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377B1 -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열전환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열전환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377B1
KR101137377B1 KR1020100055105A KR20100055105A KR101137377B1 KR 101137377 B1 KR101137377 B1 KR 101137377B1 KR 1020100055105 A KR1020100055105 A KR 1020100055105A KR 20100055105 A KR20100055105 A KR 20100055105A KR 101137377 B1 KR101137377 B1 KR 101137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electrode
heat source
working flui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5291A (ko
Inventor
김주용
정병주
김태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5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377B1/ko
Priority to US12/969,545 priority patent/US9023495B2/en
Publication of KR20110135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3/00Generators in which thermal or kinetic energy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by ionisation of a fluid and removal of the charge therefrom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작동유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상기 제1 단부에 대응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2 단부에 대응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고체 전해질; 상기 고체 전해질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고체 전해질의 타 면에 배치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단부 또는 상기 제2 단부를 교대로 가열하는 열원;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고체 전해질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할 때에 이온화과정을 거치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열전환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열전환 발전 시스템{Electric converter unit and electric converter system}
본 발명은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열전환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발전 시스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폐열을 회수하는 기술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하고 있다. 현재 보편화되어 있는 폐열회수기술은 대부분 열교환기나 폐열 보일러를 사용하여 열수나 연소용 공기 또는 증기의 형태로 회수하고 있어 기술적으로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한계에 도달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많은 경우 폐열회수장치는 규모면에서 상당히 크기 때문에 설치환경에 대한 제한적인 요소가 많으며, 산업용이나 발전용인 대용량 열교환기 경우에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많은 시설투자비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설비투자에 대한 사전이용계획의 수립과 대책이 필요하며 설치 후 가동에 있어서도 철저한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 한편 폐열을 회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보통 증기 발생설비와 터빈 및 압축기를 비롯한 주변공급시설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술적인 타당성은 물론, 이들에 대한 충분한 경제성이 있어야 하는데, 특히 생산된 전기의 사용처에 대한 경제성 검토가 있어야 한다. 알카리 금속 열전환 발전기(Alkali metal thermal to electric converter:AMTEC)는 기존의 발전방식과는 달리 터빈이나 보일러와 같은 설비가 필요없이 열교환되는 전열면 자체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 셀로 구성되기 때문에 열과 접촉되는 부위에서 직접 전기를 생산할 수가 있으며, 이러한 단위소자를 직렬이나 병렬형태로 연결하여 모듈화할 수 있기 때문에 수kW 규모에서 수백 MW규모의 대용량 발전이 가능한 기술이다.
가열원으로서는 각종 산업폐열을 비롯하여 원자로의 반응열, 태양열, 지열 및 화석 에너지 등 매우 다양한 열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시스템과 복합발전하기도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열전환 발전 시스템이 단순화된 구조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열전환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작동유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상기 제1 단부에 대응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2 단부에 대응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고체 전해질; 상기 고체 전해질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고체 전해질의 타 면에 배치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단부 또는 상기 제2 단부를 교대로 가열하는 열원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고체 전해질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서 다른 한 공간으로 이동할 때에 이온화과정을 거치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유체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함에 의하여 이온화되며, 상기 이온화된 작동유체는 상기 고체 전해질을 통과한 다음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다른 하나를 통과함에 의하여 중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원은 상기 제1 단부를 가열하는 제1 열원 및 상기 제2 단부를 가열하는 제2 열원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원은 또한 기준면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가 상기 열원에 대해 상기 제1 단부 또는 상기 제2 단부가 교대로 가열되도록 상기 케이스를 움직이는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제어하는 발전부를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는 전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상기 작동유체를 이동시키는 전달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유체는 알카리계 금속일 수 있다. 상기 작동유체는 나트륨(Na)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은, 제1 다공성 전극 및 제1 집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은, 제2 다공성 전극 및 제2 집전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다공성 전극 및 상기 제2 다공성 전극은 질화티타늄(Ti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집전체 및 상기 제2 집전체는 몰리브덴(Mo)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체 전해질은 베타" 알루미나(β"-Al2O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열원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열전환 발전 시스템으로써, 상기 단위 열전환 발전기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작동유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상기 제1 단부에 대응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2 단부에 대응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고체 전해질; 상기 고체 전해질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고체 전해질의 타 면에 배치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단부 또는 상기 제2 단부를 교대로 가열하는 열원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고체 전해질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서 다른 한 공간으로 이동할 때에 이온화과정을 거치고, 상기 열원 조절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열전환 발전기의 가열 시점을 조절하는 열전환 발전 시스템을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유체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함에 의하여 이온화되며, 상기 이온화된 작동유체는 상기 고체 전해질을 통과한 다음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다른 하나를 통과함에 의하여 중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단위 열전환 발전기에서 발전한 전기를 제어하는 발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 열전환 발전기의 상기 열원은, 상기 제1 단부에 배치되는 제1 열원 및 상기 제2 단부에 배치되는 제2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원은 기준면에 고정되며 상기 단위 열전환 발전기는 상기 열원에 대해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가 교대로 가열되도록 상기 케이스를 움직이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는 전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상기 작동유체를 이동시키는 전달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열전환 발전 시스템에의하면 구조가 단순화되어 유지 및 보수가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열전환 발전기의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실시예에서 가열 방향을 바꾼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2는 제1 전극, 고체 전해질 및 제2 전극의 결합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열전환 발전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실시예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를 복수 개 구비하여 순차적으로 케이스를 회전시키는 열전환 발전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3의 실시예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를 복수 개 구비하여 순차적으로 열원에 온도를 조절하는 열전환 발전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순차적으로 조절된 열원의 온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따른 단위 열전환 발전기의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열전환 발전기의 개략적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열전환 발전기(1)의 개념을 먼저 설명하고, 이후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열전환 발전기(1)를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열전환 발전기(1)의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실시예에서 가열 방향을 바꾼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2는 제1 전극(30), 제2 전극(40) 및 고체 전해질(50)의 결합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단위 열전환 발전기(1)는 케이스(10), 제1 전극(30), 제2 전극(40), 고체 전해질(50), 작동유체(70) 및 열원(90)을 구비한다. 케이스(10)는 제1 단부(10a) 및 제2 단부(10b)를 구비한다. 이때, 제1 단부(10a) 또는 제2 단부(10b) 중 한 단부는 고온부를 다른 한 단부는 저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0)의 내부는 작동유체(70)가 충진될 수 있다. 작동유체(70)는 알카리계 금속이며 예를 들어 나트륨(Na)일 수 있다. 그러나 작동유체(70)의 구성은 나트륨(Na)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리튬(Li), 칼륨(K), 루비듐(Rb), 세슘(Cs) 등의 다른 알카리계 금속 역시 작동유체(70)로 작동할 수 있다.
케이스(10)의 내부는 고체 전해질(50)에 의해 제1 공간(20a)과 제2 공간(20b)으로 구획된다. 여기서, 제1 공간(20a)은 제1 단부(10a)와 대응하며 제2 공간(20b)은 제2 단부(10b)와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부(10a) 또는 제2 단부(10b) 중 어느 한 단부가 고온부를 형성하면 이에 대응하는 제1 공간(20a) 또는 제2 공간(20b) 중 어느 한 공간 내부는 다른 공간에 비해 고온부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고체 전해질(50)은 베타 알루미나(beta β-alumina, Na20.11Al2O3), 또는 베타" 알루미나(β"-Al2O3)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체 전해질(50)의 일 면에는 제1 전극(30)이 타 면에는 제2 전극(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30)은 제1 집전체(31) 및 제1 다공성 전극(33)을 구비한다. 제2 전극(40)은 제2 집전체(41) 및 제2 다공성 전극(43)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다공성 전극(33) 또는/및 제2 다공성 전극(43)의 표면은 표면적이 넓고 알카리 금속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다공성 전극(33) 또는/및 제2 다공성 전극(43)은 작동유체(70)로부터 전자를 얻거나 주는 역할을 한다. 제1 집전체(31) 또는/및 제2 집전체(41)는 제1 다공성 전극(33) 또는/및 제2 다공성 전극(43)이 얻은 전자를 외부 회로에 전달하거나 외부 회로로부터 전자를 공급받는 역할을 한다. 제1 집전체(31) 또는/및 제2 집전체(41)는 그물망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다공성 전극(33) 및 제2 다공성 전극(43)은 질화티타늄(TiN)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다공성 전극(33) 및 제2 다공성 전극(43)의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집전체(31) 및 제2 집전체(41)는 몰리브덴(Mo)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집전체(31) 및 제2 집전체(41)의 재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극(30), 제2 전극(40) 및 고체 전해질(50)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고체 전해질(50)은 알카리 금속에 대해 이온전도성을 가지지만 전자에 대해서는 절연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서 제2 단부(10b)가 열원(90)에 의해 가열되어 제2 공간(20b)은 고온부를 형성하고 제1 단부(10a)는 냉각되어 제1 공간(20a)은 저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공간(20b)에 위치한 작동유체(70)는 제2 다공성 전극(43)에 전자를 내어놓고 이온화된다. 이온화된 작동유체(70)는 제1 공간(20a)과 제2 공간(20b)의 작동유체(70) 밀도차 또는 압력차에 의해서 제2 공간(20b)에서 제1 공간(20a)으로 고체 전해질(50)을 통과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다공성 전극(43)이 작동유체(70)로부터 받은 전자는 제2 집전체(41)로 이동하게 되며 발전부(60)를 통해 외부 저항(61)을 지나 제1 집전체(31)로 이동한다. 제1 다공성 전극(33)은 제1 집전체(31)로부터 전자를 받아 고체 전해질(50)을 통과한 이온화된 작동유체(70)에 전자를 주어 중성화(Neutralization)시킨다. 중성화된 작동유체(70)는 증발열을 흡수하여 제1 공간(20a)에서 기체화된다. 이때, 작동유체(70)의 이동의 구동력이 되는 밀도차는 제1 단부(10a)와 제2 단부(10b)의 온도차(ΔT)가 크면 클수록 커진다. 즉 제1 단부(10a)와 제2 단부(10b)의 온도차(ΔT)가 크면 제1 공간(20a)과 제2 공간(20b) 간의 증기압차가 커지게 되어 작동유체(70)의 이동이 활발해지며 이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의 양도 많아진다. 이때 예를 들어 작동유체(70)로 나트륨(Na)을 사용할 수 있다. 나트륨(Na)을 작동유체(70)로 사용한 경우, 도 1a에서 제2 공간(20b) 고온부의 액체 나트륨은 800K 내지 1200K 정도로 가열되며 이 온도에서 나트륨의 증기압은 1.1 x 103 Pa 내지 1.56 x 105 Pa 정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고체 전해질(50)을 베타" 알루미나(β"-Al2O3, beta"-alumina)를 사용한 경우, 베타" 알루미나의 고체 전해질(50)을 통과한 나트륨 이온(Na+)은 제1 전극(30)에서 전자를 받아 중성화된 후 제1 공간(20a)의 진공 중으로 증발하여 400K 내지 700K의 저온부에서 응축될 수 있다. 여기서 저온부는 공냉식 또는 수냉식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나트륨(Na)의 증기압은 3.8 x 10-4 Pa 내지 1.3 x 102 Pa 정도 일 수 있다.
열전환 발전기의 전압 및 전류의 특성은 일반적으로 네른스트(Nernst) 원리에 의해 화학포텐셜의 농도차로부터 구할 수 있다. 베타 알루미나(β"-Al2O3)의 고온부 압력 및 온도를 각각 Ph, Th 응축면에서의 압력, 온도를 각각 Pl, Tl 이라 하면 셀 양단에 나타나는 출력전압 V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0037465684-pat00001
여기서 R은 기체상수, F는 패러데이(Faraday) 상수, M은 나트륨(Na)의 원자량, i는 전류밀도, R0는 단위 면적당 내부 저항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위 열전환 발전기(1)의 성능은 케이스(10)의 제1 단부(10a)와 제2 단부(10b)의 온도차와 그에 따른 압력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여 단위 열전환 발전기(1)가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설명한다. 열원(90)은 제1 단부(10a)와 제2 단부(10b)를 교대로 가열하여 단위 열전환 발전기(1)를 연속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즉 도 1b에서 제1 단부(10a)를 가열하고 제2 단부(10b)를 냉각함으로써 도 1a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가열면을 바꿀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와 재질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유체(70)가 이동하는 방향이 바뀌게 되더라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1a에서는 작동유체(70)가 제2 공간(20b)에서 제1 공간(20a)으로 이동하며 전기를 발생했지만, 도 1b에서는 작동유체(70)가 제1 공간(20a)에서 제2 공간(20b)으로 이동하며 전기를 발생하게 된다. 물론 이때 전자의 이동방향이 바뀌게 되므로 발전부(60)는 전기흐름의 이동방향이 바뀌는 것을 제어하는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발전부(60)는 제1 전극(30) 및 제2 전극(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유체(70)의 이동방향이 변화됨에 따라 변화되는 전류 흐름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작동유체(70)를 순환시키는 장치 없이 열원(90)이 가열하는 방향을 바꿈으로 단위 열전환 발전기(1)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위 열전환 발전기(1)는 구조가 단순화되어 교체 부품수가 줄어듦으로 유지 및 보수에 유리하다.
이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열전환 발전기(100)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열전환 발전기(100)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위 열전환 발전기(100)는 케이스(110), 제1 전극(130), 제2 전극(140), 고체 전해질(150), 작동유체(170) 및 열원(190)을 구비한다. 동일한 명칭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와 도 1a, 도 1b 또는 도 2의 실시예를 비교하여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제1 전극(130), 제2 전극(140) 및 고체 전해질(150)은 표면적을 넓게 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면(C)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100)의 요철면(C)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형상의 요철면(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공간(120a)과 제2 공간(120b)은 서로 대칭하여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전극(130), 제2 전극(140) 및 고체 전해질(150)의 표면적이 넓어지게 되면 단위 시간당 고체 전해질(150)을 통과하는 작동유체(170)의 양이 많아져 발생되는 전기의 양도 많아지게 된다.
열원(190)은 다양한 방법으로 케이스(110)의 제1 단부(110a) 또는 제2 단부(110b)를 가열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실시예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열원(290)을 고정하고 케이스(210)의 위치를 변화시켜 제1 단부(210a) 또는 제2 단부(210b)를 교대로 가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위 열전환 발전기(200)는 케이스(210), 제1 전극(230), 제2 전극(240), 고체 전해질(250), 작동유체(270) 및 열원(290)과 열원(290)에 대해서 케이스(2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211)와 지지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된 열원(290)에 대하여 케이스(210)를 회전시키면 열원(290)은 케이스(210)의 제1 단부(210a)와 제2 단부(210b)를 교대로 가열하게 되어 전기를 발전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211)가 케이스(210)를 회전할 때 가열된 고온부가 냉각되는 시간과 냉각되었던 저온부가 가열되는 시간이 걸리므로 상대적으로 출력되는 전류 및 전압이 감소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케이스(210)가 회전시 발생되는 전류 및 전압의 증감분을 제어하기 위하여 고정된 열원(290)에 대하여 복수 개의 케이스(210)를 순차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를 복수 개 구비하여 순차적으로 케이스(210)를 회전시키는 열전환 발전 시스템(1200)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열전환 발전 시스템(1200)은 열원 조절장치(201) 및 복수 개의 단위 열전환 발전기(2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는 열원(290)이 고정된 경우 고정된 열원(290)에 대하여 안정적인 전압 및 전류 생산을 위해 효과가 있다. 열원 조절장치(201)는 각 구동부(211)에 연결되어 각 구동부(211)의 구동의 상호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원 조절장치(201)가 순차적으로 구동부(211)를 구동시켜 발생되는 전류 및 전압의 증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열전환 발전 시스템(1200)은 각 단위 열전환 발전기(200)에서 발전한 전류를 제어하여 출력하는 발전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각각의 단위 열전환 발전기(200)에서 발생되는 전기의 전압 크기과 전류 방향이 다르므로 발전부가 발전된 전기를 제어하여 사용 가능한 전기의 전압과 전류로 출력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210)를 회전시키는 경우는 열원(290)이 고정된 경우일때 유용하다. 즉 예를 들어 고정된 원자로, 공장 폐열, 또는 지열 등 열원(290)의 위치를 바꾸는 것이 용이하지 않는 경우 케이스(210)를 회전시키는 열전환 발전 시스템(1200)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열원(39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거나 또는 열원(390)을 통해 케이스(310)를 가열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 케이스(310)를 고정하고 열원(390)이 가열되는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도 3의 실시예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로 가열하는 위치를 변경하는 열원(390)의 실시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스(310)의 양 측에 제1 열원(390a)과 제2 열원(390b)을 배치하며 열원 조절장치(미도시)를 통해 가열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제1 단부(310a)에 배치된 제1 열원(390a)이 가열시에는 제2 단부(310b)에 배치된 제2 열원(390b)은 가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부(310a)는 가열되고 제2 단부(310b)는 냉각되며 제1 단부(310a)에 대응하는 제1 공간(320a)의 작동유체(370)는 온도와 압력이 높아져 고체 전해질(350)을 통과하여 제2 공간(320b)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열원 조절장치(미도시)의 조절에 따라 제2 열원(390b)에 의해 제2 단부(310b)가 가열되고 제1 열원(390a)은 가열을 멈춰 제1 단부(310a)는 점차 냉각되게 된다. 이때, 제2 공간(320b)에 배치되었던 작동유체(370)는 제2 공간(320b)의 온도와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고체 전해질(350)을 통과하여 다시 제1 공간(320a)으로 이동하게 된다. 작동유체(370)가 고체 전해질(350)을 통과하며 전자를 얻거나 잃어 제1 집전체(331)와 제2 집전체(341)를 통해 발전부와 연결되어 전기를 발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열원(390a)과 제2 열원(390b)을 순차적으로 가열하여 단위 열전환 발전기(300)는 연속적으로 전기를 발전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를 복수 개 구비하여 순차적으로 열원(390)에 온도를 조절하는 열전환 발전 시스템(1300)의 다른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열전환 발전 시스템(1300)은 복수 개의 단위 열전환 발전기(300) 및 열원 조절장치(301)를 구비한다. 여기서 열원 조절장치(301)는 각 열원(390)에 가열시점과 가열을 중단하는 시점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발전되는 전류와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순차적으로 조절된 열원의 온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복수 개의 단위 열전환 발전기(300)를 순서대로 A,B,C 및 D라고 할때, 도 9는 A,B,C 및 D의 단위 열전환 발전기(300)의 제1 열원(390a)과 제2 열원(390b)의 가열 및 가열 중지시점을 순차적으로 조절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A 단위 열전환 발전기(300)의 제1 열원(390a)가열은 t1에 중지하고 제2 열원(390b) 가열을 시작할 수 있다. 이후 B 단위 열전환 발전기(300)의 제1 열원(390a)이 t2에 중지되고 제2 열원(390b)의 가열이 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후 t3, t4시점에 열원 조절장치(301)는 열원(390) 가열시점을 순차적으로 조절하여 단위 열전환 발전기(300)가 발전하는 전류 및 전압의 증감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열원 조절장치(301)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단위 열전환 발전기(300)의 가열시점등을 조절하여 연속적으로 전기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열전환 발전 시스템(1300)은 각 단위 열전환 발전기(300)에서 발전한 전류를 제어하여 출력하는 발전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각각의 단위 열전환 발전기(300)에서 발생되는 전기의 전압 크기와 전류 방향이 다르므로 발전부가 발전된 전기를 제어하여 사용 가능한 전기의 전압과 전류로 출력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310)를 고정하고 열원(390)을 통해 가열되는 위치를 변경시키는 경우는 예를 들어, 지구를 자전하며 회전하는 인공위성이 태양열을 열원으로 삼는 경우, 또는 전기적으로 발열을 조절하는 열원(390)을 사용하는 경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케이스(310)를 고정하고 열원(390)을 통해 가열되는 위치를 변경시키는 실시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열전환 발전기(400)의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열전환 발전기(400)는 케이스(410), 제1 전극(430), 제2 전극(440), 고체 전해질(450), 작동유체(470), 열원(490) 및 전달 구동부(47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달 구동부(472)는 예를 들어 펌프일 수 있다. 펌프는 연결관(471)을 통해 제1 공간(420a) 및 제2 공간(420b)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펌프는 저온부에서 응축된 작동유체(470)를 고온부로 이동시켜 연속해서 발전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펌프는 제1 공간(420a)과 제2 공간(420b)간의 양 방향으로 작동유체(47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공간(420a)에서 제2 공간(420b)으로 작동유체(470)를 이동시키거나 제2 공간(420b)에서 제1 공간(420a)으로 작동유체(47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펌프의 작용은 제1 단부(410a)와 제2 단부(410b)를 순차적으로 가열하는 열원(49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원(490a)과 제2 열원(490b)이 오랜 주기를 가지고 가열시기가 바뀌는 경우 그 사이에 펌프의 작용으로 발전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구를 공전하는 인공위성에 장착된 열전환 발전기(400)가 태양열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만약 제1 단부(410a)와 제2 단부(410b)가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주기가 12시간일 경우 이 12시간 동안은 펌프에 의해 작동유체(470)를 회전시켜 연속적으로 발전이 발생하게 하며 12시간 후 가열되는 단부가 바뀌게 되면 반대방향으로 펌프를 작동시켜 연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적용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열전환 발전기(500)의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열전환 발전기(500)는 케이스(510), 제1 전극(530), 제2 전극(540), 고체 전해질(550), 작동유체(570), 열원(590) 및 전달부재(58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달부재(580)는 예를 들어 위크(wick)로 구성하여 제1 공간(520a) 및 제2 공간(520b) 사이를 모세관현상을 이용하여 작동유체(57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위크는 모세관현상에 따라 제1 공간(520a)과 제2 공간(520b)간의 양 방향으로 작동유체(57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위크의 작용은 제1 단부(510a)와 제2 단부(510b)를 순차적으로 가열하는 열원(59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또는 열전환 발전 시스템을 제조 및 사용하는모든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1:단위 열전환 발전기 10: 케이스
10a, 110a, 210a, 310a, 410a, 510a: 제1 단부
10b, 110b, 210b, 310b, 410b, 510b: 제2 단부
20a, 120a, 220a, 320a, 420a, 520a: 제1 공간
20b, 120b, 220b, 320b, 420b, 520b: 제2 공간
30, 130, 230, 330, 430, 530: 제1 전극
31, 131, 231, 331, 431, 531: 제1 집전체
33, 133, 233, 333, 433, 533: 제1 다공성 전극
40, 140, 240, 340, 440, 540: 제2 전극
41, 141, 241, 341, 441, 541: 제2 집전체
43, 143,243, 343, 443, 543: 제2 다공성 전극
50, 150, 250, 350, 450, 550: 고체 전해질
60, 160, 260, 360, 460, 560: 발전부
61, 161, 461, 561: 저항
90, 190, 290, 390, 490, 590: 열원
211: 구동부 212: 지지부
201, 301: 열원 조절장치 471: 연결관
472: 전달 구동부 580: 전달부재

Claims (20)

  1.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작동유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상기 제1 단부에 대응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2 단부에 대응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고체 전해질;
    상기 고체 전해질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고체 전해질의 타 면에 배치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단부 또는 상기 제2 단부를 교대로 가열하는 열원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고체 전해질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서 다른 한 공간으로 이동할 때에 이온화과정을 거치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상기 제1 단부를 가열하는 제1 열원; 및
    상기 제2 단부를 가열하는 제2 열원을 구비하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기준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단부 또는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열원에 의해 교대로 가열되도록 상기 케이스를 움직이는구동부를 더 구비한 단위열전환 발전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제어하는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는 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상기 작동유체를 이동시키는 전달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는 알카리계 금속을 포함하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는 나트륨(Na)을 포함하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제1 다공성 전극; 및
    제1 집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은,
    제2 다공성 전극; 및
    제2 집전체를 구비하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공성 전극 및 상기 제2 다공성 전극은 질화티타늄(TiN)을 포함하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전체 및 상기 제2 집전체는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은 베타" 알루미나(β"-Al2O3)를 포함하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
  13. 복수 개의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열원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열전환 발전 시스템으로써,
    상기 단위 열전환 발전기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작동유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상기 제1 단부에 대응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2 단부에 대응하는 제2 공간으로 구획하는 고체 전해질;
    상기 고체 전해질의 일 면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고체 전해질의 타 면에 배치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단부 또는 상기 제2 단부를 교대로 가열하는 열원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유체가 상기 고체 전해질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서 다른 한 공간으로 이동할 때에 이온화과정을 거치고,
    상기 열원 조절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단위 열전환 발전기의 가열 시점을 조절하는 열전환 발전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열전환 발전기에서 발전한 전기를 제어하는 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열전환 발전 시스템.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열전환 발전기의 상기 열원은,
    상기 제1 단부에 배치되는 제1 열원; 및
    상기 제2 단부에 배치되는 제2 열원;을 포함하는 열전환 발전 시스템.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은 기준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단부 또는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열원에 의해 교대로 가열되도록 상기 케이스를 움직이는구동부를 더 구비한 열전환 발전 시스템.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는 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열전환 발전 시스템.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상기 작동유체를 이동시키는 전달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열전환 발전 시스템.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함에 의하여 이온화되며, 상기 이온화된 작동유체는 상기 고체 전해질을 통과한 다음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다른 하나를 통과함에 의하여 중성화되는 단위 열전환 발전기.
  20.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는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함에 의하여 이온화되며, 상기 이온화된 작동유체는 상기 고체 전해질을 통과한 다음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다른 하나를 통과함에 의하여 중성화되는 열전환 발전 시스템.
KR1020100055105A 2010-06-10 2010-06-10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열전환 발전 시스템 KR101137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105A KR101137377B1 (ko) 2010-06-10 2010-06-10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열전환 발전 시스템
US12/969,545 US9023495B2 (en) 2010-06-10 2010-12-15 Unit thermionic electric converter and thermoelectric convert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105A KR101137377B1 (ko) 2010-06-10 2010-06-10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열전환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291A KR20110135291A (ko) 2011-12-16
KR101137377B1 true KR101137377B1 (ko) 2012-04-20

Family

ID=45095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105A KR101137377B1 (ko) 2010-06-10 2010-06-10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열전환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23495B2 (ko)
KR (1) KR1011373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431B1 (ko) 2013-01-04 2013-09-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금속 지지형 열변환 발전 셀
KR101400908B1 (ko) 2013-02-13 2014-05-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알루미나와 산화칼슘(CaO)를 이용한 베타 알루미나와 알파 알루미나의 접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위 열 전환 발전기.
KR101454150B1 (ko) * 2013-07-03 2014-10-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전환 발전 셀의 내부 집전 구조 및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288B1 (ko) * 2012-07-03 2013-07-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알칼리 금속 열전변환기용 단전지 모듈
KR101336941B1 (ko) * 2013-01-22 2013-12-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내부전극 개방형 암텍 단위셀
KR101349035B1 (ko) 2013-03-05 2014-01-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모듈화된 암텍 셀 및 그 제조방법
KR101406721B1 (ko) * 2013-04-03 2014-06-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성능이 향상된 전극 소재용 분말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극과 그 활용.
KR101507711B1 (ko) * 2013-05-10 2015-04-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공성 집전 물질을 이용한 열전환 발전 셀 간의 직렬 및 병렬 연결 구조 및 그 활용.
KR101479089B1 (ko) * 2013-05-10 2015-0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amtec 시스템.
KR101631553B1 (ko) 2014-05-08 2016-06-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알카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의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
KR101630157B1 (ko) 2014-05-12 2016-06-1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알카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이용한 열발전장치와 이의 작동방법
KR101584617B1 (ko) 2014-05-12 2016-01-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전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9764A (ja) * 1996-01-19 1997-07-31 Fujikura Ltd 熱電発電モジュール
JP2001176536A (ja) * 1999-12-14 2001-06-29 Mitsubishi Electric Corp 発電器
JP2007088039A (ja) * 2005-09-20 2007-04-05 Osaka Gas Co Ltd 熱電発電モジュール及び発電機能付き熱交換器
JP2009181861A (ja) * 2008-01-31 2009-08-13 Toshiba Corp 燃料電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8958A (en) * 1977-07-07 1978-07-04 Ford Motor Company Thermoelectric generator devices and methods
JPH03235682A (ja) 1990-02-13 1991-10-21 Hitachi Ltd アルカリ金属熱電発電装置
US5521029A (en) * 1995-02-22 1996-05-28 At&T Corp. Current collecting elements
JP2000048833A (ja) * 1998-07-29 2000-02-18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
US6239350B1 (en) 1998-09-28 2001-05-29 Advanced Modular Power Systems Internal self heat piping AMTEC cell
JP4320445B2 (ja) 2005-07-25 2009-08-26 独立行政法人 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アルカリ金属熱電発電装置を備えた液体金属冷却型原子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9764A (ja) * 1996-01-19 1997-07-31 Fujikura Ltd 熱電発電モジュール
JP2001176536A (ja) * 1999-12-14 2001-06-29 Mitsubishi Electric Corp 発電器
JP2007088039A (ja) * 2005-09-20 2007-04-05 Osaka Gas Co Ltd 熱電発電モジュール及び発電機能付き熱交換器
JP2009181861A (ja) * 2008-01-31 2009-08-13 Toshiba Corp 燃料電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431B1 (ko) 2013-01-04 2013-09-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금속 지지형 열변환 발전 셀
KR101400908B1 (ko) 2013-02-13 2014-05-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알루미나와 산화칼슘(CaO)를 이용한 베타 알루미나와 알파 알루미나의 접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위 열 전환 발전기.
KR101454150B1 (ko) * 2013-07-03 2014-10-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전환 발전 셀의 내부 집전 구조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291A (ko) 2011-12-16
US9023495B2 (en) 2015-05-05
US20110303257A1 (en)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377B1 (ko) 단위 열전환 발전기 및 열전환 발전 시스템
JP5723425B2 (ja) 熱交換器を含むアルカリ金属熱電変換器
KR101007850B1 (ko) 히트파이프가 설치된 amtec장치
US6735946B1 (en) Direct illumination free piston stirling engine solar cavity
US20080203849A1 (en) Energy Converting Apparatus, Generator and Heat Pump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JP4320445B2 (ja) アルカリ金属熱電発電装置を備えた液体金属冷却型原子炉
Wu et al. A review on advances in alkali metal thermal to electric converters (AMTECs)
KR101584617B1 (ko) 알칼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전방법
Liu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hybrid alkali metal thermal electric converter-two stage thermoelectric generator system
Rosenfeld et al. An overview of long duration sodium heat pipe tests
EP1245796B1 (en) Hybrid combustion power system
JPH0898569A (ja) 火力発電の効率を向上させる発電装置
JP2013069975A (ja) 熱電発電装置および熱電発電方法
KR101305431B1 (ko) 금속 지지형 열변환 발전 셀
Irani et al. Dynamic simul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novel solar heliostat-based alkali metal thermoelectric converter system
KR101630157B1 (ko) 알카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이용한 열발전장치와 이의 작동방법
JP5657073B2 (ja) 内部電極開放型アルカリ金属熱電変換器単位セル
KR101631553B1 (ko) 알카리금속 전하운반체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의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
JPH06163089A (ja) アルカリ金属熱電発電装置
JPH01190274A (ja) 宇宙太陽熱発電システム
Underwood et al. Performance projections of alternative AMTEC systems and devices
RU2355075C1 (ru) Термо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й генератор (тэхг)
KR101877844B1 (ko) 착탈식 열전발전 셀을 포함하는 열전발전장치
KR102458594B1 (ko) 단위전지 탈착식 열전변환모듈
KR101857255B1 (ko) 가변전열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열전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