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562B1 -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562B1
KR102665562B1 KR1020210189777A KR20210189777A KR102665562B1 KR 102665562 B1 KR102665562 B1 KR 102665562B1 KR 1020210189777 A KR1020210189777 A KR 1020210189777A KR 20210189777 A KR20210189777 A KR 20210189777A KR 102665562 B1 KR102665562 B1 KR 102665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alkali metal
metal charge
heat conversion
charge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0141A (ko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89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562B1/ko
Publication of KR20230100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1Temperature-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AMTEC(암텍) 열전발전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전하를 운반하기 위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충진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열전환발전셀(200); 상기 케이스(100) 하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에 열을 전달하여 증기로 변환시키는 증발부(300); 상기 증발부(300)에서 생성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로 와류를 형성시켜 상기 열전환발전셀(200)로 이송하는 와류형성부(400); 상기 케이스(100) 상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열전환발전셀(200)을 통과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포집하여 응축시키는 응축부(500); 및 상기 응축부(500)에서 응축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상기 증발부(300)로 이송하여 순환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모세관윅(6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AMTEC Apparatus With Swirling Module}
본 발명은 부산산업과학혁신원(BISTEP)의 부산광역시 대학혁신연구단지조성사업의 지원에 의해 발생한 성과물로써, 열전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증기화하여 열전환발전셀로 이송될 시 와류형성부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어 열전환발전셀로 집중적으로 이송됨으로써 열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AMTEC(Alkali Metal Themal to Electric Convertor)은 열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특성이 있는 열변환 전기발생장치로서 이온전도성을 갖는 베타알루미나 고체전해질(BASE, Beta-Alumina Solid Electrolyte)의 양단에 온도차를 주면 셀 내부에서 충전된 Na의 증기압 차가 추진력이 되어 느슨하게 결합하고 있는 격자산소 틈새 층으로 Na+ 이온의 이동이 일어나게 된다.
자유전자들은 양극(anode)으로부터 전기부하로 통과하여 음극(cathode)으로 돌아와서 베타알루미나 고체전해질의 표면에서 나오는 이온과 재결합하여 중성화(Neutralization)되는 과정에서 전기를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단일 전기화학적 셀의 OCV(open circuit voltage)는 1.6V 이상이 얻어진다. 이때 출력형태는 저전압, 대전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들을 모듈화하여 모을 경우 대용량 발전이 가능하다.
우주용의 전력원으로서 반도체식의 열전발전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나 효율이 낮고, 발전시스템이 무거운 단점이 있는데, AMTEC 기술은 이러한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열전발전시스템을 대체하기위해 개발이 시작된 기술이며, 단위면적당 높은 전력밀도, 고효율 및 안정성을 유지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AMTEC 기술은 종래의 발전기술과는 달리 터빈이나 보일러와 같은 구동부가 없어 열원으로 태양에너지, 화석연료, 폐열, 지열, 원자로 등 다양한 열원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특히 단위질량당 출력밀도가 태양광 발전, 스터링 엔진에 약 2배 정도이므로 우주용, 군사용 및 고온폐열을 이용한 전원기술에 광범위하게 응용이 가능한 미래지향적인 신발전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페열의 형태는 배가스, 배공기, 폐온수, 폐증기 등이 있고, 생산공정의 제품의 현열, 반응열 또한 폐열로 분류되며 이들의 폐열회수는 부식성 물질 포함여부, 온도 및 유량의 조건에 따라 적용가능한 열교환기의 형태 및 규격과 재질 등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폐열 이용장치로는 폐열 회수기, 전열 교환기, 히트 파이프식 열교환기 등이 있고, 특별한 경우 별도외 회수 시스템이 고려되고 있다.
AMTEC 기술은 고품질의 전기를 열원으로부터 직접 생산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어 기존의 수력발전, 화력발전, 원자력발전, 조력발전, 풍력발전 등의 발전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기술로 대두되고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높은 에너지 변환효율을 갖는 특징이 있다.
KR 10-1007850 B1 KR 10-1479089 B1 KR 10-1584617 B1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는 종래의 열전발전장치에서 열변환 효율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증기화하여 열전환발전셀로 이송될 시 와류형성부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어 열전환발전셀로 집중적으로 이송됨으로써 열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는,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AMTEC(암텍) 열전발전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전하를 운반하기 위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충진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열전환발전셀(200); 상기 케이스(100) 하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에 열을 전달하여 증기로 변환시키는 증발부(300); 상기 증발부(300)에서 생성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로 와류를 형성시켜 상기 열전환발전셀(200)로 이송하는 와류형성부(400); 상기 케이스(100) 상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열전환발전셀(200)을 통과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포집하여 응축시키는 응축부(500); 및 상기 응축부(500)에서 응축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상기 증발부(300)로 이송하여 순환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모세관윅(6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은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로부터 전하를 주고받는 양극(210)과 음극(220) 및 상기 양극(210)과 상기 음극(2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다공성전해질(230)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210)과 상기 음극(220)은 철(Fe),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티타늄(Ti), 텅스텐(W), 몰리브덴(Mo), PtW, RhW 니켈-철 합금, 스테인리스, 청동, PtW, RhW, TiC, TiN, SiN, RuO, RuW, Ru20, Rh2W, NbC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공질의 멤브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전해질(230)은 베타알루미나(β/β”-Alumina) 또는 NASICON(Na Super Ionic CONductor)계의 고체전해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타알루미나(β/β”-Alumina)는 알파알루미나(α-Alumina)와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ttria-Stabilized Zirconia)의 복합체를 기상의 산화나트륨(Na2O)과 반응시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는 나트륨(Na), 칼륨(K), 리튬(Li)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류형성부(400)는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00) 하단부와 맞닿는곳에 설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를 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송풍모듈(410)과 상기 송풍모듈(41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지봉모듈(420) 및 상기 지지봉모듈(4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모듈(430)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모듈(430)은 상기 송풍모듈(410)에서 이격되어 상기 지지봉모듈(420)의 끝단까지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관통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는,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증기화하여 열전환발전셀로 이송될 시 와류형성부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어 열전환발전셀로 집중적으로 이송됨으로써 열변환 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환발전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화발전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환발전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화발전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는 케이스(100), 열전환발전셀(200), 증발부(300), 와류형성부(400), 응축부(500) 및 모세관윅(6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열전환발전셀(200), 상기 증발부(300), 상기 와류형성부(400), 상기 응축부(500), 상기 모세관윅(600)을 내포하여 밀봉되는 것으로, 내부에 전하를 운반하기 위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은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의 증기와 상호작용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단위셀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전환발전셀(200)은 유체순환 측면에서 밑면이 윗면보다 큰 원뿔대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는 나트륨(Na)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칼륨(K), 리튬(Li)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나트륨(Na)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증발부(300)의 온도는 1100K, 상기 응축부(500)의 온도는 650K 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용융점이 낮은 칼륨(K)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증발부(300)와 상기 응축부(500)의 구동온도를 120K 정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나트륨(Na)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은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로부터 전하를 주고 받는 양극(210)과 음극(220) 및 상기 양극(210)과 상기 음극(2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다공성전해질(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210)과 상기 음극(220)은 철(Fe),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티타늄(Ti), 텅스텐(W), 몰리브덴(Mo), PtW, RhW 니켈-철 합금, 스테인리스, 청동, PtW, RhW, TiC, TiN, SiN, RuO, RuW, Ru20, Rh2W, NbC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공질의 멤브레인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공성전해질(230)은 나트륨(Na) 이온을 통과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는 소재로써 높은 이온전도도와 강도 및 치밀한 미세구조에 의한 고내구성을 지녀야 하며, 나트륨(Na) 이온이 잘 통과할 수 있는 층상구조를 갖는 재료가 적용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전해질(230)은 베타알루미나(β”-Alumina)계의 고체전해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타알루미나(β-Alumina) 또는 NASICON(Na Super Ionic CONductor)계의 고체전해질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베타알루미나(β/β”-Alumina)는 알파알루미나(α-Alumina)와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ttria-Stabilized Zirconia)의 복합체를 기상의 산화나트륨(Na2O)과 반응시켜 생성될 수 있으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를 사용함으로써 강도 및 내수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열전환발전셀(200) 내부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후술되는 증발부(300)에 의해 증기상태로 변하여 이송되면,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이온은 상기 다공성전해질(230)을 통과하고, 자유전자들은 상기 양극(210)으로 전기부하로 통과하여 상기 음극(220)으로 돌아와서 다공성전해질(230)에서 나오는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이온과 재결합함으로써 전기가 발생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에는 전기를 이송시킬 전선 등의 이송장치와 이러한 이송장치와 연결되어 집전하는 집전장치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의 발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열전환발전셀(200)과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의 접촉 단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환발전셀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은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로부터 전하를 주고받는 양극(210)과 음극(220) 및 상기 양극(210)과 상기 음극(2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다공성전해질(230)을 포함하되, 상기 열전활발전셀(2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의 내주면과 외주면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열전환발전셀(200)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증기화하여 이송될 시 상기 열전환발전셀(200)과의 접촉 단면적을 넓힘으로써 열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열전환발전셀(200)의 경우 내부에 돌출되는 부분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가 이송될 시 와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열전환발전셀(200)과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의 상호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열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환발전셀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은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로부터 전하를 주고받는 양극(210)과 음극(220) 및 상기 양극(210)과 상기 음극(2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다공성전해질(230)을 포함하되, 상기 열전활발전셀(2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의 내주면과 외주면은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열전환발전셀(200)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증기화하여 이송될 시 상기 열전환발전셀(200)과의 접촉 단면적을 넓힘으로써 열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열전환발전셀(200)의 경우도 내부에 돌출되는 부분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가 이송될 시 와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열전환발전셀(200)과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의 상호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열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증발부(300)는 상기 케이스(100) 하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에 열을 전달하여 증기로 변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증발부(300)는 히트파이프와 같은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증발부(300)의 열원으로 태양에너지, 화석연료, 폐열, 지열, 원자로 등의 다양한 열원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나트륨(Na)인 경우에는 상기 증발부(300)의 설정온도는 1100K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증발부(300)의 설정온도가 900~1150K의 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와류형성부(400)는 상기 증발부(300)에서 생성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로 와류를 형성시켜 상기 열전환발전셀(200)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모듈(410), 지지봉모듈(420) 및 날개모듈(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모듈(41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00) 하단부와 맞닿는곳에 설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를 상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모듈(410)은 블로워 또는 진공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봉모듈(420)은 상기 송풍모듈(410)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봉모듈(420)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날개모듈(430)은 상기 지지봉모듈(42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모듈(430)은 상기 송풍모듈(410)에서 이격되어 상기 지지봉모듈(420)의 끝단까지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날개모듈(43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관통공은 각각 다른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응축부(500)는 상기 케이스(100) 상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을 통과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포집하여 응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응축부(500)는 히트파이프와 같은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나트륨(Na)인 경우에는 상기 응축부(500)의 설정온도는 650K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응축부(500)의 설정온도가 500~700K의 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모세관윅(600)은 상기 케이브(100) 중앙부에 상기 응축부(500)와 연결되며, 상기 응축부(500)에서 응축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포집하여 상기 증발부(300)로 이송하여 순환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부(300), 상기 응축부(500), 상기 모세관윅(600)은 별개 독립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증발부(300), 상기 응축부(500), 상기 모세관윅(600)은 일체하여 하나의 모세관윅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의 순환을 위해 모세관윅을 사용하여 기계적 요소를 최소함에 따라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는,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증기화하여 열전환발전셀로 이송될 시 와류형성부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어 열전환발전셀로 집중적으로 이송됨으로써 열변환 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는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로 나트륨을 대상으로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튬, 칼륨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0 :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100 : 케이스 200 : 열전환발전셀
210 : 양극 220 : 음극
230 : 다공성전해질 300 : 증발부
400 : 와류형성부 410 : 송풍모듈
420 : 지지봉모듈 430 : 날개모듈
500 : 응축부 600 : 모세관윅

Claims (6)

  1.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AMTEC(암텍) 열전발전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전하를 운반하기 위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가 충진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중앙부에서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열전환발전셀(200);
    상기 케이스(100) 하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에 열을 전달하여 증기로 변환시키는 증발부(300);
    상기 증발부(300)에서 생성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로 와류를 형성시켜 상기 열전환발전셀(200)로 이송하는 와류형성부(400);
    상기 케이스(100) 상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열전환발전셀(200)을 통과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포집하여 응축시키는 응축부(500); 및
    상기 응축부(500)에서 응축된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상기 증발부(300)로 이송하여 순환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모세관윅(600); 을 포함하고,

    상기 와류형성부(400)는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00) 하단부와 맞닿는곳에 설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 증기를 상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송풍모듈(410)과 상기 송풍모듈(41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의 내부에 위치되는 지지봉모듈(420) 및 상기 지지봉모듈(4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모듈(430)을 포함하고,
    상기 날개모듈(430)은 상기 송풍모듈(410)에서 이격되어 상기 지지봉모듈(420)의 끝단까지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관통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환발전셀(200)은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로부터 전하를 주고받는 양극(210)과 음극(220) 및 상기 양극(210)과 상기 음극(2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다공성전해질(230)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210)과 상기 음극(220)은 철(Fe),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티타늄(Ti), 텅스텐(W), 몰리브덴(Mo), PtW, RhW 니켈-철 합금, 스테인리스, 청동, PtW, RhW, TiC, TiN, SiN, RuO, RuW, Ru20, Rh2W, NbC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공질의 멤브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전해질(230)은 베타알루미나(β/β”-Alumina) 또는 NASICON(Na Super Ionic CONductor)계의 고체전해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알루미나(β/β”-Alumina)는 알파알루미나(α-Alumina)와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ttria-Stabilized Zirconia)의 복합체를 기상의 산화나트륨(Na2O)과 반응시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는 나트륨(Na), 칼륨(K), 리튬(Li)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6. 삭제
KR1020210189777A 2021-12-28 2021-12-28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KR102665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777A KR102665562B1 (ko) 2021-12-28 2021-12-28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777A KR102665562B1 (ko) 2021-12-28 2021-12-28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141A KR20230100141A (ko) 2023-07-05
KR102665562B1 true KR102665562B1 (ko) 2024-05-16

Family

ID=87159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777A KR102665562B1 (ko) 2021-12-28 2021-12-28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5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6686A (ja) * 2008-06-02 2009-12-17 Honda Motor Co Ltd 可搬式発電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850B1 (ko) 2008-07-25 2011-01-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히트파이프가 설치된 amtec장치
KR101479089B1 (ko) * 2013-05-10 2015-0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amtec 시스템.
KR101631553B1 (ko) * 2014-05-08 2016-06-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알카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의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
KR101584617B1 (ko) 2014-05-12 2016-01-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전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6686A (ja) * 2008-06-02 2009-12-17 Honda Motor Co Ltd 可搬式発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141A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3425B2 (ja) 熱交換器を含むアルカリ金属熱電変換器
US4087976A (en) Electric power plant using electrolytic cell-fuel cell combination
KR101007850B1 (ko) 히트파이프가 설치된 amtec장치
KR101584617B1 (ko)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전방법
El-Genk et al. AMTEC/TE static converters for high energy utilization, small nuclear power plants
CN101764533B (zh) 基于碱金属热电转换的发电与制氢联合循环系统
KR102665562B1 (ko) 와류형성부가 구비된 열전발전장치
JP5775121B2 (ja) 多孔性集電物質を用いた熱変換発電セルを含む熱変換発電機
KR101305431B1 (ko) 금속 지지형 열변환 발전 셀
JP5657073B2 (ja) 内部電極開放型アルカリ金属熱電変換器単位セル
KR101631553B1 (ko) 알카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의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
KR101630157B1 (ko) 알카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이용한 열발전장치와 이의 작동방법
KR20230100122A (ko) 열전발전장치
JP5683656B2 (ja) 熱変換発電セルの内部集電構造及び製造方法
KR102060010B1 (ko) 발전 장치
KR101857255B1 (ko) 가변전열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
JP6973759B1 (ja) チューブタイプsofc
Underwood et al. Performance projections of alternative AMTEC systems and devices
CN217536181U (zh) 一种soec制氢和供热一体化装置
CN101674031A (zh) 组合型碱金属热电直接转换式太阳能系统
KR101877844B1 (ko) 착탈식 열전발전 셀을 포함하는 열전발전장치
KR101483590B1 (ko) Amtec 장치용 윅부재 제조방법
Reznichenko et al. Can Solid Oxide Fuel Cells Change Transportation?
KR20180093143A (ko) Amtec 열병합발전 보일러 및 그 응용 기술
Rezapour APPLICATION OF FUEL CELL FOR HEATING AND COO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