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430A -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 Google Patents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430A
KR20140132430A KR1020130048425A KR20130048425A KR20140132430A KR 20140132430 A KR20140132430 A KR 20140132430A KR 1020130048425 A KR1020130048425 A KR 1020130048425A KR 20130048425 A KR20130048425 A KR 20130048425A KR 20140132430 A KR20140132430 A KR 20140132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ain body
smart key
switch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0388B1 (ko
Inventor
박재홍
김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Priority to KR20130048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388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키 본체에 필름형 스위치를 설치하여 스마트 키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도록 개선한 필름형 스위치를 구비한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이 몰딩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상의 임의의 위치에 개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설치홈의 인쇄 회로 기판에 설치되어 필름 스위치부의 버튼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본체 스위칭 단자를 형성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을 덮는 필름체에 상기 본체 스위칭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접촉 신호가 제공되도록 버튼부를 형성한 필름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 키 본체에 필름형 스위치를 설치하여 스마트 키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SMART KEY ASSEMBLY WITH FILM TYPE SWITCH}
본 발명은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키 본체에 필름형 스위치를 설치하여 스마트 키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도록 개선한 필름형 스위치를 구비한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보안 편의 장치는 자동차 산업의 초창기 차량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 도어에 도어락(Door Lock)을 설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스티어링락(Steering Lock)을 시동 스위치와 연동하는 턴 키 방식의 도난 방지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도난 방지 장치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떨어트려, 최근에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로 전자인증방식을 통해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이 차량에 장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마트키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 키 통신 장치는 회로 기판의 전면 및 후면의 양면이 하우징 내에 밀폐된다.
하우징을 구성하는 본체는 각각 회로 기판 및 배터리를 수용하는 회로 기판 수용부 및 배터리 수용부를 포함한 바닥부를 구비한 편평 카드형 박스로 형성된다.
회로 기판 및 배터리는 덮개 시트 즉, 리드를 사용하여 하우징의 본체에 밀폐되고, 그 일 단부가 회로 기판에 납땜된 단자는 배터리와 가압 접촉하도록 배터리 수용부로 연장되며, 이로써 각 단자는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 위치를 향해 사전에 만곡 변형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하우징은 전자 부품(12)이 설치되어 있는 인쇄 회로 기판(10)의 한 면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을 형성하는 수지에 의해 밀봉되도록 상측 금형(22)과 하측 금형(24)으로 이루어진 금형(20) 내에서 성형 제조된다.
전자 부품(12)이 설치되지 않는 다른 면은 하우징의 외부면으로 사용되도록 성형 제조될 수도 있고, 이때 상기 하우징이 수지로 성형되면, 배터리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주형(mold)이 요구된다.
한국 특허공개번호 10-2013-0029644호에는 도 2와 같이, 본체(31)와 배터리 케이스(32)로 구성된 스마트 키(30)가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인 스마트 키(30)의 본체(31)는 인쇄 회로 기판(10, 도 1 참조)을 금형(20, 도 1 참조)에 인서트 한 후, 반도체용 EMC 수지를 이용하여 인몰딩 공법으로 제조하고, 상면, 하면, 상기 상면 및 하면을 잇는 다수의 측면으로 이루어진 사각 형상을 형성한다.
본체(31)는 다수의 측면 중 일측면에 버튼형의 배터리(32a)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단자(13)의 양극 단자(13a)와 음극 단자(13b)는 본체(31) 내부에서 수용공간 쪽으로 나란히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단자들(13a, 13b) 사이에는 배터리(32a)가 삽입되어 접촉 가압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10)과 전자 부품(12)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32)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버튼형의 배터리(32a)를 수납 및 보호할 수 있도록 U자형의 단면 구조를 형성하고, 본체(31)의 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미도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본체(31)의 수용공간에 배터리(32a)가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삽입된 배터리(32a)가 본체(31)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스마트 키(30)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서는 간헐적으로 접촉 신호를 부가하는 버튼형 스위치의 설치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스마트 키(30)는 인쇄 회로 기판(10)을 금형(20)에 인서트 한 다음 몰딩하는 제조과정으로 인해 상기 스마트 키(30)에 간헐적으로 접촉 신호를 제공하는 버튼형 스위치 등의 부품을 설치할 경우 인서트 몰딩의 특성상 수지에 상기 버튼형 스위치가 매몰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공개번호 10-2013-0029644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 키 본체에 필름형 스위치를 설치하여 스마트 키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도록 개선한 필름형 스위치를 구비한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로서, 다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이 몰딩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상의 임의의 위치에 개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설치홈의 인쇄 회로 기판에 설치되어 필름 스위치부의 버튼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본체 스위칭 단자를 형성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을 덮는 필름체에 상기 본체 스위칭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접촉 신호가 제공되도록 버튼부를 형성한 필름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는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필름 스위치부가 안착되도록 필름 설치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 스위칭 단자는 제 1 및 제 2 본체 스위칭 단자가 본체의 내부에서 스위치 설치홈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름 스위치부는 필름체; 상기 필름체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접촉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스위칭 단자가 스위칭되도록 접촉하는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름체는 임의의 문자, 숫자, 도형, 무늬, 기호, 그림, 사진 중 적어도 하나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키 본체에 필름형 스위치를 설치하여 스마트 키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키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스마트 키를 제조하는 금형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마트 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키(100)는 스마트 키 본체에 필름형 스위치를 설치하여 스마트 키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도록 본체(110)에 필름 스위치부(130)를 설치하여 간헐적으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다수의 전자 부품(112)이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111)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111)상의 임의의 위치에 개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설치홈(113)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설치홈(113)의 인쇄 회로 기판(111)에 설치되어 필름 스위치부(130)의 버튼부(13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본체 스위칭 단자(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인쇄 회로 기판(111)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111)에 연결된 본체 스위칭 단자(114)를 금형에 인서트 삽입한 다음 EMC 수지를 이용하여 몰딩시켜 일체형으로 제조되고, 상기 본체 스위칭 단자(114)는 스위치 설치홈(113)에서 필름 스위치부(130)의 접점부(132)와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도록 노출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일측에 배터리 케이스(120)와 배터리(121)가 수납되도록 반원 형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에는 인쇄 회로 기판(111)과 연결된 + 단자(115a)와 - 단자(115b)의 전원 단자(115)가 본체(110) 내부에서 수납공간 쪽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테두리를 따라 필름 스위치부(130)가 안착되도록 필름 설치홈(110a)이 형성되어 필름체(130a)의 두께로 인해 상기 필름 스위치(130)가 상기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 설치홈(113)은 본체(110)의 일측면 임의의 위치에 상방향으로 개구된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수납홈으로서, 내측에는 필름 스위치부(130)의 접점부(132)와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도록 본체 스위칭 단자(114)가 인쇄 회로 기판(111) 상에 돌출되어 배치된다.
상기 본체 스위칭 단자(114)는 스위치 설치홈(113)의 내측에 배치되며, 인쇄 회로 기판(111)에서 스위치 설치홈(113)의 개구된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제 1 본체 스위칭 단자(114a)와 제 2 본체 스위칭 단자(114a, 114b)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 스위칭 단자(114a, 114b)는 필름 스위치부(130)에 설치된 버튼부(131)의 접점부(13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필름 스위치부(130)에 설치된 버튼부(131)에서 간헐적으로 입력되는 접촉 신호가 인쇄 회로 기판(111)에 실장된 임의의 전자 부품(112)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키(100)가 임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120)는 본체(1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배터리 케이스(120)에 장착된 배터리(12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본체(110)의 인쇄 회로 기판(111)에 실장된 전자 부품(112)들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필름 스위치부(130)는 본체(110)의 일측면을 덮는 필름체(130a)에 본체(110)에 설치된 본체 스위칭 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본체(110)의 전자 부품(112)에 접촉 신호가 제공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필름체(130a)와, 버튼부(1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름체(130a)는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상면에는 실크 인쇄 등을 통해 임의의 문자, 숫자, 도형, 무늬, 기호, 그림, 사진 중 적어도 하나가 인쇄된다.
또한, 상기 필름체(130a)는 버튼부(131)가 설치되는 임의의 위치에 버튼부(131)의 탄성력이 감소되지 않도록 상기 버튼부(131)의 외형과 유사하게 돔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부(131)는 필름체(130a)의 하부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접촉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탄성력이 부가된 돔 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튼부(131)의 형상을 돔 형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불필요한 눌림 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점부(132)는 돔 형상의 버튼부(131)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131)가 눌려 이동할 경우 본체 스위칭 단자(114)와 접촉하여 스위칭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 스위칭 단자(114a, 114b)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111)에 실장된 전자 부품(112)에 접촉 신호가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 키(100)가 임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스마트 키 본체의 단자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을 금형에 인서트 한 다음 몰딩하는 제조과정으로 인해 수지에 버튼 스위치가 매몰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스마트 키 본체에 필름형 스위치의 설치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스마트 키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 키
110 : 본체
110a : 필름 설치홈
111 : 인쇄 회로 기판
112 : 전자 부품
113 : 스위치 설치홈
114 : 본체 스위칭 단자
115 : 전원 단자
120 : 배터리 케이스
121 : 배터리
130 : 필름 스위치부
130a: 필름체
131 : 버튼부
132 : 접점부

Claims (5)

  1.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로서,
    다수의 전자 부품(112)이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111)이 몰딩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111)상의 임의의 위치에 개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설치홈(113)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설치홈(113)의 인쇄 회로 기판(111)에 설치되어 필름 스위치부(130)의 버튼부(13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본체 스위칭 단자(114)를 형성한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을 덮는 필름체(130a)에 상기 본체 스위칭 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접촉 신호가 제공되도록 버튼부(131)를 형성한 필름 스위치부(130)를 포함하는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필름 스위치부(130)가 안착되도록 필름 설치홈(110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스위칭 단자(114)는 제 1 및 제 2 본체 스위칭 단자(114a, 114b)가 본체(110)의 내부에서 스위치 설치홈(113)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스위치부(130)는 필름체(130a);
    상기 필름체(130a)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접촉 신호를 출력하는 버튼부(131); 및
    상기 버튼부(131)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스위칭 단자(114)가 스위칭되도록 접촉하는 접점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체(130a)는 임의의 문자, 숫자, 도형, 무늬, 기호, 그림, 사진 중 적어도 하나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KR20130048425A 2013-04-30 2013-04-30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KR101480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425A KR101480388B1 (ko) 2013-04-30 2013-04-30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8425A KR101480388B1 (ko) 2013-04-30 2013-04-30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430A true KR20140132430A (ko) 2014-11-18
KR101480388B1 KR101480388B1 (ko) 2015-01-26

Family

ID=5245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8425A KR101480388B1 (ko) 2013-04-30 2013-04-30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38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7724B2 (en) * 2005-04-06 2007-07-03 Robert Singleton Smart c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mart card
KR20100003572A (ko) * 2008-07-01 2010-01-11 주식회사 아이레보 복수 입력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388B1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4794B2 (en) Portable wireless key
JP4470971B2 (ja) 携帯機
US8294053B2 (en) Electronic key
JP4767125B2 (ja) ラッチ解除操作装置
JP4692604B2 (ja) 車両室内用光源装置
KR100953597B1 (ko) 가요성 케이스를 가진 휴대기
US8953331B2 (en) Card key
US9959688B2 (en) Portable wireless key
KR101796614B1 (ko) 차량용 포브 키
KR101339312B1 (ko) 차량용 무선통신장치
KR101480388B1 (ko)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KR101516375B1 (ko) 배터리 모듈에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KR101480387B1 (ko) 버튼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KR101480386B1 (ko) 개량형 스마트 키 조립체
WO2020008959A1 (ja) スイッチ装置
JP5310215B2 (ja) 携帯送信機
CN216286820U (zh) 车用无线遥控钥匙
KR101858626B1 (ko) 차량용 카드 키
JP7240988B2 (ja) 電子キー
JP4812635B2 (ja) スイッチ装置
JP2569741Y2 (ja) 電子回路内蔵のグリップを有するキー
KR101830256B1 (ko) 카드형 스마트키
JP4967222B2 (ja) 電池収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リモコン送信機
KR200485965Y1 (ko) 차량용 카드 키
KR101502939B1 (ko) 차량용 전자카드 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