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421A - 유량 센서 - Google Patents

유량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421A
KR20140133421A KR1020140037518A KR20140037518A KR20140133421A KR 20140133421 A KR20140133421 A KR 20140133421A KR 1020140037518 A KR1020140037518 A KR 1020140037518A KR 20140037518 A KR20140037518 A KR 20140037518A KR 20140133421 A KR20140133421 A KR 20140133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assage
sensor
sensor body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츠시 아라타
야스아키 카네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테지케
Publication of KR20140133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3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 G01F1/3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measuring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the pressure or differential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use of flow constriction
    • G01F1/40Details of construction of the flow constri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G01F15/185Connecting means, e.g. bypass cond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1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of flow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대상 장치에 조립하는 유량 센서의 특성 조정을 쉽게 실행하도록 한다.
유량 센서(170)는, 토출 통로(188)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차압을 생성하는 수축 통로(180)와, 수축 통로(180)의 상류측 압력을 도입하기 위한 고압 통로와, 수축 통로(180)의 하류측 압력을 도입하기 위한 저압 통로와, 고압 통로와 저압 통로를 막도록 배치되어 상류측 압력과 하류측 압력의 차압을 감지하여 변위하는 감압 부재(16)를 포함하는 센서 보디(172)와, 감압 부재(16)의 변위에 상응한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54)가 마련되는 센서 헤드(174)를 구비한다. 센서 보디(172)의 일단측에 수축 통로(180)가 마련되는 한편, 센서 보디(172)의 타단측에 센서 헤드(174)가 일체로 마련되고, 압축기의 장착 구멍(178)에 수축 통로(180)측으로부터 끼이도록 하여 장착 가능한 외형 형상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량 센서{FLOW SENSOR}
본 발명은 대상 장치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유량 센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공조 장치는, 일반적으로, 그 냉동 사이클을 흐르는 냉매를 압축해서 고온·고압의 가스 냉매로 하여 토출하는 압축기, 그 가스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된 액냉매를 단열 팽창시킴으로써 저온·저압의 냉매로 하는 팽창 장치, 그 냉매를 증발시키는 것에 의해 차량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을 실행하는 증발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되돌아 오고,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다.
이 압축기로서는, 엔진의 회전수에 상관없이 일정한 냉방 능력이 유지되도록, 냉매의 토출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가변 용량 압축기(이하 "압축기"라고 함)가 사용된다. 이 압축기는, 엔진에 따라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에 장착된 요동판에 압축용의 피스톤이 연결되고, 요동판의 각도를 변화시켜서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냉매의 토출량을 조정한다. 요동판의 각도는, 밀폐된 크랭크 실내에 토출 냉매의 일부를 도입하고, 피스톤의 양면에 가해지는 균형을 변화시킴으로써 연속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크랭크 실내의 압력(이하 "크랭크 압력"이라고 함)(Pc)은, 압축기의 토출실과 크랭크실 사이에 마련된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이하 "제어 밸브"라고 함)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은 압축기는, 일반적으로, 크랭크실 및 실린더가 구획 형성된 본체 하우징과, 냉매의 흡입실, 토출실 및 밸브 수용실이 구획 형성되는 헤더 하우징(header housing)을 일체로 조립해서 구성되어 있다. 밸브 수용실에는 제어 밸브가 수용된다. 압축기의 상류측으로부터 헤더 하우징의 냉매 입구를 통해 흡입실에 도입된 냉매는, 피스톤의 스트로크에 따라 실린더 내에 흡입되고, 압축된다. 압축된 냉매는, 토출실에 토출되고, 헤더 하우징의 냉매 출구로부터 압축기의 하류측으로 도출된다.
이와 같은 압축기에는, 토출실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유량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적절한 유량이 얻어지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면서 제어 밸브의 밸브 개도 특성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제어의 응답성을 높이는 것이다. 예컨대, 압축기의 토출실과 냉매 출구 사이에 수축부 등의 차압 생성 수단을 마련하고, 그 차압을 감지하여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센서가 채용된다(특허문헌 1, 2 참조). 압축기의 토출 유량이 커지면 수축부의 전후 차압(수축부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차압)이 커지고, 토출 유량이 작아지면 수축부의 전후 차압이 작아지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수축부는, 압축기의 하우징에 장착되는 다른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특허문헌 1에는, 압축기의 하우징과 다른 부재 사이에 밀봉용 가스켓(gasket)을 마련하고, 그 가스켓에 형성된 수축 구멍에 의해 유량 검출용의 차압을 생성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다른 부재의 격벽에 수축부를 마련하고, 유량 검출용의 차압을 생성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45522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03416호 공보
그런데, 이와 같은 유량 센서는 일반적으로, 부품 메이커에 의해 개별로 제조되고, 세트 메이커에 의해 압축기의 제조 공정의 최종 단계에서 다른 부재와 함께 하우징에 조립된다. 또한, 유량 센서의 특성 조정(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에 대해서는 통상, 부품 메이커측에서 실시된다. 이 때문에, 수축부의 길이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의 불균형에 의한 차압의 오차를 포함하여 특성 조정을 실행할 수는 없고, 유량 센서로서 높은 검출 정밀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또, 만일 그 길이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의 불균형도 포함하여 특성 조정을 실행한다면, 압축기의 조립 완성 상태에서 실행할 필요가 있고, 그 조정 작업을 쉽게 실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가변 용량 압축기에 한하지 않고, 유체의 유량 검출이 필요한 장치에 있어서는 동일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에 비추어 본 것으로, 대상 장치에 조립하는 유량 센서의 특성 조정을 쉽게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대상 장치의 메인 통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차압식의 유량 센서이고, 메인 통로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차압을 생성하는 수축부와, 수축부의 상류측 압력을 도입하기 위한 고압 통로와, 수축부의 하류측 압력을 도입하기 위한 저압 통로와, 고압 통로와 저압 통로를 막기 위해 배치되어 상류측 압력과 하류측 압력의 차압을 감지하여 변위하는 감압부를 포함하는 센서 보디와, 감압부의 변위에 상응한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가 마련되는 센서 헤드를 구비한다. 센서 보디의 일단측에 수축부가 마련되는 한편, 센서 보디의 타단측에 센서 헤드가 일체로 마련되고, 대상 장치의 장착 구멍에 수축부측으로부터 끼이도록 하여 장착 가능한 외형 형상을 구비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수축부가 유량 센서의 일부로서 일체로 마련되기 때문에, 수축부의 길이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의 불균형에 의한 차압의 오차를 포함한 특성 조정을 유량 센서 하나로 실행할 수 있다. 즉, 유량 센서를 대상 장치에 설치한 후에 새로 특성 조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즉, 대상 장치에 조립하는 유량 센서의 특성 조정을 쉽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 장치에 조립하는 유량 센서의 특성 조정을 쉽게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압축기를 중심으로 한 냉동 사이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유량 센서 및 그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단면도이다.
도 5는 유량 센서의 선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유량 센서 및 그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선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유량 센서 및 그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 선단면도이다.
도 12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유량 센서 및 그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A 선단면도이다.
도 15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유량 센서 및 그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A-A 선단면도이다.
도 18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압축기에 대한 유량 센서 및 제어 밸브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편의상, 도시의 상태를 기준으로 각 구조의 위치 관계를 상하로 표현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압축기를 중심으로 한 냉동 사이클의 개략도이다.
이 냉동 사이클은, 차량용 공조 장치를 구성하고, 가변 용량 압축기(100), 응축기(120), 팽창 장치(130) 및 증발기(150)를 구비한다.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는, 압축기(100)에 의해 압축되어 고온·고압의 가스 냉매가 되고, 응축기(120)에 의해 응축되어 액냉매가 된다. 그리고 팽창 장치(130)에 의해 단열 팽창되어 저온·저압의 기액 이상 냉매가 되고, 증발기(1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증발한다. 그 증발 잠열에 의해 차량 실내의 공기가 냉각된다.
압축기(100)는, 그 토출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140), 토출 냉매의 역류를 방지 또는 억제하는 토출 밸브(160) 및 토출 냉매의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유량 센서(170)를 구비한다. 압축기(100)는, 증발기(150)측으로부터 흡입실(151)에 도입된 냉매 가스를 실린더(152)에 도입하여 압축하고, 토출실(153)로부터 응축기(120)측으로 고온·고압의 냉매를 토출한다. 이 토출 냉매의 일부는 제어 밸브(140)를 통해 크랭크실(154) 내에 도입되고, 압축기(100)의 용량 제어에 이용된다. 제어 밸브(140)는, 솔레노이드 구동의 전자 밸브로서 구성되고,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가 구동 회로를 구동하여 이것을 통전 제어한다. 토출 밸브(160)는, 압축기(100)의 토출실(153)과 냉매 출구(158) 사이에 마련되고, 일방향으로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한다. 유량 센서(170)는, 토출실(153)과 냉매 출구(158) 사이의 냉매 통로(토출 통로(188))에 마련된 수축 통로(180)(차압 생성 수단인 "수축부"로서 기능함)의 전후 차압을 감지하여 토출 냉매의 유량을 검출한다.
압축기(100)는, 그 하우징으로서 복수의 실린더(152)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101)과, 그 전단측에 접합된 프런트 하우징(front housing)(102)과, 후단측에 밸브 플레이트(valve plate)(103)를 통해 접합된 리어 하우징(rear housing)(104)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린더 블록(101)과 프런트 하우징(102)에 의해 "본체 하우징"이 구성되고, 이에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크랭크실(154) 및 실린더(152)가 구획 형성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104)은, "헤더 하우징"으로서 기능하고, 그 내부에 흡입실(151), 토출실(153), 수용실(155) 및 장착 구멍(178)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리어 하우징(104)에는, 또, 증발기(150)측으로부터 흡입실(151)로 냉매를 도입하는 냉매 입구(156) 및 토출실(153)로부터 응축기(120)측으로 토출 냉매를 도출하는 냉매 출구(158), 흡입실(151)과 수용실(155)을 연통시키는 연통로(182), 크랭크실(154)과 수용실(155)을 연통시키는 연통로(184), 토출실(153)과 수용실(155)을 연통시키는 연통로(186), 토출실(153)과 냉매 출구(158)를 연통시키는 토출 통로(188)(압축기(100)에서 "메인 통로"를 구성함)가 마련되어 있다.
크랭크실(154)에는, 그 중심을 관통하도록 회전축(106)이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축(106)은, 실린더 블록(101)에 마련된 축베어링(107)과, 프런트 하우징(102)에 마련된 축베어링(108)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106)에는 래그 플레이트(109)가 고정되어 있고, 그 래그 플레이트(109)에 돌출 설치된 지지암(110) 등을 통해 요동판(111)("요동체"에 해당함)이 지지되어 있다. 요동판(111)은, 회전축(106)의 축선에 대해 기울어져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고, 복수의 실린더(152)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배치된 피스톤(112)에 슈(114)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106)은, 그 전단 부분이 프런트 하우징(102)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고, 그 선단 부분에는 브라켓(bracket)(117)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 회전축(106)과 프런트 하우징(102)의 전단 부분의 틈을 외측으로부터 밀봉하도록, 축 밀봉 부재로서의 립실(lip seal)(115)이 마련되어 있다. 립실(115)은, 회전축(106)의 주면에 접하면서, 그 주면을 따라 냉매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프런트 하우징(102)의 전단 부분에는,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풀리(pulley)(118)가 축베어링(119)을 통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풀리(118)는, 엔진의 구동력을 브라켓(117)을 통해 회전축(106)으로 전달한다.
리어 하우징(104)의 흡입실(151)은, 밸브 플레이트(103)에 마련된 흡입용 릴리프 밸브(121)를 통해 실린더(152)에 연통하는 한편, 냉매 입구(156)를 통해 증발기(150)에도 연통하고 있다. 토출실(153)은, 밸브 플레이트(103)에 마련된 토출용 릴리프 밸브(122)를 통해 실린더(152)에 연통하는 한편, 냉매 출구(158)을 통해 응축기(120)에도 연통하고 있다. 또한, 크랭크실(154)과 흡입실(151)을 연통하는 도시하지 않는 냉매 통로에는, 단면적이 고정된 오리피스가 배치되어 있고, 크랭크실(154)로부터 흡입실(151)로 미리 설정한 최저 유량의 냉매의 흐름을 허용하고, 압축기(100)에서 냉매의 내부 순환을 확보하고 있다.
압축기(100)의 요동판(111)은, 그 각도가 크랭크실(154) 내에서 그 요동판(111)을 부세(付勢)하는 스프링(125, 126)의 하중이나, 요동판(111)에 연결되는 피스톤(112)의 양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하중 등이 균형 잡힌 위치에 유지된다. 이 압축기(100)의 요동판(111)의 각도는, 크랭크실(154) 내에 토출 냉매의 일부를 도입하여 크랭크 압력(Pc)를 변화시키고, 피스톤(112)의 양면에 가해지는 압력의 균형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요동판(111)의 각도의 변화에 따라 피스톤(112)의 스트로크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냉매의 토출 용량을 조정하도록 한다. 이 크랭크실(154) 내의 압력은, 제어 밸브(14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밸브(140)는, 리어 하우징(104)에 마련된 수용실(155)에 그 상단측으로부터 삽통되고, 와셔(washer)(159)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제어 밸브(14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0링이 감착되어 있고, 이들의 0링에 의해 각 냉매 통로간 및 리어 하우징(104)의 내외의 밀봉성이 확보되어 있다. 제어 밸브(140)는, 솔레노이드(143)에 의해 구동되는 전자 밸브이고, 압축기(100)의 흡입 압력(Ps)을 설정 압력으로 유지하도록, 토출실(153)로부터 크랭크실(154)에 도입하는 냉매 유량을 제어하는 이른바 Ps 감지 밸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어 밸브(140)는, 압축기(100)의 운전시에 토출 냉매의 일부를 크랭크실(154)에 도입하기 위한 냉매 통로를 개폐하는 메인 밸브(141)와, 압축기(100)의 기동시에 크랭크실(154)의 냉매를 흡입실(151)에 놓는 이른바 브리드 밸브로서 기능하는 서브 밸브(142)를 포함한다. 제어 밸브(140)의 보디(144)에는, 연통로(182)를 통해 흡입실(151)에 연통하는 흡입실 연통 포트, 연통로(184)를 통해 크랭크실(154)에 연통하는 크랭크실 연통 포트 및 연통로(186)를 통해 토출실(153)에 연통하는 토출실 연통 포트가 마련되어 있다. 또, 보디(144)에는, 메인 밸브(141)의 개도를 조정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력에 대항하는 힘을 발생하는 파워 엘리먼트(145)를 구비한다. 제어 밸브(140)의 제어 상태에 있어서는, 흡입 압력(Ps)이 소정의 설정 압력(Pset)이 되도록 메인 밸브(141)가 자율적으로 동작한다.
토출 밸브(160)는, 토출 통로(188)에 배치되고, 압축기(100)의 토출 냉매의 순방향의 흐름을 허용하지만, 역방향의 흐름을 차단하는 역지 밸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출 밸브(160)가 수축 통로(180)의 하류측에 마련되어 있다. 토출 밸브(160)는,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의 보디(162)에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의 밸브체(164)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하여 구성된다. 보디(162)의 상류측 단부에 밸브 구멍(166)이 마련되고, 그 밸브 구멍(166)이 토출 통로(188)의 일부를 구성한다. 보디(162)의 하류측 단부와 밸브체(164) 사이에는, 밸브체(164)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168)이 마련되어 있다. 밸브체(164)가 밸브 구멍(166)에 접리하는 것에 의해 토출 통로를 개폐한다. 이와 같은 토출 밸브(160)의 배치 구성에 의해, 토출 밸브(160)의 상류측 압력은 수축 통로(180)의 하류측 압력(Pp)과 동일하게 된다. 냉매의 유동 저항에 의한 압력 손실을 고려하면, 토출 밸브(160)의 하류측 압력(압축기(100)의 출구 압력(PdL))은, 압력(Pp)보다 약간 낮아진다. 즉, 토출 압력(Pd(PdH))>압력(Pp)>출구 압력(PdL)의 관계가 되지만, 이들의 압력 차이는 압축기(100)의 성능에 실질적으로 영향이 없는 레벨로 되어 있다.
유량 센서(170)는, 2점간의 차압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냉매의 유량을 검출하는 차압식의 센서이다. 유량 센서(170)는, 그 차압을 감지하여 변위하는 감압부가 마련되는 센서 보디(172)와, 검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단자가 마련되는 센서 헤드(174)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축 통로(180)의 전후 차압, 즉 토출실(153)의 토출 압력(Pd)과, 수축 통로(180)의 하류측 압력(Pp)의 차압(Pd-Pp)에 기초하여, 냉매의 토출 유량이 검출된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유량 센서 및 그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단면도이다. 도 5는, 유량 센서의 선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측면도이고, (B)는 (A)의 B 방향 선단면도(정면도)이고, (C)는 (A)의 C 방향 선단면도(저면도)이다. (D)는 (A)의 D-D 선단면도이고, (E)는 (A)의 E-E 선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센서(170)는, 센서 보디(172)와 센서 헤드(174)를 일체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센서 보디(172)의 선단부(센서 헤드(174)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탄성체(본 실시형태에서는 우레탄 수지, 예컨대 우레탄 고무)로 이루어지는 실 부재(176)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센서(170)는, 리어 하우징(104)의 장착 구멍(178)에 센서 보디(172)가 수용되도록 장착되고, 와셔(179)를 통해 리어 하우징(104)에 고정된다.
도 3 및 도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구멍(178)의 내경이 그 개구단(상단 개구부)로부터 안쪽(하단부)을 향해 단계적으로 지름이 축소되어 있고, 센서 보디(172)가 실 부재(176) 측에서 장착 구멍(178)에 삽입되어 있다. 센서 헤드(174)는, 센서 보디(172)의 상단부에 코킹 접합되어 있고, 장착 구멍(178)의 외부에 노출된다.
센서 보디(172)는, 저부를 구비하는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의 본체(10)와 저부를 구비하는 단차를 갖는 원주 형상의 구획 부재(12)를 상하로 조립하여 구성되고, 그 외경이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외형 형상을 구비한다. 본체(10)는, 구획 부재(12) 사이에 압력 공간(14)을 형성하고, 그 내방에 감압 부재(16)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한다. 본체(10)의 상단부가 0링(17)을 통해 장착 구멍(178)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센서 보디(172)가 리어 하우징(104)에 기밀하게 고정된다. 구획 부재(12)의 상단부가 본체(10)의 하단부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본체(10)와 구획 부재(12)가 동축상에 고정되어 있다.
감압 부재(16)는, 하방을 향해 개구하는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본체(10)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감압 부재(16)의 저부 상면에는 엠보싱(Emboss) 형상의 지지부(18)가 돌출 설치되고, 그 내방에 자석(20)(본 실시형태에서는 영구 자석)이 고정되어 있다. 본체(10)의 상저부와 감압 부재(16) 사이에는, 감압 부재(16)를 하방으로 부세하는 스프링(2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감압 부재(16)의 저부와 구획 부재(12) 사이에는, 감압 부재(16)를 상방으로 부세하는 스프링(2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22)의 스프링 정수는, 스프링(24)의 스프링 정수보다 작다. 감압 부재(16)는, 압력 공간(14)을 상방의 고압실(26)과 하방의 저압실(28)로 막는다. 본체(10)의 측부에는, 고압실(26)의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30)이 마련되어 있다.
구획 부재(12)에는, 그 축선에 따라 연통로(32)가 마련되어 있다. 연통로(32)는, 저압실(28)의 내외를 연통시킨다. 구획 부재(12)는, 그 하반부에 토출 통로(188)의 일부를 구성하는 유로 형성부(34)를 구비한다. 유로 형성부(34)는, 토출 통로(188)를 횡단하도록 배치되고, 하방을 향해 작은 지름이 되는 테이퍼 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유로 형성부(34)에는, 구획 부재(12)의 축선에 대해 직각 방향의 축선을 갖는 관통로(36)가 마련되어 있다. 관통로(36)의 축선 방향 중간부가 지름이 축소되어 수축 통로(180)를 형성하고 있다. 수축 통로(180)는, 토출 통로(188)를 흐르는 냉매에 대해 압력 손실을 부여하고, 그 냉매의 유량에 상응한 전후 차압(수축 통로(180)의 상류측 압력과 하류측 압력의 차압)을 생성한다.
구획 부재(12)에는 또한, 본체(10)의 외측의 공간과 관통로(36)를 연통시키는 연통로(42)가 마련되어 있다. 연통로(42)는, 장착 구멍(178)과 본체(1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통로(44)를 통해 연통 구멍(30)과 연통한다. 토출 통로(188)에서 냉매의 흐름에 대해, 연통로(42)는 수축 통로(180)의 상류측에 개구하고, 연통로(32)는 수축 통로(180)의 하류측에 개구한다. 이 때문에, 수축 통로(180)의 상류측 압력인 토출 압력(Pd)이, 연통로(42), 간극 통로(44) 및 연통 구멍(30)을 통해 고압실(26)에 도입된다. 또한, 수축 통로(180)의 하류측 압력인 압력(Pp)이, 연통로(32)를 통해 저압실(28)에 도입된다. 즉, 연통로(42), 간극 통로(44) 및 연통 구멍(30)이 "고압 통로"를 형성하고, 연통로(32)가 "저압 통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감압 부재(16)는, 차압(Pd-Pp)을 감지하여 축선 방향으로 변위하게 된다.
센서 헤드(174)는, 자기 센서(50)가 마련된 기판(52)과, 자기 센서(50)에 의한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54)를 구비한다. 센서 헤드(174)는, 자기 센서(50)가 센서 보디(172)의 축선상에 위치하도록(자석(20)의 축선상에 위치하도록)위치 결정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부재(176)는, 환상의 결합부(60)와 원판 형상의 저부(62)를 한 쌍의 측벽부(64)에 의해 접속하여 구성되고, 유로 형성부(34)를 둘러싸도록 구획 부재(12)에 감착된다. 즉, 도 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부재(176)는, 유로 형성부(34)를 도입하기 위한 제1 개구부(66)와, 수축 통로(180)의 상류측에서 개구하는 제2 개구부(68)와, 수축부의 하류측에서 개구하는 제3 개구부(70)를 구비한다. 감합부(60)의 내주면의 소정 위치에는 반지름 방향 내향으로 돌출된 감합 볼록부(72)가 마련되어 있고, 구획 부재(12)의 외주면에 형성된 감합 오목부(74)에 이 감합 볼록부(72)를 감합시키는 것에 의해, 실 부재(176)가 센서 보디(172)에 장착된다.
도 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부(62)에는, 위치 결정용의 감합 볼록부(76)가 마련되어 있고, 유로 형성부(34)의 저부에 뚫린 감합 구멍(77)에 이 감합 볼록부(76)를 감합시키는 것에 의해, 실 부재(176)의 센서 보디(172)에 대한 둘레 방향 위치가 정해진다. 이 위치 결정에 의해, 한 쌍의 측벽부(64)가, 장착 구멍(178)에서 토출 통로(188)의 접속부의 내벽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측벽부(64) 및 저부(62)에는, 그 외주면에서 연결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래비린스 실(labyrinth seal)(78)이 형성되고, 또, 그 내주면에서 연결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래비린스 실(7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60)의 주위에도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래비린스 실부(80)가 마련되어 있다. 실 부재(176)는, 유량 센서(170)가 장착 구멍(178)에 장착시에 센서 보디(172)와 토출 통로(188)의 틈을 냉매가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고, 이에 의해 냉매가 수축 통로(180)를 통과하는 것을 촉진한다.
도 3으로 되돌아 와서,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자기 센서(50)는, 감압 부재(16)의 변위에 따른 자석(20)의 변위에 상응한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감압 부재(16)는, 차압(Pd-Pp)이 작용하지 않을 때의 작동 기준 위치가 스프링(22, 24)에 의한 스프링 하중에 의해 설정된다. 그리고 차압(Pd-Pp)이 커지면 자기 센서(5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차압이 작아지면, 자기 센서(5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 결과, 자석(20)이 그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위치로부터 변위한다. 자기 센서(50)는, 그 변위에 상응한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판정부)는, 자기 센서(50)의 검출값을 샘플링하고, 그것을 적산하는 것에 의해 냉매의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축 통로(180)가 유량 센서(170)의 일부로서 일체로 마련되기 때문에, 수축 통로(180)의 길이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의 불균형에 의한 차압의 오차를 포함한 특성 조정을 유량 센서(170) 하나로 실행할 수 있다. 즉, 유량 센서(170)를 압축기(100)에 설치한 후, 즉 압축기(100)의 완성 상태에서 다시 특성 조정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것은, 압축기(100)를 조립하는 세트 메이커가 아닌 유량 센서(170)를 제조하는 부품 메이커로, 그 특성 조정을 쉽게 실행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압축기(100)에 있어서 제어 밸브(140)가 장착되는 리어 하우징(104)에 유량 센서(170)의 센서 보디(172)가 수용된다. 즉, 압축기(100)의 하우징 자체에 대해 센서 보디(172)를 조립하는 구조로 했기 때문에, 유량 센서(170)를 압축기(100)에 장착시키기 위한 다른 부재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리어 하우징(104)이라는 단일의 부재에 대해 제어 밸브(140)의 수용실(155)과 센서 보디(172)의 장착 구멍(178)을 성형하면 좋기 때문에, 압축기(100)의 제조 프로세스도 간소화된다. 이 때문에, 압축기(100)에 대한 유량 센서(170)의 장착 구조를 낮은 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유량 센서(170)를 센서 보디(172)와 센서 헤드(174)를 조립한 센서 유닛으로 하고, 선단을 향하는 만큼 외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구멍으로의 삽입 및 설치가 쉬워진다. 이 때문에, 압축기(100)로의 유량 센서(170)의 조립시에, 센서 보디(172)를 장착 구멍(178)의 입구측으로부터 삽입만 하면 되고, 그 조립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압축기(100)의 토출 통로(188)와 연결되도록 장착 구멍을 마련할 수 있다면, 그것이 리어 하우징(104)에 마련되던지, 다른 하우징 부분에 마련되던지, 유량 센서(170)를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즉, 유량 센서(170)의 압축기(100)로의 장착 개소에 대해 다양성이 생긴다. 바꾸어 말해서, 이와 같이 장착 개소의 제약이 따르기 어렵기 때문에, 유량 센서로의 범용성이 향상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보디(172)와 장착 구멍(178)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통로(44)를 상류측 압력을 도입하기 위한 고압 통로(압력 도입 통로)의 일부로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컨대 특허문헌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에서 가늘고 긴 압력 도입 통로를 형성하는 등, 특수한 가공을 실행할 필요가 없고, 압축기(100) 전체의 제조 비용의 저감에도 연결된다. 또, 수축 통로(180)의 축선과 토출 통로(188)의 축선이 일치 또는 평행이 되도록, 수축 통로(180)의 구조 및 배치를 설정했다. 이 때문에, 토출 통로(188)에서 수축 통로(180)의 전후의 유로를 스트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고, 수축부에서 필요 이상의 압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보디(172)의 선단부에 실 부재(176)를 장착했기 때문에, 센서 보디(172)와 토출 통로(188)의 틈을 냉매가 통과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냉매가 수축 통로(180)를 통과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이 결과, 수축 통로(180)에 의한 목표대로 차압이 얻기 쉬워진다. 또, 실 부재(176)를 탄성체로 했기 때문에, 장착 구멍(178)이나 토출 통로(188)의 밀착성이 좋고, 또한 실 부재(176)의 내외주면에 래비린스 실(78, 79)(요철 형상)이 마련됨으로써, 높은 밀봉성을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유량 센서 및 그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에서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유량 센서(270)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특수 형상의 실 부재(176) 대신에, 센서 보디(272)의 하반부에 밀봉용의 0링(217, 218)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104)의 토출 통로(188)에 있어서 단차부에 장착 구멍(178)이 마련되어 있다. 즉, 토출 통로(188)의 소정 개소에는 상류측 통로(280)와 하류측 통로(282)를 상하로 접속하는 접속 통로(284)가 마련되고, 장착 구멍(178)은, 그 접속 통로(284)와 동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10)의 하부에는, 스프링 베어링(211)을 통해 구획 부재(212)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형상이 다소 복잡한 구획 부재(212)를 수지재로 구성한다. 가공을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본체(10) 및 스프링 베어링(211)은 금속(예컨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베어링(211)은 본체(10)에 압입되고, 구획 부재(212)는, 본체(10)에 코킹 접합되어 있다. 구획 부재(212)에서 본체(10)와의 접합면에는 0링(220)이 감착되어 있다. 0링(220)은, 간극 통로(44)로부터 저압실(28)로의 냉매의 누설을 방지한다. 스프링(24)은, 감압 부재(16)의 저부와 스프링 베어링(211)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 스프링 베어링(211) 및 구획 부재(212)를 관통하도록 연통로(232)가 마련되어 있다. 연통로(232)는, 구획 부재(212)의 측부에 개구하고, 저압실(28)과 하류측 통로(282)를 연통시킨다. 구획 부재(212)의 하부에는, 상류측 통로(280)와 하류측 통로(282)를 연통시키는 수축 통로(180)가 마련되어 있다. 수축 통로(180)는, 냉매가 흐르는 방향에 따르도록 그 축선이 센서 보디(272)의 축선에 대해 45도를 이루도록 마련되어 있다. 0링(217)은, 구획 부재(212)의 상부 외주면에 감착되고, 간극 통로(44)와 하류측 통로(282) 사이의 밀봉성을 확보한다. 0링(218)은, 구획 부재(212)의 하단부 외주면에 감착되고, 냉매가 구획 부재(212)와 장착 구멍(178) 사이를 통해 누설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통로(42)는 구획 부재(212)를 관통하고, 간극 통로(44)와 상류측 통로(280)를 연통시킨다. 이에 의해, 상류측 통로(280)를 흐르는 냉매의 일부는, 연통로(42)를 통해 간극 통로(44)에 도입되고, 또한 연통 구멍(30)을 통해 고압실(26)에 도입된다(도 7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한층 더 실 부재를 간소한 0링(217, 218)으로 치환했기 때문에, 낮은 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와 같이 토출 통로(188)의 복잡한 형상 부분에 대해서도 유량 센서(270)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형태]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유량 센서 및 그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 제2 실시형태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 제1, 제2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유량 센서(370)는,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센서 보디(372)의 하반부에 밀봉용의 0링(217, 218)이 마련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부에는, 구획 부재(312)의 상단부가 압입되어 있다. 구획 부재(312)는, 금속재(예컨대 알루미늄)로 이루어지고, 제2 실시형태에서 스프링 베어링(211)과 구획 부재(212)를 일체 성형한 듯한 형상을 갖는다.
구획 부재(312)의 하부에는, 상류측 통로(280)와 하류측 통로(282)를 연통시키는 수축 통로(180)가 마련되어 있다. 도 11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축 통로(180)는, 그 축선이 센서 보디(372)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수축 통로(180)는, 상류측 통로(280) 및 하류측 통로(282)의 각각에 대해 직교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한층 더 수축 통로(180)를 구획 부재(312)의 축선에 따르도록 했기 때문에, 수축 통로(180)의 가공이 쉬워지고, 보다 낮은 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12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유량 센서 및 그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A 선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제3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 제1~제3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유량 센서(470)는, 센서 보디(472)와 센서 헤드(474)를 조립하여 구성되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센서 보디(472)의 하부에 실 부재(176)가 마련된다. 다만, 유량 센서(470)는, 자기 센서가 아니고, 왜곡 게이지를 이용한 압력 센서인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보디(472)는,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의 본체(410)의 내방에 센서 모듈(420)을 수용하도록 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410)는, 제1 실시형태의 본체(10)와 구획 부재(12)를 일체화한 듯한 구조를 갖는다. 본체(410)에는, 그 축선에 따른 연통로(32)와, 거의 평행으로 연장되는 연통로(42)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410)의 하부에는 유로 형성부(34)가 마련되고, 그 내방에 수축 통로(180)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410)의 상부에는 단차를 갖는 원주 형상의 구획 부재(412)가 0링(414, 416)을 통해 조립되어 있다. 또, 본체(410)의 상단부에는, 센서 헤드(474)가 0링(417)을 통해 코킹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구획 부재(412)와 본체(41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센서 모듈(420)이 배치되어 있다.
센서 모듈(420)은, 단차를 갖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422)과, 하우징(422)의 중앙에 지지된 감압 부재(424)를 구비한다. 하우징(422)은, 상 하우징과 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그들 사이에 배선 기판(480)을 끼우도록 조립되어 있다. 하우징(422) 및 배선 기판(480)에는, 하우징(422)의 축선에 따른 관통로(426)가 마련되고, 그 관통로(426)의 중간부를 횡단하도록 감압 부재(424)가 배치되어 있다. 감압 부재(424)는, 배선 기판(480)의 중앙부에 실장되어 있다. 관통로(426)의 내방에 압력 공간(14)이 형성되고, 감압 부재(424)에 의해 고압실(26)과 저압실(28)에 칸막이가 되어 있다. 감압 부재(424)는, 가요성(可撓性)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전후 차압(고압실(26)과 저압실(28)의 차압)에 의해 변형되는 왜곡 게이지를 포함하고, 그 왜곡량에 상응한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감압 부재(424)에 의한 검출 신호는, 센서 헤드(474)로부터 연장되는 출력 단자(454)를 통해 외부 장치(제어부)로 출력된다.
구획 부재(412)는, 그 하부 중앙부가 0링(428)을 통해 하우징(422)의 상단 개구부에 삽통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구획 부재(412)와 본체(410)를 관통하도록 L자 형태의 연통로(430)가 마련되어 있다. 연통로(430)는, 간극 통로(44)(도 3 참조)와 고압실(26)을 연통시킨다. 즉, 연통로(42), 간극 통로(44) 및 연통로(430)가 "고압 통로"를 형성한다.
연통로(32)의 상부에는 원통 형상의 통로 부재(440)가 압입되어 있다. 통로 부재(440)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계지링(442)이 고정되어 있다. 통로 부재(440)는, 그 하단부가 0링(444)을 통해 연통로(32)에 압입되고, 상단부가 0링(446)을 통해 하우징(422)의 하단 개구부에 삽통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통로 부재(440)의 내부 통로는, 저압실(28)과 연통로(32)를 연통시킨다. 즉, 통로 부재(440)의 내부 통로와 연통로(32)가 "저압 통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감압 부재(16)는, 차압(Pd-Pp)을 감지하여 축선 방향으로 변위(변형)한다.
센서 헤드(474)는, L자 형태의 출력 단자(454)를 구비한다. 출력 단자(454)의 일단은 외부로 노출되지만, 타단측은 구획 부재(412)를 관통하고, 배선 기판(480)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압실(28)과 연통로(32)를 연통시키기 위해 통로 부재(440)를 마련하고, 센서 모듈(420)과 본체(510) 사이에 개재(介在)시키는 예를 나타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통로 부재(440)를 생략해도 좋다. 예컨대, 연통로(32)의 상단 개구부를 엠보싱(Emboss)으로 돌출시키고, 센서 모듈(420)의 하우징(422)에 감합시켜도 좋다. 이에 의해, 통로 부재(440), 계지링(442) 및 0링(444)이 불필요해지는 등,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도 15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유량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유량 센서 및 그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A-A선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제4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 제1~제4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유량 센서(570)는,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센서 보디(572)의 하반부에 밀봉용의 0링(217, 218)이 마련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510)의 하부에는, 상류측 통로와 하류측 통로를 연통시키는 수축 통로(180)가 마련되어 있다. 도 17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축 통로(180)는, 그 축선이 센서 보디(572)의 축선과 일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수축 통로(180)의 가공이 쉬워지고, 낮은 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도 18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압축기에 대한 유량 센서 및 제어 밸브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서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압축기(600)에서는, 유량 센서(170)에 의해 감지하는 차압을, 토출 밸브(160)의 하류측 압력(Pp2)과 출구 압력(PdL)의 차압(Pp2-PdL)으로 하고 있다. 즉, 리어 하우징(604)에서 토출 밸브(160)가 수용되는 압력실과 냉매 출구(158) 사이에 수축 통로(180)가 위치하도록 유량 센서(170)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토출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2점간의 차압은, 토출실(153)과 냉매 출구(158) 사이에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제1 실시형태뿐만 아니라, 제2~제5 실시형태의 제어 밸브 및 유량 센서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보디와 장착 구멍(178)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통로를 고압 통로로 하고, 센서 보디의 축선에 따라 연장되는 통로부를 저압 통로로 하는 예를 나타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센서 보디와 장착 구멍(178)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통로를 저압 통로로 하고, 센서 보디의 축선에 따라 연장되는 통로부를 고압 통로로 해도 좋다. 즉, 압력 공간(14)에서 고압실(26)과 저압실(28)의 위치 관계를 역전시켜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유량 센서가 적용되는 대상 장치로서 가변 용량 압축기를 예시하고,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 밸브로서, 피감지 압력으로서 흡입 압력(Ps)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이른바 Ps 감지 밸브를 예시했다. 변형예에서는, 상이한 제어 방식의 제어 밸브가 삽입되는 압축기에 대해, 각 실시형태의 유량 센서를 적용해도 좋다. 또, 압축기에 한하지 않고, 유체가 흐르는 내부 통로를 구비하는 장치에 대해, 각 실시형태의 유량 센서를 적용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다양한 발명을 형성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나타내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가지의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좋다.
10: 본체
12: 구획 부재
14: 압력 공간
16: 감압 부재
20: 자석
26: 고압실
28: 저압실
30: 연통 구멍
32: 연통로
34: 유로 형성부
36: 관통로
42: 연통로
44: 간극 통로
50: 자기 센서
54: 출력 단자
66: 제1 개구부
68: 제2 개구부
70: 제3 개구부
78: 래비린스 실
79: 래비린스 실
100: 압축기
111: 요동판
112: 피스톤
120: 응축기
130: 팽창 장치
140: 제어 밸브
150: 증발기
151: 흡입실
153: 토출실
154: 크랭크실
160: 토출 밸브
170: 유량 센서
172: 센서 보디
174: 센서 헤드
176: 실 부재
178: 설치 구멍
180: 수축 통로
188: 토출 통로
212: 구획 부재
232: 연통로
270: 유량 센서
272: 센서 보디
278: 장착 구멍
312: 구획 부재
370: 유량 센서
372: 센서 보디
410: 본체
412: 구획 부재
420: 센서 모듈
424: 감압 부재
426: 관통로
430: 연통로
440: 통로 부재
454: 출력 단자
470: 유량 센서
472: 센서 보디
474: 센서 헤드
480: 배선 기판
510: 본체
570: 유량 센서
572: 센서 보디
600: 압축기

Claims (10)

  1. 대상 장치의 메인 통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차압식의 유량 센서로,
    상기 메인 통로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차압을 생성하는 수축부와, 상기 수축부의 상류측 압력을 도입하기 위한 고압 통로와, 상기 수축부의 하류측 압력을 도입하기 위한 저압 통로와, 상기 고압 통로와 상기 저압 통로를 막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류측 압력과 상기 하류측 압력의 차압을 감지하여 변위하는 감압부를 포함하는 센서 보디와,
    상기 감압부의 변위에 상응한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가 마련되는 센서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보디의 일단측에 상기 수축부가 마련되는 한편, 상기 센서 보디의 타단측에 상기 센서 헤드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대상 장치의 장착 구멍에 상기 수축부측으로부터 끼이도록 하여 장착 가능한 외형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보디는, 그 외경이 상기 타단측으로부터 상기 일단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통로 및 상기 저압 통로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센서 보디와 상기 장착 구멍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통로를 그 일부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통로 및 상기 저압 통로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센서 보디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보디의 선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유량 센서가 상기 장착 구멍에 장착시에 상기 센서 보디와 상기 메인 통로의 틈을 유체가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고, 이에 의해 유체가 상기 수축부를 통과하는 것을 촉진하는 실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 부재는,
    상기 수축부를 포함하는 상기 센서 보디의 선단부를 도입하기 위한 제1 개구부와,
    상기 수축부의 상류측으로 개구하는 제2 개구부와,
    상기 수축부의 하류측으로 개구하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 부재는, 상기 메인 통로와의 대향면에 래비린스 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는, 상기 센서 보디에 지지되고, 축선 방향으로 상기 차압을 받아 변위하는 감압 부재와, 상기 감압 부재에 일체로 마련된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헤드는, 상기 자석의 변위에 상응한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 센서가 상기 자석의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센서 보디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는, 상기 센서 보디에 지지되고, 상기 차압을 받아 변형되는 왜곡 게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장치로서의 가변 용량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그 압축기의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장착 구멍에 대해 상기 센서 보디가 착탈 가능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상기 메인 통로로서의 토출 통로에서 소정의 2점간의 차압을 검지하는 것에 의해, 그 차압에 상응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센서.
KR1020140037518A 2013-05-10 2014-03-31 유량 센서 KR201401334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00579 2013-05-10
JP2013100579A JP6085791B2 (ja) 2013-05-10 2013-05-10 流量セン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421A true KR20140133421A (ko) 2014-11-19

Family

ID=5193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518A KR20140133421A (ko) 2013-05-10 2014-03-31 유량 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085791B2 (ko)
KR (1) KR201401334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0710A1 (zh) * 2020-11-30 2022-06-02 深圳市科曼医疗设备有限公司 压差式流量传感器及呼吸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3715B2 (ja) * 2013-05-29 2017-11-01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流量検出装置、及びその流量検出装置を備えた圧縮機及び冷凍装置
KR102324467B1 (ko) * 2020-07-14 2021-11-11 주식회사 신한전기 압축기용 차압센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36A (en) * 1935-07-02 Orifice-provided element
JPS615417U (ja) * 1984-06-14 1986-01-13 富士電機株式会社 差圧式流量測定装置
JP2002039819A (ja) * 2000-07-19 2002-02-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ポペット弁形流量計測装置
JP2008107282A (ja) * 2006-10-27 2008-05-08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における冷媒流量検出構造
JP5213582B2 (ja) * 2008-08-18 2013-06-19 アドバンス電気工業株式会社 流量測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0710A1 (zh) * 2020-11-30 2022-06-02 深圳市科曼医疗设备有限公司 压差式流量传感器及呼吸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19359A (ja) 2014-11-20
JP6085791B2 (ja)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830B1 (ko) 용량제어밸브
US9989057B2 (en) Variable volume ratio scroll compressor
US7037087B2 (en) Capacity control valv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976857B1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제어 밸브
JP5383632B2 (ja) スクリュ圧縮機
JP2011043102A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EP3239520B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2178579B1 (ko) 가변 용량 압축기 및 유량 센서의 장착 구조
JP3995513B2 (ja) 圧力検出機能を有する膨張弁
KR20140133421A (ko) 유량 센서
US20090129948A1 (en)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piston type compressor
WO2015093502A1 (ja) 圧力制御弁およびこれを用いた可変容量圧縮機
KR102324467B1 (ko) 압축기용 차압센서
JP2007211701A (ja) 容量可変型圧縮機における流量検出装置
JP2004116349A (ja) 可変容量圧縮機用容量制御弁
WO2015098697A1 (ja) 流量検出装置及び可変容量圧縮機
US20080110188A1 (en) Structure for sensing refrigerant flow rate in a compressor
JP4100924B2 (ja) 容量制御弁
KR20200092519A (ko) 가변 용량형 제어밸브와 그 조립 방법
JP2004100473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の制御弁
JP2004204759A (ja) 容量制御弁
JP6223715B2 (ja) 流量検出装置、及びその流量検出装置を備えた圧縮機及び冷凍装置
JP4100925B2 (ja) 容量制御弁
JP2008202480A (ja) 可変容量圧縮機の容量制御弁
US7874813B2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