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684A - 가동 접점 부재 및 가동 접점 부재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가동 접점 부재 및 가동 접점 부재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684A
KR20140132684A KR1020140053539A KR20140053539A KR20140132684A KR 20140132684 A KR20140132684 A KR 20140132684A KR 1020140053539 A KR1020140053539 A KR 1020140053539A KR 20140053539 A KR20140053539 A KR 20140053539A KR 20140132684 A KR20140132684 A KR 20140132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contact member
contact
moving contac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코 다자와
이즈루 사다마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2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5/18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flexing of blade springs
    • H01H5/22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flexing of blade springs blade spring with at least one snap-acting leg and at least one separate contact-carrying or contact-actuating le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5/30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buckling of disc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소형화한 경우에도 조작 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가동 접점 부재 및 가동 접점 부재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가동 접점 부재(1)는, 아치 형상으로 만곡하고, 가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가능한 가동 접점부(1a)와, 가동 접점부(1a)의 양측에 슬릿(1b)을 통하여 배치되며, 재치면(IF)에 상시 접촉하기 위한 상접 접점부(1c)와, 가동 접점부(1a)와 상접 접점부(1c)의 양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1d)를 구비한 가동 접점 부재(1)에 있어서, 가동 접점부(1a)에는, 아치 형상의 정상부(1h)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변곡부(1e)를 가지고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스위치 장치는, 가동 접점 부재(1)와, 가동 접점 부재(1)의 가동 접점부(1a)와 접리하는 제 1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부재(1)의 상접 접점부(1c)와 상접하는 제 2 고정 접점과, 제 1 고정 접점 및 제 2 고정 접점이 설치된 기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가동 접점 부재 및 가동 접점 부재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MOVABLE CONTACT MEMBER AND SWITCH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로로 긴 형상의 스위치 장치에 대응 가능한 가동 접점 부재 및 가로로 긴 형상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형화한 경우에도 조작 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가동 접점 부재 및 가동 접점 부재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즘, 스마트폰(다기능 휴대전화기)이나 휴대형 오디오 기기 등의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소형화가 진행되어 오고 있고, 이와 같은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스위치 장치에는, 보다 소형의 스위치 장치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 장치에 이용되는 가동 접점 부재로서는,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스위치 스프링)가 알려져 있다. 이하, 도 9를 이용하여,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910)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a)는 가동 접점 부재(910)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b)는 도 9(a)에 나타낸 Y2 방향측으로부터 본 상태의 가동 접점 부재(91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910)는, 한 장의 판으로 대략 직사각형으로 만들어지며, 중앙이 상방향의 아치 형상으로 만곡한 가동 접점부(911)이다. 가동 접점 부재 전체는, 이 가동 접점부(911)의 중심에 좌우 대칭이며, 평행한 2개의 슬릿(914)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상접(常接) 접점부(912)가 있고, 가동 접점부(911)와 상접 접점부(912)의 각각 양단은 연설부(913)에 의해 연접(連接)된 구조이다. 또한, 실제로 스위치 장치에 이용된 경우에는, 이간하여 설치된 제 1 고정 접점과 제 2 고정 접점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를, 가동 접점 부재(910)를 통하여 전환함으로써 스위치 장치로서 기능하는 구조가 취해진다. 예를 들면, 제 2 고정 접점은 상접 접점부(912)와 상시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제 1 고정 접점은, 가동 접점부(911)를, 가동 접점부(911)의 만곡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하는 구조로 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부(911)를 가압 조작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제 1 고정 접점과 제 2 고정 접점의 사이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고, 가동 접점부(911)를 가압 조작하여 제 1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부(911)가 접촉했을 때에는, 제 1 고정 접점과 제 2 고정 접점의 사이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스위치 장치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340126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형상대로 소형화한 경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910)는, 가동 접점부(911)의 중앙 부분이 돌출하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반전 동작에 따라 굴곡된 경우에, 가동 접점부(911)의 중앙 부분의 정상부가 가장 굴곡되기 때문에, 가동 접점부(911)의 정상부에 응력이 집중되기 쉽다. 따라서, 반복 가압 조작이 행해지면, 응력이 집중된 가동 접점부(911)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균열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소형의 스위치 장치에 이용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소형화한 경우에도 조작 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가로로 긴 형상의 가동 접점 부재 및 가동 접점 부재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에 있어서는, 아치 형상으로 만곡하고, 가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가동 접점부와, 상기 가동 접점부의 양측에 슬릿을 통하여 배치되며, 재치면에 상시 접촉하기 위한 상접 접점부와, 상기 가동 접점부와 상기 상접 접점부의 양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가동 접점 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부는, 아치 형상의 정상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변곡부를 가지고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 변곡부를 사이에 둔 상기 정상부는, 평탄 형상으로 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청구항 3, 4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 한 쌍의 변곡부가 복수설치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 접점부는, 폭광부와 폭협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폭광부에, 상기 변곡부가 설치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청구항 6, 7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 부재의 가동 접점부와 접리하는 제 1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부재의 상접 접점부와 상접하는 제 2 고정 접점과, 상기 제 1 고정 접점 및 상기 제 2 고정 접점이 설치된 기대(基臺)를 가진다는 특징을 가진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가동 접점부에, 아치 형상의 정상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변곡부를 설치함으로써, 가압 조작에 의해 가동 접점부가 반전 동작을 했을 때에, 변곡부에 응력이 집중되기 쉬워져, 아치 형상의 정상부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변곡부에 응력이 분산된다. 분산된 응력은, 아치 형상의 정상부에만 집중된 경우에 비해 작아지므로,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즉, 소형화한 경우에도 종래의 구조의 가동 접점부와 비교하여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소형화한 경우에도 조작 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가로로 긴 형상의 가동 접점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정상부를 평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가압 부재 등을 통하여 정상부가 가압 조작될 때에, 가압 부재 등을 면(面)으로 받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다소 위치 어긋남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정상부를 가압 조작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3, 4의 발명에 의하면, 변곡부를 복수 설치함으로써, 가동 접점부가 반전 동작을 했을 때에, 아치 형상의 정상부에 발생하는 응력은 한층 더 분산되며, 한층 더 균열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즉, 소형화한 경우에도 종래의 구조의 가동 접점부와 비교하여 한층 더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소형화한 경우에도 조작 수명을 더 확보할 수 있는 가로로 긴 형상의 가동 접점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폭협부보다 응력에 대한 내성이 있는 폭광부에 변곡부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응력을 분산시키기 쉬워지며, 소형화한 경우에도 조작 수명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가로로 긴 형상의 가동 접점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6, 7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를 이용하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소형화한 경우에도 조작 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가로로 긴 형상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화한 경우에도 조작 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가로로 긴 형상의 가동 접점 부재 및 가동 접점 부재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1)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1)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b)에 나타낸 단면 A-A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대(3)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가동 접점 부재(1)가 반전 동작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가동 접점 부재(1)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910)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1)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처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1)의 구조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1)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1)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도 1에 나타낸 Z1 방향측으로부터 본 상태의 가동 접점 부재(1)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b)는 도 1에 나타낸 Y2 방향측으로부터 본 상태의 가동 접점 부재(1)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2(b)에 있어서는, 재치면(IF)을 평탄면으로서 기재하고 있다.
가동 접점 부재(1)는, 탄성을 가진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치 형상으로 만곡하고, 가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가동 접점부(1a)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가동 접점부(1a)의 양측(Y1 방향측과 Y2 방향측)에는, 슬릿(1b)을 통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치면(IF)에 상시 접촉하기 위한 상접 접점부(1c)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접점 부재(1)는, 가동 접점부(1a)와 상접 접점부(1c)의 양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1d)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동 접점 부재(1)는, 평면시에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부(1a)는, 아치 형상의 정상부(1h)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변곡부(1e)를 가지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점부(1a)는, 변곡부(1e)에 있어서 구부러짐이 들어가 있다. 또한, 변곡부(1e)를 사이에 둔 정상부(1h)는, 평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가동 접점부(1a)는, 폭광부(1f)와 폭협부(1g)를 가지고 있고, 폭협부(1g)는 가동 접점부(1a)의 양단측에 형성되며, 폭광부(1f)에, 변곡부(1e)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Y1-Y2 방향에 있어서의 폭광부(1f)의 폭 치수는, 폭협부(1g)의 폭 치수보다 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폭협부(1g)의 폭 치수는 연결부(1d) 측으로 향함에 따라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상접 접점부(1c)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a)의 Y2 방향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X1-X2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사이에 두고 대략 대칭으로, 물결치듯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접 접점부(1c)의 양단부와, 상접 접점부(1c)를 3분할하는 위치의 8개소(도 2(b)에 나타낸 CA부, Y1 방향측에도 있음)에 있어서 재치면(IF)에 접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로 한 것에 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1)에서는, 아치 형상으로 만곡하고, 가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가동 접점부(1a)와, 가동 접점부(1a)의 양측에 슬릿(1b)을 통하여 배치되며, 재치면(IF)에 상시 접촉하기 위한 상접 접점부(1c)와, 가동 접점부(1a)와 상접 접점부(1c)의 양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1d)를 구비한 가동 접점 부재(1)에 있어서, 가동 접점부(1a)는, 아치 형상의 정상부(1h)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변곡부(1e)를 가지고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부(1a)에, 아치 형상의 정상부(1h)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변곡부(1e)를 설치함으로써, 가압 조작에 의해 가동 접점부(1a)가 반전 동작을 했을 때에, 변곡부(1e)에 응력이 집중되기 쉬워져, 아치 형상의 정상부(1h)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변곡부(1e)에 분산된다. 변곡부(1e)에 분산된 응력은, 아치 형상의 정상부(1h)에만 집중된 경우에 비해 작아지므로,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즉, 소형화한 경우에도 종래의 구조의 가동 접점부(1a)와 비교하여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소형화한 경우에도 조작 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가로로 긴 형상의 가동 접점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1)에서는, 변곡부(1e)를 사이에 둔 정상부(1h)는, 평탄 형상으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정상부(1h)를 평탄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가압 부재 등을 통하여 정상부(1h)가 가압 조작될 때에, 가압 부재 등을 면으로 받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다소 위치 어긋남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정상부(1h)를 가압 조작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가동 접점 부재(1)에서는, 가동 접점부(1a)는, 폭광부(1f)와 폭협부(1g)를 가지고 있고, 폭광부(1f)에, 변곡부(1e)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폭협부(1g) 보다 응력에 대한 내성(耐性)이 있는 폭광부(1f)에 변곡부(1e)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응력을 분산시키기 쉬워져, 소형화한 경우에도 조작 수명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가로로 긴 형상의 가동 접점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100)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는 스위치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Z1 방향측으로부터 본 상태의 스위치 장치(1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b)에 나타낸 단면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대(3)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스위치 장치(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1)와, 가동 접점 부재(1)의 가동 접점부(1a)와 접리하는 제 1 고정 접점(2a)과, 가동 접점 부재(1)의 상접 접점부(1c)와 상접하는 제 2 고정 접점(2b)을 구비한 고정 접점 부재(2)와, 제 1 고정 접점(2a) 및 제 2 고정 접점(2b)이 설치된 기대(3)와, 가동 접점 부재(1)를 기대(3)에 유지하는 유지 시트 부재(4)와, 유지 시트 부재(4)를 통하여 가동 접점 부재(1)를 가압 조작 가능한 조작 부재(5)와, 가동 접점 부재(1), 유지 시트 부재(4) 및 조작 부재(5)를 기대(3)와 협지하는 커버 부재(6)와, 기대(3)와 커버 부재(6)를 걸어 멈춤하는 유지판(7)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조작 부재(5)를 가압 조작함으로써, 고정 접점 부재(2)의 도통(導通) 상태의 전환이 행해져, 스위치 장치로서 기능한다.
먼저 처음에, 각 구성 부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행하지 않는다.
기대(3)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대(3)의 상면(Z1 방향측의 면)에는, 오목 형상으로 가동 접점 부재(1)를 수납 가능한 수납부(3a)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3a)의 깊이는, 수납부(3a)에 가동 접점 부재(1)를 수납했을 때에, 정상부(1h)가 돌출하는 정도의 깊이이다. 또한, 기대(3)는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접점 부재(2)를 내포하고,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기대(3)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고정 접점 부재(2)의 일부는, 수납부(3a)의 내부 바닥면의 중앙부에 노출되고, 가동 접점 부재(1)의 가동 접점부(1a)와 접리 가능한 제 1 고정 접점(2a)을 형성한다. 또한, 제 1 고정 접점(2a)에서 교차하는 2개의 대각선을 가지는 가상의 사각형 SQ의 네 모퉁이에 대응하는 개소 중, 3개소에는 고정 접점 부재(2)의 다른 일부가 노출되고, 가동 접점 부재(1)의 상접 접점부(1c)와 상접 가능한 제 2 고정 접점(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각형의 네 모퉁이 중, 제 2 고정 접점(2b)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는, 제 2 고정 접점(2b)이 노출되어 있는 개소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수납부(3a)의 내부 바닥면에 돌기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고정 접점(2a)과 제 2 고정 접점(2b)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고정 접점(2a)을 형성하는 고정 접점 부재(2)의 타단은, 기대(3)의 Y2 방향측의 면의 X2 방향측으로 돌출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 1 외부 접속 단자(2c)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 2 고정 접점(2b)을 형성하는 고정 접점 부재(2)의 타단은, 기대(3)의 Y2 방향측의 면의 X1 방향측으로 돌출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제 2 외부 접속 단자(2d)를 형성하고 있다.
유지 시트 부재(4)는, 가요성을 가진 합성 수지재의 시트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시트(4a)와 달라붙음 방지 시트(4b)로 이루어진다. 유지 시트(4a)는, 기대(3)의 수납부(3a)의 상방을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일방의 면(Z2 방향측의 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면(4c)이 형성되어 있다. 달라붙음 방지 시트(4b)는, 유지 시트(4a)보다 작고, 가동 접점 부재(1)의 가동 접점부(1a)를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점착면(4c)의 가동 접점부(1a)에 대응하는 개소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달라붙음 방지 시트(4b)에는 점착제는 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지 시트(4a) 이외의 부재가 접촉하더라도, 점착 유지되지 않는다. 즉, 가동 접점 부재(1)는, 유지 시트 부재(4)의 점착면(4c)에 달라붙지 않도록 되어 있다.
조작 부재(5)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조작부(5a)와, 조작부(5a)의 하방(Z2 방향측)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가압부(5b)로 이루어진다. 가압부(5b)는, 조작부(5a)의 하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5a)의 X1-X2 방향측의 측면의 하단에는, X1-X2 방향측으로 돌출하여 플랜지부(5c)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6)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6)는, 하방(Z2 방향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중공부(6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커버 부재(6)는, 상면(Z1 방향측의 면)에 조작 구멍(6b)을 가지고, 조작 구멍(6b)은 중공부(6a)에 관통하고 있다. 또한, 조작 구멍(6b)은, 조작 부재(5)의 조작부(5a)를 삽통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중공부(6a)는 조작 구멍(6b)에 조작부(5a)를 삽통한 상태에서 내부에 조작 부재(5)를 수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6)는, 상면의 조작 구멍(6b)을 사이에 둔 위치(조작 구멍(6b)의 X1 방향측과 X2 방향측)에, 상방으로 원추 형상으로 돌출한 위치 결정핀(6c)을 가진다.
유지판(7)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유지판(7a)과 제 2 유지판(7b)을 가진다. 제 1 유지판(7a)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 구멍(6b)과 대략 같은 크기로 형성된 삽통 구멍(7c)을 가진다. 또한, 제 1 유지판(7a)은, 삽통 구멍(7c)을 사이에 둔 위치(삽통 구멍(7c)의 X1 방향측과 X2 방향측)에, 위치 결정핀(6c)을 삽통 가능한 위치 결정 구멍(7d)을 가진다. 또한, 제 1 유지판(7a)은, X1-X2 방향측의 단부에, 컷 아웃부(7e)를 가지고 있다. 제 2 유지판(7b)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판부(7f)를 가지고, 바닥판부(7f)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연장 돌출하여 가로판부(7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로판부(7g)의 선단측에는, 컷 아웃부(7e)에 삽입 가능하며, 각각 2개 돌출하여 코킹부(7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로판부(7g)끼리는, 사이에 기대(3) 및 커버 부재(6)를 배치 가능한 거리만큼 이간하고 있다.
다음에 스위치 장치(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점 부재(1)는, 기대(3)의 수납부(3a)의 내부에, 제 2 고정 접점(2b)(도 6 참조)과 상접 접점부(1c)가 상접함과 함께, 가동 접점부(1a)와 제 1 고정 접점(2a)이 접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납부(3a)의 내부 바닥면(제 2 고정 접점(2b))이 재치면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가동 접점 부재(1)가 배치된 수납부(3a)의 상방에는, 수납부(3a)를 덮도록 유지 시트 부재(4)가 배치되며, 점착면(4c)에 의해 기대(3)에 점착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 부재(1)는 수납부(3a) 내에 유지된다. 또한, 점착면(4c)에 있어서, 가동 접점 부재(1)의 가동 접점부(1a)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달라붙음 방지 시트(4b)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점착면(4c)에 가동 접점부(1a)가 달라붙지 않도록 되어 있다.
조작 부재(5)는, 중공부(6a) 측으로부터 조작부(5a)를 커버 부재(6)의 조작 구멍(6b)(도 3 참조)에 삽입한 상태에서, 커버 부재(6)와 함께, 기대(3)의 위에 겹쳐 배치된다. 이 때, 가동 접점 부재(1)의 가동 접점부(1a)의 상방에는, 유지 시트 부재(4)를 통하여 조작 부재(5)의 가압부(5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5c)가 스토퍼가 되고, 조작 부재(5)는 조작 구멍(6b)으로부터 빠지지 않아, 중공부(6a)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제 1 유지판(7a)은, 삽통 구멍(7c)(도 3 참조)에 조작 부재(5)의 조작부(5a)를 삽통함과 함께, 위치 결정 구멍(7d)에 위치 결정핀(6c)을 삽입한 상태에서 커버 부재(6)의 상방에 배치된다. 또한, 제 2 유지판(7b)은, 가로판부(7g)끼리의 사이에, 다른 구성 부품을 내포하는 기대(3) 및 커버 부재(6) 등을 배치하고, 제 1 유지판(7a)의 컷 아웃부(7e)에 코킹부(7h)를 삽입시키고 있다.
코킹부(7h)를 각각 변형시킴(고정)으로써, 제 1 유지판(7a)과 제 2 유지판(7b)은 유지판(7)으로서 일체로 걸어멈춤됨과 함께, 다른 구성 부품을 조작 가능하게 유지하고, 스위치 장치(100)가 형성된다.
다음에 스위치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5 및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가동 접점 부재(1)가 반전 동작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비조작시, 제 1 고정 접점(2a)과 제 2 고정 접점(2b)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다음에, 조작 부재(5)의 조작부(5a)를 하방(Z2방향)으로 가압 조작하면, 조작 부재(5)의 가압부(5b)는, 유지 시트 부재(4)를 통하여, 가동 접점 부재(1)의 가동 접점부(1a)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가압된 가동 접점부(5a)는 하방으로 휜 후에 반전 동작하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고정 접점(2a)과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고정 접점(2a)과 제 2 고정 접점(2b)은, 가동 접점 부재(1)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또한, 조작 부재(5)로의 가압 조작을 멈추면, 가동 접점 부재(1)의 탄성력에 의해, 각 구성 부품과 함께, 비조작시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제 1 고정 접점(2a)과 제 2 고정 접점(2b)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와 같이, 제 1 고정 접점(2a)과 제 2 고정 접점(2b)의 전기적인 도통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스위치 장치로서 기능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로 한 것에 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 장치(100)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1)와, 가동 접점 부재(1)의 가동 접점부(1a)와 접리하는 제 1 고정 접점(2a)과, 가동 접점 부재(1)의 상접 접점부(1c)와 상접하는 제 2 고정 접점(2b)과, 제 1 고정 접점(2a) 및 제 2 고정 접점(2b)이 설치된 기대(3)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재된 가동 접점 부재(1)를 이용하여 스위치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소형화한 경우에도 조작 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가로로 긴 형상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 장치(100)에서는, 유지 시트(4a)의 가동 접점부(1a)에 대응하는 개소에 달라붙음 방지 시트(4b)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 장치(100)를 조작했을 때에, 유지 시트 부재(4)의 점착면(4c)에 가동 접점 부재(1)의 가동 접점부(1a)가 달라붙지 않도록 되어 있다. 가동 접점부(1a)가 달라붙지 않게 됨으로써, 달라붙음에 의해 가동 접점부(1a)의 움직임이 저해되지 않아, 안정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스위치 장치(100)에서는, 제 2 고정 접점(2b)이 노출되어 있는 개소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수납부(3a)의 내부 바닥면에 돌기부(3b)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수납부(3a) 내부에 가동 접점 부재(1)를 배치했을 때에, 가동 접점 부재(1)가 기울기 어려워져, 제 2 고정 접점(2b)과 상접 접점(1c)이 안정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안정된 스위칭을 행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동 접점 부재 및 가동 접점 부재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들의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 접점부(1a)는, 아치 형상의 정상부(1h)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변곡부(1e)를 가지고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한 쌍의 변곡부(1e)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변곡부(1e)가 2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 8은, 가동 접점 부재(1)의 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것에 의해, 변곡부(1e)를 복수 설치함으로써, 가동 접점부(1a)가 반전 동작을 했을 때에, 아치 형상의 정상부(1h)에 발생하는 응력은 한층 더 분산되며, 한층 더 균열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즉, 소형화한 경우에도 종래의 구조의 가동 접점부(1a)와 비교하여 한층 더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소형화한 경우에도 조작 수명을 더 확보할 수 있는 가로로 긴 형상의 가동 접점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2)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 접점 부재(1)의 사용수는 1매로 하였으나, 동작 가능한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가동 접점 부재(1)를 복수매 겹쳐 사용해도 된다. 가동 접점 부재(1)를 복수매 겹쳐 사용함으로써, 소형화한 경우에도, 무거운 작동력의 요구에 대응하기 쉬워진다.
1: 가동 접점 부재 1a: 가동 접점부
1b: 슬릿 1c: 상접 접점부
1d: 연결부 1e: 변곡부
1f: 폭광부 1g: 폭협부
1h: 정상부 2: 고정 접점 부재
2a: 제 1 고정 접점 2b: 제 2 고정 접점
2c: 제 1 외부 접속 단자 2d: 제 2 외부 접속 단자
3: 기대 3a: 수납부
3b: 돌기부 4: 유지 시트 부재
4a: 유지 시트 4b: 달라붙음 방지 시트
4c: 점착면 5: 조작 부재
5a: 조작부 5b: 가압부
5c: 플랜지부 6: 커버 부재
6a: 중공부 6b: 조작 구멍
6c: 위치 결정핀 7: 유지판
7a: 제 1 유지판 7b: 제 2 유지판
7c: 삽통 구멍 7d: 위치 결정 구멍
7e: 컷 아웃부 7f: 바닥판부
7g: 가로판부 7h: 코킹부
100: 스위치 장치 IF: 재치면

Claims (7)

  1. 아치 형상으로 만곡하고, 가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가동 접점부와,
    상기 가동 접점부의 양측에 슬릿을 통하여 배치되며, 재치면에 상시 접촉하기 위한 상접(常接) 접점부와,
    상기 가동 접점부와 상기 상접 접점부의 양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가동 접점 부재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부는, 아치 형상의 정상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변곡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곡부를 사이에 둔 상기 정상부는, 평탄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변곡부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변곡부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부는, 폭광부와 폭협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폭광부에, 상기 변곡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접점 부재.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가동 접점 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 부재의 가동 접점부와 접리하는 제 1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부재의 상접 접점부와 상접하는 제 2 고정 접점과,
    상기 제 1 고정 접점 및 상기 제 2 고정 접점이 설치된 기대(基臺)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7. 제 5항의 가동 접점 부재와,
    상기 가동 접점 부재의 가동 접점부와 접리하는 제 1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 부재의 상접 접점부와 상접하는 제 2 고정 접점과,
    상기 제 1 고정 접점 및 상기 제 2 고정 접점이 설치된 기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140053539A 2013-05-08 2014-05-02 가동 접점 부재 및 가동 접점 부재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KR201401326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98054 2013-05-08
JP2013098054A JP2014220088A (ja) 2013-05-08 2013-05-08 可動接点部材及び可動接点部材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684A true KR20140132684A (ko) 2014-11-18

Family

ID=5185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539A KR20140132684A (ko) 2013-05-08 2014-05-02 가동 접점 부재 및 가동 접점 부재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4220088A (ko)
KR (1) KR20140132684A (ko)
CN (1) CN1041434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9431B1 (ja) * 2015-03-11 2016-01-06 不二電子工業株式会社 ドーム型可動接片
JP6399706B2 (ja) * 2015-03-24 2018-10-0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可動接点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可動接点部材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JP6425306B2 (ja) * 2015-03-24 2018-11-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可動接点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可動接点部材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JP6632938B2 (ja) * 2016-06-28 2020-01-22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8627U (ja) * 1983-09-09 1985-04-05 泉自動車株式会社 押釦式スイツチ用板ばね
JPS6286033U (ko) * 1985-11-18 1987-06-01
CN2155620Y (zh) * 1993-05-26 1994-02-09 陈道生 薄膜式键盘之机械式按键开关
JPH1021784A (ja) * 1996-07-02 1998-01-23 Alps Electric Co Ltd 押釦スイッチ
JP4039535B2 (ja) * 1997-11-07 2008-01-30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2237233A (ja) * 2001-02-07 2002-08-23 Citizen Electronics Co Ltd タクトスイッチ
CN202839391U (zh) * 2012-05-24 2013-03-27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可动接点及使用了可动接点的按钮开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43458A (zh) 2014-11-12
JP2014220088A (ja)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365B1 (ko) 푸쉬온 스위치
US7503779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oldable plug
TWI422107B (zh) 蓋板結構
KR20140132684A (ko) 가동 접점 부재 및 가동 접점 부재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US20150207249A1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EP2701239B1 (en) Connection structure with usb interface and data card
US20120018291A1 (en) Switch assembly
US2011027814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push botton
US925724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ower switch
JP5846642B2 (ja) 押釦スイッチ
KR101572971B1 (ko)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CN112204690A (zh) 按压开关
US8143544B2 (en) Switch
JP202204362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1812421B1 (ko) 전자부품 접속용 커넥터
CN112567490A (zh) 按压开关
JP2012146484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6854917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7964814B2 (en) Push-push switch with movable terminal
KR101149798B1 (ko) 휴대단말기용 사이드 키 모듈
JP6399908B2 (ja) 多方向スイッチ
JP4985383B2 (ja) スイッチ構造
KR101426490B1 (ko) 슬림형 푸쉬 스위치장치
JP3155965U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22143157A (ja) 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