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388A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31388A KR20140131388A KR1020147027785A KR20147027785A KR20140131388A KR 20140131388 A KR20140131388 A KR 20140131388A KR 1020147027785 A KR1020147027785 A KR 1020147027785A KR 20147027785 A KR20147027785 A KR 20147027785A KR 20140131388 A KR20140131388 A KR 201401313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stabilizer
- channels
- wire assemblies
- w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the cable clamping being achieved by mounting the separate part on the housing of the coupling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4—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fro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6—Parallel contact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는, 정면 단부(122)와 배면 단부(124)를 갖고 와이어 조립체(102)를 유지하도록 정면 단부로부터 배면 단부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채널들(126)을 포함하는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커넥터 조립체는 정면 단부와 배면 단부(154)를 갖는 안정 장치(104)를 포함한다. 안정 장치(104)는, 안정 장치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지지 채널들(160)과 함께 정면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들(158)을 포함한다. 안정 장치는, 지지 채널들(160)이 하우징 채널들(126)과 정렬되어 대응하는 와이어 조립체들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하우징(120)의 배면 단부(124)에 결합된다. 정면 유지 형상부(130)는 하우징에 대하여 안정 장치를 유지한다. 배면 유지 형상부(132)는 안정 장치에 대하여 와이어 조립체들을 유지한다.
Description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단자와 와이어 안정 장치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부 응용 분야에서는, 높은 진동 노출로 인해 격렬한 와이어 이동이 전기 커넥터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으로 인해 단자 계면에서의 와이어 또는 단자의 파손 또는 이동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마모 및 접속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통상적인 커넥터 스트레인 해제 부분은, 와이어 이동을 감소시키지만, 전기 커넥터 상에 장착되면 전기 커넥터에 중량을 부가하게 되며 스트레인 해제 부분의 상당한 길이(eccentric length)로 인해 시스템에 극심한 로드(eccentric load)가 걸리게 한다.
해결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커넥터 조립체는, 정면 단부와 배면 단부를 갖고 와이어 조립체를 유지하도록 정면 단부로부터 배면 단부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채널들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커넥터 조립체는, 정면 단부와 배면 단부를 갖는 안정 장치(stabilizer)를 포함한다. 안정 장치는, 안정 장치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지지 채널들과 함께 정면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들을 포함한다. 안정 장치는, 지지 채널들이 하우징 채널들과 정렬되어 대응하는 와이어 조립체들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하우징의 배면 단부에 결합된다. 정면 유지 형상부(front retaining feature)는 하우징에 대하여 안정 장치를 유지한다. 배면 유지 형상부는 안정 장치에 대하여 와이어 조립체들을 유지한다.
이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안정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와 안정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와 안정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안정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안정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일부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와 안정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와 안정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안정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안정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일부의 부분 단면도.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의 배면 사시도이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는, 정합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와이어 조립체(102)(이들 중 하나는 예시를 위해 도1 에서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로부터 제거되어 있음)를 유지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는, 와이어 조립체들(102)을 안정화하기 위한, 예를 들어 와이어 조립체들(102)의 이동을 감소시켜 와이어 조립체에 대한 손상을 피하기 위한 안정 장치(104)를 포함한다.
각 와이어 조립체(102)는 와이어(112)의 단부에 부착된 단자(110)를 포함한다. 선택 사항으로, 단자(110)는 와이어(112)에 크림핑(crimp)될 수 있다. 각 와이어 조립체(102)는 와이어(112)에 고정된 밀봉부(114)를 대응하는 단자(110)의 후방에서 포함한다. 선택 사항으로, 밀봉부(114)는 와이어(112)에 크림핑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밀봉부(114)는 단자(110)의 바로 뒤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으로, 밀봉부(114)는 단자(110)로부터 원격될 수 있다. 밀봉부는 단자(110)에 결합될 수 있다. 밀봉부(114)는, 습기, 파편, 또는 다른 오염물이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에 인입되어 단자(110)의 전기적 성능 또는 단자와 정합 커넥터의 접속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전술하였으며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안정 장치(104)는, 밀봉부(114)와 와이어 조립체(102)를 지지하게끔 밀봉부(114)의 배면(116)과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안정 장치(104)는 밀봉부(114)에 대하여 와이어 조립체(102)를 지지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는 와이어 조립체들(102)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하우징(120)은 정면 단부(122)와 배면 단부(124) 사이에서 연장된다. 하우징(120)은, 와이어 조립체들(102)을 유지하도록 정면 단부(122)로부터 배면 단부(124)로 하우징(120)의 길이 방향 축(128)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채널들(126)을 포함한다. 안정 장치(104)는 하우징(120)의 후방에서 하우징(120)에 결합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는, 하우징(120)에 대하여 안정 장치(104)를 유지하는 정면 유지 형상부(130)를 포함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는 안정 장치(104)에 대하여 와이어 조립체들(102)를 유지하는 배면 유지 형상부(132)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20)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를 정합 커넥터에 고정하기 위한 래치(134)를 포함한다. 래치(134)는 편향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는 하우징(120)에 결합된 단자 위치 보증 디바이스(136)를 포함한다. 단자 위치 보증 디바이스(136)는, 단자들(110)을 하우징 채널들(126) 내에 고정하고 단자들(110)이 하우징(120) 내에 적절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하게끔 단자들(110)과 체결하도록 구성된 형상부들을 구비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는, 하우징(120)의 외부 주위로 연장되는 주연 밀봉부(138)를 포함한다. 주연 밀봉부(138)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가 정합 커넥터에 정합되면 정합 커넥터에 대하여 밀봉되도록 구성된다. 주연 밀봉부(138)는, 습기, 파편, 또는 기타 오염물이 정합 커넥터와의 계면을 통해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에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단자 위치 보증 디바이스(136)가 하우징(120)의 정면 단부(122)에 결합되어 있고 안정 장치(104)가 하우징(120)의 배면 단부(124)에 결합되어 있음을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의 측면도이다. 안정 장치(104)는 정면 유지 형상부(130)를 이용하여 하우징(120)에 결합된다. 와이어 조립체들(102)은 배면 유지 형상부(132)를 이용하여 안정 장치(104)에 고정된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안정 장치(104)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안정 장치(104)의 배면 사시도이다. 안정 장치(104)는 정면 단부(152)와 배면 단부(154) 사이에서 길이 방향 축(150)을 따라 연장된다. 안정 장치(104)는 허브(156)를 포함하고, 이러한 허브는 정면 단부(152)와 배면 단부(154) 사이의 대략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안정 장치(104)는 정면 단부(152)에서 복수의 지지부(158)를 포함한다. 지지부들(158)은 허브(156)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임의의 개수의 지지부(158)를 설치할 수 있다. 지지부(158)의 개수는 안정 장치(104)에 의해 지지되는 (도 1에 도시한) 와이어 조립체(102)의 개수에 상응한다. 지지부들(158) 각각은 길이 방향 축(150)을 따라 연장되는 상응하는 지지 채널(160)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지지 채널들(160)은, 지지 채널들(160)이 (도 1에 도시한) 상응하는 와이어들(112)을 지지 채널(160)의 개방 측면을 통해 방사상 로딩 방향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측면 개방형이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정면 단부(152)에서, 지지부들(158)은 각 지지부(158)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지지 채널들(160)을 형성하도록 대략 C 형상이다. 지지부들(158)은 갭들(162)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갭들(162)은 (도 1에 도시한) 하우징(12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간을 제공한다.
안정 장치(104)는 허브(156)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래치들(166)을 포함한다. 외측 래치들(166)은, 편향가능하며, 안정 장치(104)를 하우징(120)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외측 래치들(166)은 외측 래치들의 원단부들에서 탭들(168)을 포함한다. 탭들(168)은 자유 단부들(170)로 연장된다. 탭들(168)은 지지부들(158)과 대략 축 방향으로 정렬된다. 탭들(168)은 지지부들(158)의 방사상 외측으로 위치한다. 탭들(168)은 캔틸레버형이며 허브(156)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갭들(172)은 탭들(168)과 지지부들(158) 사이로 규정된다. 탭들(168)은 하우징(120)의 외부를 따라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탭들(168)은, (도 1에 도시한) 정면 유지 형상부(130)를 이용하여 안정 장치(104)를 하우징(120)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탭들(168)의 각각은 내면(174)과 내면(174)의 반대측인 외면(176)을 갖는다. 탭들(168)의 각각은 배면을 향하는 면(178)을 포함한다.
안정 장치(104)는 허브(156)의 후방에서 배면 허브(180)를 포함한다. 배면 허브(180)는 지지부들(158)의 후방 연장부일 수 있고, 지지부들(158)의 일부들을 규정할 수 있다. 배면 허브(180)는 와이어 조립체들(102)의 와이어들(112)을 지지하고, 배면 허브(180)는, 와이어들(112)을 지지하는 지지 채널들(160)과 정렬된 채널들(182)을 포함한다. 채널들(182)은 지지 채널들을 규정할 수 있고, 지지 채널들(182)이라 칭할 수 있다. 배면 유지 형상부(132)는 배면 허브(18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배면 허브(180)는 배면 단부(154)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디텐트들(detents)을 포함한다. 디텐트들(184)은 배면 유지 형상부(132)를 안정 장치(104)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도 6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의 일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조립 동안, 와이어 조립체들(102)은 하우징(120)의 배면 단부(124)를 통해 하우징 채널들(126) 내에 로딩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단자들(110)은 하우징(120)의 정면 단부(122)에 위치할 수 있다. 단자들(110)은, 하우징 채널들(126) 내의 상응하는 숄더들(192)과 체결하여 하우징 채널들(126) 내에 단자(110)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래치들(190)을 포함한다.
단자 위치 보증 디바이스(136)와 주연 밀봉부(138)는 정면 단부(122)로부터 하우징(120)에 결합된다. 주연 밀봉부(138)는, 하우징(120)의 리지(ridge; 196)에 인접하는 밀봉 위치로 하우징(120)의 외부를 따라 정면 프로파일(194) 위로 끼워지기 위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단자 위치 보증 디바이스(136)는 주연 밀봉부(138)의 전방에 위치한다. 단자 위치 보증 디바이스(136)는, 단자(110)의 배면을 향하는 숄더(200)에 체결하도록 하우징(120) 내의 슬롯이나 홈을 통해 연장되는 디텐트들(198)을 포함한다. 디텐트들(198)은 하우징 채널들(126) 내에서의 단자들(110)의 후방 이동을 정지시킨다. 디텐트들(198)은 단자(110)의 래치(190)에 더하여 하우징(120) 내에 단자(110)를 고정하기 위한 이차 래치 또는 백업 래치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래치들(190)이 고장나거나 파손되면, 디텐트들(198)은 하우징(120) 내에 단자들(110)을 고정한다. 단자 위치 보증 디바이스(136)는 완전 로딩 위치에서 단자들(110)을 잠근다. 단자 위치 보증 디바이스(136)는, 단자들(110)이 하우징(120) 내에 위치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제 위치에서 잠궈질 수 있다.
조립 동안, 안정 장치(104)는 하우징(120)의 배면 단부(124)에 결합된다. 와이어들(112)은, 예를 들어 와이어들(120)을 지지 채널들(160, 182)의 개방 측면들을 통해 로딩함으로써, 안정 장치(104)의 상응하는 지지 채널들(160, 182) 내에 로딩된다. 와이어 조립체들(102)은, 밀봉부들(114)이 정면 단부(122)로부터 축 방향으로 원격 위치하고 하우징(120)의 배면 단부(124)로부터 원격 위치하도록, 하우징 채널들(126) 내에 수용된다. 안정 장치(104)는, 지지부들(158)이 상응하는 하우징 채널들(126) 내에 로딩되어 밀봉부(114)와 당접하여 하우징(120)에 대한 와이어 조립체들(102)의 후방 이동을 금지하도록 배면 단부(124)에 결합된다. 지지부들(158)의 정면 단부들은, 안정 장치(104)의 정면 단부(122)를 규정하고, 와이어 조립체들(102)의 상응하는 밀봉부들(114)의 배면들(116)에 당접한다. 지지부들(158)은 하우징(120) 내의 와이어 조립체들(102)을 안정화한다. 지지부들(158)은 각 와이어(112) 상으로 크림핑된 개별적인 와이어들에 대하여 밀봉부들(114)을 단단히 유지하고 이에 따라 단자를 전방으로 유지하여 단자 이동을 감소시킨다. 안정 장치(104)와 와이어 조립체들(102) 간의 직접적인 체결에 의해, 와이어 조립체들(102)의 이동이 감소된다. 지지부들(158)은, 후방으로의 와이어 조립체들(102)의 축 방향 이동을 정지시키고 이에 따라 단자들(110) 상의 응력과 스트레인을 감소시키고, 단자들과 상응하는 정합 커넥터 간의 계면에서의 단자 이동을 감소시킨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들(112)의 일부들은 지지 채널들(160)과 하우징 채널들(126) 사이에 캡처된다. 하우징 채널들(126)은 C 형상의 지지 채널들(160)의 측면 개방 부분들을 캡핑(cap)하거나 폐쇄한다.
배면 유지 형상부(132)는 와이어들(112)을 안정 장치(104)에 고정한다. 배면 유지 형상부(132)는 배면 허브(180)에 결합되고, 안정 장치(104)에 대하여 와이어들(112)을 고정하도록 와이어들(112)을 채널들(182) 내로 가압한다. 배면 유지 혀상부(132)는, 와이어 안정화 없이 단자 계면으로 잠재적으로 병진되는 와이어 이동의 상당 부분을 감소시킨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배면 유지 형상부(132)는, 와이어들(112)과 안정 장치(104)에 대하여 조여지도록 구성된 스트랩이다. 예를 들어, 배면 유지 형상부(132)는 제 위치에서 조여지고 잠궈질 수 있는 타이 랩(tie wrap) 또는 집 타이(zip tie)일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C 클램프 등의 유지 형상부들의 다른 유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배면 유지 형상부(132)는, 와이어 조립체들(102)의 와이어들(112)을 지지 채널들(160) 및/또는 채널들(182) 내로 가압하여 와이어 조립체들(102)을 안정 장치(104)에 축 방향으로 고정한다. 배면 유지 형상부(132)는 스트레인 해제를 제공한다. 배면 유지 형상부(132)는 허브(156)와 디텐트들(184) 사이에서 배면 허브(180)에 결합된다. 디텐트들(184)은, 배면 유지 형상부(132)가 안정 장치(104)의 배면 단부(154)로부터 분리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조립 동안, 안정 장치(104)가 하우징(120)의 배면 단부(124)에 결합됨에 따라, 외측 래치들(166)은, 안정 장치(104)를 하우징(120)에 고정하도록 하우징(120)과 체결한다. 안정 장치(104)는 정면 유지 형상부(130)를 이용하여 하우징(120) 상에 유지된다. 하우징(120)은 플랜지(204)의 후방의 배면 홈 부분(202)을 포함한다. 하우징(120)은 배면 홈 부분(202)의 후방으로 립(lip; 206)을 포함한다. 안정 장치(104)는 하우징(120)의 배면 홈 부분(202) 상으로 조립된다. 안정 장치(104)가 하우징(120)의 배면 단부(124)에 결합됨에 따라, 하우징(120)의 배면 단부(124)가 외측 래치들(166)과 지지부들(158) 사이에서 갭들(172) 내로 로딩된다. 탭들(168)은, 립(206) 위로 이동하여 배면 홈 부분(202) 내에 배치된다. 각 탭(168)의 내면(174)은, 배면 홈 부분(202)을 따라 규정되는 하우징(120)의 외면 상에 배치된다. 지지부들(158)은 하우징(120)의 내측에 있으며 탭들(168)은 하우징(120)의 외측에 있다.
안정 장치(104)가 하우징(120) 상에 위치될 때, 각 외측 래치(166)의 배면을 향하는 면(178)은, 안정 장치(104)를 하우징(120)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고정하도록 립(206)과 당접한다. 립(206)은, 안정 장치(104)의 후방 이동을 방지하고, 안정 장치(104)가 하우징(120)의 배면 단부(124)로부터 당겨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탭들(168)은 배면 홈 부분(202)에 평행하게 배면 홈 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정면 유지 형상부(130)는, 탭들(168)을 둘러싸고, 탭들(168)이 배면 홈 부분(202)으로부터 떨어져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정면 유지 형상부(130)는, 안정 장치(104)를 하우징(120)에 고정하도록 하우징(120)을 향하여 탭들(168)을 가압한다. 예를 들어, 탭들(168)은, 배면을 향하는 면(178)에서 립(206)이 제거될 수 없도록 배면 홈 부분(202)으로부터 떨어져 상승할 수 없다. 안정 장치(104)는, 하우징(120)에 고정되고, 하우징(120)으로부터 떨어져 후방으로 당겨질 수 없다. 안정 장치(104)가 하우징(120)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됨에 따라, 안정 장치(104)는 단자 이동에 대한 와이어 조립체들(102)을 위한 지지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정면 유지 형상부(130)는, 조여져 안정 장치(104)의 탭들(168)을 하우징(120)의 배면 홈 부분(202)에 대하여 가압하여 하우징(120) 상에 안정 장치(104)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스트랩이다. 예를 들어, 정면 유지 형상부(130)는 조여지거나 제 위치로 잠궈질 수 있는 타이 랩 또는 집 타이일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C 클램프 등의 유지 형상부의 다른 유형을 사용할 수 있다.
위 설명은 예시적일 뿐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및/또는 이들의 양태들)은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특정한 상황이나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에 맞추도록 많은 수정을 행할 수 있다. 치수, 물질의 유형, 다양한 부품들의 배향, 및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부품들의 개수와 위치는, 일부 실시예들의 파라미터들을 규정하려는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실시예들일 뿐이다.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 내에 속하는 다른 많은 실시예들과 수정예들은, 위 설명을 읽는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Claims (10)
-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로서,
정면 단부(122)와 배면 단부(124)를 갖고, 와이어 조립체들(102)을 유지하도록 상기 정면 단부로부터 상기 배면 단부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채널들(126)을 포함하는 하우징(120);
정면 단부(152)와 배면 단부(154)를 갖고, 상기 정면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들(158)을 포함하는 안정 장치(stabilizer; 104)로서,
상기 지지부들은 상기 안정 장치의 길이 방향 축(150)을 따라 지지 채널들(160)을 갖고, 상기 안정 장치는, 상기 지지 채널들이 상기 하우징 채널들과 정렬되어 대응하는 와이어 조립체들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배면 단부에 결합되는 것인, 상기 안정 장치;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안정 장치를 유지하는 정면 유지 형상부(front retaining feature; 130); 및
상기 안정 장치에 대하여 상기 와이어 조립체들을 유지하는 배면 유지 형상부(132)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장치(104)의 정면 단부(152)는,
상기 와이어 조립체의 진동을 감소시키도록 각 와이어 조립체(102)의 밀봉부(114)의 배면(116)에 당접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들(158)은,
상기 하우징 채널들(126) 내에서의 상기 와이어 조립체들(102)의 후방 이동을 정지시키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들(158)은,
상기 하우징 채널들(126) 내에 수용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유지 형상부(130)는,
상기 안정 장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안정 장치(104)를 상기 하우징(120)에 대하여 가압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유지 형상부(132)는,
상기 와이어 조립체들을 상기 안정 장치(104)에 축 방향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와이어 조립체들(102)을 상기 지지 채널들(160) 내로 가압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장치(104)는,
상기 하우징의 배면 단부(124)에서 상기 하우징(120)의 배면 홈 부분(202)을 따라 연장되는 탭들(168)을 포함하고,
상기 정면 유지 형상부(130)는,
상기 안정 장치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도록 상기 탭들과 체결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 장치(104)는,
상기 지지부들(158)의 방사상 외측으로 위치하는 탭들(168)을 포함하고, 상기 탭들과 상기 지지부들 사이에 갭들(172)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배면 단부(124)가 상기 갭들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정면 유지 형상부(130)는, 상기 안정 장치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도록 상기 탭들을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가압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0)에 결합된 단자 위치 보증 디바이스(1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 위치 보증 디바이스는,
상기 와이어 조립체들을 상기 하우징 채널들(160) 내에 축 방향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와이어 조립체들(102)의 대응하는 단자들(110) 뒤에 위치하는 디텐트들(detents; 198)을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조립체들(102) 각각은,
상기 와이어들의 단부들에 부착된 와이어 조립체들의 대응하는 단자들(110)의 후방에서 상기 와이어 조립체들의 와이어(112)에 부착된 밀봉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조립체들은,
상기 밀봉부들이 상기 정면 단부(122)로부터 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배면 단부(124)로부터 떨어져 축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 채널들(126) 내에 수용되고,
상기 지지부들(158)은,
상기 밀봉부에 당접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와이어 조립체들의 후방 이동을 방지하도록, 대응하는 하우징 채널들 내에 로딩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261634547P | 2012-03-02 | 2012-03-02 | |
US61/634,547 | 2012-03-02 | ||
US13/779,208 US8926363B2 (en) | 2012-03-02 | 2013-02-27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US13/779,208 | 2013-02-27 | ||
PCT/US2013/028248 WO2013130758A1 (en) | 2012-03-02 | 2013-02-28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1388A true KR20140131388A (ko) | 2014-11-12 |
KR101647574B1 KR101647574B1 (ko) | 2016-08-23 |
Family
ID=4904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27785A KR101647574B1 (ko) | 2012-03-02 | 2013-02-28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8926363B2 (ko) |
EP (1) | EP2820720B1 (ko) |
JP (1) | JP6066225B2 (ko) |
KR (1) | KR101647574B1 (ko) |
CN (1) | CN104221226B (ko) |
MX (1) | MX339294B (ko) |
WO (1) | WO201313075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413431B1 (en) * | 2010-07-30 | 2015-03-11 |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r.l. |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outer housing, an inner housing and an indicator sleeve |
DE102012209298B4 (de) * | 2012-06-01 | 2017-10-05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Elektrischer Steckverbinder, Steckverbinderanordnung sowie Verfahren zum Montieren des Steckverbinders |
JP2016039100A (ja) * | 2014-08-11 | 2016-03-22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ハウジング |
DE102015210336A1 (de) * | 2015-06-03 | 2016-12-08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Halteblock und modularer Steckereinsatz |
JP6619569B2 (ja) * | 2015-06-12 | 2019-12-11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ホルダ |
US9515415B1 (en) * | 2015-07-29 | 2016-12-06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Strain relief cable insert |
US9753073B2 (en) * | 2015-11-23 | 2017-09-05 | General Electric Company | Method and systems for testing an electrical circuit |
EP3485539B1 (de) * | 2016-07-15 | 2022-06-29 | Hirschmann Automotive GmbH | Hochtemperaturbeständiger steckverbinder für einen klopfsensor einer brennkraftmaschine |
JP6889840B2 (ja) * | 2017-11-08 | 2021-06-18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コネクタ |
JP7274127B2 (ja) * | 2019-11-07 | 2023-05-16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コネクタ |
US11489288B2 (en) | 2020-08-28 | 2022-11-01 | Raytheon Company | Connector retention clip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62085A (en) * | 1999-08-19 | 2000-12-19 | Delphi Technologies, Inc.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jumper cable |
KR20080006014A (ko) * | 2005-06-07 | 2008-01-15 |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 단자 위치 보장 장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
GB2465609A (en) * | 2008-11-25 | 2010-05-26 | C & C Marshall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2010272405A (ja) * | 2009-05-22 | 2010-12-02 | Yazaki Corp | 防水栓、及び、該防水栓を有する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38169A (en) * | 1970-01-12 | 1972-01-25 | Panduit Corp | Strain relief clamp and assembly |
JPH0748387B2 (ja) * | 1987-10-19 | 1995-05-24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5575692A (en) | 1994-12-08 | 1996-11-19 | Molex Incorporated | Electrical connector with a rear end mounte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
US5520553A (en) * | 1994-12-08 | 1996-05-28 | Molex Incorporated | Connector with a front end mounte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ystem |
GB2307114B (en) * | 1995-11-09 | 2000-01-12 | Flexible Lamps Lt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devices |
FR2764446B1 (fr) * | 1997-06-10 | 2001-10-26 | Air Lb Gmbh | Connecteur electrique a securite de contact amelioree |
US5967859A (en) * | 1997-12-10 | 1999-10-19 | Molex Incorporated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terminal retainer system |
FR2823610B1 (fr) | 2001-04-12 | 2003-05-30 | Nexans | Guide-cable pour boitier etanche et ensemble d'etancheite comportant un tel guide |
JP3804483B2 (ja) * | 2001-05-18 | 2006-08-02 | 住友電装株式会社 | 防水コネクタ |
JP4562161B2 (ja) * | 2001-05-23 | 2010-10-13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コネクタ |
JP4097589B2 (ja) * | 2003-10-30 | 2008-06-11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US7351102B2 (en) * | 2004-05-21 | 2008-04-01 | Delphi Technologies, Inc. |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
US7029328B1 (en) * | 2005-02-04 | 2006-04-18 | J.S.T. Corporation |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
US20070037433A1 (en) * | 2005-08-10 | 2007-02-15 | Deutsch Engineered Connecting Devices | Backshell device for a connector |
DE102006055534B3 (de) * | 2006-11-24 | 2008-01-17 |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 Steckverbinder für konfektionierte elektrische Leiter |
JP5271822B2 (ja) * | 2009-06-12 | 2013-08-21 | カヤバ工業株式会社 | ハーネス取出構造 |
-
2013
- 2013-02-27 US US13/779,208 patent/US8926363B2/en active Active
- 2013-02-28 MX MX2014010530A patent/MX339294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3-02-28 KR KR1020147027785A patent/KR10164757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2-28 EP EP13711183.7A patent/EP2820720B1/en active Active
- 2013-02-28 JP JP2014560028A patent/JP606622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2-28 WO PCT/US2013/028248 patent/WO201313075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2-28 CN CN201380020305.2A patent/CN10422122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62085A (en) * | 1999-08-19 | 2000-12-19 | Delphi Technologies, Inc.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jumper cable |
KR20080006014A (ko) * | 2005-06-07 | 2008-01-15 |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 단자 위치 보장 장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
GB2465609A (en) * | 2008-11-25 | 2010-05-26 | C & C Marshall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2010272405A (ja) * | 2009-05-22 | 2010-12-02 | Yazaki Corp | 防水栓、及び、該防水栓を有する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MX2014010530A (es) | 2015-03-09 |
CN104221226A (zh) | 2014-12-17 |
US20130230996A1 (en) | 2013-09-05 |
JP2015512133A (ja) | 2015-04-23 |
US8926363B2 (en) | 2015-01-06 |
WO2013130758A1 (en) | 2013-09-06 |
CN104221226B (zh) | 2017-03-01 |
EP2820720A1 (en) | 2015-01-07 |
EP2820720B1 (en) | 2016-08-31 |
MX339294B (es) | 2016-05-19 |
JP6066225B2 (ja) | 2017-01-25 |
KR101647574B1 (ko) | 2016-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7574B1 (ko)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
KR101989442B1 (ko) | 전기 단자 요소 | |
EP2922152B1 (en) | Connector | |
US20150144395A1 (en) | Connector | |
JP5704021B2 (ja) | ゴム栓及び防水コネクタ | |
JP6185900B2 (ja) | コネクタ | |
US20130078872A1 (en) | Connector | |
JP4803452B2 (ja) | 防水コネクタ | |
JP6860835B2 (ja) | コネクタ | |
JP2011048945A (ja) | コネクタ | |
US20140206232A1 (en) | Shield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hield connector | |
US8573853B2 (en) | Plug assembly | |
JP2015005422A (ja) | コネクタ | |
JP5557069B2 (ja) | コネクタ | |
JP4941741B2 (ja) | コネクタ | |
US8573991B2 (en) | Lever connector | |
WO2014192517A1 (ja) | 防水コネクタ | |
JP5818101B2 (ja) | 防水コネクタ | |
JP6298673B2 (ja) | コネクタの防水構造 | |
KR101891042B1 (ko) | 나사형 결합 너트 및 고정 고리를 갖춘 전기 조립체 | |
JP2014017171A (ja) | 防水コネクタ | |
US9318842B2 (en) | Connector | |
JP2012169219A (ja) | シールドコネクタ | |
JP2008210658A (ja) | 防水コネクタ | |
US11552426B1 (en) | Seal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male blade stabilizer with a seal retention fea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