흡인 팬과는 별개로 배출 팬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는 상기 배출 팬과 함께 회전력 전달용 출력 풀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 팬과 상기 출력 풀리는 상기 출력축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 팬의 외경은 상기 출력 풀리보다 대경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출력 풀리를 복수개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 풀리는 상기 엔진에 가까울수록 소경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 팬을 둘러싸는 차폐 커버가 상기 엔진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는 상기 배출 팬과 함께 회전력 전달용 출력 풀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엔진의 타측면 중 상기 차폐 커버의 내측에 상기 배출 팬, 제너레이터 및 풀리 및 벨트 전동계가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원발명에 의하면 주행 기체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의 동력을 변속해서 상기 주행 기체의 주행부로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와, 상기 주행 기체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엔진의 일측면에 엔진 공냉용 흡인 팬이 설치되어 있는 이앙기로서, 상기 엔진 중 상기 흡인 팬과 반대측의 타측면에는 상기 흡인 팬과는 별개로 배출 팬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엔진 일측면측의 상기 흡인 팬에 의해 상기 엔진에 냉각풍을 블로잉하여 상기 엔진을 강제 냉각할 뿐만 아니라, 상기 엔진 타측면측의 상기 배출 팬의 회전으로 상기 엔진의 열을 빼앗아서 따뜻해진 배풍을 엔진 룸 외로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인 팬의 냉각풍 도입 효과와 상기 배출 팬의 배풍 배출 효과가 어울려서 상기 엔진의 냉각 효율을 각별히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는 상기 배출 팬과 함께 회전력 전달용 출력 풀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 팬과 상기 출력 풀리는 상기 출력축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 팬의 회전을 이용해서 상기 출력 풀리에 바람을 블로잉하여 상기 출력 풀리를 냉각할 수 있다.이 때문에 상기 배출 팬 및 상기 출력 풀리를 콤팩트하게 배치하면서 상기 출력 풀리의 열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이들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배출 팬 및 상기 출력 풀리의 배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엔진, 나아가서는 엔진 룸의 좌우 폭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출 팬의 외경은 상기 출력 풀리보다 대경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 팬의 회전으로 배풍을 배출할 때에 상기 출력 풀리의 존재가 방해될 우려가 적고, 상기 배출 팬의 회전에 의한 배풍의 배출 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출력 풀리를 복수개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 풀리는 상기 엔진에 근접할수록 소경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 팬의 회전으로 상기 엔진 타측면측의 열을 빼앗을 때에 상기 엔진에 가까운 쪽의 출력 풀리가 존재하는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출 팬을 둘러싸는 차폐 커버가 상기 엔진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흡인 팬의 냉각풍 도입 효과와 상기 배출 팬의 배풍 배출 효과가 어울려서 상기 엔진의 냉각 효율을 각별히 향상할 수 있는 것에 추가해서 상기 차폐 커버의 존재에 의해 상기 엔진 좌측면 주변의 열이 엔진 룸 내에서 확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는 상기 배출 팬과 함께 회전력 전달용 출력 풀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엔진의 타측면 중 상기 차폐 커버 내측에 상기 배출 팬, 제너레이터 및 풀리 및 벨트 전동계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풀리 및 벨트 전동계나 상기 제너레이터를 콤팩트하게 배치하면서 상기 배출 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엔진 좌측면 주변의 열을 스무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풀리 및 벨트 전동계나 상기 제너레이터에 배풍을 블로잉하여 식힐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풀리 및 벨트 전동계나 상기 제너레이터의 열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이들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승용형 이앙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승용형 이앙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주행 기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주행 기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엔진 및 미션 케이스의 확대 우측면도이다.
도 6은 엔진 및 미션 케이스의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주행 기체 전방부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8은 엔진의 탑재 구조를 나타내는 좌경사 전방으로부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엔진대 위의 엔진을 좌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차폐 커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각종 출력 풀리와 배출 팬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엔진 및 엔진대의 바닥면도이다.
이하에 본원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8조 이식식 승용형 이앙기(1)(이하, 간단히 이앙기(1)라고 한다)에 적용한 경우의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행 기체(2)의 진행 방향을 향해서 좌측을 간단히 좌측이라고 칭하고, 마찬가지로 진행 방향을 향해서 우측을 간단히 우측이라고 칭한다.
(1). 이앙기의 개요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이앙기(1)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 쌍의 전차륜(3) 및 마찬가지로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에 의해 지지된 주행 기체(2)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는 엔진(5)이 탑재되고, 엔진(5)으로부터의 동력을 이 후방의 미션 케이스(6)에 전달하여 전차륜(3) 및 후차륜(4)을 구동시킴으로써 전진 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6)의 좌우측방에 프론트 액슬 케이스(7)를 돌출시키고, 프론트 액슬 케이스(7)로부터 좌우 외향으로 연장되는 전차축에 전차륜(3)이 조타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6)의 후방에 통형상 프레임(8)을 돌출시켜 통형상 프레임(8)의 후단측에 리어 액슬 케이스(9)를 고정하여 설치하고, 리어 액슬 케이스(9)로부터 좌우 외향으로 연장되는 후차축에 후차륜(4)이 부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2)의 전방부 및 중앙부의 상면측에는 오퍼레이터 탑승용 작업 스텝(차체 커버)(10)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 스텝(10)의 전방부의 상방에는 프론트 보닛(11)이 배치되고, 프론트 보닛(11)의 내부에 엔진(5)을 설치하고 있다. 작업 스텝(10)의 상면 중 프론트 보닛(11)의 후방부 측방에 스텝 조작용 주행 변속 페달(12)이 배치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실시형태의 이앙기(1)는 주행 변속 페달(12)의 스텝량에 따른 변속 전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미션 케이스(6)의 유압 무단 변속기로부터 출력되는 변속 동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보닛(11)의 후방부 상면측에 있는 운전 조작부(13)에는 조종 핸들(14)과, 주행 주변속 레버(15)와, 작업 레버(16)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 스텝(10)의 상면 중 프론트 보닛(11)의 후방에는 시트 프레임(17)을 통해 조종 좌석(1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보닛(11)의 좌우측방에는 작업 스텝(10)을 사이에 두고 좌우의 예비 묘재대(24)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후단부에 링크 프레임(19)을 세워서 설치한다. 링크 프레임(19)에는 로어 링크(20) 및 탑 링크(21)로 이루어지는 평행 링크 기구(22)를 통해 8조 이식용 모종 식부 장치(23)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작업 스텝(10)의 측방에 있는 승강 스텝(25)으로부터 작업 스텝(10) 위에 탑승하고, 운전 조작으로 포장 내를 이동하면서 모종 식부 장치(23)를 구동시켜서 포장에 모종을 식부하는 모종 식부 작업(모내기 작업)을 실행한다. 또한, 모종 식부 작업 중에 있어서 모종 식부 장치(23)에는 예비 묘재대(24) 위의 모종 매트를 오퍼레이터가 수시 보급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 장치(23)는 엔진(5)으로부터 미션 케이스(6)를 경유한 동력이 전달되는 식부 입력 케이스(26)와, 식부 입력 케이스(26)에 연결하는 8조용 4세트(2조로 1세트)의 식부 전동 케이스(27)와, 각 식부 전동 케이스(27)의 후단측에 설치된 모종 이식 기구(28)와, 8조 이식용 묘재대(29)와, 각 식부 전동 케이스(27)의 하면측에 배치된 논 균평용 플로트(32)를 구비하고 있다. 모종 이식 기구(28)에는 1조분 2개의 식부조(30)를 갖는 로터리 케이스(31)가 설치되어 있다. 식부 전동 케이스(27)에 2조분의 로터리 케이스(31)가 배치되어 있다. 로터리 케이스(31)의 1회전에 의해 2개의 식부조(30)가 각각 1주씩의 모종을 잘라내어 잡아 플로트(32)로 정지된 논에 식부하게 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엔진(5)으로부터 미션 케이스(6)를 경유한 동력은 전차륜(3) 및 후차륜(4)에 전달될 뿐만 아니라 모종 식부 장치(23)의 식부 입력 케이스(26)에도 전달된다. 이 경우, 미션 케이스(6)로부터 모종 식부 장치(23)를 향하는 동력은 리어 액슬 케이스(9)의 우측 상부에 설치된 주간 변속 케이스(도시 생략)에 일단 전달되고, 주간 변속 케이스로부터 식부 입력 케이스(26)에 동력 전달된다. 상기 전달된 동력에 의해 각 모종 이식 기구(28)나 묘재대(29)가 구동한다. 상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주간 변속 케이스에는 식부되는 모종의 주간을, 예를 들면 소식(疎植), 표준 이식 또는 밀식 등으로 스위칭하는 주간 변속 기구와, 모종 식부 장치(23)로의 동력 전달을 중계 중단하는 PTO 클러치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모종 식부 장치(23)의 좌우 외측에는 사이드 마커(33)를 구비하고 있다. 사이드 마커(33)는 선 긋기용 마커 축체(34)와, 마커 축체(34)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마커 암(35)을 갖고 있다. 각 마커 암(35)의 기단측이 모종 식부 장치(23)의 좌우 외측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사이드 마커(33)는 운전 조작부(13)에 있는 작업 레버(16)의 조작에 의거하여 다음 공정에서의 기준이 되는 궤적을 논에 착지해서 형성하는 작업 자세와, 마커축체(34)를 상승시켜서 논으로부터 이간시킨 비작업 자세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2). 엔진의 지지 구조 및 엔진 주변 구조
이어서, 도 3∼도 12를 참조하면서 주행 기체(2)에 대한 엔진(5)의 지지 구조 및 엔진(5)의 주변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기체(2)는 전후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기체 프레임(50)을 구비하고 있다. 각 기체 프레임(50)은 전방부 프레임(51)과 후방부 프레임(52)으로 2분할되어 있다. 전방부 프레임(51)의 후단부와 후방부 프레임(52)의 전단부가 좌우 가로로 긴 중간 연결 프레임(53)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전방부 프레임(51)의 전단부는 전방 프레임(54)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후방부 프레임(52)의 후단측은 후방 프레임(55)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54), 좌우 양쪽 전방부 프레임(51) 및 중간 연결 프레임(53)은 평면에서 봤을 때 사각 프레임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중간 연결 프레임(53), 좌우 양쪽 후방부 프레임(52) 및 후방 프레임(55)도 평면에서 봤을 때 사각 프레임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양쪽 전방부 프레임(51)의 앞부분 부위는 전후 2개의 베이스 프레임(5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 베이스 프레임(56)은 그 중간부가 좌우 양쪽 전방부 프레임(51)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U자형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베이스 프레임(56)의 좌우 단부가 각각 대응하는 전방부 프레임(51)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대략 평판상의 엔진대(57) 및 방진 부재로서 복수의 방진 고무(58)를 통해 전후 양쪽 베이스 프레임(56)에 엔진(5)이 탑재되어 방진 지지되어 있다. 전방측의 베이스 프레임(56)은 이것에 용접 고정된 전방 중계 프레임(59)을 통하여 전방 프레임(54)에 연결되어 있다. 후방측의 베이스 프레임(56)은 후방 중계 브래킷(60)을 통해 미션 케이스(6)의 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엔진(5)은 4스트로크 V형 2기통의 가솔린 엔진이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우 양쪽 전방부 프레임(51)의 뒷부분 부위는 미션 케이스(6)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프론트 액슬 케이스(7)에 연결되어 있다. 중간 연결 프레임(53)의 중앙측에는 측면에서 봤을 때 후 경사 하향으로 연장되는 U자상 프레임(61)의 좌우 양단부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U자상 프레임(61)의 중간부가 미션 케이스(6)와 리어 액슬 케이스(9)를 연결하는 통형상 프레임(8)의 중도부에 연결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후방 프레임(55)의 중간부에는 좌우 2개의 세로 프레임(62)의 상단측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좌우 양쪽 세로 프레임(62)의 하단측에는 좌우 가로로 긴 리어 액슬 지지 프레임(63)의 중간부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리어 액슬 지지 케이스(63)의 좌우 양단부가 리어 액슬 케이스(9)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전방부 프레임(51)에 외향으로 돌설된 스텝 지지대(64)의 하방에 엔진(5)의 배기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65)가 배치되어 있다.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5)의 후방에 배치된 미션 케이스(6)의 전방부에는 파워 스티어링 유닛(66)이 설치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유닛(66)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된 핸들 포스트(67)의 내부에 핸들축(도시 생략)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핸들축의 상단측에 조종 핸들(14)이 고정되어 있다. 파워 스티어링 유닛(66)의 하면측에는 조타 출력축(도시 생략)이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조타 출력축에는 좌우 전차륜(6)을 조타하는 조타간(68)(도 4 참조)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엔진(5)은 출력축(70)(크랭크축)을 좌우 방향을 향해서 전후 양쪽 베이스 프레임(56)의 중간부 위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5) 및 엔진대(57)의 좌우 폭은 좌우 양쪽 전방부 프레임(51) 사이의 내경 치수보다 작고, 엔진(5)의 하부측 및 엔진대(57)는 전후 양쪽 베이스 프레임(56)의 중간부 위에 배치된 상태로 좌우 양쪽 전방부 프레임(51)보다 하측에 노출되어 있다. 이 경우, 엔진(5)의 출력축(70)(축선)은 측면에서 봤을 때 좌우 양쪽 전방부 프레임(51)과 겹치는 위치에 있다.
엔진(5)의 출력축(70)은 엔진(5)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출력축(70)의 한쪽의 돌단부(실시형태에서는 우측 돌단부)에는 엔진 공냉용 흡인 팬(71)이 설치되어 있다(도 5 참조). 흡인 팬(71)은 출력축(70)과 일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인 팬(71)은 팬 커버(72)로 덮여 있다. 팬 커버(72)의 중앙부에 형성된 냉각풍 도입구(73)에는 방진망(74)이 설치되어 있다. 흡인 팬(71)의 회전으로 냉각풍 도입구(73)로부터 도입된 냉각풍에 의해 엔진(5) 자체가 강제적으로 냉각된다.
실시형태의 이앙기(1)에서는 흡인 팬(71)의 회전에 의해 프론트 보닛(11)(엔진 룸이라고도 칭해진다) 내의 좌우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실시형태에서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서 엔진(5)을 식히는 냉각풍(외기)이 유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프론트 보닛(11)의 좌우 양측면의 하부측에 프론트 보닛(11) 내외로 냉각풍을 유통시키는 유통구(75)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보닛(11)의 좌우 양측면에 복수의 슬릿상의 관통 구멍이 상하로 적당히 간격을 두고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군이 유통구(75)에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인 팬(71)이 회전하면 프론트 보닛(11) 내의 공기가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흘러 프론트 보닛(11) 내의 압력이 저하되고, 프론트 보닛(11) 내외의 압력에 차가 발생한다. 그렇게 하면, 우측의 유통구(75)나, 우측의 전방부 프레임(51) 및 작업 스텝(10)의 하방으로부터 냉각풍이 도입되고, 상기 도입된 냉각풍에 의해 엔진(5) 등이 공냉된다. 프론트 보닛(11) 내를 유통해서 데워진 냉각풍(배풍)은 좌측의 유통구(75)나, 좌측의 전방부 프레임(51) 및 작업 스텝(10)의 하방으로부터 프론트 보닛(11) 밖으로 배출된다(도 7 참조).
엔진(5)의 상면에는 에어 클리너(도시 생략)를 수용하는 클리너 케이스(76)가 상하로 적당히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클리너 케이스(76)와 엔진(5)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좌우로 관통되어 있어서 흡인 팬(71)의 회전으로 도입된 냉각풍이 통과 가능한 상부 통풍로(77)(도 7 참조)에 구성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클리너 케이스(76)의 하면측 중 흡인 팬(71) 근처의 개소에는 클리너 케이스(76)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흡인 팬(71)의 회전으로 상부 통풍로(77)를 통과하는 냉각풍이 연통 구멍을 경유해서 클리너 케이스(76) 내에 도입된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76)는 엔진(5)의 흡기계에 접속되어 있다. 클리너 케이스(76) 내의 에어 클리너에서 여과된 냉각풍이 엔진(5)의 흡기계(카뷰레터 등)로 보내진다. 흡인 팬(71)의 회전으로 차가운 냉각풍을 클리너 케이스(76) 내에 도입함으로써 클리너 케이스(76) 내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고, 엔진(5)의 흡기계(카뷰레터 등)에 냉기가 공급된다. 그 결과, 엔진(5)의 구동 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엔진(5)의 후면측에는 엔진 오일 냉각용 제 1 오일 쿨러(7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팬 커버(72)의 외측에는 냉각풍 도입구(73)에 대치하는 엔진 오일 냉각용 제 2 오일 쿨러(79)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오일 쿨러(79)는 제 1 오일 쿨러(78)에 연통 접속되어 있고, 제 1 오일 쿨러(78)의 냉각 능력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흡인 팬(71)의 회전에 의해 프론트 보닛(11) 내에 도입되는 냉각풍이 제 1 및 제 2 오일 쿨러(78, 79)에 블로잉되어 제 1 및 제 2 오일 쿨러(78, 79)(내부의 엔진 오일)가 강제 냉각된다. 실시형태의 제 2 오일 쿨러(79)는 우측 전방부 프레임(51)과 엔진(5)의 우측면(팬 커버(72)측)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측면에서 봤을 때 우측의 전방부 프레임(51)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 2 오일 쿨러(79)는 엔진(5)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프론트 보닛(11)보다 하측에서 흡인 팬(71)에 대치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보닛(11) 내에서는 엔진(5)을 둘러싸는 대략 상자 프레임상의 보닛 프레임(80)이 전방 프레임(54)과 핸들 포스트(67)에 연결되어 있다. 보닛 프레임(80)의 일측부(실시형태에서는 우측부)에 용접 고정된 분기 프레임(81)에는 상하로 걸치도록 부착 브래킷(8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착 브래킷(82)의 하부측에 제 2 오일 쿨러(79)가 연결되어 팬 커버(72)의 냉각풍 도입구(73)에 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2 오일 쿨러(79)는 흡인 팬(71)의 회전으로 주로 우측의 전방부 프레임(51) 및 작업 스텝(10)의 하방으로부터 도입된 냉각풍에 의해 엔진(5)보다 먼저 냉각되게 된다. 따라서, 제 2 오일 쿨러(79) 전용 냉각 팬을 사용하는 일 없이 제 2 오일 쿨러(79)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 2 오일 쿨러(79)의 소형화에도 공헌한다.
부착 브래킷(82)의 상부측에는 엔진(5)에 관계되는 콘트롤러 등의 전장 부품(83)이 부착되어 있다. 전장 부품(83)은 우측의 유통구(75)에 프론트 보닛(11)의 내측으로부터 면하고 있다. 흡인 팬(71)의 회전에 의해 우측의 유통구(75)를 빠져나간 냉각풍은 전장 부품(83)에 블로잉되어 전장 부품(83)이 냉각되게 된다. 우측의 유통구(75)로부터의 냉각풍에 의해 엔진(5)의 주위에 배치된 전장 부품(83)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엔진(5)의 열에 의한 전장 부품(83)으로의 악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전장 부품(83)을 사이에 두고 우측 유통구(75)의 반대측에 클리너 케이스(76)와 엔진(5) 사이의 상부 통풍로(77)의 입구측이 위치하고 있다(도 7 참조).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5) 중 흡인 팬(71)과 반대측의 타측면(실시형태에서는 좌측면)의 상부측에는 상부 통풍로(77)의 출구측이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엔진(5) 좌측면의 상부측에는 상부 통풍로(77)의 출구측을 둘러싸도록 측면에서 봤을 때 문형의 통풍 덕트(84)가 부착되어 있다. 통풍 덕트(84)는 좌측의 전방부 프레임(51)보다 높은 위치에 두어져 있고, 좌측의 유통구(75)에 프론트 보닛(11)의 내측으로부터 면하고 있다. 통풍 덕트(84)에 의해 엔진(5)의 상부 배풍로(85)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 통풍로(77)를 통과해서 엔진(5)의 열을 빼앗아서 따뜻해진 배풍은 통풍 덕트(84)를 통해 좌측의 유통구(75)로부터 프론트 보닛(11) 밖으로 배출된다. 통풍 덕트(84)의 존재에 의해 따뜻해진 배풍이 프론트 보닛(11) 내로 돌아가서 머무르는 것을 방지해서 좌측의 유통구(75)로부터 스무드하게 배출할 수 있어 배풍의 배출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5)의 열을 빼앗아서 따뜻해진 배풍은 상부 배풍로(85) 경유로 프론트 보닛(11) 밖으로 배출될 뿐만 아니라 좌측의 전방부 프레임(51) 및 작업 스텝(10)의 하방을 경유해도 배출된다. 즉, 좌측의 전방부 프레임(51) 및 작업 스텝(10)의 하방은 엔진(5)의 하부 배풍로(86)에 구성되어 있다.
엔진(5) 중 흡인 팬(71)과 반대측의 타측면(실시형태에서는 좌측면)에는 엔진의 배기계에 연통하는 배기관(87)이 배치되어 있다. 배기관(87)은 통풍 덕트(84)와 출력축(70)의 다른 쪽의 돌단부(실시형태에서는 좌측 돌단부) 사이를 횡단하고나서 출력축(70)을 사이에 둔 한쪽(실시형태에서는 전방측)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L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배기관(87)은 통풍 덕트(84)와 출력축(70) 사이를 횡단해서 연장되는 횡관부(87a)와, 출력축(70)보다 전방측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종관부(87b)와, 종관부(87b)의 하단측으로부터 머플러(65)를 향해서 연장되는 연결관부(87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횡관부(87a)의 기단측이 엔진(5)의 한쪽 기통에 접속되어 있다. 횡관부(87a) 중 종관부(87b) 근처의 부위로부터 분기된 부분은 엔진(5)의 다른 쪽 기통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양쪽 기통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는 횡관부(87a)에 있어서의 종관부(87b)의 바로 앞에서 합류한다. 연결관부(87c)의 선단측이 머플러(65)의 배기 입구측에 접속되어 있다.
엔진(5)의 좌측면에는 배기관(87)의 횡관부(87a) 및 종관부(87b)를 둘러싸는 차폐 커버(88)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차폐 커버(88)는 횡관부(87a)를 덮는 횡 커버체(89)와, 종관부(87b)를 덮는 종 커버체(90)를 구비하고 있다. 횡 커버체(89)는 상면판, 후면판, 및 좌측면판을 갖는 금속판제의 것이다. 또한, 종 커버체(90)는 상면판, 하면판, 좌우 측면판, 및 앞면판을 갖는 금속판제의 것이다. 즉, 횡 커버체(89) 및 종 커버체(90)는 출력축(70)의 다른 쪽의 돌단부(실시형태에서는 좌측 돌단부)에 설치된 배출 팬(91)측을 개구시킨 대략 상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횡 커버체(89)와 종 커버체(90)는 배기관(87)의 횡관부(87a)와 종관부(87b)를 둘러싸는 관계상,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L자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차폐 커버(88)로 배기관(87)의 횡관부(87a) 및 종관부(87b)를 둘러쌈으로써 배기관(87)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프론트 보닛(11) 내에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실시형태의 통풍 덕트(84) 및 차폐 커버(88)는 좌측 전방부 프레임(51)과 엔진(5) 좌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서 프론트 보닛(11) 내에 들어가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도 7 참조).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5) 좌측면 중 차폐 커버(88)의 내측(횡 커버체(89)와 종 커버체(90)로 구획된 내측)에는 출력축(70)의 다른 쪽 돌단부(실시형태에서는 좌측 돌단부)가 돌출되어 있다. 출력축(70)의 좌측 돌단부에는 흡인 팬(71)과는 별개로 배출 팬(91)이 설치되어 있다. 배출 팬(91)은 흡인 팬(71)과 마찬가지로 출력축(70)과 일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출 팬(91)의 회전에 의해 주위의 배풍이 도입되고, 주로 하부 배풍로(86)(좌측의 전방부 프레임(51) 및 작업 스텝(10)의 하방)로부터 프론트 보닛(11) 밖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엔진(5) 우측면측의 흡인 팬(71)의 회전으로 엔진(5)에 냉각풍을 블로잉하여 엔진(5)을 강제 냉각할 뿐만 아니라 엔진(5) 좌측면측의 배출 팬(91)의 회전으로 엔진(5)의 열을 빼앗아서 따뜻해진 배풍을 프론트 보닛(11) 밖으로 배출하게 되고, 흡인 팬(71)의 냉각풍 도입 효과와 배출 팬(91)의 배풍 배출 효과가 어울려서 엔진(5)의 냉각 효율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횡 커버체(89) 및 종 커버체(90)는 배출 팬(91)측을 개구시킨 대략 상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관(87)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프론트 보닛(11) 내에서 확산되지 않고, 배출 팬(91)의 회전에 의해 하부 배풍로(86) 경유로 프론트 보닛(11) 밖으로 적극적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배기관(87)이 있는 엔진(5) 좌측면측의 열환경, 나아가서는 프론트 보닛(11) 내의 열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 도 8, 도 9,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축(70)의 좌측 돌단부에는 배출 팬(91)뿐만 아니라 회전력 전달용 출력 풀리(92, 93)가 복수개(실시형태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다. 출력 풀리(92, 93)는 출력축(70)의 회전에 의해 배출 팬(91)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출력 풀리(92, 93)는 배출 팬(91)을 사이에 두고 출력축(70)의 축선 방향 전후로 나뉘어서 배치되어 있다. 엔진(5)에 가까운 쪽의 출력 풀리(92)는 후술하는 제너레이터(94)(상세한 것은 후술한다)로의 회전력 전달용 제 1 출력 풀리(92)이며, 엔진으로부터 먼 쪽의 출력 풀리(93)는 미션 케이스(6)로부터 좌외측으로 돌출된 미션 입력축(97)(상세한 것은 후술한다)으로의 회전력 전달용 제 2 출력 풀리(93)이다.
여기에서, 출력축(70)의 좌측 돌단부를 사이에 두고 배기관(87)의 종관부(87b)의 반대측(실시형태에서는 후방측)에 제너레이터(94)가 배치되어 있다. 제너레이터(94)는 엔진(5) 좌측면 중 출력축(70)의 좌측 돌단부보다 좌후방에, 또는 횡 커버체(89)의 하방에 볼트 체결된 고정 브래킷(95)에 부착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엔진(5) 좌측면과 제너레이터(94) 사이에는 좌우로 적당히 간격을 두고 있다. 제너레이터(94) 중 엔진(5) 좌측면과 대치하는 측에 보기 입력 풀리(94a)가 설치되어 있다. 출력축(70) 측의 제 1 출력 풀리(92)와 제너레이터(94) 측의 보기 입력 풀리(94a)에 전달 벨트(96)가 권취되어 있다. 풀리(92) 및 벨트(96) 전동계를 통해 엔진(5)으로부터 제너레이터(94)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제너레이터(94)가 발전한다. 제너레이터(94)는 고정 브래킷(95)을 통해 엔진(5)의 좌측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5)과 같은 진동계에 포함되게 된다. 이 때문에 제너레이터(94) 자체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어 제너레이터(94)의 변형이나 파손의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6)로부터 좌외측으로 돌출된 미션 입력축(97)에는 미션 입력 풀리(98)가 설치되어 있다. 출력축(70) 측의 제 2 출력 풀리(93)와 미션 케이스(6) 측의 미션 입력 풀리(98)에 전달 벨트(99)가 권취되어 있다. 풀리(93, 98) 및 벨트(99) 전동계를 통해 엔진(5)으로부터 미션 케이스(6)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미션 출력축(97) 중 미션 입력 풀리(98)보다 좌외측에 미션 케이스(6) 공냉용 미션 냉각 팬(100)이 설치되어 있다. 미션 냉각 팬(100)은 풀리(93, 98) 및 벨트(99) 전동계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미션 입력 풀리(98)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5) 좌측면 중 차폐 커버(88)의 내측에 배출 팬(91), 제 1 및 제 2 출력 풀리(92, 93), 제너레이터(94), 및 전달 벨트 (96, 99)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엔진(5) 좌측면 중 차폐 커버(88)의 내측에 풀리(92, 93) 및 벨트(96, 99) 전동계나 제너레이터(94)를 콤팩트하게 배치한 것이면서 배출 팬(91)의 회전에 의해 엔진(5) 좌측면 주변의 열을 하부 배풍로(86) 경유로 스무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풀리(92, 93) 및 벨트(96, 99) 전동계나 제너레이터(94)에 배풍을 블로잉하여 식힐 수 있으므로 풀리(92, 93) 및 벨트(96, 99) 전동계나 제너레이터(94)의 열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이들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출 팬(91)의 외경은 각 출력 풀리(92, 93)보다 대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출 팬(91)의 회전으로 배풍을 하부 배풍로(86) 경유로 배출할 때에 각 출력 풀리(92, 93)의 존재가 방해될 우려가 적고, 배출 팬(91)의 회전에 의한 배풍의 배출 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출력 풀리(92, 93)는 엔진(5)에 가까운 것일수록 소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출 팬(91)의 회전으로 엔진(5) 좌측면측의 열을 빼앗을 때에 엔진(5)에 가까운 쪽의 제 1 출력 풀리(92)가 존재하는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풀리(92, 93) 및 벨트(96, 99) 전동계의 열 열화를 억제하면서 출력축(70)의 좌측 돌단부에 각 출력 풀리(92, 93)와 배출 팬(91)을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고, 엔진(5), 나아가서는 이것을 덮는 프론트 보닛(11)의 좌우 폭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3, 도 6,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축(70) 측의 제 2 출력 풀리(93)와 미션 출력 풀리(98) 사이에는 전달 벨트(99)를 긴장시키는 장력 부여 부재(101)가 배치되어 있다. 장력 부여 부재(101)는 전달 벨트(99)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는 텐션 풀리(102)를 구비하고 있다. 텐션 풀리(102)는 엔진대(57)의 좌측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텐션 암(103)의 자유단측에 축지지되어 있다. 텐션 암(103)은 바이어싱 스프링(104)에 의해 상향 회동 방향으로 인장되어 있고, 텐션 풀리(102)를 상시 전달 벨트(99)에 하방으로부터 압박 접촉시키고 있다. 바이어싱 스프링(104)은 텐션 암(103) 기단측의 보스부(105)에 세워서 설치된 요동 암(106)과, 엔진대(57)의 좌측부에 돌설된 지지판(107) 사이에 마운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엔진(5)이 탑재되는 엔진대(57)에 장력 부여 부재(101)를 설치하면 장력 부여 부재(101)가 엔진(5)과 같은 진동계에 포함되기 때문에 장력 부여 부재(101) 자체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장력 부여 부재(101)의 변형이나 파손의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장력 부여 부재(101)의 진동이 엔진(5)의 진동에 추종하게 되어 전달 벨트(99)를 적정한 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유지하기 쉽다는 이점도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엔진(5)과 미션 케이스(6)를 전후로 배열한 상태로 제 2 출력 풀리(93)와 미션 출력 풀리(98) 사이에 장력 부여 부재(101)뿐만 아니라 제너레이터(94)도 함께 위치시키고 있어서 엔진(5)과 미션 케이스(6) 사이의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도 도모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형태의 엔진(5)은 전후 양쪽 베이스 프레임(56)에 복수의 방진 고무(58)를 통해 지지된 엔진대(57)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도 8, 도 9,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대(57)에는 엔진(5)의 바닥면에 면하는 상하 관통상의 관통 구멍(108)이 형성되어 있다. 엔진(5)의 바닥면에 형성된 리브 홈(109)을 엔진대(57)의 관통 구멍(108)에 면하게 하고 있다. 이 경우, 관통 구멍(108)으로부터 엔진 좌측면측의 배출 팬(91)을 향해서 냉각풍이 유통하도록 엔진대(57) 위에 엔진(5)이 관통 구멍(108)으로부터(우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엔진(5)의 바닥면에서 엔진대(57)의 관통 구멍(108) 전체를 덮어 숨기지 않고 관통 구멍(108)의 일부를 상하로 개구시키고 있다. 엔진대(57)의 하측으로부터 관통 구멍(108)을 들여다봤을 경우, 관통 구멍(108)의 일부에는 엔진(5)의 좌측면측에 있는 제 1 출력 풀리(92)나 전달 벨트(96)가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엔진(5)의 바닥면에 면하는 상하 관통상의 관통 구멍(108)을 엔진대(57)에 형성하면 흡인 팬(71)의 회전으로 도입된 냉각풍을 엔진(5)의 바닥면에 블로잉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5) 내부의 엔진 오일을 적극적으로 냉각하여 엔진 오일 온도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오일 쿨러(78, 79)의 냉각 효율과 어울려서 엔진 오일의 냉각을 효과적으로 행하여 엔진(5)의 히트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108)으로부터 배출 팬(91)을 향해서 냉각풍이 유통하도록 엔진대(57) 위에 엔진(5)이 관통 구멍(108)으로부터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 팬(91)의 회전에 의해 엔진(5)의 바닥면측으로부터 좌측면측을 향해서 관통 구멍(108) 경유로 냉각풍을 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엔진(5) 좌측면 주위의 배풍에 비교적 저온의 냉각풍을 혼합시켜서 배풍 자체의 온도를 낮게 할 수 있고, 엔진(5) 좌측면측의 열환경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3). 정리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행 기체(2)에 탑재된 엔진(5)과, 상기 엔진(5)의 동력을 변속해서 상기 주행 기체(2)의 주행부(3, 4)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6)와, 상기 주행 기체(2)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23)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엔진(5)의 일측면에 엔진 공냉용 흡인 팬(71)이 설치되어 있는 이앙기(1)로서, 상기 엔진(5) 중 상기 흡인 팬(71)과 반대측의 타측면에는 상기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출력축(70)을 사이에 두고, 한쪽에 상기 엔진(5)의 배기계에 연통하는 배기관(87(87b))을 연장시키고, 다른 쪽에는 제너레이터(94)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출력축(70)을 사이에 둔 양측에 상기 배기관(87(87b))과 상기 제너레이터(94)를 나누어 상기 배기관(87(87b))의 열에 의한 상기 제너레이터(94)로의 악영향을 억제하면서 상기 엔진(5)의 타측면측에 상기 배기관(87(87b))과 상기 제너레이터(94)를 콤팩트하게 정리해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축(70)에 고정된 출력 풀리(93)와, 상기 미션 케이스(6)의 미션 입력축(97)에 고정된 미션 입력 풀리(98)에 권취된 전달 벨트(99)와, 상기 전달 벨트(99)를 긴장시키는 장력 부여 부재(101)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출력 풀리(93)와 상기 미션 입력 풀리(98) 사이에 상기 장력 부여 부재(101) 및 상기 제너레이터(94)를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엔진(5)과 상기 미션 케이스(6) 사이의 스페이스를 유효 이용해서 상기 미션 케이스(6)의 풀리(93, 98) 및 벨트(99) 전동계의 배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기체(2)에 방진 부재(58)를 통해 부착된 엔진대(57)에 상기 엔진(5)이 탑재되어 있고, 상기 장력 부여 부재(101)가 상기 엔진대(57)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너레이터(94)가 상기 엔진(5)의 상기 타측면에 체결된 고정 브래킷(95)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장력 부여 부재(101) 및 상기 제너레이터(94)가 상기 엔진(5)과 같은 진동계에 포함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장력 부여 부재(101) 및 상기 제너레이터(94) 자체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어 상기 장력 부여 부재(101) 및 상기 제너레이터(94)의 변형이나 파손의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행 기체(2)에 탑재된 엔진(5)과, 상기 엔진(5)의 동력을 변속해서 상기 주행 기체(2)의 주행부(3, 4)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6)와, 상기 주행 기체(2)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23)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엔진(5)의 일측면에 엔진 공냉용 흡인 팬(71)이 설치되어 있는 이앙기(1)로서, 상기 주행 기체(2)를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기체 프레임(50) 사이에 상기 엔진(5)이 상기 양쪽 기체 프레임(50)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엔진(5) 중 상기 흡인 팬(71)과 반대측의 타측면에는 상기 기체 프레임(50)보다 상방에 상기 흡인 팬(71)으로부터의 냉각풍을 통과시키는 통풍 덕트(84)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통풍 덕트(84)에 의해 상기 엔진(5)의 상부 배풍로(85)가 형성되고, 상기 엔진(5)의 상기 타측면측에 있는 기체 프레임(50)의 하방이 상기 엔진(5)의 하부 배풍로(86)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통풍 덕트(84)의 존재에 의해 상기 엔진(5)의 열을 빼앗아서 따뜻해진 배풍이 엔진 룸 내에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풍이 엔진 룸 내로 돌아와서 머무르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 배풍로(85)로부터 스무드하게 배출할 수 있어 배풍의 배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5)의 배풍로를 상기 상부 배풍로(85)와 상기 하부 배풍로(86)의 둘로 나누어 상기 배풍을 효율 좋게 상기 엔진 룸 밖으로 배출할 수 있어 상기 엔진(5)의 냉각 효율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5)의 상면에 에어 클리너를 수용하는 클리너 케이스(76)가 상하로 적당히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클리너 케이스(76)와 상기 엔진(5) 사이의 상부 통풍로(77)가 상기 통풍 덕트(84)에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흡인 팬(71)의 회전으로 상기 엔진(5) 상면 주변에 냉각풍을 도입하여 상기 엔진(5) 상면 주변을 냉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5) 상면 주변의 열을 빼앗아서 따뜻해진 배풍을 상기 통풍 덕트(84) 경유로 스무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진(5)의 냉각 효율 향상의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엔진(5)의 상기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출력축(70)은 상기 엔진(5)의 상기 타측면측에 있는 기체 프레임(50)과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겹치는 위치에 있고, 상기 엔진(5)의 배기계에 연통하는 배기관(87)은 상기 통풍 덕트(84)와 상기 출력축(70) 사이를 횡단하고나서 상기 출력축(70)을 사이에 두고 한쪽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L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엔진(5)의 상기 타측면에는 상기 배기관(87)을 둘러싸는 차폐 커버(8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차폐 커버(88)의 존재에 의해 상기 배기관(87)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엔진 룸 내에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행 기체(2)에 탑재된 엔진(5)과, 상기 엔진(5)의 동력을 변속해서 상기 주행 기체(2)의 주행부(3, 4)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6)와, 상기 주행 기체(2)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23)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엔진(5)의 일측면에 엔진 공냉용 흡인 팬(71)이 설치되어 있는 이앙기(1)로서, 상기 엔진(5) 중 상기 흡인 팬(71)과 반대측의 타측면에는 상기 흡인 팬(71)과는 별개로 배출 팬(9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엔진(51) 일측면측의 상기 흡인 팬(71)에 의해 상기 엔진(5)에 냉각풍을 블로잉하여 상기 엔진(5)을 강제 냉각할 뿐만 아니라 상기 엔진(5) 타측면측의 상기 배출 팬(91)의 회전으로 상기 엔진(5)의 열을 빼앗아서 따뜻해진 배풍을 엔진 룸 밖으로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인 팬(71)의 냉각풍 도입 효과와 상기 배출 팬(91)의 배풍 배출 효과가 어울려서 상기 엔진(5)의 냉각 효율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5)의 출력축(70)에는 상기 배출 팬(91)과 함께 회전력 전달용 출력 풀리(92, 9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 팬(91)과 상기 출력 풀리(92, 93)는 상기 출력축(7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 팬(91)의 회전을 이용해서 상기 출력 풀리(92, 93)에 바람을 블로잉하여 상기 출력 풀리(92, 93)를 냉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배출 팬(91) 및 상기 출력 풀리(92, 93)를 콤팩트하게 배치하면서 상기 출력 풀리(92, 93)의 열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이들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배출 팬(91) 및 상기 출력 풀리(92, 93)의 배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엔진(5), 나아가서는 엔진 룸의 좌우 폭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팬(91)의 외경은 상기 출력 풀리(92, 93)보다 대경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 팬(91)의 회전으로 배풍을 배출할 때에 상기 출력 풀리(92, 93)의 존재가 방해될 우려가 적어 상기 배출 팬(91)의 회전에 의한 배풍의 배출 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풀리(92, 93)를 복수개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 풀리(92, 93)는 상기 엔진(5)에 근접할수록 소경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 팬(91)의 회전으로 상기 엔진(5) 타측면측의 열을 빼앗을 때에 상기 엔진(5)에 가까운 쪽의 출력 풀리(92)가 존재하는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행 기체(2)에 탑재된 엔진(5)과, 상기 엔진(5)의 동력을 변속해서 상기 주행 기체(2)의 주행부(3, 4)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6)와, 상기 주행 기체(2)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23)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엔진(5)의 일측면에 엔진 공냉용 흡인 팬(71)이 설치되어 있는 이앙기(1)로서, 상기 주행 기체(2)에 방진 부재(58)를 통해 부착된 엔진대(57)에 상기 엔진(5)이 탑재되어 있고, 상기 엔진대(57)에는 상기 엔진(5)의 바닥면에 면하는 관통 구멍(108)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흡인 팬(71)의 회전으로 도입된 냉각풍을 상기 엔진(5)의 바닥면에 블로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진(5) 내부의 엔진 오일을 적극적으로 냉각하여 엔진 오일 온도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상기 엔진(5)의 히트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5) 중 상기 흡인 팬(71)과 반대측의 타측면에는 상기 흡인 팬과는 별개로 배출 팬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배출 팬을 향해서 냉각풍이 유통하도록 상기 엔진대 위에 상기 엔진이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 팬(9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엔진(5)의 바닥면측으로부터 타측면측을 향해서 상기 관통 구멍(108) 경유로 냉각풍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엔진(5) 타측면 주위의 배풍에 비교적 저온의 냉각풍을 혼합시켜서 배풍 자체의 온도를 낮게 할 수 있고, 상기 엔진(5) 타측면측의 열환경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기체(2)를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기체 프레임(50) 사이에 상기 엔진(5) 및 상기 엔진대(57)가 상기 양쪽 기체 프레임(50)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엔진(5)의 바닥면측으로부터 냉각풍을 스무드하게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행 기체(2)에 탑재된 엔진(5)과, 상기 엔진(5)의 동력을 변속해서 상기 주행 기체(2)의 주행부(3, 4)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6)와, 상기 주행 기체(2)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23)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엔진(5)의 일측면에 엔진 공냉용 흡인 팬(71)이 설치되어 있는 이앙기(1)로서, 상기 주행 기체(2)를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기체 프레임(50) 사이에 상기 엔진(5)이 상기 양쪽 기체 프레임(50)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엔진(5)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프론트 보닛(11)보다 하측에서 상기 흡인 팬(71)에 대치시켜서 오일 쿨러(79)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오일 쿨러(79)는 상기 흡인 팬(71)의 회전으로 주로 상기 기체 프레임(50)의 하방으로부터 도입된 냉각풍에 의해 상기 엔진(5)보다 먼저 냉각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일 쿨러(79) 전용 냉각 팬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오일 쿨러(79)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오일 쿨러(79)의 소형화에도 공헌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보닛(11)의 하부측에 형성된 유통구(75)에 상기 오일 쿨러(79)의 상방에 배치된 전장 부품(83)을 면하게 하여 상기 엔진(5)을 둘러싸도록 상기 프론트 보닛(11) 내에 설치된 보닛 프레임(80)에 상기 오일 쿨러(79) 및 상기 전장 부품(83)을 지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흡인 팬(7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유통구(75)를 빠져나간 냉각풍이 상기 전장 부품(83)에 블로잉되어 상기 전장 부품(83)이 냉각되게 된다. 상기 유통구(75)로부터의 냉각풍에 의해 상기 엔진(5)의 주위에 배치된 상기 전장 부품(83)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엔진(5)의 열에 의한 상기 전장 부품(83)에의 악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보닛 프레임(80)을 이용해서 상기 오일 쿨러(79)와 상기 전장 부품(83)의 지지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행 기체(2)에 탑재된 엔진(5)과, 상기 엔진(5)의 동력을 변속해서 상기 주행 기체(2)의 주행부(3, 4)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6)와, 상기 주행 기체(2)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23)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엔진(5)의 일측면에 엔진 공냉용 흡인 팬(71)이 설치된 이앙기(1)로서, 상기 엔진(5)은 출력축(70)을 좌우 방향을 향해서 상기 주행 기체(2)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엔진(5) 중 상기 흡인 팬(71)과 반대측의 타측면에 상기 흡인 팬(71)과는 별개로 배출 팬(9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 팬(91)을 둘러싸는 차폐 커버(88)가 상기 엔진(5)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흡인 팬(71)의 냉각풍 도입 효과와, 상기 배출 팬(91)의 배풍 배출 효과가 어울려서 상기 엔진(5)의 냉각 효율을 각별히 향상할 수 있는 것에 추가해서 상기 차폐 커버(88)의 존재에 의해 상기 엔진(5) 좌측면 주변의 열이 엔진 룸 내에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5)의 출력축(70)에는 상기 배출 팬(91)과 함께 회전력 전달용 출력 풀리(92, 9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엔진(5)의 타측면 중 상기 차폐 커버(88)의 내측에 상기 배출 팬(91), 제너레이터(94) 및 풀리(92, 93) 및 벨트(96, 99) 전동계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풀리(92, 93) 및 벨트(96, 99) 전동계나 상기 제너레이터(94)를 콤팩트하게 배치하면서 상기 배출 팬(9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엔진(5) 좌측면 주변의 열을 스무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팬(9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풀리(92, 93) 및 벨트(96, 99) 전동계나 상기 제너레이터(94)에 배풍을 블로잉하여 차게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풀리(92, 93) 및 벨트(96, 99) 전동계나 상기 제너레이터(94)의 열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이들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4). 기타
본원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할 수 있다. 각 부의 구성은 도시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원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 이앙기 2 : 주행 기체
5 : 엔진 6 : 미션 케이스
23 : 모종 식부 장치 50 : 기체 프레임
57 : 엔진대 58 : 방진 고무
70 : 출력축 71 : 흡인 팬
75 : 유통구 76 : 클리너 케이스
77 : 상부 통풍로 79 : 제 2 오일 쿨러
80 : 보닛 프레임 83 : 전장 부품
84 : 통풍 덕트 85 : 상부 배풍로
86 : 하부 배풍로 87 : 배기관
88 : 차폐 커버 91 : 배출 팬
94 : 제너레이터 95 : 고정 브래킷
96, 99 : 전달 벨트 98 : 미션 입력 풀리
101 : 장력 부여 부재 108 : 관통 구멍

Claims (6)

  1. 주행 기체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의 동력을 변속해서 상기 주행 기체의 주행부에 전달하는 미션 케이스와, 상기 주행 기체에 장착된 모종 식부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엔진의 일측면에 엔진 공냉용 흡인 팬이 설치되어 있는 이앙기로서,
    상기 엔진 중 상기 흡인 팬과 반대측의 타측면에는 상기 흡인 팬과는 별개로 배출 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는 상기 배출 팬과 함께 회전력 전달용 출력 풀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 팬과 상기 출력 풀리는 상기 출력축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팬의 외경은 상기 출력 풀리보다 대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풀리를 복수개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 풀리는 상기 엔진에 근접할수록 소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팬을 둘러싸는 차폐 커버가 상기 엔진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출력축에는 상기 배출 팬과 함께 회전력 전달용 출력 풀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엔진의 타측면 중 상기 차폐 커버의 내측에 상기 배출 팬, 제너레이터 및 풀리 및 벨트 전동계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KR1020147025553A 2012-03-27 2013-03-19 이앙기 KR201401387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70646 2012-03-27
JPJP-P-2012-070643 2012-03-27
JP2012070643A JP5829963B2 (ja) 2012-03-27 2012-03-27 田植機
JP2012070646A JP5844192B2 (ja) 2012-03-27 2012-03-27 田植機
PCT/JP2013/057838 WO2013146476A1 (ja) 2012-03-27 2013-03-19 田植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718A true KR20140138718A (ko) 2014-12-04

Family

ID=4925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553A KR20140138718A (ko) 2012-03-27 2013-03-19 이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40138718A (ko)
CN (1) CN104219945A (ko)
IN (1) IN2014DN07527A (ko)
WO (1) WO20131464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368A (ko) * 2020-12-31 2022-07-07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2323B (zh) * 2015-07-15 2016-09-28 金华市天明灯具厂 一种低震动的插秧装置
US10005358B2 (en) * 2016-08-26 2018-06-26 Deere & Company Zero turning radius mow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7896B1 (ko) * 1996-05-13 1999-02-01 미츠이 고헤이 승용형 이식기
JP3602003B2 (ja) * 1999-05-18 2004-12-15 株式会社クボタ 水田作業機の原動部
JP4474816B2 (ja) * 2001-09-14 2010-06-09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3862674B2 (ja) * 2003-06-13 2006-12-27 株式会社クボタ 乗用型移植機
KR100974278B1 (ko) * 2008-03-18 2010-08-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장비의 엔진실
CN201512745U (zh) * 2009-09-22 2010-06-23 西安宏大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路面铣刨机冷却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368A (ko) * 2020-12-31 2022-07-07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이식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19945A (zh) 2014-12-17
IN2014DN07527A (ko) 2015-04-24
WO2013146476A1 (ja) 201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2080B2 (ja) 排風ダクトを備える車両搭載内燃機関
US20130087403A1 (en) Utility Vehicle
JP2001199251A (ja) 作業車の原動部冷却構造
CN105309093A (zh) 作业机
KR20140138718A (ko) 이앙기
KR20140138717A (ko) 이앙기
KR20140138719A (ko) 이앙기
JP2004001746A (ja) 乗用型移植機の原動部構造
JP5600020B2 (ja) 作業車両
JP5829963B2 (ja) 田植機
JP5964100B2 (ja) 田植機
JP5844191B2 (ja) 田植機
JP4056405B2 (ja) 草刈機の冷却構造
JP2010065552A (ja) 内燃機関の補機配設構造
KR20140138692A (ko) 이앙기
JP5844192B2 (ja) 田植機
JP2007092545A (ja) 車両の冷却風導入構造
JP5261537B2 (ja) 排風ダクトを備える内燃機関が搭載された車両
EP1394382B1 (en) Motorcycle engine
JP5513363B2 (ja) 作業機
JPH09300986A (ja) 乗用型移植機の原動部構造
JP2020097311A (ja) 電動鞍乗型車両
JP6150169B2 (ja)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JP4074402B2 (ja) バーチカルエンジン搭載作業車の冷却機構
JP4462573B2 (ja) バーチカルエンジン搭載作業車の冷却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