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5912A - 노즐 인출 장치,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 노즐 교환 시스템, 부품 실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노즐 인출 장치,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 노즐 교환 시스템, 부품 실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5912A
KR20140135912A KR1020137031694A KR20137031694A KR20140135912A KR 20140135912 A KR20140135912 A KR 20140135912A KR 1020137031694 A KR1020137031694 A KR 1020137031694A KR 20137031694 A KR20137031694 A KR 20137031694A KR 20140135912 A KR20140135912 A KR 20140135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tocker
mounting
engaging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7662B1 (ko
Inventor
유키나리 아와노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5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09Suc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1Incorporating a pick-up tool having multiple pick-up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노즐(N)을 수납하는 노즐 스토커(8)로부터 노즐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한다.
노즐(N)에 부착/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91)가 구비된 노즐 인출 장치(9)를 이용하여 노즐(N)의 인출이 실행된다. 즉, 이 맞물림 부재(91)는 노즐 스토커(8)의 노즐 수납부(81)에 수납된 노즐(N)에 맞물린 후에 노즐 스토커(8)로부터 이간되면 노즐 수납부(81)로부터 노즐(N)을 인출해서 유지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노즐(N)의 인출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는 맞물림 부재(91)를 노즐(N)에 맞물리게 하는데 이어서 노즐 스토커(8)로부터 이간시키는 것만으로 노즐(N)을 인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노즐(N)을 수납하는 노즐 스토커(8)로부터 노즐(N)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노즐 인출 장치,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 노즐 교환 시스템, 부품 실장 시스템{NOZZLE DETACHING APPARATUS, NOZZLE DETACHING APPARATUS REST, NOZZLE CHANGING SYSTEM, COMPONENT MOUNTING SYSTEM}
본 발명은 실장 헤드에 착탈되는 노즐을 수납하는 노즐 스토커로부터 노즐을 인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장 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노즐로 부품을 흡착하면서 실장 헤드를 이동시킴으로써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부품 실장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실장 헤드로부터 분리된 노즐을 수납하는 노즐 스토커를 탑재한 부품 실장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히, 이 부품 실장 장치에서는 노즐 스토커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0-109193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은 노즐은 부품 실장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오염물이 부착되거나 열화되거나 하기 때문에 세정 등의 메인터넌스를 노즐에 적당하게 행할 것이 요구된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1과 같이 노즐 스토커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은 노즐 스토커를 부품 실장 장치로부터 분리해서 노즐 스토커에 수납된 노즐에 메인터넌스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다. 그러나, 노즐 스토커에 노즐을 수납한 상태에서는 노즐의 주위에 있는 노즐 스토커의 다른 부재가 장해가 되거나 하는 이유로부터 노즐에의 메인터넌스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노즐 스토커로부터 노즐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노즐을 수납하는 노즐 스토커로부터 노즐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노즐 인출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즐에 부착/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와, 맞물림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맞물림 부재는 노즐에 맞물림으로써 노즐을 인출해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노즐 교환 시스템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즐 수납부에 노즐을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노즐 스토커를 갖는 노즐 교환기와, 노즐에 부착/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를 갖는 노즐 인출 장치를 구비하고, 맞물림 부재는 노즐 스토커의 노즐 수납부에 수납된 노즐에 맞물린 후에 노즐 스토커로부터 이간되면 노즐을 노즐 수납부로부터 인출해서 유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품 실장 시스템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즐 장착부에 노즐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실장 헤드와, 노즐 수납부에 노즐을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노즐 스토커를 갖고, 노즐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던 노즐을 노즐 장착부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 또는 노즐 장착부에 장착되어 있던 노즐을 노즐 수납부에 수납하는 수납 동작을 실행하는 노즐 교환기와, 노즐에 부착/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를 갖는 노즐 인출 장치를 구비하고, 맞물림 부재는 노즐 스토커의 노즐 수납부에 수납된 노즐에 맞물린 후에 노즐 스토커로부터 이간되면 노즐을 노즐 수납부로부터 인출해서 유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노즐 인출 장치, 노즐 교환 시스템, 부품 실장 시스템)에서는 노즐에 부착/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이 맞물림 부재는 노즐에 맞물림으로써 노즐을 인출해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노즐의 인출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는 맞물림 부재를 노즐에 맞물리게 하는데 이어서 노즐 스토커로부터 이간시키는 것만으로 노즐을 인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노즐을 수납하는 노즐 스토커로부터 노즐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 수납부가 배열된 노즐 스토커로부터 노즐을 인출할 때에 특히 적합하게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부재에서는 노즐 스토커에 배열된 복수의 노즐 수납부의 배열에 대응해서 복수의 맞물림 부재가 배열되어 있고, 복수의 맞물림 부재는 복수의 노즐 수납부의 각각에 수납된 노즐에 일괄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노즐 인출 장치를 구성하면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노즐 스토커로부터 복수의 노즐을 일괄적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노즐 수납부 및 맞물림 부재의 배열 형태로서는 다양한 형태가 고려된다. 예시하면, 복수의 맞물림 부재는 노즐 스토커에 있어서 원주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노즐 수납부의 배열에 대응해서 원주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도록 노즐 인출 장치를 구성해도 좋다. 또는, 복수의 맞물림 부재는 노즐 스토커에 있어서 직선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노즐 수납부의 배열에 대응해서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도록 노즐 인출 장치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지지 부재는 맞물림 부재에 유지된 노즐의 구멍에 연통하는 송풍구를 갖도록 노즐 인출 장치를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송풍구로부터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노즐의 구멍에 대하여 공기를 플러싱하는 플러싱 세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맞물림 부재는 노즐이 대상물을 유지하는 선단의 반대측으로부터 노즐에 맞물려서 노즐의 선단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노즐을 유지하도록 노즐 인출 장치를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인출한 노즐의 선단을 육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노즐 선단의 오염의 상황에 따른 적절한 세정 방법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작업자에 있어서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노즐 스토커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에 삽탈(揷脫) 가능하게 끼이는 가이드핀을 더 구비하고, 가이드핀이 가이드 구멍에 끼이면 맞물림 부재가 노즐 수납부에 수납된 노즐에 대하여 위치 맞춤되도록 노즐 인출 장치를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노즐 스토커의 가이드 구멍에 가이드핀을 끼움으로써 노즐 수납부에 수납된 노즐에 대하여 맞물림 부재를 위치 맞춤할 수 있어 맞물림 부재를 노즐에 맞물리게 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노즐 스토커에 있어서 노즐 수납부로부터의 노즐의 인출이 적당하게 규제되는 경우, 인출의 규제를 해제하고나서가 아니면 노즐 수납부로부터의 노즐의 인출을 행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규제의 해제를 행함으로써 노즐의 인출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다. 또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 작업자에게 있어서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을 도모할 수도 있다.
즉, 노즐 스토커에서 노즐 수납부로부터의 노즐의 인출 규제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를 더 구비하고, 조작 부재는 노즐 수납부의 노즐에 맞물린 맞물림 부재가 노즐 스토커로부터 이간되어서 노즐 수납부로부터의 노즐의 인출이 완료될 때까지 제어 부재를 조작하여 노즐 수납부로부터의 노즐의 인출 규제를 해제하도록 노즐 인출 장치를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노즐 수납부의 노즐에 맞물린 맞물림 부재가 노즐 스토커로부터 이간되어서 노즐 수납부로부터의 노즐의 인출이 완료될 때까지는 노즐 인출 장치에 설치된 조작 부재의 기능에 의해 노즐의 인출 규제가 해제된다. 그 결과, 작업자는 규제의 해제를 스스로 행하지 않고 노즐의 인출을 실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 있어서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는 상기 노즐 인출 장치를 적재 가능한 적재 부재와, 적재 부재를 지지하는 기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는 노즐 스토커로부터 인출된 노즐을 유지하는 노즐 인출 장치를 적재 부재에 적재한 상태에서 노즐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데 이바지한다.
또한, 적재 부재에 적재된 상태의 노즐 인출 장치에 유지된 노즐에 접촉하여 노즐 인출 장치로부터의 노즐의 탈락을 규제하는 접촉 부재를 더 구비하도록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를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은 메인터넌스의 실행에 따라서 노즐에 힘이 가해졌다고 하여도 노즐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데 이바지한다.
또한, 기대에 고정되어서 운반할 시에 파지되는 파지부를 더 구비하여 파지부에 의해 적재 부재에 적재된 노즐 인출 장치를 수반해서 적재 부재 및 기대를 운반할 수 있도록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를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은 노즐 스토커로부터 인출한 노즐을 유지하는 노즐 인출 장치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데 이바지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맞물림 부재를 노즐에 맞물리게 한 후에 맞물림 부재를 노즐 스토커로부터 이간시키는 것만으로 노즐을 인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노즐을 수납하는 노즐 스토커로부터 노즐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은 부품 실장 장치의 부분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품 실장 장치가 구비하는 헤드 유닛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품 실장 장치가 구비하는 헤드 유닛의 일례를 나타내는 X방향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노즐 교환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노즐 교환기가 구비하는 노즐 스토커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노즐 교환기가 구비하는 노즐 스토커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헤드 유닛에서의 노즐 장착부의 배열과 노즐 스토커에서의 노즐 수납부의 배열의 대응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삽탈 규제 상태 및 삽탈 허가 상태의 스위칭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노즐 교환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O은 도 4의 노즐 교환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1개의 노즐 스토커(8)가 선택적으로 상승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1개의 노즐 스토커가 선택적으로 상승한 상태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노즐 인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노즐 인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나타내는 노즐 인출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노즐 수납부로부터 노즐을 인출한 노즐 인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노즐 인출 장치를 이용하여 노즐 교환기로부터 노즐을 인출할 때의 작업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노즐 인출 장치를 이용하여 노즐 교환기에 노즐을 수납할 때의 작업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부품 실장 시스템 및 노즐 교환 시스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노즐 인출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부품 실장 장치
도 1은 부품 실장 장치의 부분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동 도면 및 이하에 나타내는 도면에서는 기판 반송 방향(X), 폭 방향(Y) 및 연직 방향(Z)으로 이루어지는 XYZ 직교 좌표계를 적당하게 나타낸다. 또한, X축의 화살표측을 한쪽측이라고 칭하고, X축의 화살표의 반대측을 다른쪽측이라고 적당하게 칭한다. 부품 실장 장치(1)는 반송 레인(2)이 반입한 기판에 대하여 부품 공급부(3)가 공급하는 부품을 헤드 유닛(4)에 의해 이송하는 개략 구성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 반송 방향(X)에 병행해서 연장된 2개의 반송 레인(2)과, 이들 반송 레인(2)의 폭 방향(Y)의 양측 각각에 2개씩 설치된 부품 공급부(3)와, 4개의 헤드 유닛(4)을 부품 실장 장치(1)는 구비한다.
2개의 반송 레인(2) 각각은 공통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기판을 기판 반송 방향(X)의 상류측으로부터 반입해서 소정의 정지 위치(20)(도 1의 1점 쇄선)에서 정지시키는 기판 반입 동작과, 정지 위치(20)에서 부품 실장을 받은 기판을 기판 반송 방향(X)의 하류측으로 반출하는 기판 반출 동작을 실행한다. 이때, 각 반송 레인(2)은 예를 들면 기판 반송 방향(X)에 있어서 상이한 2개의 정지 위치(20) 각각에 기판을 정지시킬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한다. 2개의 반송 레인(2)의 각각은 기판 반송 방향(X)에 병행해서 연장된 2개의 반송 컨베이어(21)로 구성되고, 부품 실장 장치(1)에서는 4개의 반송 컨베이어(21)가 폭 방향(Y)으로 배열된다. 4개의 반송 컨베이어(21) 중 외측의 2개는 폭 방향(Y)으로 고정된 고정 컨베이어이고, 내측의 2개는 폭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 컨베이어이다. 따라서, 가동 컨베이어(21)의 폭 방향(Y)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반송 레인(2)의 폭을 기판의 폭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2개의 반송 레인(2)에 있어서의 기판 반송의 형태는 도 1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는 2개의 반송 레인(2) 각각에 2개씩 정지 위치(20)를 설정하여 합계 4개의 정지 위치(20)를 설정하면서 기판 반송을 행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2개의 반송 레인(2) 각각에 1개씩 정지 위치(20)를 설정하여 합계 2개의 정지 위치(20)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의 폭이 넓기 때문에 2개의 반송 레인(2)에서 동시에 기판 반송을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2개의 반송 레인 중 한쪽에서만 기판 반송을 실행하고, 다른쪽에서는 기판 반송을 실행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이들 반송 레인(2)의 폭 방향(Y)의 양측 각각에서는 2개의 부품 공급부(3)가 기판 반송 방향(X)으로 배열되어 있고, 부품 실장 장치(1)에서는 합계 4개의 부품 공급부(3)가 설치되어 있다. 각 부품 공급부(3)는 복수의 테이프 피더(31)를 기판 반송 방향(X)으로 배열한 구성을 구비한다. 각 테이프 피더(31)는 집적회로(IC), 트랜지스터, 콘덴서 등의 작은 조각 형상의 전자 부품을 수납하는 테이프를 릴에 감은 개략 구성을 구비하고, 릴로부터 전자 부품을 간헐적으로 송출함으로써 전자 부품을 공급한다. 또한, 부품 공급부(3)를 구성하는 피더의 종류로서는 테이프형 피더에 한정되지 않고, 트레이에 적재된 상태에서 전자 부품을 공급하는 트레이형 피더이어도 된다.
4개의 헤드 유닛(4)의 각각은 X방향으로 배열된 3개의 실장 헤드(5)를 갖고, 각 실장 헤드(5)의 선단의 노즐로 부품을 흡착함으로써 부품 공급부(3)가 공급하는 부품을 정지 위치(20)에 정지하는 기판에 이송한다. 또한, 부품 실장 장치(1)에서는 헤드 유닛(4)을 이동시키기 위한 헤드 구동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4개의 헤드 구동 기구(6)가 상술한 4개의 부품 공급부(3)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고, 각 헤드 구동 기구(6)는 대응하는 부품 공급부(3)에 Y방향의 내측[반송 레인(2)측]으로부터 인접한다. 그리고, 4개의 헤드 구동 기구(6)가 각각 1개의 헤드 유닛(4)의 구동을 담당한다.
각 헤드 구동 기구(6)는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헤드 유닛(4)을 지지하면서 X방향으로 연장되는 X축 빔(61)을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구성을 구비한다. X축 빔(61)에는 헤드 유닛(4)에 장착되어서 X방향으로 연장되는 X축 볼 나사(62)와, X축 볼 나사(62)를 회전 구동하는 X축 서보 모터(63)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X축 서보 모터(63)가 X축 볼 나사(62)를 회전 구동하면 헤드 유닛(5)이 X축 빔(61)을 따라 X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각 헤드 구동 기구(6)는 X축 빔(61)에 장착되어서 Y방향으로 연장되는 Y축 볼 나사(64)와, Y축 볼 나사(64)를 회전 구동하는 Y축 서보모터(65)를 갖는다. 그리고, Y축 서보모터(63)가 Y축 볼 나사(64)를 회전 구동시키면 X축 빔이 헤드 유닛(5)을 따라서 Y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 헤드 구동 기구(6)는 X축 서보모터(63)와 Y축 서보모터(65)를 적당하게 회전시킴으로써 대응하는 부품 공급부(3)와 정지 위치(20)의 기판 사이에서 담당하는 헤드 유닛(4)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헤드 유닛(4)은 부품 공급부(3)가 공급하는 부품을 실장 헤드(5)에서 흡착하여 정지 위치(20)에 정지하는 기판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부품 공급부(3) 각각에 대하여는 카메라(68)와 노즐 교환기(7)가 Y방향의 내측[반송 레인(2)측]으로부터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카메라(68) 및 노즐 교환기(7)가 부품 공급부(3)와 반송 레인(2) 사이[환언하면, 헤드 유닛(4)의 이동 경로]에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68)는 연직 방향(Z)에 평행하게 상방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고, 상측을 통과하는 헤드 유닛(4)에 유지된 부품이나, 헤드 유닛(4)에 장착된 후술의 위치 인식용 마크 부재(41)(도 3)를 촬상한다. 또한, 노즐 교환기(7)는 헤드 유닛(4)의 각 실장 헤드(5)에 장착된 노즐을 교환하는 것이고, 그 상세는 후술한다.
도 2는 도 1의 부품 실장 장치가 구비하는 헤드 유닛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품 실장 장치가 구비하는 헤드 유닛의 일례를 나타내는 X방향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어서는,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각 헤드 유닛(4)의 구성에 대해서 상술한다. 또한, 4개의 헤드 유닛(4)은 서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1개의 헤드 유닛(4)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헤드 유닛(4)은 X방향으로 소정의 배열 피치 Lh로 직선 형상으로 배열된 3개의 실장 헤드(5)를 구비한다. 3개의 실장 헤드(5) 각각은 Z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50)의 하단부에 노즐(N)을 장착한 개략 구성을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실장 헤드(5)는 Z방향으로 평행한 중심축(C51)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배열 피치로 배치된 8개의 샤프트(50)를 갖고, 각 샤프트(50)의 하단부에 설치된 노즐 장착부(51)에 노즐(N)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다.
노즐 장착부(51)에서는 그 하단부가 샤프트(50)를 향해서 굴곡된 판 스프링(52)이 샤프트(50)의 하단부의 외주에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노즐(N)의 선단을 하측을 향하면서 노즐(N)의 상부를 샤프트(50)에 외측으로부터 끼운 상태에서 노즐 장착부(51)에 대하여 노즐(N)을 상방으로 밀어넣으면 노즐(N)의 외주에 형성된 맞물림 돌기(Ne)가 판 스프링(511)의 하단부를 외측으로 밀면서 샤프트(50)와 판 스프링(52) 사이의 간극으로 들어간다. 그 결과, 노즐(N)의 외주 돌기(Ne)가 판 스프링(52)의 하단부에서 맞물리고, 노즐(N)은 그 선단을 하측을 향하면서 노즐 장착부(51)에 장착된다. 이렇게 해서 노즐 장착부(51)에 장착된 노즐(N)은 판 스프링(511)의 탄성력에 의해 노즐 장착부(51)에 유지된다. 한편, 노즐 장착부(51)에 장착된 노즐(N)을 판 스프링(51)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하방으로 당김으로써 노즐 장착부(51)로부터 노즐(N)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노즐(N)에는 맞물림 돌기(Ne)와 노즐(N)의 하단(선단) 사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는 브림(brim)(Nf)이 형성되어 있다. 이 브림(Nf)의 기능에 대해서는 노즐 교환기(7)와 함께 후술한다.
각 샤프트(50)의 중심에는 노즐 장착부(51)로부터 Z방향으로 연장되는 통기로(53)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노즐(N)의 중심에는 Z방향으로 관통되는 노즐 구멍(Nv)이 형성되어 있고, 노즐 장착부(51)에 장착된 노즐(N)의 노즐 구멍(Nv)은 통기로(53)에 연통된다. 따라서, 통기로(53)를 통해서 노즐 구멍(Nv)의 기압을 조정하면서 실장 헤드(51)에 부품 실장을 실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품 공급부(3)가 공급하는 부품을 유지할 때에는 노즐(N)의 선단을 부품에 접촉시키면서 노즐 구멍(Nv)에 부압을 가하여 노즐(N)의 선단에서 부품을 흡착할 수 있다. 또한, 기판에 부품을 적재할 때에는 노즐 구멍(Nv)에 정압을 가하여 노즐(N)로부터 기판으로 부품을 순식간에 옮길 수 있다. 또한, 실장 헤드(51)는 8개의 샤프트(50)를 개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부품 공급부(3)로부터의 부품의 유지나, 기판에의 부품의 적재는 실행 주체가 되는 노즐(N)을 장착한 샤프트(5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켜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장 헤드(51)는 중심축(C51)을 중심으로 해서 8개의 샤프트(50)를 일체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로터리식 실장 헤드이다. 따라서, 8개의 샤프트(50)를 적절히 회전시켜서 노즐(N)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3개의 헤드(5)의 X방향의 양 외측에는 Z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위치 인식용 마크 부재(41)가 배치되어 있다. 각 마크 부재(41)는 헤드 유닛(3)에 고정되어 있고, 카메라(68)에 의해 촬상되어서 헤드 유닛(3)의 위치 인식에 사용된다. 또한, 헤드 유닛(3)은 노즐(N)에 흡착된 부품을 촬상하는 카메라(43)와, 카메라(43)의 시야를 비추는 조명(45)을 갖는다. 카메라(43)[의 광학계(431)]는 실장 헤드(5)에 장착된 노즐(N)의 선단에 대하여 Y방향으로부터 대향하여 노즐(N)에 흡착된 부품을 Y방향으로부터 촬상한다. 이렇게, 카메라(43)는 실장 헤드(5)의 Y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장 헤드(5)에 있어서 원주 형상으로 배열된 8개의 노즐(N)의 중앙에는 막대 형상의 반사 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반사 부재(47)에 의해 조명(45)으로부터의 광이 반사되어서 카메라(43)의 시야를 보다 밝게 비출 수 있다.
노즐 교환기
이상이 부품 실장 장치(1)의 개요이다. 이어서는 노즐 교환기(7)에 대해서 상술한다. 도 4는 노즐 교환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서는 노즐 교환기(7)의 전체 노즐 수납부에 노즐(N)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노즐 교환기(7)는 노즐 스토커(7)에 수납되어 있던 노즐(N)을 실장 헤드(5)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이나, 실장 헤드(5)에 장착되어 있던 노즐(N)을 노즐 스토커(7)에 수납하는 수납 동작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노즐 교환기(7)의 상부에는 서로 공통되는 구성을 구비하는 4개의 노즐 스토커(8)가 Y방향으로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어 있고, 각 노즐 스토커(8)가 장착 동작이나 수납 동작을 실행 가능하다.
도 5는 도 4의 노즐 교환기가 구비하는 노즐 스토커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노즐 교환기가 구비하는 노즐 스토커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병용하면서 노즐 스토커(8)에 대하여 설명한다. 노즐 스토커(8)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스토커 본체(80)와, 스토커 본체(80)의 상면에 있어서 상방을 향해서 개구하는 노즐 수납부(81)를 갖고, 연직 방향(Z)으로부터 삽탈 가능하게 노즐(N)을 노즐 수납부(81)에 수납한다. 구체적으로는, 노즐(N)의 브림(Nf)보다 하측(선단측)이 노즐 수납부(81)에 삽입되면서 노즐(N)의 브림(Nf)으로부터 상측이 노즐 수납부(81)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도 4) 노즐 수납부(81)는 노즐(N)을 수납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커 본체(80)의 상면에서는 원주 형상으로 동일한 피치로 배열된 8개의 노즐 수납부(81)로 1개의 노즐 수납 유닛(81U)이 구성되고, 또한 3개의 노즐 수납 유닛(81U)이 X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노즐 수납부(81)의 배열은 헤드 유닛(4)에 있어서의 노즐 장착부(51)의 배열에 대응한 것이다.
도 7은 헤드 유닛에서의 노즐 장착부의 배열과 노즐 스토커에서의 노즐 수납부의 배열의 대응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의 상단의 난에서는 헤드 유닛(4)에서의 노즐 장착부(51)의 배열을 하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나타내어지고, 동 도면의 하단의 난에서는 노즐 스토커(8)에서의 노즐 수납부(81)의 배열을 상방으로부터 본 형상이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동 도면에서는 각 실장 헤드(5)의 회전 각도가 서로 동일하게 조정된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고, 노즐 장착부(51)는 노즐(N)이 장착되는 샤프트(50)의 원형 형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 유닛(4)에서는 3개의 실장 헤드(5)가 X방향으로 배열 피치 Lh로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실장 헤드(5)에서는 8개의 노즐 장착부(51)가 둘레 방향으로 배열 피치 LO로 원주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8개의 노즐 장착부(51)가 배열되는 원주 O51은 반경 Ro를 갖는다. 여기에서, 원주 O51은 8개의 노즐 장착부(51) 각각에 장착된 노즐(N)의 선단을 통과하는 가상원이다.
이에 대하여, 노즐 스토커(8)에서는 3개의 노즐 수납 유닛(81U)이 X방향으로 상기 배열 피치 Lh와 동일한 배열 피치로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노즐 수납 유닛(81U)에서는 8개의 노즐 수납부(81)가 둘레 방향으로 상기 배열 피치 Lo와 동일한 배열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8개의 노즐 수납부(81)가 배열되는 원주 O81은 상기 반경 Ro와 같은 반경을 갖는다. 여기에서, 원주 O81은 8개의 노즐 장착부(81) 각각에 수납된 노즐(N)의 선단을 통과하는 가상원이다. 덧붙여서 말하면, 이렇게 해서 노즐 수납부(81)를 배열했을 경우 X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노즐 수납 유닛(81U)에 속하면서, 각 노즐 수납 유닛(81U)에 있어서의 배치가 동일한 관계에 있는 노즐 수납부(81)는 X방향으로 배열 피치 Lh로 배열된다.
이와 같이, 헤드 유닛(4)에서의 노즐 장착부(51)의 배열과 노즐 스토커(8)에서의 노즐 수납부(81)의 배열이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 유닛(5)의 각 실장 헤드(5)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장착부(51)의 배열 각도와 노즐 수납부(81)의 배열 각도를 맞춰 두면, 헤드 유닛(4)을 노즐 스토커(8)에 Z방향으로부터 대향시킴으로써 각 노즐 장착부(51)와 각 노즐 수납부(81)를 1대1의 대응 관계로 서로 Z방향으로 대향시킬 수 있다. 이상이, 헤드 유닛(4)에서의 노즐 장착부의 배열과 노즐 스토커(8)에서의 노즐 수납부의 배열의 대응 관계의 설명이다. 도 4∼도 6으로 돌아가서 노즐 스토커(8)의 설명을 계속한다.
스토커 본체(80)의 상면에 있어서, 각 노즐 수납 유닛(81)의 주위에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오목한 베어링 구멍(801)이 형성되어 있고, 8개의 노즐 수납부(81)는 베어링 구멍(801)의 저부에서 개구한다. 그리고, 베어링 구멍(80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원환 형상의 셔터(82)가 각 베어링 구멍(801)에 삽입되어서 각 노즐 수납 유닛(81U)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노즐 수납 유닛(81)에 있어서는 복수의 노즐 수납부(81)의 원주 배열의 중심과, 베어링 구멍(801)의 원 형상의 중심과, 셔터(82)의 원환 형상의 중심은 서로 일치하고 있고, 셔터(82)는 베어링 구멍(801)의 내벽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노즐 수납 유닛(81U)의 주위를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토커 본체(80)의 상면에 있어서는 베어링 구멍(80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셔터(82)를 위로부터 누르는 압박 플레이트(803)가 각 베어링 구멍(801)의 주위에 나사 고정되어 있어 셔터(82)의 베어링 구멍(801)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3개의 노즐 수납 유닛(81U) 각각에 대하여 셔터(8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셔터(82)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대응하는 노즐 수납 유닛(81U)의 8개의 노즐 수납부(81)에 대한 노즐(N)의 삽탈을 규제한다. 즉, 셔터(82)는 원환 형상의 둘레가장자리부(821)와, 둘레가장자리부(821)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8개의 돌기부(822)로 구성된다. 둘레가장자리부(821)는 노즐 수납 유닛(81U)을 구성하는 8개의 노즐 수납부(81)에 외접하는 외접원의 지름보다 큰 내경을 갖고, 노즐 수납 유닛(81U)을 외측으로부터 둘러싼다. 8개의 돌출부(822)는 이러한 둘레가장자리부(821)의 내벽을 따라 원주 형상으로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즉, 노즐 수납 유닛(81U)을 구성하는 8개의 노즐 수납부(81)의 둘레에는 이것들과 동일한 수의 돌기부(822)가 형성되어 있고, 8개의 노즐 수납부(81)와 8개의 돌기부(822)가 대응되어 있다. 그리고, 셔터(82)를 회동시키면 각 돌기부(822)는 대응하는 노즐 수납부(81)에 대한 노즐(N)의 삽탈 경로에 돌출되는 삽탈 규제 위치(Pr)와, 상기 삽탈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삽탈 허가 위치(Pp) 사이에서 회동한다. 각 돌기부(822)는 삽탈 규제 위치(Pr)에 있어서 대응하는 노즐 수납부(81)에 대한 노즐(N)의 삽탈을 규제하는 한편, 삽탈 허가 위치(Pp)에 있어서 대응하는 노즐 수납부(81)에 대한 노즐(N)의 삽탈을 허가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각 돌기부(822)는 삽탈 규제 위치(Pr)에 위치하고 있다.
셔터(82)가 상기 구성을 구비하기 때문에 셔터(82)를 적당하게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셔터(82)에 대응하는 8개의 노즐 수납부(81)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노즐(N)의 삽탈을 규제 또는 허가할 수 있다. 즉, 각 돌기부(822)가 삽탈 규제 위치(Pr)에 위치하는 회동 상태(삽탈 규제 상태)를 셔터(82)가 취하면, 이 셔터(82)에 대응하는 8개의 노즐 수납부(81)에 대하여는 노즐(N)의 삽탈이 일괄적으로 규제된다. 한편, 각 돌기부(822)가 삽탈 허가 위치(Pp)에 위치하는 회동 상태(삽탈 허가 상태)를 셔터(82)가 취하면, 이 셔터(82)에 대응하는 8개의 노즐 수납부(81)에 대하여는 노즐(N)의 삽탈이 일괄적으로 허가된다.
이러한 셔터(82)의 회동은 스토커 본체(80)의 상면에 있어서 각 셔터(82)에 대하여 설치된 크랭크 플레이트(83)를 통해서 행하여진다. 즉, 셔터(82)는 둘레가장자리부(8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핀(823)을 갖는다. 이에 대하여, 크랭크 플레이트(83)는 셔터(82)가 삽입된 베어링 구멍(801)에 인접해서 설치되고, 셔터(82)의 핀(823)에 맞물리면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크랭크 플레이트(83)는 베어링 구멍(801)의 내측으로 돌출된 맞물림부(831)를 갖고, 맞물림부(831)를 Z방향으로 관통하는 긴 구멍(832)에 의해 핀(823)에 맞물린다. 따라서, 크랭크 플레이트(83)가 회동하면 셔터(82)가 크랭크 플레이트(83)에 연동해서 회동한다. 또한, 긴 구멍(832)의 길이를 핀(823)의 외경보다 길게 해서 긴 구멍(832)과 핀(823) 사이에 여유를 형성함으로써 셔터(82)가 크랭크 플레이트(83)에 원활하게 연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스토커 본체(80)의 상면에서는 3개의 노즐 수납 유닛(81U) 각각에 대하여 셔터(82)와 크랭크 플레이트(8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노즐 스토커(8)는 3개의 크랭크 플레이트(83)를 일괄적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삽탈 규제 상태 및 삽탈 허가 상태 중 어느 하나로 3개의 셔터(82)의 상태를 일괄적으로 스위칭하는 기구를 구비한다. 즉, 스토커 본체(80)의 Y방향의 측면에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80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805)은 X방향의 한쪽측(도 5의 좌측)의 끝에 위치하는 셔터(82)의 바로 아래로부터 신장되어 X방향의 다른쪽측(도 5의 우측)에 있어서의 스토커 본체(80)의 끝에서 개구한다. 그리고, X방향으로 가이드홈(805)보다 긴 슬라이더(84)가 가이드홈(805)에 삽입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84)는 X방향의 다른쪽측(도 5의 우측)에 있어서 가이드홈(805)의 끝에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면서, 가이드홈(805)을 따라서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84)는 X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의 크랭크 플레이트(83) 각각의 하방에 배치된 상방으로 돌출되는 핀(841)을 갖는다. 이렇게 해서 X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의 핀(841)의 각각은 상방에 위치하는 크랭크 플레이트(83)에 형성된 노치부(833)에 맞물린다. 따라서, 슬라이더(84)를 X방향으로 이동시키면 3개의 핀(841)을 통해서 슬라이더(84)에 맞물리는 3개의 크랭크 플레이트(83)가 일괄적으로 회동하고, 3개의 셔터(82)도 일괄적으로 회동한다. 이렇게 해서 슬라이더(84)를 X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더(84)에 연동하는 3개의 셔터(82)를 일괄적으로 회동시켜서 삽탈 규제 상태 및 삽탈 허가 상태 중 어느 하나로 3개의 셔터(82)의 상태를 일괄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도 8은 삽탈 규제 상태 및 삽탈 허가 상태의 스위칭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노즐 수납 유닛(81U)의 각 노즐 수납 유닛(81)에 노즐(N)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동 도면에서는 1개의 노즐 수납 유닛(81U)에 관한 구성이 대표적으로 나타내어져 있지만, 같은 노즐 스토커(8)에 속하는 3개의 노즐 수납 유닛(81U)에 관한 구성은 일괄적으로 같은 동작을 실행한다.
동 도면 상단의 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탈 규제 상태에서는 슬라이더(84)에 따라서 핀(841)은 X방향의 한쪽측(Xl)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크랭크 플레이트(83)는 시계방향측(Rf)으로 회동한 상태에 있고, 셔터(82)는 반시계방향(Rb)으로 회동한 상태에 있다. 그 결과, 각 돌기부(822)는 노즐 수납부(81)에 대한 노즐(N)의 삽탈 경로에 돌출되는 삽탈 규제 위치(Pr)에 위치하고, 노즐 수납부(81)에의 노즐(N)의 삽탈을 규제한다. 특히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수납부(81)에 노즐(N)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삽탈 규제 위치(Pr)에 위치하는 각 돌기부(822)는 노즐 수납부(81)에 수납되는 노즐(N)의 브림(Nf)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노즐 수납부(81)로부터의 노즐(N)의 인출을 규제한다.
동 도면 하단의 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탈 허가 상태에서는 슬라이더(84)에 따라서 핀(841)은 X방향의 다른쪽측(Xr)으로 이동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크랭크 플레이트(83)는 반시계방향측(Rb)으로 회동한 상태에 있고, 셔터(82)는 시계방향측(Rf)으로 회동한 상태에 있다. 그 결과, 각 돌기부(822)는 노즐 수납부(81)에 대한 노즐(N)의 삽탈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삽탈 허가 위치(Pp)에 위치하고, 노즐 수납부(81)에의 노즐(N)의 삽탈을 허가한다. 특히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수납부(81)에 노즐(N)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삽탈 허가 위치(Pp)에 위치하는 각 돌기부(822)는 노즐 수납부(81)에 수납되는 노즐(N)의 브림(Nf)의 바로 위로부터 벗어나서 노즐 수납부(81)로부터의 노즐(N)의 인출을 허가한다.
이와 같이, 노즐 스토커(8)에서는 슬라이더(84)를 X방향의 Xl측 또는 Xr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셔터(82)를 일괄적으로 반시계방향측(Rb) 또는 시계방향측(Rf)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84)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삽탈 허가 상태로부터 삽탈 금지 상태로의 스위칭 또는 삽탈 금지 상태로부터 삽탈 허가 상태로의 스위칭을 각 셔터(82)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4∼도 6으로 돌아가서 설명을 계속한다. 스토커 본체(80)에는 슬라이더(84)를 X방향의 한쪽측(도 5의 좌측)으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도시생략)가 내장되어 있고, 각 셔터(82)는 이 탄성 부재에 의해 삽탈 규제 상태가 되는 회동 방향(Rb)으로 바이어싱되고 있다. 한편, 슬라이더(84)는 스토커 본체(80)로부터 X방향의 다른쪽측(도 5의 우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셔터 조작부(843)를 갖고 있다. 따라서, 셔터 조작부(843)를 조작함으로써 탄성 부재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해서 슬라이더(84)를 X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단, 스토커 본체(80)는 슬라이더(84)의 X방향의 다른쪽측(도 5의 우측)에서 슬라이더(84)의 이동 경로에 설치된 스토퍼(85)를 구비한다. 따라서, 슬라이더(84)가 스토퍼에 닿으면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한 슬라이더(84)의 그 이상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슬라이더(84)의 X방향의 한쪽측(Xl)의 끝에는 Y방향으로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링(84a)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링(84a)을 X방향의 다른쪽측(Xr)으로 압박함으로써 슬라이더(84)를 X방향의 다른쪽측(Xr)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84)는 핀(841)이 설치된 두께부(845)에 있어서 Y방향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 두께부(845)는 가이드홈(805)으로부터 Y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슬라이더(84)의 이동에 따라 이동한다. 한편, 스토커 본체(80)의 측면에 대하여는 슬라이더(84)의 두께부(845)의 이동 범위를 피하면서 가이드홈(805)을 덮는 커버 부재(807)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807)에 의해 슬라이더(84)의 가이드홈(805)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그런데, 후술하는 노즐 인출 장치(9)(도 13)를 사용함으로써 노즐 스토커(8)의 노즐 수납부(81)로부터 노즐(N)을 일괄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그래서, 노즐 스토커(8)의 양 끝에는 노즐 인출 작업시에 노즐 스토커(8)와 노즐 인출 장치(9)의 상호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Z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구멍(86)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이, 도 4의 노즐 교환기(7)가 구비하는 노즐 스토커(8)의 구성의 상세이다. 이어서는, 도 4,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노즐 스토커(8)를 승강시키는 스토커 승강 기구(71)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9는 도 4의 노즐 교환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4의 노즐 교환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노즐 교환기(7)의 기대(70)의 상면에는 서로 공통되는 구성을 구비하는 4개의 스토커 승강 기구(71)가 Y방향으로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어 있고, 이들 스토커 승강 기구(71)의 상측에 4개의 노즐 스토커(8)가 Y방향으로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스토커 승강 기구(71)의 배열 피치와 노즐 스토커(8)의 배열 피치는 서로 동일하고, 4개의 스토커 승강 기구(71)와 4개의 노즐 스토커(8)가 대응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스토커 승강 기구(71)는 대응해서 설치된 바로 위의 노즐 스토커(8)를 승강시킨다.
스토커 승강 기구(71)의 골격을 이루는 지지 프레임(710)은 기대(70) 상에 세워서 설치되어서 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토커 승강 기구(71)는 지지 프레임(710)의 하부에 고정된 Z축 실린더(712)와, 지지 프레임(71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 평판(713)을 갖는다. Z축 실린더(712)는 실린더 로드(712a)를 공기에 의하여 Z방향으로 진퇴시키는 로드 실린더(공기 실린더)이고, 기대(70)의 하부에 수용된 공기 공급 장치(701)로부터 공기 호스(702)를 통해서 공기의 공급을 받아서 실린더 로드(712a)를 승강시킨다. 승강 평판(713)은 지지 프레임(710)의 상부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714)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Z축 실린더(712)의 실린더 로드(712a)의 상부가 조인트(715)에 의해 승강 평판(713)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Z축 실린더(712)에 의해 승강 평판(713)을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스토커 승강 기구(71)는 노즐 스토커(8)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저판(底板)(716)을 갖고, 승강 평판(713)의 상부가 지지 저판(716)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노즐 스토커(8)는 승강 평판(713)과 함께 승강한다.
이러한 스토커 승강 기구(71)는 Z축 실린더(712)의 실린더 로드(712a)를 Z방향으로 진퇴시킴으로써 대응하는 노즐 스토커(8)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즐 교환기(7)에서는 4개의 노즐 스토커(8) 각각에 대하여 스토커 승강 기구(71)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4개의 노즐 스토커(8)를 개별적으로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노즐 교환기(7)는 4개의 노즐 스토커(8) 중 상승한 노즐 스토커(8)의 셔터 조작부(843)를 조작하여 상승한 노즐 스토커(8)의 셔터(82)를 조작하는 셔터 조작 기구(73)를 갖는다. 셔터 조작 기구(73)는 4개의 노즐 스토커(8)의 X방향의 다른쪽측(도 10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접속 프레임(75)을 통해서 지지 프레임(710)에 장착되어 있다. 이 셔터 조작 기구(73)는 이어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노즐 스토커(8)의 셔터 조작부(843)에 상방으로부터 대향하는 클러치 부재(731)를 X축 실린더(732)로 X방향으로 구동하는 개략 구성을 구비한다.
접속 프레임(75)은 4개의 노즐 스토커(8) 및 지지 프레임(710)의 X방향의 다른쪽측(도 10의 우측)에서 YZ 평면에 평행하게 설치된 장착 평판(75a)과, 장착 평판(75a)의 Y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710)측을 향해서 X방향으로 굴곡되는 2매의 굴곡 평판(75b)을 갖고, 이들 굴곡 평판(75b)이 Y방향의 양 끝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710)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셔터 조작 기구(73)의 프레임 부재(730)가 장착 평판(75a)의 상단에 장착되어서 장착 평판(75a)으로부터 X방향의 다른쪽측(도 1O의 우측)으로 돌출된다. 프레임 부재(730)는 XY 평면에 평행한 평판 형상을 갖고, Y방향에 있어서 4개의 노즐 스토커(8)의 배열의 중앙에 위치한다.
클러치 부재(731)는 X축 가이드 기구(733)를 통해서 프레임 부재(730)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고,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X축 가이드 기구(733)는 프레임 부재(730)의 상면에 고정된 X축 레일(733a)과, X축 레일(733a)을 따라서 X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X축 슬라이더(733b)를 갖고, X축 슬라이더(733b)에 클러치 부재(731)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클러치 부재(731)는 제 1 연장판(731a), 제 2 연장판(731b) 및 맞물림 클로(731c)로 구성된다. 제 1 연장판(731a)은 X축 슬라이더(733b)로부터 노즐 스토커측(8)을 향해서 X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이고, X축 슬라이더(733b)로부터 돌출된 부분에서 계단 형상으로 굴곡된다. 제 2 연장판(731b)은 제 1 연장판(731a)으로부터 4개의 노즐 스토커(8)의 상방까지 X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이다. 이 제 2 연장판(731b)은 Y방향에 있어서 4개의 셔터 조작부(843)의 배열보다 넓은 폭을 갖고, Y방향으로 배열되는 4개의 셔터 조작부(843)에 상방으로부터 대향한다. 맞물림 클로(731c)는 제 2 연장판(732b)의 노즐 스토커측(8)의 X방향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굴곡되어 설치되고, Y방향으로 제 2 연장판(731b)과 같은 폭을 갖는다.
X축 실린더(732)는 프레임 부재(730)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고, 노즐 스토커(8)측을 향해서 X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로드(732a)를 갖는다. 이 실린더 로드(732a)는 접속 프레임(75)의 장착 평판(75a)에 형성된 관통 구멍(도시생략)을 X방향으로 관통하고, 장착 평판(75a)으로부터 노즐 스토커(8)측으로까지 연장된다. X축 실린더(732)는 실린더 로드(732a)를 공기에 의해 X방향으로 진퇴시키는 로드 실린더(공기 실린더)이고, 기대(70)의 하부에 수용된 공기 공급 장치(701)로부터 공기 호스(703)를 통해서 공기의 공급을 받아서 실린더 로드(732a)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실린더 로드(732a)의 노즐 스토커(8)측의 선단이 클러치 부재(731)에 맞물리는 맞물림 평판(735)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부재(731)의 저면에는 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면서 각각 Y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부재(736)가 고정되어 있고, 맞물림 평판(735)은 막대 부재(736) 사이에 여유를 갖고서 삽입되어 클러치 부재(731)에 맞물린다. 따라서, X축 실린더(732)의 실린더 로드(732a)를 X방향으로 진퇴시킴으로써 클러치 부재(731)를 X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노즐 스토커(8)에 접촉/이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셔터 조작 기구(73)의 클러치 부재(731)는 스토커 승강 기구(71)에 의해 상승된 노즐 스토커(8)의 셔터 조작부(843)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승된 노즐 스토커(8)의 셔터(82)를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 도 11 및 도 12를 병용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1은 1개의 노즐 스토커(8)가 선택적으로 상승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1개의 노즐 스토커가 선택적으로 상승한 상태를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4에 있어서 좌단의 노즐 스토커(8)만이 상승하고, 그 이외의 노즐 스토커(8)가 하강함과 아울러 실린더 로드(732a)가 노즐 스토커(8)측으로 신장하고 있어 클러치 부재(731)가 노즐 스토커(8)에 근접해 있다.
상술한 스토커 승강 기구(71)는 상승 위치(Pu)와 상승 위치(Pu)보다 하측의 하강 위치(Pd) 사이에서 노즐 스토커(8)를 승강시킨다. 한편, 4개의 노즐 스토커(8) 각각의 조작부(843)에 대하여는 상방으로부터 클러치 부재(731)의 제 2 연장판(731b)이 대향한다. 클러치 부재(731)의 높이는 상승 위치(Pu)에 있는 노즐 스토커(8)의 조작부(843)의 상단보다 약간 상측에 제 2 연장판(731)이 위치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승 위치(Pu)에 있는 노즐 스토커(8)의 조작부(843)의 상단과 클러치 부재(731)의 제 2 연장판(731b) 사이에는 클러치 부재(731)의 맞물림 클로(731c)의 길이 미만의 클리어런스가 비어 있다. 또한, 실린더 로드(732a)가 연장된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 부재(731)의 맞물림 클로(731c)는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X방향의 한쪽측(Xl)으로 밀려진 조작부(843)보다 더 X방향의 한쪽측(Xl)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승 위치(Pu)에 위치하는 노즐 스토커(8)의 조작부(843)에 대하여는 클러치 부재(731)의 맞물림 클로(731c)가 X방향의 한쪽측(Xl)에서 맞물리는데 대해서, 하강 위치(Pd)에 위치하는 노즐 스토커(8)의 조작부(843)에 대하여는 클러치 부재(731)의 맞물림 클로(731c)는 하측으로 벗어나서 맞물리지 않는다.
이러한 노즐 교환기(7)에서는 상승 위치(Pu)에 있는 노즐 스토커(8)에 대하여 셔터 조작 기구(73)가 클러치 부재(731)를 통해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즉, 셔터 조작 기구(73)가 X축 실린더(732)를 동작시켜서 실린더 로드(732a)를 단축시키면 노즐 스토커(8)의 조작부(843)가 클러치 부재(731)에 의해 X방향의 다른쪽측(Xr)으로 잡아당겨진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84)가 X방향의 다른쪽측(Xr)으로 이동하여 노즐 스토커(8)의 각 셔터(82)를 삽탈 금지 상태로부터 삽탈 허가 상태로 일괄적으로 스위칭한다. 또한, 셔터 조작 기구(73)가 X축 실린더(732)를 동작시켜서 실린더 로드(732a)를 연장시키면, 클러치 부재(731)의 X방향의 한쪽측(Xl)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슬라이더(84)가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X방향의 한쪽측(Xl)으로 이동하고, 노즐 스토커(8)의 각 셔터(82)를 삽탈 허가 상태로부터 삽탈 금지 상태로 일괄적으로 스위칭한다. 이렇게 클러치 부재(731)는 상승 위치(Pu)에 있는 노즐 스토커(8)의 각 셔터(82)를 일괄적으로 삽탈 허가 상태와 삽탈 금지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다. 한편, 하강 위치(Pd)에 있는 노즐 스토커(8)의 조작부(843)는 클러치 부재(731)에 맞물리지 않는다. 그 때문에, 하강 위치(Pd)에 있는 노즐 스토커(8)의 각 셔터(82)는 셔터 조작 기구(73)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삽탈 금지 상태로 유지된다.
즉, 노즐 교환기(7)는 스토커 승강 기구(71)에 의해 노즐 스토커(8)를 간단히 승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즐 스토커(8)의 셔터(82)와 셔터 조작 기구(73)간의 동력 전달 경로의 형성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노즐 스토커 승강 기구(71)에 의해 노즐 스토커(8)를 상승 위치(Pu)로 상승시키면, 노즐 스토커(8)와 셔터 조작 기구(73)간의 동력 전달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노즐 스토커 승강 기구(71)에 의해 노즐 스토커(8)를 하강 위치(Pd)로 하강시키면, 노즐 스토커(8)와 셔터 조작 기구(73)간의 동력 전달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노즐 인출 장치
이상이 노즐 교환기(7)를 구비하는 부품 실장 장치(1)의 일례이다. 계속해서는, 노즐 교환기(7)에 수납되는 노즐(N)을 노즐 교환기(7)로부터 인출할 때에 사용되는 노즐 인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노즐 인출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노즐 인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나타내는 노즐 인출 장치의 저면도이다.
노즐 인출 장치(9)는 길이 방향(Dx)으로 길고 또한 폭 방향(Dy)으로 짧은 직육면체 형상의 지지 부재(90)에 의해 노즐(N)에 부착/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91)를 지지한 개략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작업자는 노즐 스토커(8)에 대하여 노즐 인출 장치(9)를 부착/분리 방향(Dz)으로부터 접근시켜서 노즐 스토커(8)에 수납되는 노즐(N)에 노즐 인출 장치(9)의 맞물림 부재(91)를 맞물리게 한 후에, 노즐 스토커(8)로부터 노즐 인출 장치(9)를 부착/분리 방향(Dz)으로 이간시킴으로써 노즐 스토커(8)로부터 노즐(N)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3∼도 15 및 이하에 나타내는 도면에서는 적당하게 노즐 스토커(8)에 노즐 인출 장치(9)를 접근시킬 때에 노즐 인출 장치(9)를 이동시키는 측을 부착/분리 방향(Dz)의 접근측[Dz(+)]으로 나타내고, 노즐 스토커로부터 노즐 인출 장치(9)를 이간시킬 때에 노즐 인출 장치(9)를 이동시키는 측을 부착/분리 방향(Dz)의 이간측[Dz(-)]으로 나타낸다. 또한, 길이 방향(Dx), 폭방향(Dy) 및 부착/분리 방향(Dz)으로 이루어지는 직교 좌표계를 적당하게 나타낸다.
지지 부재(90)의 접근측[Dz(+)]의 면에서는 3개의 오목부(901)가 길이 방향(Dx)으로 직선 형상으로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90)에는 길이 방향(Dx)의 도중, 구체적으로는 한쪽 끝의 오목부(901)와 중앙의 오목부(901) 사이에서 폭 방향(Dy)으로 절개된 노치부(90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901)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원형상을 갖고, 부착/분리 방향(Dz)의 접근측[Dz(+)]에서 개구하고 있다. 오목부(901)에서는 8개의 맞물림 부재(91)가 원주 형상으로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어서 맞물림 유닛(91U)이 구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 유닛(91U)은 각 오목부(901)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부재(90)의 접근측[Dz(+)]의 면에서는 3개의 맞물림 유닛(91U)이 길이 방향(Dx)으로 직선 형상으로 동일한 피치로 배열되게 된다. 이러한 맞물림 부재(91)의 배열은 노즐 스토커(8)에서의 노즐 수납부(81)의 배열에 대응하고 있다.
즉 도 7을 나타내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 스토커(8)에서는 3개의 노즐 수납 유닛(81U)이 X방향으로 배열 피치 Lh로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노즐 수납 유닛(81U)에서는 8개의 노즐 수납부(81)가 둘레 방향으로 배열 피치 Lo로 원주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8개의 노즐 수납부(81)가 배열되는 원주 O81은 반경 Ro를 갖는다. 이에 대하여, 노즐 인출 장치(9)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맞물림 유닛(91U)이 X방향으로 상기 배열 피치 Lh와 같은 배열 피치로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 맞물림 유닛(91U)에서는 8개의 맞물림 부재(91)가 둘레 방향으로 상기 배열 피치 Lo와 같은 배열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8개의 맞물림 부재(91)가 배열되는 원주 O91은 상기 반경 Ro와 같은 반경을 갖는다. 여기에서, 원주 O91은 8개의 맞물림 부재(91) 각각에 맞물린 노즐(N)의 선단을 지나는 가상원이다.
이와 같이, 노즐 스토커(8)에서의 노즐 수납부(81)의 배열과 노즐 인출 장치(9)에서의 맞물림 부재(91)의 배열이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노즐 인출 장치(9)의 부착/분리 방향(Dz)을 Z방향으로 평행하게 하면서 노즐 인출 장치(9)의 접근측[Dz(+)]을 노즐 스토커(8)의 상면에 대향시킴으로써 각 맞물림 부재(91)와 각 노즐 수납부(81)를 1대1의 대응 관계로 서로 Z방향으로 대향시킬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해서 각 맞물림 부재(91)와 각 노즐 수납부(81)를 대향시킨 상태로부터 노즐 스토커(8)에 노즐 인출 장치(9)를 부착/분리 방향(Dz)으로부터 접근시킴으로써 노즐 스토커(8)의 각 노즐 수납부(81)에 수납된 노즐(N)에 대하여 노즐 인출 장치(9)의 각 맞물림 부재(91)를 일괄적으로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상이 노즐 스토커(8)에서의 노즐 수납부(81)의 배열과 노즐 인출 장치(9)에서의 노즐 수납부의 배열의 대응 관계의 설명이다.
지지 부재(90)의 각 오목부(901)의 중앙에는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원형상을 갖는 고무 부재(92)가 나사 고정되어 있다. 고무 부재(92)는 원주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맞물림 부재(91)의 내접원보다 작은 지름을 갖고 있고, 고무 부재(92)의 외주와 상기 고무 부재(92)를 둘러싸는 8개의 맞물림 부재(91)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고무 부재(92)는 오목부(901)에 대하여 부착/분리 방향(Dz)의 접근측[Dz(+)]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맞물림 부재(91)는 오목부(901) 및 고무 부재(91) 각각에 대하여 부착/분리 방향(Dz)의 접근측[Dz(+)]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다.
맞물림 부재(91)에는 부착/분리 방향(Dz)으로 관통하는 통기 구멍(911)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멍(911)은 그것이 관통하는 맞물림 부재(91)에 맞물리는 노즐(N)의 노즐 구멍(Nv)에 연통된다. 또한, 지지 부재(90)에서는 오목부(901)에 설치된 8개의 맞물림 부재(91) 각각의 통기구(911)에 연통되는 송풍구(93)(도 15)가 상기 오목부(901)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송풍구(93)는 3개의 오목부(901)의 각각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 인출 장치(9)는 지지 부재(90)의 길이 방향(Dy)의 양 끝에 설치되어서 부착/분리 방향(Dz)의 접근측[Dz(+)]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핀(95)이나, 지지 부재(90)의 길이 방향(Dy)의 끝에 장착된 조작 부재(96)를 구비한다. 가이드핀(95)은 노즐 스토커(8)의 가이드 구멍(86)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즐 스토커(8)에 대하여 노즐 인출 장치(9)가 대향한 상태에서 각 가이드핀(95)이 각 가이드 구멍(86)에 대향해서 Z방향으로 삽탈 가능해지도록 각 가이드핀은 스토커 본체(80)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96)는 지지 부재(90)의 코너에 설치된 회동축(C96)을 중심으로 평판 형상의 회동 평판(96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압박 버튼(961) 및 접촉 레버(962)를 회동 평판(960)에 설치한 개략 구성을 구비한다. 회동 평판(960)은 지지 부재(90)의 이간측[Dz(-)]의 면을 따라 설치된 평판이고, 송풍구(93)에 대향하는 부분에 창(940a)을 갖는다. 이 창(960a)에 의해 송풍구(93)가 회동 평판(960)에 가려지는 일없이 노출되어 있다. 압박 버튼(961)은 회전축(C96)의 길이 방향(Dx)측에 설치되어서 지지 부재(90)의 노치부(902)에 폭 방향(Dy)으로부터 대향하고 있고, 회동 평판(960)의 회동에 따라서 노치부(902)에 대하여 삽탈된다. 접촉 레버(962)는 폭 방향(Dy)에 있어서 회동축(C96)의 반대측에서 지지 부재(90)의 측면에 인접해서 설치되고, 지지 부재(90)로부터 부착/분리 방향(Dz)의 접근측[Dz(+)]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다. 이 접촉 레버(962)는 회동 평판(960)의 회동에 따라서 회동 방향(Dr)으로 회동함으로써 길이 방향(Dx)에 있어서 지지 부재(90)의 내측[Dr(+)]으로 변위하거나 지지 부재(90)의 외측[Dr(-)]으로 변위하거나 할 수 있다.
접촉 레버(962)와 압박 버튼(961)은 회동 평판(960)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 레버(962)가 내측[Dr(+)]으로 변위한 상태에 있어서 압박 버튼(961)은 노치부(902)로부터 빠져나오는 한편, 접촉 레버(962)가 외측[Dr(-)]으로 변위 한 상태에 있어서 압박 부재(961)는 노치부(902)에 들어간다. 또한, 조작 부재(96)는 회전축(C96)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바이어싱 부재(스프링 등)에 의해 접촉 레버(962)가 내측[Dr(+)]으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압박 버튼(961)을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해서 노치부(902)에 밀어넣으면 접촉 레버(962)가 외측[Dr(-)]으로 변위하는 한편, 작업자가 압박 버튼(961)을 놓으면 접촉 레버(962)가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내측[Dr(+)]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도 13∼도 15에 나타낸 구성을 구비하는 노즐 인출 장치(9)는 노즐 스토커(8)로부터 인출한 노즐(N)을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할 수 있다. 도 16은 노즐 수납부로부터 노즐을 인출한 노즐 인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노즐(N)이 노즐 스토커(8)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노즐(N)의 선단(Nt)은 하방을 향해서 노즐 수납부(81) 내에 수납되는 한편, 선단(Nt)의 반대측에 있어서 노즐(N)의 노즐 구멍(Nv)이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노즐 인출 장치(9)의 부착/분리 방향(Dz)을 Z방향에 일치시키고, 노즐 인출 장치(9)를 상방으로부터 노즐 스토커(8)에 접근시키면 노즐 스토커(8)에 수납되는 노즐(N)의 노즐 구멍(Nv)이 노즐 인출 장치(9)의 맞물림 부재(91)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끼워진다. 이때, 노즐(N)이 노즐 구멍(Nv)의 둘레가장자리에서 맞물림 부재(91)와 고무 부재(92) 사이에 끼워지고, 고무 부재(92)의 탄성력에 의해 맞물림 부재(91)에 밀린다. 그 결과, 노즐(N)과 맞물림 부재(91)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이나, 노즐(N)과 고무 부재(92)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노즐(N)이 맞물림 부재(91)에 유지된다.
또한, 지지 부재(90)에는 상술한 송풍구(93)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구(93)는 오목부(901)의 중앙에서 지지 부재(90)의 저면{이간측[Dz(-)]의 면}에서 개방된 개구(931)와, 개구(931)와 맞물림 부재(91)의 통기구(911)를 접속시키는 접속로(932)로 구성된다. 이 접속로(932)는 개구(931)로부터 부착/분리 방향(Dz)을 향해서 지지 부재(90)의 내부로 연장된 후에, 부착/분리 방향(Dz)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분기되어서 각 맞물림 부재(91)의 통기구(911)에 이른다. 또한, 맞물림 부재(91)에 맞물린 노즐(N)의 노즐 구멍(Nv)은 맞물림 부재(91)의 통기구(911)에 연통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송풍구(93)의 개구(931)에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에어 블로) 맞물림 부재(91)에 유지하는 노즐(N)의 노즐의 구멍(Nv)에 대하여 공기를 플러싱하는 플러싱 세정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7은 노즐 인출 장치를 이용하여 노즐 교환기로부터 노즐을 인출할 때의 작업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서는 노즐 교환기(7)의 전체 노즐 수납부(81)에 노즐(N)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안쪽으로부터 2번째의 노즐 스토커(8)에 수납된 노즐(N)을 노즐 인출 장치(9)에 의해 일괄적으로 인출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동 도면의 각 공정은 작업자에 의해 실행된다.
동 도면의 최상단에 나타내는 접근 공정에서는 작업자는 노즐 인출 장치(9)의 부착/분리 방향(Dz)을 Z방향에 평행하게 하면서 노즐 인출 장치(9)의 접근측[Dz(+)]을 안쪽으로부터 2번째의 노즐 스토커(8)의 상면에 대향시킨다. 이것에 의해, 2번째의 노즐 스토커(8)의 각 노즐 수납부(81)에 수납된 노즐(N)과 노즐 인출 장치(9)의 각 맞물림 부재(91)가 1대1의 대응 관계로 서로 Z방향으로 대향한다. 이렇게 해서 각 노즐(N)과 각 맞물림 부재(91)를 대향시킨 상태로부터 작업자는 노즐 인출 장치(9)를 부착/분리 방향(Dz)의 접근측[Dz(+)]으로 이동시켜서 노즐 스토커(8)에 노즐 인출 장치(9)를 부착/분리 방향(Dz)으로부터 접근시킨다. 그 결과, 동 도면의 중앙에 나타내는 맞물림 공정과 같이, 노즐 스토커(8)의 각 노즐 수납부(81)에 수납된 노즐(N)에 대하여 노즐 인출 장치(9)의 각 맞물림 부재(91)가 일괄적으로 맞물린다.
이와 관련하여, 노즐 스토커(8)에 노즐 인출 장치(9)를 접근시키는 도중에 있어서는 노즐 스토커(8)의 2개의 가이드 구멍(86)에 노즐 인출 장치(9)의 가이드핀(95)의 2개의 가이드핀(95)이 각각 삽입된다. 그 결과, 노즐 스토커(8)의 노즐(N)과 노즐 인출 장치(9)의 맞물림 부재(91)가 XY면 내에서 서로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각 노즐(N)에 대한 맞물림 부재(91)의 접근·맞물림이 실행된다. 또한, 노즐 인출 장치(9)의 접촉 레버(962)는 노즐 스토커(8)의 슬라이더(84)에 설치된 링(84a)에 X방향의 한쪽측(Xl)으로부터 접촉한다. 이때, 접촉 레버(96)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포오스가 슬라이더(84)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포오스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 레버(96)는 슬라이더(84)를 X방향의 다른쪽측(Xr)으로 밀어서 셔터(82)에 의한 노즐(N)의 삽탈 규제를 해제한다[즉, 셔터(82)의 상태를 삽탈 규제 상태로부터 삽탈 허가 상태로 스위칭한다]. 그 때문에, 각 노즐(N)에 대하여 각 맞물림 부재(91)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각 노즐(N)은 노즐 스토커(8)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노즐 스토커(8)로부터 노즐 인출 장치(9)를 부착/분리 방향(Dz)의 이간측[Dz(-)]으로 이동시켜서 노즐 스토커(8)로부터 노즐 인출 장치(9)를 부착/분리 방향(Dz)으로 이간시킨다. 이것에 의해, 동 도면의 최하단에 나타내는 이간 공정과 같이 노즐 수납부(81)로부터의 인출이 가능해진 각 노즐(N)이 맞물림 부재(91)에 유지되면서 노즐 스토커(8)의 노즐 수납부(81)로부터 인출된다. 이와 관련하여, 노즐 수납부(81)로부터의 노즐(N)의 인출이 완료될 때까지 셔터(82)에 의한 노즐(N)의 삽탈 규제가 해제되도록 접촉 레버(96)의 Z방향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노즐 인출 장치(9)를 이용하여 노즐 교환기(7)로부터 노즐(N)을 인출하는 노즐 인출 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물림 부재(91)는 선단(Nt)의 반대측으로부터 노즐(N)에 맞물리기 때문에, 노즐 수납부(81)로부터 인출되어서 노즐 인출 장치(9)에 유지된 노즐(N)의 선단은 노출된다.
도 18은 노즐 인출 장치를 이용하여 노즐 교환기에 노즐을 수납할 때의 작업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서는 노즐 교환기(7)의 안쪽으로부터 2번째의 노즐 스토커(8)의 전체 노즐 수납부(81)에 노즐(N)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상기 노즐 스토커(8)의 전체 노즐 수납부(81)에 일괄적으로 노즐(N)을 수납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동 도면의 각 공정은 작업자에 의해 실행된다.
동 도면의 최상단에 나타내는 접근 공정에서는 작업자는 노즐 인출 장치(9)의 부착/분리 방향(Dz)을 Z방향에 평행하게 하면서 노즐 인출 장치(9)의 접근측[Dz(+)]을 안쪽으로부터 2번째의 노즐 스토커(8)의 상면에 대향시킨다. 이때, 노즐 인출 장치(9)의 각 맞물림 부재(91)에는 노즐(N)이 작업자에 의해 미리 맞물려져 있다. 이것에 의해, 2번째의 노즐 스토커(8)의 각 노즐 수납부(81)와 노즐 인출 장치(9)의 각 맞물림 부재(91)에 유지된 노즐(N)이 1대1의 대응 관계로 서로 Z 방향으로 대향한다. 이렇게 해서 각 노즐 수납부(81)와 각 노즐(N)을 대향시킨 상태로부터 작업자는 노즐 인출 장치(9)를 부착/분리 방향(Dz)의 접근측[Dz(+)]으로 이동시켜서 노즐 스토커(8)에 노즐 인출 장치(9)를 부착/분리 방향(Dz)으로부터 접근시킨다. 그 결과, 동 도면의 중앙에 나타내는 수납 공정과 같이 노즐 스토커(8)의 각 노즐 수납부(81)에 대하여 노즐 인출 장치(9)에 유지된 각 노즐(N)이 일괄적으로 수납된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내는 수납 공정에서는 작업자는 노즐 수납부(81)에의 노즐(N)의 수납이 완료된 후에 압박 버튼(961)을 노치부(902)에 밀어넣어서 접촉 레버(962)를 외측[Dr(-)]으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노즐 스토커(8)의 셔터(82)가 삽탈 규제 상태가 되어, 각 노즐 수납부(81)에 수납된 노즐(N)의 노즐 수납부(81)로부터의 인출이 규제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압박 버튼(961)을 노치부(902)에 밀어넣은 채 노즐 스토커(8)로부터 노즐 인출 장치(9)를 부착/분리 방향(Dz)의 이간측[Dz(-)]으로 이동시켜서 노즐 스토커(8)로부터 노즐 인출 장치(9)를 부착/분리 방향(Dz)으로 이간시킨다. 이것에 의해, 동 도면의 최하단에 나타내는 이간 공정과 같이 노즐 수납부(81)로부터의 인출이 규제된 각 노즐(N)은 맞물림 부재(91)로부터 벗어나서 노즐 스토커(8)의 노즐 수납부(81)에 남는다. 이렇게 해서, 노즐 인출 장치(9)를 이용하여 노즐 교환기(7) 에 노즐(N)을 수납하는 노즐 수납 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노즐(N)에 부착/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91)가 구비된 노즐 인출 장치(9)를 사용하여 노즐(N)의 인출이 실행된다. 즉, 이 맞물림 부재(91)는 노즐 스토커(8)의 노즐 수납부(81)에 수납된 노즐(N)에 맞물린 후에 노즐 스토커(8)로부터 이간되면, 노즐 수납부(81)로부터 노즐(N)을 인출해서 유지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노즐(N)의 인출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는 맞물림 부재(91)를 노즐(N)에 맞물리게 하는데 이어서 노즐 스토커(8)로부터 이간시키는 것만으로 노즐(N)을 인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노즐(N)을 수납하는 노즐 스토커(8)로부터 노즐(N)을 용이하게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맞물림 부재(91)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90)에서는 노즐 스토커(8)에 배열된 복수의 노즐 수납부(81)의 배열에 대응해서 복수의 맞물림 부재(91)가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맞물림 부재(91)는 복수의 노즐 수납부(81)의 각각에 수납된 노즐(N)에 일괄적으로 맞물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노즐 스토커(8)로부터 복수의 노즐(N)을 일괄적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90)에는 맞물림 부재(91)에 유지된 노즐(N)의 구멍에 연통되는 송풍구(9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송풍구(93)로부터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노즐(N)의 구멍에 대하여 공기를 플러싱하는 플러싱 세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맞물림 부재(91)는 노즐(N)이 대상물을 유지하는 선단(Nt)의 반대측으로부터 노즐(N)에 맞물려 노즐(N)의 선단(Nt)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노즐(N)을 유지한다. 따라서, 노즐 인출 장치(9)에 의해 인출한 노즐(N)의 선단(Nt)을 육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노즐 선단(Nt)의 오염 상황에 따른 적절한 세정 방법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 작업자에 있어서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노즐 인출 장치(9)에서는 노즐 스토커(8)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86)에 삽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핀(9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핀(95)이 가이드 구멍(86)에 끼워지면 맞물림 부재(91)가 노즐 수납부(81)에 수납된 노즐(N)에 대하여 위치 맞춤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노즐 스토커(8)의 가이드 구멍(86)에 가이드핀(95)을 끼움으로써 노즐 수납부(81)에 수납된 노즐(N)에 대하여 맞물림 부재(91)를 위치 맞춤할 수 있어 맞물림 부재(91)를 노즐(N)에 맞물리게 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노즐 교환기(7)에서는 노즐 스토커(8)에 있어서 노즐 수납부(81)로부터의 노즐(N)의 인출이 적당하게 규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즐 스토커(8)에서 노즐 수납부(81)로부터의 노즐의 인출 규제가 슬라이더(84)(제어 부재)의 위치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인출의 규제를 해제하고나서가 아니면 노즐 수납부(81)로부터의 노즐(N)의 인출을 행할 수 없다. 그래서, 노즐 인출 장치(9)에는 슬라이더(84)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9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수납부(81)의 노즐(N)에 맞물린 맞물림 부재(91)가 노즐 스토커(8)로부터 이간되어서 노즐 수납부(81)로부터의 노즐(N)의 인출이 완료될 때까지 조작 부재(96)가 슬라이더(84)를 조작하여 노즐 수납부(81)로부터의 노즐(N)의 인출 규제를 해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노즐 수납부(81)의 노즐(N)에 맞물린 맞물림 부재(91)가 노즐 스토커(8)로부터 이간되어서 노즐 수납부(81)로부터의 노즐(N)의 인출이 완료될 때까지는 노즐 인출 장치(9)에 설치된 조작 부재(96)의 기능에 의해 노즐(N)의 인출 규제가 해제된다. 그 결과, 작업자는 규제의 해제를 스스로 행하지 않고 노즐(N)의 인출을 실행할 수 있어 작업자에 있어서 작업성이 향상된다.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
이상이 노즐 인출 장치(9)의 일례이다. 이어서는, 노즐 인출 장치(9)를 적재하기 위한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에서는 노즐 인출 장치(9)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나타내어지고, 도 20에서는 노즐 인출 장치(9)가 적재된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는 평판 형상의 기대(100)와, 기대(100)의 양 끝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설치된 2개의 입설부(立設部)(101)와, 각 입설부(10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적재 부재(103)를 갖는다. 이들 2개의 적재 부재(103)는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고, 각 적재 부재(103)에는 노즐 인출 장치(9)의 가이드핀(95)이 삽탈 가능한 관통 구멍(103a)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에 대하여 노즐 인출 장치(9)를 상방으로부터 대향시킨 후에,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에 노즐 인출 장치(9)를 접근시키면 2개의 가이드핀(95)이 2개의 관통 구멍(103a)에 삽입된 상태에서 노즐 인출 장치(9)가 적재 부재(103)에 수평으로 적재된다. 이렇게 해서, 노즐 인출 장치(9)를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에 적재할 수 있다. 또한, 각 관통 구멍(103a)의 하방에는 수용 구멍(110a)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103a)에 삽입된 가이드핀(95)의 선단은 수용 구멍(110a)에 끼워진다. 이렇게 해서,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에 적재된 노즐 인출 장치(9)의 안정이 도모되어 있다.
또한,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의 기대(100)의 상면에서는 맞물림 유닛(91U)과 같은 배열 피치 Lh로 3개의 수용 부재(105)가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수용 부재(105)는 기대(100)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설치되어 있고,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에 적재된 노즐 인출 장치(9)의 맞물림 유닛(91U)의 중심에 대향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수용 부재(105)는 대향하는 맞물림 유닛(91U)에 유지되는 노즐(N)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접촉하는 플랜지(105f)를 갖고 있어 노즐 인출 장치(9)로부터의 노즐(N)의 탈락을 규제한다.
또한,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는 2개의 입설부(101)에 수평으로 걸쳐진 막대 형상의 파지부(107)를 갖는다. 이 파지부(107)는 적재 부재(103)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고,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에 노즐 인출 장치(9)가 적재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파지부(107)를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파지부(107)를 움켜쥠으로써 적재 부재(103)에 적재된 노즐 인출 장치(9)를 수반해서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를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이러한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를 이용하여 노즐 인출 장치(9)에 유지되는 노즐(N)에 적당한 메인터넌스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에 적재된 노즐 인출 장치(9)의 송풍구(93)는 상방으로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송풍구(93)로부터 공기를 분사해서 노즐 인출 장치(9)에 유지되는 노즐(N)에 플러싱 세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노즐 인출 장치(9)를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마다 운반하여 세정조에 저류된 세정액에 노즐(N)을 담그거나, 초음파 세정을 노즐(N)에 실시하거나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한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 는 노즐 스토커(8)로부터 인출한 노즐(N)을 유지하는 노즐 인출 장치(9)를 적재 부재(103)에 적재한 상태에서 노즐(N)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데 이바지한다.
또한,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에서는 적재 부재(103)에 적재된 상태의 노즐 인출 장치(9)에 유지된 노즐(N)에 접촉하여 노즐 인출 장치(9)로부터의 노즐(N)의 탈락을 규제하는 수용 부재(1O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메인터넌스의 실행에 따라서 노즐(N)에 힘이 가해졌다고 하여도 노즐(N)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데 이바지한다.
또한,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에서는 기대(100)에 고정되어서 운반될 때에 파지되는 파지부(107)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노즐 스토커(8)로부터 인출한 노즐(N)을 유지하는 노즐 인출 장치(9)를 필요에 따라서 적당하게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데 이바지한다.
기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 인출 장치(9)가 본 발명의 「노즐 인출 장치」의 일례에 상당하고,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가 본 발명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상기 설명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실장 장치(1), 노즐 교환기(7) 및 노즐 인출 장치(9)로 구성되는 부품 실장 시스템(200)이 본 발명의 「부품 실장 시스템」의 일례에 상당하고, 노즐 교환기(7) 및 노즐 인출 장치(9)로 구성되는 노즐 교환 시스템(300)이 본 발명의 「노즐 교환 시스템」의 일례에 상당한다. 여기에서, 도 21은 부품 실장 시스템 및 노즐 교환 시스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상술한 것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맞물림 부재(91)는 노즐 스토커(8)에 있어서 원주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노즐 수납부(81)의 배열에 대응해서 원주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그러나,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인출 장치(9)를 구성해도 좋다. 도 22는 노즐 인출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노즐 인출 장치의 변형예 및 이것에 대응하는 노즐 교환기가 병기되어 있으며, 노즐 인출 장치(9)의 각 맞물림 부재(91)에 노즐(N)이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에 의한 노즐 교환기(7)의 노즐 스토커(8)에서는 복수의 노즐 수납부(81)가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노즐 수납부(81)의 직선 배열에 대응하여 변형예에 의한 노즐 인출 장치(9)에서는 복수의 맞물림 부재(91)가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노즐 인출 장치(9)에 있어서도 노즐(N)에 부착/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91)가 구비되어 있고, 이 맞물림 부재(91)는 노즐 스토커(8)의 노즐 수납부(81)에 수납된 노즐(N)에 맞물린 후에 노즐 스토커(8)로부터 이간되면 노즐 수납부(81)로부터 노즐(N)을 인출해서 유지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노즐(N)의 인출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는 맞물림 부재(91)를 노즐(N)에 맞물리게 하는데 이어서 노즐 스토커(8)로부터 이간시키는 것만으로 노즐(N)을 인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노즐(N)을 수납하는 노즐 스토커(8)로부터 노즐(N)을 용이하게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노즐 인출 장치(9)에서는 노즐 스토커(8)의 셔터(82)가 행하는 노즐 수납부(81)로부터의 노즐(N)의 인출 규제를 조작 부재(96)에 의해 해제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조작 부재(96)를 배제하고 노즐 인출 장치(9)를 구성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규제의 해제를 행함으로써 노즐(N)의 인출을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동일한 맞물림 유닛(91U)을 구성하는 8개의 맞물림 부재(91)에 대하여 공통의 송풍구(93)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 맞물림 부재(91)의 각각에 개별의 송풍구(93)를 형성해도 좋다. 또는, 송풍구(93)를 배제하고 노즐 인출 장치(9)를 구성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맞물림 부재(91)에 통기 구멍(911)을 형성할 필요도 없다.
또한, 맞물림 부재(91)의 형상이나 치수 등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도 적당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맞물림 부재(91)와 노즐(N)을 맞물리게 하는 형태도 상술한 바와 같은 마찰 맞물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노즐 장착부(51)에 노즐(N)을 장착하는 경우와 같이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맞물리게 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설치되어 있던 가이드 구멍(86), 가이드핀(95), 관통 구멍(103a) 등에 대해서도 적당하게 배제하면서 노즐 교환기(7), 노즐 인출 장치(9),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10)를 구성해도 상관없다.
1 : 부품 실장 장치 5 : 실장 헤드
51 : 노즐 장착부 7 : 노즐 교환기
8 : 노즐 스토커 81 : 노즐 수납부
81U : 노즐 수납 유닛 82 : 셔터
84 : 슬라이더(제어 부재) 86 : 가이드 구멍
N : 노즐 Nv : 노즐 구멍
Nt : 노즐 선단 9 : 노즐 인출 장치
90 : 지지 부재 91 : 맞물림 부재
93 : 송풍구 95 : 가이드핀
96 : 조작 부재 10 :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
100 : 기대 101 : 입설부
103 : 적재 부재 105 : 수용 부재(접촉 부재)
107 : 파지부

Claims (13)

  1. 노즐에 부착/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와, 상기 맞물림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노즐에 맞물림으로써 상기 노즐을 인출해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인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서는 노즐 스토커에 배열된 복수의 노즐 수납부의 배열에 대응해서 복수의 상기 맞물림 부재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맞물림 부재는 상기 복수의 노즐 수납부의 각각에 수납된 상기 노즐에 일괄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인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맞물림 부재는 상기 노즐 스토커에 있어서 원주 형상으로 배열된 상기 복수의 노즐 수납부의 배열에 대응해서 원주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인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맞물림 부재는 상기 노즐 스토커에 있어서 직선 형상으로 배열된 상기 복수의 노즐 수납부의 배열에 대응해서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인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맞물림 부재에 유지된 상기 노즐의 구멍에 연통하는 송풍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인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노즐이 대상물을 유지하는 선단의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노즐에 맞물려서 상기 노즐의 선단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노즐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인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스토커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에 삽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가이드 구멍에 끼워지면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노즐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노즐에 대하여 위치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인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스토커에서 상기 노즐 수납부로부터의 상기 노즐의 인출 규제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노즐 수납부의 상기 노즐에 맞물린 상기 맞물림 부재가 상기 노즐 스토커로부터 이간되어서 상기 노즐 수납부로부터의 상기 노즐의 인출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어 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노즐 수납부로부터의 상기 노즐의 인출 규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인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노즐 인출 장치를 적재 가능한 적재 부재와, 상기 적재 부재를 지지하는 기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부재에 적재된 상태의 상기 노즐 인출 장치에 유지된 노즐에 접촉하여 상기 노즐 인출 장치로부터의 상기 노즐의 탈락을 규제하는 접촉 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에 고정되어서 운반시에 파지되는 파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에 의해 상기 적재 부재에 적재된 상기 노즐 인출 장치를 수반해서 상기 적재 부재 및 상기 기대를 운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
  12. 노즐 수납부에 노즐을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노즐 스토커를 갖는 노즐 교환기와,
    상기 노즐에 부착/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를 갖는 노즐 인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노즐 스토커의 상기 노즐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노즐에 맞물린 후에 상기 노즐 스토커로부터 이간되면 상기 노즐을 상기 노즐 수납부로부터 인출해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교환 시스템.
  13. 노즐 장착부에 노즐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실장 헤드와,
    노즐 수납부에 노즐을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노즐 스토커를 갖고, 상기 노즐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던 상기 노즐을 상기 노즐 장착부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 또는 상기 장착 개소에 장착되어 있던 상기 노즐을 상기 노즐 수납부에 수납하는 수납 동작을 실행하는 노즐 교환기와,
    상기 노즐에 부착/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부재를 갖는 노즐 인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 부재는 상기 노즐 스토커의 상기 노즐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노즐에 맞물린 후에 상기 노즐 스토커로부터 이간되면 상기 노즐을 상기 노즐 수납부로부터 인출해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 시스템.
KR1020137031694A 2013-04-11 2013-04-11 노즐 인출 장치,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 노즐 교환 시스템, 부품 실장 시스템 KR101577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0916 WO2014167685A1 (ja) 2013-04-11 2013-04-11 ノズル取出装置、ノズル取出装置載置台、ノズル交換システム、部品実装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912A true KR20140135912A (ko) 2014-11-27
KR101577662B1 KR101577662B1 (ko) 2015-12-15

Family

ID=5168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694A KR101577662B1 (ko) 2013-04-11 2013-04-11 노즐 인출 장치,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 노즐 교환 시스템, 부품 실장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71953B2 (ko)
KR (1) KR101577662B1 (ko)
CN (1) CN104247589B (ko)
WO (1) WO2014167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2850B (zh) * 2015-09-17 2020-05-05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过滤器保持构造及元件安装装置
WO2018163425A1 (ja) * 2017-03-10 2018-09-1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ノズル交換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ノズル交換システム
US11683923B2 (en) * 2017-03-30 2023-06-20 Fuji Corporation Maintenance manage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7889B2 (ja) * 1998-05-08 2005-09-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
JP4031107B2 (ja) * 1998-05-27 2008-01-0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子部品装着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4268315B2 (ja) * 1999-11-05 2009-05-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ノズル交換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JP4840331B2 (ja) * 2007-11-06 2011-12-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ノズル交換台及び部品実装装置
JP2010109193A (ja) * 2008-10-30 2010-05-13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電子部品装着装置
JP5693059B2 (ja) * 2010-06-24 2015-04-01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吸着ノズル用クリーニング装置
JP5498334B2 (ja) * 2010-09-24 2014-05-2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
JP2012129434A (ja) * 2010-12-17 2012-07-05 Fuji Mach Mfg Co Ltd 対基板作業機
JP5678277B2 (ja) * 2011-09-07 2015-02-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
KR101159497B1 (ko) * 2011-12-16 2012-06-22 정인환 소자 실장용 흡착노즐 클리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47589A (zh) 2014-12-24
JPWO2014167685A1 (ja) 2017-02-16
JP5871953B2 (ja) 2016-03-01
WO2014167685A1 (ja) 2014-10-16
KR101577662B1 (ko) 2015-12-15
CN104247589B (zh)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7168B2 (ja) 電子回路部品装着機
KR102135007B1 (ko) 노즐 관리기
US9801319B2 (en) Tape feeder
JP5996662B2 (ja) バルク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装着装置
EP3177129B1 (en) Nozzle storage
KR101577662B1 (ko) 노즐 인출 장치, 노즐 인출 장치 적재대, 노즐 교환 시스템, 부품 실장 시스템
US11765876B2 (en) Exchange device
JP6717866B2 (ja) 部品実装機のカセット式フィーダ入替システム
CN103476235A (zh) 元件安装装置及元件供应单元的抽取管理方法
JP7401574B2 (ja) 部品実装機
JP6979992B2 (ja) 部品実装機のカセット式フィーダ入替システム
JP5882077B2 (ja) 電子回路部品装着機
KR101538976B1 (ko) 노즐 착탈 지그, 부품 실장 장치
JP6816254B2 (ja) ノズル交換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ノズル交換システム
JP6713567B2 (ja) 対基板作業システム
JP2017130595A (ja) ノズル収納庫
JP2018207130A (ja) ノズル収納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