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734A - 발광패널 - Google Patents

발광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734A
KR20140130734A KR20147027195A KR20147027195A KR20140130734A KR 20140130734 A KR20140130734 A KR 20140130734A KR 20147027195 A KR20147027195 A KR 20147027195A KR 20147027195 A KR20147027195 A KR 20147027195A KR 20140130734 A KR20140130734 A KR 20140130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light emitting
electrode layer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7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츠자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8Reflective anodes, e.g. ITO combined with thick metallic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05B33/28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of translucent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8Transparent cathodes, e.g. comprising thin meta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1Two-side emission, e.g. transparent OLEDs [T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41Short-circuit preven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H10K59/80524Transparent cathodes, e.g. comprising thin metal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발광패널은 광을 방출하는 광 방출부와, 광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부로 이루어진 투과발광영역을 갖는다. 투과발광영역의 광 방출부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광을 차광하고 또한 반사하는 도전성 반사층을 갖는다. 투과발광영역의 발광부는 반사층의 일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성이고 투광성의 제1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과 대향 배치된 도전성이고 투광성의 제2 전극층과, 이 제2 전극층과 제1 전극층 사이에 개재되는 유기 EL층을 갖는다. 투과발광영역의 광 투과부는, 반사층이 위치하지 않는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과, 유기 EL층을 갖는다. 투과발광영역의 광 투과부의 제1 전극층과 유기 EL층과의 공간에는 절연성이고 투광성의 수지층을 충전한다.

Description

발광패널{LIGHT EMITTING PANEL}
본 발명은 발광패널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Electro-Luminescence)소자를 사용한 발광패널로서의 복수의 발광부와 복수의 광 투과부가 상하의 투명전극간에 형성된 발광패널이 알려져 있다. 상기 발광패널은 발광부가 비점등 상태일 때에는 광을 투과하는 창으로서, 또한 발광부가 점등상태일 때에는 조명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간에는 채광용 창으로 하고, 또한 야간에는 조명장치로 이용하는 등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발광패널에서는 상하의 투명전극에 끼이는 공간 중, 발광부를 제외한 광 투과 부분은 모두 존재하지 않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측의 투명전극은 한쪽의 투광성 기판상에 직접 성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측의 투명전극은 광투과 부분과 발광부가 비평면인 점에서, 직접 유기 EL층의 위에 형성하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상측의 투명전극은 미리 다른쪽 투광성 기판상에 형성하고, 또한 그 위에 유기 EL층을 형성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유기 EL층을 상하의 투명전극으로 끼운 상태에서 접합하는 공정이 필요해지고, 제조상의 번거로움을 증가시켜 양산성을 손상시킨다는 과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249541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양산성이 우수한 구조의 발광패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실시형태의 발광패널은 광을 방출하여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발광영역을 구비한 발광패널로, 상기 투과발광영역은 광을 방출하는 광 방출부와, 광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 방출부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광을 차광하고 또한 반사하는 도전성의 반사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반사층의 이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성이고 투광성의 제1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과 대향 배치된 도전성이고 투광성의 제2 전측층과, 상기 제2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 사이에 개재되는 유기 EL층을 구비하고, 상기 광 투과부는 상기 반사층의 위치하지 않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과, 상기 유기 EL층을 구비하며, 상기 광 투과부의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유기 EL층과의 공간에, 절연성이고 투광성의 수지층을 충전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패널의 제조 양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발광패널의 평면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a-Ⅰb선을 따른 단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발광패널에 관한 제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평면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Ⅱa-Ⅱ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Ⅱc-Ⅱd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Ⅱe-Ⅱf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발광패널에 관한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발광패널에 관한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의 반복은 생략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이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발광패널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평면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a-Ⅰb선 단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평면형의 발광패널(100)은 투과발광영역(10)과, 그 주위에 설치된 주변 영역(20)을 갖는다. 투과발광영역(10)은 후에 상술한 바와 같이 광을 방출하고, 또한 제1 주면(100A)과 제2 주면(100B)과의 사이를 광이 투과 가능한 영역이다.
발광패널(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측의 제1 주면(100A)과 제2 주면(100B)이 각각 평면형상의 판형상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제1 주면(100A)과 제2 주면(100B)은 비평면이어도 좋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 투과발광영역(10)은 제1 주면(100A)과 제2 주면(100B)의, 어느 한쪽으로부터만 광을 방출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화살표 L1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주면(100A)측으로부터는 광을 방출하지만, 제2 주면(100B)측으로부터는 광은 실질적으로 방출하지 않는다. 또는 이들과 반대로, 제1 주면(100A)으로부터는 실질적으로 광을 방출하지 않고, 제2 주면(100B)으로부터 광을 방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투과발광영역(10)의 일부는 광을 투과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화살표L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주면(100A)측으로부터 제2 주면(100B)측에 광이 투과 가능하고, 또한 화살표 L3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주면(100B)측으로부터 제1 주면(100A)측에 광이 투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주변 영역(20)은 예를 들어 전극패드나 구동회로, 그 밖에 각종 주변회로나 주변기기 등이 적절하게 설치되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변영역(20)은 반드시 필수는 아니고, 적절하게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서의 발광패널(100)은 평면형상으로 대략 사각형인 것을 예시했지만, 이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발광패널(100)의 평면형상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그 이외의 각종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투과발광영역(10)의 평면형상도,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은 대략 사각형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그 이외의 각종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다음에, 도 3~도 7을 참조하여, 발광패널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유기 EL소자를 광원으로 한 탑 에미션형의 발광패널의 평면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Ⅱa-Ⅱ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Ⅱc-Ⅱd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Ⅱe-Ⅱf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발광패널(100)의 투과발광영역(10)은 광 투과부(10a)와 광 방출부(10b)를 갖는다. 투과발광영역(10)은 광 투과부(10a)와 광 방출부(10b)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번갈아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투과발광영역(10)은 도 6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투과부(10a)와 광 방출부(10b)가 번갈아 설치되어 있다.
발광패널(100)은 비투습의 투광성 기판(11)상에, 투명성의 제1 전극층(12), 차광층으로서의 반사층(13), 발광부로서의 유기 EL층(14), 투명성의 제2 전극층(15)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발광패널(100)은 비투습성의 보호캡(16)에 의해 밀봉된 구조를 갖는다. 반사층(13)은 도전성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반사층(13)과 제1 전극층(12)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반사층(13)은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방출부(10b)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반사층(13)의 길이방향 일단과 제2 전극층(15)은 제1 절연층(17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반사층(13)의 길이방향 타단과 제2 전극층(15)은 제2 절연층(17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평면 구성에서, 제1 및 제2 절연층(171, 172)에 의해 끼인 대략 사각형의 영역은 투광발광영역(10)에 상당하고, 제1 및 제2 절연층(171, 172)의 외측의 영역은 주변영역(20)에 상당한다(도 1 참조).
도 5~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층(12)과 유기 EL층(14)에 끼워져 형성되는 공간에는, 절연성이고 투광성의 수지층(절연성 광 투과층)(18)이 충전되어 있다. 나열방향의 반사층(13)의 양단에 위치하는 측면 측에도 투광성 기판(11)의 측면까지 수지층(18)이 충전되어 있다. 수지층(18)은 예를 들어 투명한 폴리이미드를 충전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반사층(13)의 나열방향의 양측의 제1 전극층(12)과 제2 전극층(15) 사이에는 수지층(18)이 충전되어 있다. 상기 수지층(18)은 도 5에 도시한 반사층(13)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형성된 제1 및 제2 절연층(171, 172)과 동일한 절연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절연층(171, 172)은 수지층(18)의 충전시에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수지층(18)을 공간에 충전하는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전극층(12)은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를 두께 150㎚ 성막한 것이다. 제1 전극층(12)은 평면형상의 투광성 기판(11)상에, 예를 들어 스패터법이나 스핀코트법에 의해 성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층(12)은 주석의 산화물이나, 인듐과 주석의 산화물 등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층(12)은 보호캡(16)의 외측까지 배치하고, 전력이 공급되는 한쪽의 제1 전극패드(191)가 된다.
수지층(18)은 반사층(13)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충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기 EL층(14)은 예를 들어 진공증착법을 사용하여 균일한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기 EL층(14)상에 적층된 제2 전극층(15)은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를, 두께 150㎚ 성막한 것이다. 제2 전극층(15)은 평면의 유기 EL층(14)상에, 예를 들어 스패터법이나 스핀코트법에 의해 성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층(15)은 주석의 산화물이나, 인듐과 주석의 산화물 등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극층(15)은 일단이 제1 절연층(171)의 상면에 타단이 제2 절연층(172)의 상면, 측면 또한 투광성 기판(11)을 따라, 보호캡(16)의 외측까지 배치된다. 보호캡(16)의 외측에 배치된 제2 전극층(15)은 전력이 공급되는 다른쪽 제2 전극패드(192)가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전극패드(191, 192)는 어느 한쪽을 상대측에 인회(引き回し)함으로써 발광패널(100)의 공통의 측에 전력공급용 전극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선의 인회를 적게 할 수 있다.
제2 전극패드(192)는 제2 전극층(15)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높이의 차이는 겨우 수백 ㎛정도이다. 또한, 낮은 측의 제2 전극패드(192)는 제2 전극층(15)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전극패드(192)는 예를 들어, 스패터법이나 스핀코트법에 의한 제2 전극층(15)과 동시 형성이 가능해진다.
투광성 기판(11)은 예를 들어 유리, 석영, 플라스틱, 수지류 등의 각종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투광성 기판(11)은 광의 투과율이 제로가 아니면 안되고 무색 투명, 유색 투명, 반투명, 불투명이어도 좋다.
발광부로서는 유기 EL층(14)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무기EL 등이어도 상관없다.
도 6에 도시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전극패드(191)와 제2 전극패드(192)에 급전하면, 유기 EL층(14)에 발광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패드(191)에 공급된 전력은 제1 도전층(12), 반사층(13)을 통하여 유기 EL층(14)의 한쪽면에 공급된다. 제2 전극패드(192)에 공급된 전력은 제2 전극층(15)을 통하여 유기 EL층(14)의 다른쪽면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반사층(13)과 제2 전극층(15)에 위치하는 유기 EL층(14)은 발광한다. 유기 EL층(14)의 광은 360도 전둘레 방향으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광하는 유기 EL층(14)은 광 방출부(10b)에 상당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층(14)에서 발광되어 발광패널의 제1 주면(100A) 측을 향하는 광은, 제1 주면(100A)으로부터 방출된다. 한편, 유기 EL층(14)에서 발광되어 발광패널의 제2 주면(100B)측을 향하는 광은 차광층인 반사층(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기 EL층(14)에서 발광된 광은, 화살표 L2의 방향으로는 방출되지 않는다. 화살표 L2 방향을 향한 광(L1a)은 반사층(13)에 반사되어 화살표 L1측의 방향으로 합성되어 조도 향상의 역학을 수행한다.
한편, 광 투과부(10a)에서는 반사층(13)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성 기판(11), 제1 전극층(12), 수지층(18), 유기 EL층(14), 제2 전극층(15)을 통하여 화살표 L3의 방향으로 광은 투과 가능해진다. 또한, 화살표 L3와는 반대의 화살표 L4의 방향으로도, 광은 투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는 도 3~도 7에 도시한 구체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 방출부(10b)(또는 광 투과부(10a))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번갈아 배열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로세로가 동일 피치의 매트릭스 형상이어도 좋다. 지그재그 형상이나, 비주기적인 각종 배치패턴이어도 좋다.
또한, 복수의 광 방출부(10b)(또는 광 투과부(10a))의 평면 형상이나 평면 크기는 동일할 필요는 없고, 다른 평면 형상이나 평면 크기를 갖는 광 방출부(10b)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광 투과부(10a)와 광 방출부(10b)의 면적의 비율에 대해서도, 도 3이나 도 6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 투과부(10a)의 면적의 비율을 높게 하면, 발광패널(100)을 투과하는 광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광 방출부(10b)의 면적의 비율을 높게 하면, 발광패널(100)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면적의 비율은 발광패널(100)의 용도나 요구되는 사양, 성능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전성 반사층(13)을 제1 전극층(12)상에 형성한 것으로부터, 반사층(13)을 독립된 패턴으로 해도 제1 전극층(12)으로부터의 급전이 가능하고, 임의의 패턴에서의 점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사층(13)의 측면은 수지층(18)을 충전하고, 반사층(13)의 상면과 수지층(18)의 상면을 동일 평면으로 할 수 있다.
동일 평면의 반사층(13)과 수지층(18)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층(15)은, 예를 들어 스패터법이나 스핀코트법에 의한 성막이 가능해진다. 상기 성막시에 필요한 박막부분은, 예를 들어 스패터법에서는 메탈마스크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스핀코트법에서는 마스크를 사용하여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남기는 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수지층(18)의 충전은 동일하게 스핀코트법을 사용하여, 폴리이미드를 나열된 반사층(13)간을 포함하여 성막하고, 폴리이미드막을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패터닝하며, 광 투과부(10a)가 남는 형상으로 가공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발광부 주변에 위치하는 공간의 광 투과 부분에 수지층을 충전함으로써, 발광부에 직접 유기 EL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기 EL층에 제2 전극을 직접 형성할 수 있다. 유기 EL층과 제2 전극은 일련의 공정 중에서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제조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하고, 양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발광패널(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투습의 투광성 기판(11)으로서, 소다라임 유리기판(가로세로 100㎜×100㎜, 두께 0.7㎜)를 사용했다. 투광성 기판(11)의 표면에, 제1 전극층(12)으로서 ITO를, 예를 들어 스패터링법을 사용하여 두께 150㎚으로 성막했다.
계속해서, 반사층(13)으로서 반사성을 갖는 막을, 예를 들어 진공증착법을 사용하여 제1 전극층(12)상에 성막했다.
여기에서, 투과발광영역(10)의 투과율을 결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광 투과부(10a)의 면적비가 85%인 발광패널을 작성하는 경우에는, 증착 마스크의 창부분을 합계한 면적이 마스크 전체 면적의 15%가 되도록, 등간격, 또한 주기적으로 배열한 증착 마스크를 사용하여 차광층(32)을 형성했다. 반사층(13)으로서 Al(알루미늄)을 막두께 400㎚ 성막했다.
또한, 반사층(13)은 도 4에 도시되는 나열된 알루미늄제의 도너 시트로부터 열전사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성막할 수 있다.
다음에, 제1 전극층(12)인 ITO막과, 후공정의 제2 전극층(15)인 ITO막과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는 목적의 제1 및 제2 절연층(171, 172)을 성막한다. 제1 및 제2 절연층(171, 172)은 폴리이미드를, 예를 들어 스핀코트법을 사용하여 두께 1.5㎛ 정도의 성막으로 실현한다. 제1 및 제2 절연층(171, 172)은 광 투과부(10a) 및 광방사부(10b)의 길이방향 양단에 이들을 끼우는 형상으로 가공했다.
다음에, 2파장 백색 발광이 되는 유기 EL층(14)을, 예를 들어 진공증착법을 사용하여 ITO막상에 성막한다. 유기 EL층(14)으로서 우선 처음에, 홀 수송층으로서 α-NPD를 두께 60㎚ 성막한다. 계속해서 청색 발광층으로서 호스트 재료를 α-NPD(디페닐나프틸디아민), 도판트 재료를 페릴렌으로 하고, 도판트 농도가 1wt%가 되도록 두께 20㎚ 성막한다. 다음에, 적색 발광층으로서 호스트 재료를 Alq3[트리스(8-퀴놀리노라트)알루미늄], 도판트 재료를 DCM1으로 하고, 도판트 농도가 1wt%가 되도록 두께 40㎚ 성막한다. 마지막으로 전자 수송 층으로서 Alq3를 두께 20㎚ 성막한다.
계속해서, 제2 전극층(15)으로서 ITO를, 예를 들어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하여 두께 150㎚로 성막했다.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유기 EL소자는 외기의 수분에 대해서 매우 취약하다. 그래서, 비투습성의 보호캡(16)에 의해, 유기 EL층(14)을 덮도록 기밀하게 밀봉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광 투과부(10a)에서 광 투과성이 필요하므로, 비투습성의 보호캡(16)도 광투과성을 갖는다.
비투습성의 보호캡(16)은 소다라임 유리기판을 사용했다. 기밀밀봉방법으로서는 소다라임 유리기판의 가장자리부에 UV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하고, 투과발광영역(10)을 덮도록 보호캡(16)을 접합한다. 그 후, 유기 EL층(14)에 UV가 조사되지 않도록 차광한 상태에서 접착제 도포부에 UV를 조사하고 접착제를 경화시켜 기밀하게 접합한다.
이 발광패널의 제조방법에서는 제1 및 제2 전극층으로 끼워지는 반사층이 없는 공간에 수지층을 충전했다. 이 때문에, 제2 전극층을 형성할 때, 스핀코트로 성막하고, 마스크를 사용하여 필요 부분을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남기는 공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제1 전극층의 형성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법의 공정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고, 제조시스템의 공통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발광패널에 관한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유기 EL층(14)의 두께는 겨우 150㎛정도이다. 이 때문에, 반사층(13)과 수지층(18)의 경계 부근에서 제2 전극층(15)이 늘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전극층(15)과 도전성 반사층(13)이 쇼트할 가능성이 있다. 이 실시형태는 제2 전극층(15)과 반사층(13)의 쇼트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층(13) 상면과 수지층(18) 상면 사이에 두께(X)를 설치하여 형성했다. 이 두께(X)는 반사층(13)의 두께(B)로부터 수지층(18)의 두께(C)를 뺀 값(X=B-C)이다. 그리고, 두께(X)는 유기 EL층(14)의 두께(A)와의 관계를, X<A로 했다.
두께(X)와 유기 EL층(14)의 두께(A)가 X<A의 관계인 경우에는 제2 전극층(15)이 늘어졌을 때에도, 반사층(13)과 제2 전극층(15)이 쇼트하지 않는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쇼트를 방지하고 유기 EL층(14)의 불점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반사층(13) 상면과 수지층(18) 상면 사이에 형성된 두께(X)는 미크론오더의 매우 얇은 것이고, 예를 들어 스패터법이나 스핀코트법에 의한 제2 전극층(15)의 형성도 가능해진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전극층의 늘어짐에 수반하는 반사층과의 쇼트를 방지함으로써 유기 EL층의 불점등 방지에 기여한다.
(제3 실시형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발광패널에 관한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도록, 제2 전극층(15)과 반사층(13)의 쇼트를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층(18)의 상면의 높이를 반사층(13)의 상면보다 Y만큼 두께를 갖게 하여 형성한 것이다.
수지층(18)이 반사층(13)보다 높아진 관계로부터 제2 전극층(15)의 늘어짐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제2 전극층(15)과 반사층(13)의 간격이 넓어지고, 그 결과 이들 쇼트의 방지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층(18)의 상면의 높이를 반사층(13)의 상면보다 Y만큼 두께를 갖게 하여 형성하고 있지만, 이 두께(Y)는 미크론오더의 매우 얇은 것이고, 예를 들어 스패터법이나 스핀코트법에 의한 제2 전극층(15)의 형성도 가능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전극층의 늘어짐을 방지하고, 반사층과의 쇼트를 방지함으로써 유기 EL층의 불점등 방지에 기여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광 투과부(10a) 중에 복수의 광 방출부(10b)를 점재(點在)시킨 경우에, 각각의 광 방출부(10b)를 개별적으로 점등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는 예를 들어 TFT(Thin Film Transistor) 등의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투과발광영역(10)의 일부만을 점등시키거나, 또한 문자나 도형이나 화상 데이터 등을 표시하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적색(R)으로 발광하는 광 방출부(10b)와, 녹색(G)으로 발광하는 광 방출부(10b)와, 청색(B)으로 발광하는 광 방출부(10b)를 인접 배치의 화소로 하고, 이 화소를 투과발광영역(10)에 주기적으로 배열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화소의 적색과 녹색과 청색의 발광강도를 제어하면 컬러 표시도 가능해진다.
상기한 투과형의 발광패널은 차량탑재분야, 주택분야, 광고분야 등에서 유기 EL조명의 전개에서 매우 유용해진다. 예를 들어, 자동차 윈도우에 이 실시형태의 투과형 발광패널을 헤드업 디스플레이로서 사용한 경우, 발광패널을 통하여 외광을 취입할 수 있다. 또한, 발광패널을 윈도우와 일체로 한 경우에는 디자인적, 공간적으로도 다른 차량탑재광원에서는 흉내낼 수 없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조합,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00: 발광패널 100A: 제1 주면
100B: 제2 주면 10: 투과발광영역
20: 주변영역 10a: 광 투과부
10b: 광 방출부 11: 투광성 기판
12: 제1 전극층 13: 반사층
14: 유기 EL층 15: 제2 전극층
16: 보호캡 171: 제1 절연층
172: 제2 절연층 18: 수지층
191: 제1 전극패드 192: 제2 전극패드

Claims (8)

  1. 광을 방출하여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발광영역을 구비한 발광패널로서,
    상기 투과발광영역은 광을 방출하는 광 방출부와, 광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 방출부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광을 차광하고 또한 반사하는 도전성 반사층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반사층의 일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성이고 투광성의 제1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과 대향 배치된 도전성이고 투광성의 제2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과 상기 제1 전극층 사이에 개재되는 유기 EL층을 구비하고,
    상기 광 투과부는 상기 반사층이 위치하지 않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과, 상기 유기 EL층을 구비하며,
    상기 광 투과부의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유기 EL층과의 공간에, 절연성이고 투광성의 수지층을 충전한 발광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발광패널의 제1 주면측을 향하는 광은 상기 제1 주면으로부터 방출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상기 발광패널의 제2 주면측을 향하는 광은 상기 반사층에 의해 차폐하는, 발광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층은 탑 에미션형의 발광구조를 갖는, 발광패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층은 탑 에미션형의 발광구조를 갖는, 발광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수지층의 상면보다 낮은, 발광패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수지층의 상면보다 낮은, 발광패널.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수지층의 상면보다 낮은, 발광패널.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수지층의 상면보다 낮은, 발광패널.
KR20147027195A 2012-06-22 2013-05-30 발광패널 KR201401307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40743A JP2014007020A (ja) 2012-06-22 2012-06-22 発光パネルおよび発光パネル製造方法
JPJP-P-2012-140743 2012-06-22
PCT/JP2013/003427 WO2013190781A1 (ja) 2012-06-22 2013-05-30 発光パネ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734A true KR20140130734A (ko) 2014-11-11

Family

ID=4976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7195A KR20140130734A (ko) 2012-06-22 2013-05-30 발광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31229B2 (ko)
EP (1) EP2866527A1 (ko)
JP (1) JP2014007020A (ko)
KR (1) KR20140130734A (ko)
CN (1) CN104350811A (ko)
WO (1) WO20131907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5230B (zh) * 2013-12-31 2018-12-07 北京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透明oled器件及其显示装置
USRE48695E1 (en) 2013-12-31 2021-08-17 Beijing Visionox Technology Co., Ltd. Transparent OLED device and display device employing same
WO2015125308A1 (ja) * 2014-02-24 2015-08-27 株式会社 東芝 有機電界発光素子、照明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JP2017069030A (ja) * 2015-09-30 2017-04-06 住友化学株式会社 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745A (ja) * 1998-05-12 1999-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光素子及び積層型表示素子
JP2001332392A (ja) 2000-05-19 2001-11-30 Sony Corp 両面発光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両面発光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1332393A (ja) * 2000-05-23 2001-11-30 Canon Inc 電子機器
JP2002198168A (ja) 2000-12-26 2002-07-12 Nec Kansai Ltd 電界発光灯及びその製造方法
JP4849779B2 (ja) 2003-05-16 2012-01-1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7566902B2 (en) * 2003-05-16 2009-07-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080137008A1 (en) 2006-12-06 2008-06-12 General Electric Company Color tunable oled illuminatio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ed display illumination
KR101084198B1 (ko) * 2010-02-24 2011-11-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1249541A (ja) * 2010-05-26 2011-12-08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発光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90781A1 (ja) 2013-12-27
US20150102309A1 (en) 2015-04-16
US9231229B2 (en) 2016-01-05
EP2866527A1 (en) 2015-04-29
CN104350811A (zh) 2015-02-11
JP2014007020A (ja)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8726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KR102334393B1 (ko) 표시 장치
US987108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JP2002299044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US20110012140A1 (en) Light emitting diode arrangement
US20150028309A1 (en) Light-emitting element display device
KR20140130734A (ko) 발광패널
US20150286103A1 (en) Display device
US10686151B2 (en) Light-emitting device with see-through property using optical filters
JP6226312B2 (ja) 有機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09019775A1 (ja) 面発光装置
WO2017073459A1 (ja) 発光システム
TWI685829B (zh) 顯示裝置
KR20120035027A (ko) 유기 발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장치
TWI696306B (zh) 顯示面板
KR102692934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540727B2 (ja) 発光装置
CN107394055B (zh) 一种电致侧发光器件
WO2015163319A1 (ja) 面発光モジュール
JP2016181361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及び照明装置
JP2016181360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及び照明装置
JP6450124B2 (ja) 発光装置
JP2019036758A (ja) 発光装置
JP2019079731A (ja) 発光装置
JP2018073526A (ja) 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