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742A -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amtec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amtec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742A
KR20140133742A KR20130053348A KR20130053348A KR20140133742A KR 20140133742 A KR20140133742 A KR 20140133742A KR 20130053348 A KR20130053348 A KR 20130053348A KR 20130053348 A KR20130053348 A KR 20130053348A KR 20140133742 A KR20140133742 A KR 20140133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conversion
thermal
power generation
heat exchang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9089B1 (ko
Inventor
김선동
우상국
김세영
주종훈
한인섭
서두원
서민수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53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089B1/ko
Priority to US13/959,696 priority patent/US20140332046A1/en
Priority to JP2013164715A priority patent/JP5723425B2/ja
Publication of KR2014013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4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tubes having a capillary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1Temperature-sensitiv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66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separate evaporating and condensing chambers connected by at least one conduit; Loop-type heat pipes; with multiple or common evaporating or condensing cha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3/00Generators in which thermal or kinetic energy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by ionisation of a fluid and removal of the charge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brid Cell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을 포함하는 열전환 발전기는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를 위치시킬 수 있는 케이스, 케이스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을 통과한 작동 유체를 포집하여 응축하는 응축부, 케이스 하단부에 위치하여 작동 유체에 열을 전달하여 증기로 변환시키고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로 작동 유체 증기를 이송하는 증발부, 응축부와 접해 있는 케이스 외부의 상단면 제외 나머지 면에 위치하며, 열유체를 통과시키는 열교환기, 응축부와 상기 증발부의 공간을 연결하여 작동유체가 이송할 수 있는 순환부, 증발부와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 사이를 접합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 온도 구배가 없고 열유체가 열교환기를 통해 시스템 온도를 높인 후 순환하는 방식으로 재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이 매우 높은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시스템과는 달리 시스템 내에 온도 구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열충격이 매우 작고 암텍(AMTEC) 을 구성하는 셀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시스템과 냉각부의 온도차이가 커서 응축이 냉각부에만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Na 등의 작동 유체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 효율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열교환기는 열유체 입구 및 출구만이 필요한 컴팩트 형태로 모듈 구성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AMTEC 시스템.{ALKALI METAL THEMAL TO ELETRIC CONVERTER SYSTEM INCLUDES A HEAT EXCHANGER.}
본원 발명은 외부의 열로 구동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암텍(AMTEC) 시스템의 온도를 균일하게 향상시켜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필요로 하는 지속적인 열원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AMTEC(Alkali Metal Themal to Eletric Converter)은 열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한 열변환 전기발생장치이다.
이온전도성을 갖는 베타 알루미나 고체 전해질(Beta-Alumina Solid Electrolyte:BASE)의 양단에 온도차를 주면 셀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Na의 증기압 차로 인해 Na+ 이온이 되었다가 전해질을 통해 음극에서 양극으로 확산 후 중성화 되는 과정에서 전기가 발생한다.
이때 저전압, 대전류가 발생하는데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하여 모듈화하는 경우 대용량 발전이 가능하다.
암텍(AMTEC) 기술은 우주용 전력원으로 개발이 시작된 기술로서, 단위면적당 높은 전력밀도, 고휴율, 안정성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원은 태양에너지, 화석연료, 폐열, 지열, 원자로 등 다양한 열원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기존의 발전방식과는 달리 터빈이나 모터와 같은 구동부 없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 셀로 구성되어 열과 접촉되는 부위에서 직접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직렬 또는 병렬로 모듈화하는 경우 수 kW에서 수백 MW 규모의 대용량 발전이 가능하다.
폐열의 형태는 배가스, 배공기, 폐온수, 폐증기 등이 있고 생산공정의 제품의 현열, 반응열 또한 폐열로 분류되며 이들의 폐열회수는 부식성 물질 포함 여부, 온도 및 유량의 조건에 따라 적용가능한 열교환기의 형태 및 규격과 재질 등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폐열 이용장치로는 폐열 회수기, 전열 교환기, 히트 파이프식 열교환기 등이 있으며 특별한 경우 별도의 회수 시스템이 고려되고 있다.
암텍(AMTEC)은 고품질의 전기를 열원으로부터 직접 생산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어 기존의 수력발전, 화력발전, 원자력발전, 조력발전, 풍력발전 등의 발전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암텍(AMTEC) 발전기술의 특징 중 하나는 다른 열전기 변환 소자들에 비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높은 에너지 변환효율을 가지는 것이다.
특히 태양전기변환시스템(solar thermal power plant)과 비교하면, 터빈 등의 기계적 구동부가 필요 없으며, 열전소자(thermoelectric device)과 비교하면 고용량, 고효율의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암텍(AMTEC)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Na 증기가 열원에 의해 고온고압영역인 증발기에서 증기상태로 변하여 Na+이 베타 알루미나 고체 전해질(Beta-Alumina Solid Electrolyte:BASE)로 통과하고, 자유전자들은 음극(anode)으로부터 전기부하로 통과하여 양극(cathode)으로 돌아와서 저온저압영역의 베타 알루미나 고체 전해질(Beta-Alumina Solid Electrolyte:BASE)의 표면에서 나오는 이온과 재결합하여 중성화되는 과정에서 전기를 발생한다.
전기를 발생하는 에너지원 또는 원동력(driving force)은 열변환 발전기 내부에 Na의 증기압이 가장 크게 작용하고 또한 작용유체의 농도 차이, 온도 차이로 인해 Na이 고체 전해질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유전자를 전극을 통해 집전함으로써 발전이 가능하게 된다.
고체 전해질에는 베타 알루미나(Beta-Alumina)와 나시콘(Na super-ionic conductor:NASICON) 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나시콘은 장시간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결정구조의 안정성이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베타 알루미나에는 beta'-alumina 와 beta''-alumina 두 가지 종류가 있다.
beta''-alumina가 층상구조가 더욱 발전되어 있어 Na+이온의 전도성이 훨씬 좋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중성의 Na 증기는 저압영역의 응축기 내 표면에서 냉각에 의해 응축되어 모세관 윅에 의해 증발기로 이동하여 증발기에서 다시 증기상태로 변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증발기의 온도는 900 내지 1100K 범위에 있고 응축기의 온도는 500 내지 600K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암텍(AMTEC)의 열변환 전기발생 효율은 40%까지 가능하며 출력밀도가 높고, 별도의 구동부위가 필요없는 간단한 구조라는 장점 등을 가지고 있다.
등록특허 제 10-1239773 호는 작동가스와 용융염의 열 교환을 이용한 지열 발전 시스템 및 방법으로, 작동가스의 지반 내 열교환에 의한 지열 발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작동가스와 용융염의 열 교환을 이용한 지열 발전 시스템은 집열부; 내부에 용융염을 수용하며 열 전달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용융염 수용부, 상기 집열부의 열원을 상기 용융염 수용부의용융염에 전달하는 열 교환부 지반에 설치되며 상기 용융염의 열원을 열 교환에 의해 전달받는 작동가스가 유출입되는 열 전달부 상기 열 전달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가스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기계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터빈부 및 상기 터빈부에 연결되어 상기 기계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외부의 열로 구동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암텍(AMTEC) 시스템의 온도를 균일하게 향상시켜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필요로 하는 지속적인 열원을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외부의 열로 구동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암텍(AMTEC) 시스템의 온도를 균일하게 향상시켜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필요로 하는 지속적인 열원을 제공하고자 한다.
종래에 사용되는 방식은 가열부를 일측에 두고 Na 등의 작동 유체가 가열되어 기화되고 암텍(AMTEC)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이용되며 냉각부에서 응축되어 액상 Na 등의 작동 유체의 형태로 순환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더욱 자세히는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열전환 발전기(200)는 하부의 열원(280)에 의해 작동 유체가 가열되어 증발부(240)에서 증발되고 응측부(230)에서 응축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일측에 위치하는 열원에 의해 열원의 주변부만 열원의 직접적 영향을 받게 되어 암텍(AMTEC) 셀 자체에도 온도 구배를 주어 부위별로 다른 전기화학적인 효율을 나타내게 되며, 열 구배에 따른 응력 발생으로 세라믹 및 접합부의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벽면 등 냉각부 이외의 원치 않는 부위에서 기상의 Na 등의 작동 유체가 응결이 일어나 작동 유체의 순환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을 포함하는 열전환 발전기는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를 위치시킬 수 있는 케이스, 케이스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을 통과한 작동 유체를 포집하여 응축하는 응축부, 케이스 하단부에 위치하여 작동 유체에 열을 전달하여 증기로 변환시키고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로 작동 유체 증기를 이송하는 증발부, 응축부와 접해 있는 케이스 외부의 상단면 제외 나머지 면에 위치하며, 열유체를 통과시키는 열교환기, 응축부와 상기 증발부의 공간을 연결하여 작동유체가 이송할 수 있는 순환부, 증발부와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 사이를 접합하는 접합부와 상기 케이스 하단부를 가열하는 열원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온도 구배가 없고 열유체가 열교환기를 통해 시스템 온도를 높인 후 순환하는 방식으로 재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이 매우 높은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본원 발명의 구성을 사용하면, 온도 구배가 없고 열유체가 열교환기를 통해 시스템 온도를 높인 후 순환하는 방식으로 재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이 매우 높은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시스템과는 달리 시스템 내에 온도 구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열충격이 매우 작고 암텍(AMTEC)을 구성하는 셀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시스템과 냉각부의 온도차이가 커서 응축이 냉각부에만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Na 등의 작동 유체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 효율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열교환기는 열유체 입구 및 출구만이 필요한 컴팩트 형태로 제조 가능하여 모듈 구성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열전환 발전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전환 발전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의한 단위 열전환 발전기의 원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의한 열전환 발전 셀을 나타낸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의한 단위 열전환 발전기의 원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한, 도 2는 본원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전환 발전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110)을 포함하는 열전환 발전기(100)는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110), 상기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110)를 위치시킬 수 있는 케이스(120), 상기 케이스(120)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110)을 통과한 작동유체를 포집하여 응축하는 응축부(130), 상기 케이스(120) 하단부에 위치하여 작동유체에 열을 전달하여 증기로 변환시키고 상기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110)로 작동유체 증기를 이송하는 증발부(140), 상기 응축부(130)와 접해 있는 상기 케이스(120) 외부의 상단면 제외 나머지 면에 위치하며, 열유체를 통과시키는 열교환기(170), 상기 응축부(130)와 상기 증발부(140)의 공간을 연결하여 작동유체가 이송할 수 있는 순환부(160), 상기 증발부(140)와 상기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110) 사이를 접합하는 접합부(150) 및 상기 케이스(120) 하단부를 가열하는 열원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열교환기(170)는 온도 구배를 균일하게 하며 고온의 유체를 유입하는 하나 이상의 입구, 열교환이 이루어진 저온의 유체를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출구, 열유체가 통과하는 유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닐 것이다.
상기 열유체는 기체, 액체의 형상을 포함하는 물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아상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은 본원 발명에 의한 열전환 발전 셀을 나타낸다.
상기 열전환 발전 셀(110)은 튜브형의 금속 지지체(112), 상기 튜브형 금속 지지체(112) 내부 표면에 형성된 다공성 내부 전극(111), 상기 튜브형의 금속 지지체(112) 외부 표면에 형성된 고체 전해질(113) 및 상기 고체 전해질(113) 표면에 형성된 다공성 외부 전극(114)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금속 지지체(112)와 상기 금속 지지체(112) 내부 표면에 형성된 내부 전극(111)은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금속 지지체(112)로 작용하는 내부 전극(111)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금속 지지체(112)는 다공성 금속 지지체로 Mo, Ti, W, Cu, Ni, Fe, Cr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고체 전해질(113)은 베타 알루미나계 또는 나시콘계 고체 전해질이며, 박막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더욱 바람직한 것은 베타 알루미나계 박막일 것이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닐 것이다.
상기 다공성 전극은 Mo, Ni, Al, PtW, RhW TiC, TiN, SiN, RuO, Ru2O, RuW, Nb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열전환 발전 셀(110)에서 전극과 금속 지지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된 전기를 제어하는 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접합부(150)는 상기 열전환 발전 셀(110)에서 생성된 전기가 상기 발전부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된 것이 가능할 것이며, 절연성을 갖는 알파 알루미나, 상기 증발부(140)와 접합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알파 알루미나 하부에 위치하는 금속 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작동 유체는 Na, K, Li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Na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응축부(130)는 상부의 저온저압 작동유체가 통과하는 모세관 윅(131), 상기 모세관 윅(131) 상부의 응축기(132)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순환부(160)는 상기 응축부(130)로 연결되는 모세관 순환윅(161)인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원 발명의 구성을 통해 외부의 열로 구동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암텍(AMTEC) 시스템의 온도를 균일하게 향상시켜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필요로 하는 지속적인 열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온도 구배가 없고 열유체가 열교환기를 통해 시스템 온도를 높인 후 순환하는 방식으로 재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이 매우 높은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온도 구배가 없고 열유체가 열교환기를 통해 시스템 온도를 높인 후 순환하는 방식으로 재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이 매우 높은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시스템과는 달리 시스템 내에 온도 구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열충격이 매우 작고 암텍(AMTEC) 을 구성하는 셀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시스템과 냉각부의 온도차이가 커서 응축이 냉각부에만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Na 등의 작동 유체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 효율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열교환기는 열유체 입구 및 출구만이 필요한 컴팩트 형태로 모듈 구성이 용이하다.
본원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0: 열전환 발전기 110: 열전환 발전 셀
111: 내부 전극 112: 금속 지지체
113: 고체 전해질 114: 외부 전극
120: 케이스 130: 응축부
131: 모세관 윅 132: 응축기
140: 증발부 150: 접합부
160: 순환부 161: 모세관 순환 윅
170: 열교환기 171: 유체 이동 방향
180: 열원
200: 종래의 열전환 발전기 210: 종래의 열전환 발전 셀
220: 종래의 케이스 230: 종래의 응축부
240: 종래의 증발부 261: 종래의 모세관 순환 윅
280: 종래의 열원

Claims (14)

  1.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을 포함하는 열전환 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열전환 발전기는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
    상기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를 위치시킬 수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상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을 통과한 작동유체를 포집하여 응축하는 응축부;
    상기 케이스 하단부에 위치하여 작동유체에 열을 전달하여 증기로 변환시키고 상기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로 작동유체 증기를 이송하는 증발부;
    상기 응축부와 접해 있는 상기 케이스 외부의 상단 면을 제외 나머지 면에 위치하며, 열유체를 통과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응축부와 상기 증발부의 공간을 연결하여 작동유체가 이송할 수 있는 순환부;
    상기 증발부와 상기 다수 개의 열전환 발전 셀 사이를 접합하는 접합부; 및
    상기 케이스 하단부를 가열하는 열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환 발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고온의 유체를 유입하는 하나 이상의 입구;
    열교환이 이루어진 저온의 유체를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출구;
    열유체가 통과하는 유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환 발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유체는
    기체, 액체의 형상을 포함하는 물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환 발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열전환 발전기 내부의 온도 구배를 균일하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환 발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환 발전 셀은
    튜브형의 금속 지지체;
    상기 튜브형 금속 지지체 내부 표면에 형성된 다공성 내부 전극
    상기 튜브형 금속 지지체 외부 표면에 형성된 고체 전해질
    상기 고체 전해질 표면에 형성된 다공성 외부 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환 발전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금속 지지체는 다공성 금속 지지체로
    Mo, Ti, W, Cu, Ni, Fe, Cr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환 발전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은 베타 알루미나계 또는 나시콘계 고체 전해질이며,
    박막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환 발전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전극은 Mo, Ni, Al, PtW, RhW TiC, TiN, SiN, RuO, Ru2O, RuW, NbC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환 발전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환 발전 셀에서 전극과 금속 지지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된 전기를 제어하는 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환 발전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열전환 발전 셀에서 생성된 전기가 상기 발전부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절연성을 갖는 알파 알루미나,
    상기 증발부와 접합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알파 알루미나 하부에 위치하는 금속 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환 발전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유체는 Na, K, Li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환 발전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는 상부의 저온저압 작동유체가 통과하는 모세관 윅,
    상기 모세관 윅 상부의 응축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환 발전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응축부로 연결되는 모세관 순환윅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환 발전기.





KR20130053348A 2013-05-10 2013-05-10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amtec 시스템. KR101479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3348A KR101479089B1 (ko) 2013-05-10 2013-05-10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amtec 시스템.
US13/959,696 US20140332046A1 (en) 2013-05-10 2013-08-05 Alkali metal thermal to electric converter system including heat exchanger
JP2013164715A JP5723425B2 (ja) 2013-05-10 2013-08-08 熱交換器を含むアルカリ金属熱電変換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3348A KR101479089B1 (ko) 2013-05-10 2013-05-10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amtec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742A true KR20140133742A (ko) 2014-11-20
KR101479089B1 KR101479089B1 (ko) 2015-01-08

Family

ID=5186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3348A KR101479089B1 (ko) 2013-05-10 2013-05-10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amtec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332046A1 (ko)
JP (1) JP5723425B2 (ko)
KR (1) KR1014790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844B1 (ko) * 2016-11-08 2018-07-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착탈식 열전발전 셀을 포함하는 열전발전장치
KR101960027B1 (ko) * 2017-10-31 2019-03-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집적형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 장치
KR20190056688A (ko) * 2017-11-17 2019-05-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발전 장치
KR20230100141A (ko) * 2021-12-28 2023-07-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07710A1 (it) * 2018-07-31 2020-01-31 Qohelet Solar Italia Spa Dispositivo per la conversione di energia, sistema di conversione di energia e relativo procedimento di conversione di energia
CN109956750A (zh) * 2019-03-28 2019-07-02 西北工业大学 碱金属热电转换器多孔碳化钛电极材料的制备方法
US20210254581A1 (en) * 2020-02-18 2021-08-19 Modern Electron, LLC Combined heating and power modules and devices
CN111641353B (zh) * 2020-06-11 2021-04-20 南昌航空大学 一种湿式柔性发电装置及系统
CN113933621B (zh) * 2021-09-24 2023-06-20 西北核技术研究所 单管Na-AMTEC实验装置及实验方法
KR20230100122A (ko) 2021-12-28 2023-07-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열전발전장치
ES2959321A1 (es) * 2022-07-31 2024-02-23 David Dobney Sistema y método de dispositivo electroquímic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603B2 (ja) * 1987-10-02 1994-05-02 工業技術院長 固体電解質型熱電変換装置
JP2706307B2 (ja) * 1989-03-31 1998-01-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アルカリ金属熱電変換装置
JP2673584B2 (ja) * 1989-07-31 1997-11-05 工業技術院長 多孔質電極構造の作製方法
DE4033346A1 (de) * 1989-11-17 1991-05-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Thermoelektrische hochleistungs-umwandlungsvorrichtung auf duennschicht-alkalimetall basis
JPH03253277A (ja) * 1990-03-02 1991-11-12 Hitachi Ltd アルカリ金属熱電発電装置
JPH04190686A (ja) * 1990-11-21 1992-07-09 Hitachi Ltd アルカリ金属熱電変換装置
JP3481959B2 (ja) * 1992-07-27 2003-12-22 中部電力株式会社 アルカリ金属熱電発電装置
JPH06163089A (ja) * 1992-11-25 1994-06-10 Hitachi Ltd アルカリ金属熱電発電装置
US5998728A (en) * 1997-05-21 1999-12-07 Advanced Modular Power Systems, Inc. Ionically insulating seal for alkali metal thermal to electric conversion (AMTEC) cells
US6239350B1 (en) * 1998-09-28 2001-05-29 Advanced Modular Power Systems Internal self heat piping AMTEC cell
US20030201006A1 (en) * 2002-02-05 2003-10-30 Sievers Robert K. Open loop alkali metal thermal to electric converter
JP4147299B2 (ja) * 2002-07-23 2008-09-10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熱電子発電素子とアルカリ金属熱電変換素子とから構成される複合発電素子および複合発電システム
JP4008392B2 (ja) * 2003-07-15 2007-11-14 独立行政法人 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アルカリ金属熱電発電装置
KR100742739B1 (ko) * 2005-07-15 2007-07-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직조가 쉬운 실 형태의 가변형 전지
JP4320445B2 (ja) * 2005-07-25 2009-08-26 独立行政法人 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アルカリ金属熱電発電装置を備えた液体金属冷却型原子炉
KR101007850B1 (ko) * 2008-07-25 2011-01-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히트파이프가 설치된 amtec장치
KR101137377B1 (ko) * 2010-06-10 2012-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열전환 발전 시스템
JP2012016101A (ja) 2010-06-30 2012-01-19 Hitachi Ltd ヒートパイプ付き熱電変換装置を備えた発電装置
KR101146676B1 (ko) * 2010-08-31 2012-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체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환 발전기
KR101305431B1 (ko) * 2013-01-04 2013-09-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금속 지지형 열변환 발전 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844B1 (ko) * 2016-11-08 2018-07-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착탈식 열전발전 셀을 포함하는 열전발전장치
KR101960027B1 (ko) * 2017-10-31 2019-03-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집적형 알칼리 금속 열전 변환 장치
KR20190056688A (ko) * 2017-11-17 2019-05-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발전 장치
KR20230100141A (ko) * 2021-12-28 2023-07-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32046A1 (en) 2014-11-13
KR101479089B1 (ko) 2015-01-08
JP2014220982A (ja) 2014-11-20
JP5723425B2 (ja)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089B1 (ko)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amtec 시스템.
Nafchi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of a solar hydrogen and electricity production plant using high temperature PEM electrolyzer and energy storage
Reynard et al. Efficiency improvement of an all-vanadium redox flow battery by harvesting low-grade heat
JP4320445B2 (ja) アルカリ金属熱電発電装置を備えた液体金属冷却型原子炉
CN105888994A (zh) 聚光太阳能蓄电发电装置
KR101584617B1 (ko)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전방법
KR101305431B1 (ko) 금속 지지형 열변환 발전 셀
JP5775121B2 (ja) 多孔性集電物質を用いた熱変換発電セルを含む熱変換発電機
KR101400908B1 (ko) 알루미나와 산화칼슘(CaO)를 이용한 베타 알루미나와 알파 알루미나의 접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위 열 전환 발전기.
JP5683656B2 (ja) 熱変換発電セルの内部集電構造及び製造方法
Irani et al. Dynamic simul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novel solar heliostat-based alkali metal thermoelectric converter system
KR101630157B1 (ko) 알카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이용한 열발전장치와 이의 작동방법
JP5657073B2 (ja) 内部電極開放型アルカリ金属熱電変換器単位セル
CN102522584B (zh) 热交换系统及热交换方法
KR101631553B1 (ko) 알카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의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
KR102665562B1 (ko)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JP7428829B2 (ja) ハロゲン系熱電気化学変換器
Onea et al. Direct energy conversion using liquid metals
Han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and Parametric Design of a Combined System Consisting of High-Temperatur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and Absorption Refrigerator
CN203812974U (zh) 阵列热管式质子交换膜燃料电池热管理结构
KR102458594B1 (ko) 단위전지 탈착식 열전변환모듈
KR101857255B1 (ko) 가변전열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
KR20230100141A (ko)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KR20230100122A (ko) 열전발전장치
ZLATANOVIĆ et al. COGENERATION WITH CONCENTRATED SOLAR RADIATION FOR DECENTRALIZED ENERGY SUPPLY IN AGRICUL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