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929A -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929A
KR20140130929A KR1020130049527A KR20130049527A KR20140130929A KR 20140130929 A KR20140130929 A KR 20140130929A KR 1020130049527 A KR1020130049527 A KR 1020130049527A KR 20130049527 A KR20130049527 A KR 20130049527A KR 20140130929 A KR20140130929 A KR 20140130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roller member
roller
secondary battery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6029B1 (ko
Inventor
윤승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9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029B1/ko
Priority to CN201310628074.5A priority patent/CN104129667B/zh
Priority to MYPI2013702424A priority patent/MY174602A/en
Publication of KR20140130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01M10/0409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for cells with woun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세퍼레이터의 폭의 변화에 대응하여 가이드 폭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세퍼레이터를 가이드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 부재; 및 상기 롤러 부재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롤러 부재의 가이드 폭을 조절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GUIDE ROLLER APPARATUS OF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캔에 수납하고, 상기 캔의 상단 개구부를 캡 조립체로 밀봉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권취장치에 의해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 그리고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권취시켜 이루어진다.
권취장치는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및 세퍼레이터가 각각 롤 형상으로 권취된 공급부에서 공급되어 커터를 통해 소정의 길이로 커팅된 후 권취맨드릴을 통해 권취된다.
여기서, 권취장치에는 각각의 전극판 및 세퍼레이터가 각각 권취된 공급부에서 권출되면 권출된 전극판이나 세퍼레이터를 커터부 또는 권취맨드릴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롤러가 설치된다.
이 중 세퍼레이터를 이송하는 이송롤러는 각형 또는 폴리머형 리튬 이차 전지에 요구되는 세퍼레이터의 폭이 각각 상이하다는 점 때문에 이차 전지의 종류에 따라 세퍼레이터의 폭에 맞게 부품을 새로 제작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세퍼레이터의 이송롤러는 세퍼레이터의 폭에 맞는 각각의 부품을 제작하는 경우에 그 제작 기간 및 가공 비용이 과다 소요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부품을 교체하는 경우에도 부품 교체를 위한 시간이 과다 소요되고, 부품 교체후 기준면에 대한 새로운 셋팅작업이 요구되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퍼레이터의 폭의 변화에 대응하여 가이드 폭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는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세퍼레이터를 가이드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 부재; 및 상기 롤러 부재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롤러 부재의 가이드 폭을 조절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부재는 제1 중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소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소결체는 다공성일 수 있다.
상기 롤러 부재는 외주면의 일부에 결합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부재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체결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 부재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는 일측이 고정 수단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1 결합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롤러 부재의 제1 중공에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롤러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 고정 부재는 외부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도록 제2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중공으로 공급된 에어를 상기 배출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배출홀로부터 가이드된 에어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롤러 부재가 결합되는 영역의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롤러 부재의 양단부에 인접되도록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개방된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세퍼레이터가 가이드 되지 않는 롤러 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고정 부재가 결합된 영역과 이격된 영역에서의 롤러 부재의 외주면 상에서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30mm 내지 100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30mm 내지 180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는 이송되는 세퍼레이터의 폭의 변화에 따라 가이드 롤러를 새로 제작 또는 교체할 필요없이 롤러 부재에 스페이서를 결합하여 가이드 폭을 조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작 시간 및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가 사용되는 이차전지용 권취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도 2의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에 스페이서가 결합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도 3a의 I-I 라인을 절단한 상태에서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에 스페이서가 결합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b의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에서 에어의 공급에 따라 세퍼레이터가 가이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에 사용되는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가 사용되는 이차전지용 권취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가 사용되는 이차전지용 권취장치는, 롤 형태의 전극 조립체(15)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전극판(13, 14)과 세퍼레이터(11, 12)를 공급하는 각각의 공급부(13a, 14a, 11a, 12a)와, 공급된 제 1 및 제 2 전극판(13, 14)과 세퍼레이터(11, 12)를 권취시키는 권심(15a)과, 제 1 및 제 2 전극판(13, 14)과 세퍼레이터(11, 12)를 소정의 길이로 커팅시키는 커팅부(16)와, 각각의 공급부(13a, 14a, 11a, 12a)에서 권출되는 제 1 및 제 2 전극판(13, 14)과 세퍼레이터(11, 12)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13b, 14b, 11b, 12b, 17b)를 포함한다. 또한, 권취된 전극 조립체(15)가 풀리지 않도록 전극 조립체(15)를 고정시키는 고정테이프(17)를 공급하는 고정테이프 공급부(17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심(15a)은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되어 각각의 공급부(13a, 14a, 11a, 12a)에서 권출된 제 1 및 제 2 전극판(13, 14)과 세퍼레이터(11, 12)를 소정의 순서대로 권취한다. 상기 권심(15a)은 삽지홈(15b)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나누어진 두 부분 사이에 전극판(13, 14)과 세퍼레이터(11, 12)의 끝단이 삽입된다.
상기 공급부(13a, 14a, 11a, 12a, 17a)는 제 1 전극판(13)이 권취된 제 1 전극판 공급부(13a), 제 2 전극판(14)이 권취된 제2 전극판 공급부(14a), 제 1 및 제 2 세퍼레이터(11, 12)가 권취된 제1 및 제 2 세퍼레이터 공급부(11a, 12a) 및 고정테이프(17)가 권취된 고정테이프 공급부(17a)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극판 공급부(13a)와 제 2 전극판 공급부(14a)에는 각각의 공급부(13a, 14a)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공급부(13a, 14a)에 권취된 제 1 및 제 2 전극판(13, 14)들이 권출될 때 제 1 및 제 2 전극탭이 부착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전극탭 부착부(18, 19)가 설치된다.
상기 전극조립체(15)는 공급부(13a, 14a, 11a, 12a)에서 권출된 제 1 및 제 2 전극판(13, 14)과 제 1 및 제 2 세퍼레이터(11, 12)가 권심(15a)에 의해 롤 형태, 즉 젤리-롤형(jelly-roll type)으로 권취된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15)의 최외곽면에는 고정테이프(17)가 부착되어 젤리롤 형으로 권취된 전극조립체(15)가 풀리지 않도록 전극조립체(15)를 고정시킨다.
상기 제 1 전극판(13)은 양극일 수 있으며,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박판,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호일(foil)로 이루어진 제 1 전극집전체(미도시)의 양면에 코팅된 제 1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활물질로는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 LiCoO2, LiMn2O4, LiNiO2, LiNi1-xCoxO2(0<x<1), LiMnO2 등의 복합 금속 산화물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그 물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전극판(14)은 음극일 수 있으며, 전도성 금속 박판, 예를 들면, 구리(Cu) 또는 니켈(Ni) 호일로 이루어진 제 2 전극집전체(미도시)의 양면에 코팅된 제 2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제 2 활물질로는 탄소(C) 계열 물질, Si, Sn, 틴 옥사이드, 틴 합금 복합체(composite tin alloys), 전이 금속 산화물, 리튬 금속 나이트라이드 또는 리튬 금속 산화물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그 물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및 제 2 세퍼레이터(11, 12)는 제 1 전극판(13)과 제 2 전극판(14)의 쇼트(short)를 방지하고 리튬 이차 전지의 전하(charge), 예를 들면 리튬 이온의 이동만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플로필렌(PP)의 공중합체(co-polymer)로 이루어지는 군(group) 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퍼레이터(11, 12)는 제 1 및 제 2 전극판(13, 14)보다 폭을 넓게 하여 형성하는 것이 제 1 전극판(13) 및 제 2 전극판(14) 간의 단락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11, 12)는 이차전지의 종류 별로 그 폭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의 폭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13b, 14b, 11b, 12b, 17b)는 도시되지 않은 회전축과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어 각각의 공급부(13a, 14a, 11a, 12a, 17a)에서 권출되는 전극판(13, 14), 세퍼레이터(11, 12) 및 고정테이프(17)의 이송을 가이드한다.
상기 커팅부(16)는 각각의 공급부(13a, 14a, 11a, 12a, 17a)에서 권출되는 전극판(13, 14) 및 세퍼레이터(11, 12)를 하나의 전극조립체(15)로 구성하기 위한 길이로 커팅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용 권취장치에서 세퍼레이터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11b)를 포함하는 가이드 롤러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 장치(100)는 도 1의 제1 및 제2 세퍼레이터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두 개의 가이드 롤러(11b, 12b)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a 및 3b는 도 2의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에 스페이서가 결합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a 및 4b는 도 3a의 I-I 라인을 절단한 상태에서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에 스페이서가 결합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b의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에서 에어의 공급에 따라 세퍼레이터가 가이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에 사용되는 스페이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100)는 롤러 부재(120), 스페이서(200) 및 롤러 고정 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 부재(1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에 롤러 고정 부재(150)의 제2 결합부(152)가 삽입되도록 제1 중공(121a)이 형성된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상기 롤러 부재(120)는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소결체(121)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 소결체(121)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 다공성의 금속 재료이다. 상기 금속 소결체(121)는 크기가 약 1~500um의 금속 미립자를 가압하면서 융점에 이르지 않는 온도까지 가열시키면 미립자들이 서로 표면을 공유하는 상태로 완성되어 입자 사이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게 한 것이다. 상기 금속 소결체(121)는 서스(SU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금속 소결체(121)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는 다른 다공성의 물질도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롤러 부재(120)의 외주면에는 고정 부재(130) 및 스페이서(200)가 결합된다.
상기 롤러 부재(120)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롤러 부재(120)는 외주면의 일부에 고정 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 부재(130)는 체결홈(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1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 부재(120)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131)을 체결홀(132)에 관통시킨 다음, 체결홈(122)에 결합시킴으로써, 고정 부재(13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부재(130)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소결체(121)의 외주면에서 체결수단(131)을 통하여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금속 소결체(121) 각각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가 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롤러 부재(120)는 고정 부재(130)가 결합된 외주면과 이격되거나, 또는 대향되는 외주면 상에서 세퍼레이터(11)가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퍼레이터(11)는 이차전지의 종류 별로 그 폭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세퍼레이터(11)는 각형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경우, 그 폭이 30mm 내지 100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11)는 폴리머형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경우, 그 폭이 30mm 내지 180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차전지의 종류 별로 그 폭이 다양하게 변화되는 세퍼레이터(11)를 가이드하는 폭을 조절하기 위하여, 세퍼레이터(11)가 가이드되는 롤러 부재(120)의 외주면에 스페이서(200)를 결합시킨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200)는 롤러 부재(120)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롤러 부재(120)의 가이드 폭을 조절한다. 즉, 상기 스페이서(200)는 세퍼레이터(11)의 가이드 폭을 조절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00)는 롤러 부재(120)의 외주면 상에서 가이드되는 세퍼레이터(11)의 폭에 따라 롤러 부재(120)의 외주면에 대한 결합 방향으로의 폭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페이서(200)는, 롤러 부재(120)의 폭이 W이고, 세퍼레이터(11)의 폭이 W1이며, 스페이서(200)의 폭이 W2인 경우에, W = W1 + W2가 만족되도록 그 폭이 변화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롤러 부재(120)의 폭(W)은 세퍼레이터(11)의 폭(W1)과 스페이서(200)의 폭(W2)의 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롤러 부재(120)의 폭(W)은 스페이서(200)가 결합가능하도록 각형 이차전지 또는 폴리머형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세퍼레이터(11)의 폭(W1) 보다 스페이서(200)의 폭(W2)만큼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200)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스페이서(200)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소결체(121)에 끼워져 상호간에 작용되는 자성으로 인하여 롤러 부재(120)에 쉽게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스페이서(200)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걸쇠(Snap) 등과 같이 롤러 부재(120)에 쉽게 탈착 가능한 것이면 적용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페이서(200)는 개방된 고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이서(200)는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 두 개의 직선부(210)와, 두 개의 직선부(210)의 일단을 연결하는 만곡부(2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200)는 직선부(210)와 만곡부(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롤러 부재(120)의 일측이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상기 직선부(210)와 만곡부(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폭(W3)은 롤러 부재(12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00)는 세퍼레이터(11)가 가이드 되지 않는 롤러 부재(12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페이서(200)는 롤러 부재(120)의 외주면 상에 가이드되는 세퍼레이터(11)의 폭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200)는 롤러 부재(120)의 길이방향으로의 폭과 세퍼레이터(11)의 폭에 의하여 그 두께가 결정된다.
상기 롤러 고정 부재(150)는 일측이 고정 수단(1)에 결합되고, 일측의 반대인 타측은 롤러 부재(120)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 수단(1)은 본 가이드 롤러 장치(100)가 사용되는 이차전지용 권취장치의 내벽일 수 있다. 즉, 상기 롤러 고정 부재(150)는 롤러 부재(120)가 고정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고정 수단(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롤러 고정 부재(150)는 외부로부터 에어(A; air)가 공급되도록 제2 중공(15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중공(152a)은 그 외경이 제1 중공(121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 고정 부재(150)는 제1 결합부(151) 및 제2 결합부(152)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 고정 부재(150)는 서스(SU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롤러 고정 부재(150)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결합부(151) 및 제2 결합부(152)는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두 구성이 일체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151)는 일측이 고정 수단(1)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 결합부(152)에 연결된다. 상기 제1 결합부(151)의 일측에는 헤드부(151c) 및 걸림부(151b)가 형성되어, 헤드부(151c)를 통하여 고정 수단(1)의 고정홀(1a)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고, 걸림부(151b)를 통하여 제1 결합부(151)가 고정 수단(1)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151)의 타측에는 단차부(151a)가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1 결합부(151)를 제2 고정부(112)의 나사부(112a)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2 결합부(152)는 제1 결합부(15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롤러 부재(120)의 제1 중공(121a)에 끼움 결합된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결합부(152)는 롤러 부재(120)가 결합되는 영역의 외주면에 롤러 부재(120)의 양단부에 인접되도록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고정부(111) 및 제2 고정부(112)는 제2 결합부(152)에 결합되는 롤러 부재(120)의 양단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결합부(152)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152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결합부(152)는 제2 중공(152a)으로 공급된 에어를 배출홀(152b)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홀(152b)을 통하여 배출된 에어는 다공성의 롤러 부재(120)를 통하여 세퍼레이터(11)가 가이드되는 외측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퍼레이터(11)는 배출홀(152b)로부터 가이드된 에어(A)에 의하여 롤러 부재(120)의 외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1)와 롤러 부재(120)의 외주면의 간격은 제2 중공(152a)으로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과 가이드되는 세퍼레이터(11)의 이송 속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에 의하면, 이송되는 세퍼레이터(11)의 폭의 변화에 따라 가이드 롤러를 새로 제작 또는 교체할 필요없이 롤러 부재(120)에 스페이서(200)를 결합하여 가이드 폭을 조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작 시간 및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고정 수단 1a: 고정홈
100: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111: 제1 고정부
112: 제2 고정부 120: 롤러 부재
121: 금속 소결체 121a: 제1 중공
122: 체결홈 130: 고정 부재
131: 체결수단 132: 체결홀
140: 결합 부재 150: 롤러 고정 부재
151: 제1 결합부 151a: 단차부
151b: 걸림부 151c: 헤드부
152: 제2 결합부 152a: 제2 중공
152b: 배출홀 200: 스페이서
210: 직선부 220: 만곡부

Claims (16)

  1.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세퍼레이터를 가이드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 부재; 및
    상기 롤러 부재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롤러 부재의 가이드 폭을 조절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부재는 제1 중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소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소결체는 다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부재는 외주면의 일부에 결합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부재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체결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롤러 부재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일측이 고정 수단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롤러 부재의 제1 중공에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롤러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 고정 부재는 외부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도록 제2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중공으로 공급된 에어를 상기 배출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배출홀로부터 가이드된 에어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부재가 결합되는 영역의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롤러 부재의 양단부에 인접되도록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개방된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세퍼레이터가 가이드 되지 않는 롤러 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고정 부재가 결합된 영역과 이격된 영역에서의 롤러 부재의 외주면 상에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30mm 내지 100mm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30mm 내지 180mm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KR1020130049527A 2013-05-02 2013-05-02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KR102076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527A KR102076029B1 (ko) 2013-05-02 2013-05-02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CN201310628074.5A CN104129667B (zh) 2013-05-02 2013-11-29 二次电池的引导辊装置
MYPI2013702424A MY174602A (en) 2013-05-02 2013-12-12 Guide roller apparatus of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527A KR102076029B1 (ko) 2013-05-02 2013-05-02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929A true KR20140130929A (ko) 2014-11-12
KR102076029B1 KR102076029B1 (ko) 2020-02-11

Family

ID=5180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527A KR102076029B1 (ko) 2013-05-02 2013-05-02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76029B1 (ko)
CN (1) CN104129667B (ko)
MY (1) MY17460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7177A1 (ja) * 2010-12-06 2012-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42306C1 (en) * 1986-12-11 1988-09-22 Baldwin Gegenheimer Gmbh Plough fold head for the longitudinal folding of a web of material, in particular a web of printing material, having a web-supporting device of variable width
JPH09141317A (ja) * 1995-11-21 1997-06-03 Kawasaki Steel Corp サイドガイド装置
JP3548719B2 (ja) * 1999-03-19 2004-07-28 ケーニツヒ ウント バウエル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ペーパウェブを引き込む装置
JP3763290B2 (ja) * 2002-07-17 2006-04-05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記録媒体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JP2009107773A (ja) * 2007-10-30 2009-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タ装置
CN101596985A (zh) * 2008-06-06 2009-12-09 东捷科技股份有限公司 气浮输送装置
JP2012106854A (ja) * 2010-11-19 2012-06-07 Seiko Epson Corp ロール媒体送り装置、記録装置
CN202154021U (zh) * 2011-08-16 2012-03-07 云南烟草科学研究院 一种接装机
CN202926859U (zh) * 2012-08-31 2013-05-08 上海气焊机厂有限公司 一种切割机机架偏心轮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7177A1 (ja) * 2010-12-06 2012-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29667B (zh) 2018-01-02
MY174602A (en) 2020-04-29
KR102076029B1 (ko) 2020-02-11
CN104129667A (zh)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7007B (zh)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ab electrode sheet
JP5790576B2 (ja) 蓄電装置用電極体の製造方法
KR102499324B1 (ko) 이차전지용 권취장치
CN106816641B (zh) 涡旋卷绕电极和制造涡旋卷绕电极的方法
CN107078271B (zh) 用于二次电池的电极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用于二次电池的电极及二次电池
JP2007066744A (ja) 塗工装置および電極の製造方法
CN102893439A (zh) 电池
CN103891024A (zh) 具备螺旋电极体的电池及其制造方法
JP2012033421A (ja) 巻回素子の製造装置
KR101956931B1 (ko) 조립형 권심을 구비하는 이차전지의 권취장치
KR101141216B1 (ko) 전극조립체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JP2018198161A (ja) 塗工装置
JP2010205429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電極
JP6620970B2 (ja) 巻回装置、蓄電素子の製造方法、及び蓄電素子
KR20140130929A (ko) 이차전지용 가이드 롤러 장치
WO2023206192A1 (zh) 电池单体、电池、用电设备、电极组件及其制造方法
KR101956935B1 (ko) 권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권취 방법
KR20160137429A (ko) 원통형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17004B1 (ko)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 및 슬릿 방법
JP4779352B2 (ja) 電池の製造方法
US20190013511A1 (en) Electrode sheet manufacturing method
KR20170094642A (ko) 가압롤들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가압장치
CN219873658U (zh) 一种电池双卷芯卷绕机构、电芯结构及电池
KR102340101B1 (ko)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3004653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