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249A - 워터 제트 룸의 위사 삽입 펌프 - Google Patents

워터 제트 룸의 위사 삽입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249A
KR20140128249A KR20140048612A KR20140048612A KR20140128249A KR 20140128249 A KR20140128249 A KR 20140128249A KR 20140048612 A KR20140048612 A KR 20140048612A KR 20140048612 A KR20140048612 A KR 20140048612A KR 20140128249 A KR20140128249 A KR 20140128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stopper member
suction
weft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오 시마자키
야스시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40128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B23/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having reservoirs
    • F04B23/025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having reservoirs the pump being located directly adjacent the reservoir
    • F04B23/028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having reservoirs the pump being located directly adjacent the reservoir the pump being mounted on top of the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04B53/1002Ball valves
    • F04B53/101Ball valves having means for limiting the opening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워터 제트 룸의 위사 삽입 펌프는, 펌프 하우징과, 저수실 형성 실린더와, 플런저와, 토출구 및 흡입구와, 저수실과, 토출측 역지 밸브와, 흡입측 역지 밸브와, 스토퍼 부재를 포함한다. 흡입측 역지 밸브는, 밸브체와, 밸브 면을 갖는 밸브 시트 부재와, 스토퍼 부재를 포함한다. 스토퍼 부재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스토퍼 부재의 축 방향으로 밸브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벽이 형성된다. 스토퍼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가이드 벽 사이에는 유통로가 형성된다. 밸브 시트 부재에는, 밸브 면을 둘러싸도록 그리고 밸브 면에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각 유통로 사이를 유체 연통하는 환상 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워터 제트 룸의 위사 삽입 펌프 {WEFT INSERTION PUMP FOR WATER JET LOOM}
본 발명은, 워터 제트 룸(water jet loom)의 위사(緯絲; weft) 삽입 펌프에 관한 것이다.
워터 제트 룸에는 위사 삽입 펌프가 구비된다. 위사 삽입 펌프에는 저수실(water storage chamber) 형성 실린더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펌프 하우징이 구비되고, 저수실 형성 실린더 내에는 플런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펌프 하우징에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흡입구와 토출구의 사이에는 저수실이 형성되어 있다. 저수실과 저수실 형성 실린더의 내부는 서로 연통(communication)되어 있다. 저수실과 흡입구의 사이에는 흡입측 역지 밸브(suction-side check valve)가 개재되어(interposed) 있고, 저수실과 토출구의 사이에는 토출측 역지 밸브가 개재되어 있다. 흡입구는 흡입관을 통하여 물탱크에 접속되어 있고, 토출구는 토출관을 통하여 위사 삽입 노즐에 접속되어 있다.
플런저가 저수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저수실의 용적이 확대되어, 저수실 내에 흡입압(suction pressure)이 발생한다. 저수실 내에서 발생하는 흡입압에 수반하여, 물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흡인하는 흡인력이 작용하여, 흡입측 역지 밸브가 열리고, 이로 인해 물탱크 내에 저장된 물이 저수실 내로 흡입된다. 이때, 토출측 역지 밸브는 닫혀 있어, 토출관 내의 물이 저수실측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반대로, 플런저가 저수실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플런저에 의해 저수실 내의 물이 가압된다. 따라서, 흡입측 역지 밸브가 닫힘과 함께 토출측 역지 밸브가 열리고, 저수실 내의 가압된 물이, 토출관을 통하여 위사 삽입 노즐로 압송된다. 위사 삽입 노즐로 압송된 물은 위사 삽입 노즐로부터 분사되고, 워터 제트에 의해 위사가 경사(經絲; warp) 내로 위사 삽입된다.
워터 제트 룸에 있어서의 위사 삽입 펌프의 흡입측 역지 밸브 또는 토출측 역지 밸브를 나타내는 도 8을 참조하면, 흡입측 역지 밸브(100A) 및 토출측 역지 밸브(100B)는, 구(sphere) 형상의 밸브체(101)와, 원판 형상의 밸브 시트 부재(102)와, 원통형 스토퍼 부재(103)를 포함한다. 밸브 시트 부재(102)는 밸브체(101)가 착좌될 수 있는 밸브 시트(102E)를 갖는다. 원통형 스토퍼 부재(103)는, 밸브체(101)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 부재(102)의 밸브 시트(102E)로부터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톱면(103E)을 갖는다. 밸브 시트 부재(102)는 스토퍼 부재(103)의 개구를 닫도록 스토퍼 부재(103)에 장착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102)의 중앙부에는 흡입 통로(102A)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102E)는 밸브체(10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된 직경을 가지며, 흡입 통로(102E)로 연속하여 이어지는 원추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토퍼 부재(103)에는, 밸브체(101)를 스토퍼 부재(103)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벽(103A)이, 스토퍼 부재(103)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103)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임의의 서로 이웃하는 2개의 가이드벽(103A)의 사이에는 유통로(103B)가 형성되어 있고, 흡입 통로(102A)로부터 흡입된 물은 유통로(103B)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저수실(105) 내에서 흡입압이 발생하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밸브체(101)가 스톱면(103E)측으로 이동하여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흡입 통로(102A) 내의 물이, 밸브 시트(102E)와 밸브체(10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유통로(103B) 내로 흐르게 된다. 밸브 시트(102E)와 밸브체(101) 사이의 공간은 근소한 간극(clearance)이기 때문에, 흡입 통로(102A)로부터 이 공간을 통하여 흐르는 물은 유속이 상승하여, 각 유통로(103B)에 세차게 물이 흡입된다. 역지 밸브(100A, 100B)에서는, 도 9에 음영으로 나타낸, 밸브 시트(102E)로부터 떨어진 유통로(103B)의 모서리부인 영역(Z)에서 물의 흐름이 거의 발생하기 어려워, 영역(Z)에서는 물이 흐르지 않고 체류하기 쉬워진다.
영역(Z)에 체류하는 물의 유속과, 유통로(103B)에 있어서의 영역(Z) 주변을 흐르는 물의 유속 사이에 큰 유속차가 발생함으로써 충격파가 발생된다. 이 충격파의 충격이, 밸브 시트 부재(102)에 있어서의 유통로(103B)에 노출되는 단면(end surface)에 전달되면, 밸브 시트 부재(102)의 상기 단면에 이로젼(erosion)이 일어나 버릴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워터 제트 룸에 있어서의 위사 삽입 펌프의 역지 밸브에서는, 밸브 시트 부재(102)가, HIP(Hot Isostatic Pressing) 처리된 지르코니아계 세라믹으로 형성되어 있다. HIP 처리에 의해 지르코니아계 세라믹으로 형성된 이러한 밸브 시트 부재(102)를 사용함으로써, 밸브 시트 부재(102)의 상기 단면의 이로젼이 억제되기 때문에, 밸브 시트 부재(102)의 수명이 향상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3034호
그러나, HIP 처리된 지르코니아계 세라믹은 고가이기 때문에, 이러한 밸브 시트 부재(102)를 사용하면 위사 삽입 펌프의 제조 비용이 늘어나게 된다.
본 발명은, 흡입측 역지 밸브의 밸브 시트 부재에 있어서의 이로젼의 억제를 저렴한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는 워터 제트 룸의 위사 삽입 펌프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워터 제트 룸의 위사 삽입 펌프는, 펌프 하우징과, 저수실 형성 실린더와, 플런저와, 토출구 및 흡입구와, 저수실과, 물 탱크와, 위사 삽입 노즐과, 토출측 역지 밸브와, 흡입측 역지 밸브와, 스토퍼 부재를 포함한다. 저수실 형성 실린더는 펌프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플런저는 저수실 형성 실린더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토출구 및 흡입구는 펌프 하우징에 형성되며, 각각 위사 삽입 노즐 및 물탱크에 접속되어 있다. 저수실은 흡입구와 토출구 사이에 형성된다. 토출측 역지 밸브는 저수실과 토출구 사이에 개재된다. 흡입측 역지 밸브는 저수실과 흡입구 사이에 개재된다. 흡입측 역지 밸브는, 구 형상의 밸브체와, 밸브 면을 갖는 밸브 시트 부재와, 원통 형상의 스토퍼 부재를 포함한다. 밸브 시트 부재에는 흡입 통로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스토퍼 부재는, 밸브 시트 부재의 밸브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의 밸브체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형성된 스토퍼부를 포함한다. 스토퍼 부재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가이드 벽이 형성된다. 가이드 벽은 스토퍼 부재의 축 방향으로 밸브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스토퍼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가이드 벽 사이에는 유통로가 형성된다. 흡입 통로로부터의 물은 유통로를 통하여 흐른다. 밸브 시트 부재에는, 밸브 면을 둘러싸도록 그리고 밸브 면에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각 유통로 사이를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하는 환상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위사 삽입 펌프를 나타내는, 워터 제트 룸의 위사 삽입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위사 삽입 펌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흡입측 역지 밸브의 밸브체가 흡입측 역지 밸브의 밸브 시트에 착좌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위사 삽입 펌프의 흡입측 역지 밸브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위사 삽입 펌프의 흡입측 역지 밸브를 스토퍼 부재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위사 삽입 펌프의 흡입측 역지 밸브의 밸브 시트 부재를 밸브 시트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흡입측 역지 밸브의 밸브체가 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위사 삽입 펌프의 흡입측 역지 밸브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워터 제트 룸에 있어서의 위사 삽입 펌프의 흡입측 역지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예에 따른 워터 제트 룸에 있어서의 위사 삽입 펌프의 흡입측 역지 밸브 및 토출측 역지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예에 따른 흡입측 역지 밸브 및 토출측 역지 밸브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예에 있어서 흡입측 역지 밸브의 밸브체가 흡입측 역지 밸브의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래예에 따른 위사 삽입 펌프의 흡입측 역지 밸브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워터 제트 룸의 위사 삽입 장치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부호 10은 워터 제트 룸의 위사 삽입 장치(이하, 간단히 "위사 삽입 장치"라고 칭한다)를 나타낸다. 위사 삽입 장치(10)는 위사 삽입 펌프(11)를 구비한다. 위사 삽입 펌프(11)에는, 토출관(12)을 통하여 위사 삽입 노즐(13)이 접속됨과 함께, 흡입관(14)을 통하여 물탱크(15)가 접속되어 있다. 위사 삽입 펌프(11)는, 물탱크(15) 내의 물을 흡입관(14)을 통하여 빨아 올림과 함께 빨아 올린 물을 토출관(12)으로 토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위사 삽입 펌프(11)는 펌프 하우징(20)을 구비하고, 펌프 하우징(20)내에는 저수실 형성 실린더(21)가 배치된다. 저수실 형성 실린더(21) 내에는 플런저(2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저수실 형성 실린더(21) 주위에는 스프링 시트(22A)가 장착되어 있고, 펌프 하우징(20) 내에는 스프링 캡(22B)이 나사 맞춤되어 있다. 스프링 캡(22B)은, 로크너트(locknut; 22C)에 의해 펌프 하우징(20)에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시트(22A)는 시트부(221A)를 갖고, 스프링 캡(22B) 또한 시트부(221B)를 가지며, 스프링 시트(22A)의 시트부(221A)와 스프링 캡(22B)의 시트부(221B) 사이에 코일 스프링(22D)이 개재되어 있다.
펌프 하우징(20)에는 흡입구(23) 및 토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23)와 토출구(24)의 사이에는 저수실(25)이 형성되어 있다. 저수실(25)은 저수실 형성 실린더(21)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저수실(25)과 흡입구(23)와의 사이에는 흡입측 역지 밸브(30A)가 개재되어 있고, 저수실(25)과 토출구(24)와의 사이에는 토출측 역지 밸브(30B)가 개재되어 있다. 흡입구(23)는 흡입관(14)을 통하여 물탱크(15)에 접속되어 있고, 토출구(24)는 토출관(12)을 통하여 위사 삽입 노즐(13)에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사 삽입 장치는, 구동축(16)과, 캠(17)과, 캠 레버(18)와, 지지축(18A)과, 캠 팔로워(18B)와, 링크 장치(19)를 포함한다. 구동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16)에는 캠(17)이 고정 장착되어 있다. 구동축(16)과 평행하게 설치된 지지축(18A)에는 캠 레버(18)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 레버(18)는, 캠 팔로워(18B)를 통하여 캠(17)에 접속 및 분리 가능하다. 캠 레버(18)는, 일정한 각(角)속도로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R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캠(17)과, 위사 삽입 펌프(11)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22D)과의 협동에 의해 왕복 요동된다. 캠 레버(18)에는 위사 삽입 펌프(11)의 플런저(22)가 링크 장치(19)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플런저(22) 및 스프링 시트(22A)는, 캠 레버(18)의 왕복 이동에 의해 일체적으로 왕복 운동한다.
캠 레버(18)가 캠(17)의 동작에 의해 지지축(18A)을 중심으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위사 삽입 펌프(11)의 플런저(22) 및 스프링 시트(22A)는, 코일 스프링(22D)의 스프링력에 저항하며 도 2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된다. 스프링 시트(22A)와 함께 플런저(22)의 좌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코일 스프링(22D)이 압축되면서, 물탱크(15)로부터 흡입관(14)을 통하여 저수실(25) 내로 소정량의 물이 흡입된다. 물이 저수실(25) 내로 흡입되고 있는 동안, 흡입측 역지 밸브(30A)는 열리고 토출측 역지 밸브(30B)는 닫혀 있어, 토출관(12) 내의 물이 저수실(25)측으로 역류하는 일이 방지된다.
캠(17)에는 캠면(17A)이 구비된다. 캠 팔로워(18B)가 도 1에 도시된 캠면(17A)의 최대 지름 위치 N을 초과하여 움직이면, 캠 팔로워(18B)가 캠면(17A)으로부터 떨어져 위치결정되고, 코일 스프링(22D)의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22)는 저수실(25) 내의 물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저수실(25) 내의 물이 소정의 수준으로 가압되면, 흡입측 역지 밸브(30A)가 닫힘과 함께 토출측 역지 밸브(30B)가 열리고, 이로 인해, 저수실(25) 내의 가압된 물은 토출관(12)을 통하여 위사 삽입 노즐(13)로 압송된다. 위사 삽입 노즐(13)로 압송된 물은 위사 삽입 노즐(13)로부터 분사되고, 위사(Y)가 경사(도시 생략) 내로 위사 삽입된다. 캠 팔로워(18B)가 캠면(17A)에 또는 토출수량 제한용으로 형성된 스토퍼(29)에 맞닿도록 위치결정되면, 위사(Y) 삽입 기간인 1 사이클의 물분사가 종료된다.
다음으로, 흡입측 역지 밸브(30A)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토출측 역지 밸브(30B)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흡입측 역지 밸브(100A) 및 토출측 역지 밸브(100B)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흡입측 역지 밸브(30A)는, 구 형상의 밸브체(31)와, 밸브 시트 부재(32)와, 스토퍼 부재(33)를 포함한다. 밸브 시트 부재(3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밸브체(31)가 착좌될 수 있는 밸브 면(32E)을 갖는다. 스토퍼 부재(3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밸브 시트 부재(32)의 밸브 면(32E)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의 밸브체(31)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톱면(33E)을 갖는다. 스톱면(33E)은 본 발명의 스토퍼부로서 기능한다. 밸브 시트 부재(32)는, 스토퍼 부재(33)의 개구를 닫도록 스토퍼 부재(33)에 장착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32)의 중앙부에는 흡입 통로(32A)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32)의 밸브 면(32E)은 밸브체(31)측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직경을 가지며, 흡입 통로(32A)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추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토퍼 부재(33)의 내주면에는, 스토퍼 부재(33)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밸브체(31)를 스토퍼 부재(33)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가이드벽(33A)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33)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임의의 서로 이웃하는 2개의 가이드벽(33A)의 사이에는, 흡입 통로(32A)로부터 흡입된 물이 유통 가능한 유통로(3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톱면(33E)의 중앙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 구멍(331E)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밸브 시트 부재(32)에는, 밸브 면(32E)을 둘러싸도록 그리고 밸브 면(32E)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각 유통로(33B) 사이를 연통시키는 환상 홈(32B)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 홈(32B)은 외주측 연부(321B)를 갖고, 각 유통로(33B)는 외주측 연부(331B)를 갖는다. 외주측 연부(321B) 및 외주측 연부(331B)는 스토퍼 부재(33)의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연속해 있다. 환상 홈(32B)의 치수 공차 및 유통로(33B)의 치수 공차에 기인하여 환상 홈(32B)과 유통로(33B) 사이에 차이가 있어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위사 삽입 장치(10)의 위삽 삽입 펌프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흡입측 역지 밸브(30A)의 플런저(22) 및 스프링 시트(22A)의 좌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저수실(25) 내에서 흡입압이 발생되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밸브체(31)가 스토퍼 부재(33)의 스톱면(33E)측으로 이동하여 스톱면(33E)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밸브체(31)와 스톱면(33E) 사이의 공간에 체류하고 있던 물은, 관통 구멍(331E)을 통하여 저수실(25)로 흐른다. 그리고, 흡입측 역지 밸브(30A)의 상류측에 존재하는 물은 흡입 통로(32A) 및, 밸브 면(32E)과 밸브체(31)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유통로(33B) 내로 흡입된다.
밸브 면(32E)과 밸브체(31) 사이의 공간은 근소한 간극이기 때문에, 이 공간을 통과하여 흐르는 물은 유속이 증가하여 각 유통로(33B)에 세차게 흡입된다. 만약, 밸브 시트 부재(32)에 환상 홈(32B)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도 4에서 음영으로 나타낸, 밸브 면(32E)으로부터 떨어진 유통로(33B)의 모서리부의 영역(Z)에서는 물의 흐름이 거의 발생하기 어려워, 이 영역(Z)에 물이 체류하려고 한다.
흡입측 역지 밸브(30A)에서는, 물이 밸브 면(32E)으로부터 환상 홈(32B)을 통하여 유통로(33B)로 흐르고 또한 가이드 벽(33A)으로부터 유통로(33B)로 흐르기 때문에, 영역(Z)에 물이 체류해 버리는 것이 억제되고, 영역(Z)에 체류하는 물의 유속과 유통로(33B)에 있어서의 영역(Z) 주변을 흐르는 물의 유속 사이에 큰 유속차가 발생함으로써 충격파가 발생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밸브 시트 부재(32)에 있어서의 유통로(33B)에 면하는 단면에 충격파가 전달되어, 밸브 시트 부재(32)에 있어서의 각 유통로(33B)에 면하는 단면에 이로젼이 일어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의 효과를 제공한다.
(1) 밸브 시트 부재(32)에는, 밸브 면(32E)을 둘러싸도록 그리고 밸브 면(32E)에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각 유통로(32B) 사이를 유체 연통하는 환상 홈(32B)이 형성된다. 이러한 흡입측 역지 밸브(30A)의 구성에 의하면, 물이 밸브 면(32E)으로부터 환상 홈(32B)을 통하여 유통로(33B)로 흐르고 또한 가이드 벽(33A)으로부터 유통로(33B)로 흐르기 때문에, 영역(Z)에 물이 체류해 버리는 것이 억제되고, 영역(Z)에 체류하는 물의 유속과 유통로(33B)에 있어서의 영역(Z) 주변을 흐르는 물의 유속 사이에 큰 유속차가 발생함으로써 충격파가 발생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밸브 시트 부재(32)에 있어서의 유통로(33B)에 면하는 단면에 충격파가 전달되어, 밸브 시트 부재(32)에 있어서의 각 유통로(33B)에 면하는 단면의 이로젼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밸브 시트 부재(32)에 있어서의 이로젼의 억제를 위해, 밸브 시트 부재(32)를 HIP 처리된 지르코니아계 세라믹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흡입측 역지 밸브(30A)의 밸브 시트 부재(32)에 있어서의 이로젼의 억제를 저렴한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다.
(2) 환상 홈(32B)의 외주측 연부(321B)와 유통로(33B)의 외주측 연부(331B)는 스토퍼 부재(33)의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연속해 있다. 환상 홈(32B)의 외주측 연부(321B)가 유통로(33B)의 외주측 연부(331B)와 연속해 있지 않고 유통로(33B)의 외주측 연부(331B)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환상 홈(32B)과 유통로(33B)와의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여, 유통로(33B)에서 캐비테이션(cavitation)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환상 홈(32B)의 외주측 연부(321B)와 유통로(33B)의 외주측 연부(331B)가 스토퍼 부재(33)의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연속해 있으면, 환상 홈(32B)과 유통로(33B)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캐비테이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흡입측 역지 밸브(30A)의 밸브 시트 부재(32)에 있어서의 이로젼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3) 밸브 시트 부재(32)에는, 밸브 면(32E)을 둘러싸도록 그리고 밸브 면(32E)에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각 유통로(33B)끼리를 연통하는 환상 홈(32B)이 형성된다. 스토퍼 부재(33)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 부재(32)를 향하는 가이드벽(33A)의 단면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경우, 스토퍼 부재(33)에 있어서 오목부가 가이드벽(33A)이나 유통로(33B)의 벽면과 접속하는 개소에 버(burr)가 발생되기 쉽고, 이 버가 캐비테이션의 기점이 될 우려가 있다. 밸브 시트 부재(32)에는 스토퍼 부재(33)에 있어서의 가이드벽(33A) 및 유통로(33B) 등의 복잡한 형상 부분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밸브 시트 부재(32)에 환상 홈(32B)을 형성해도 버로 인해 밸브 시트 부재(32)에 캐비테이션이 야기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좋다.
도 7을 참조하면, 밸브 시트 부재(32)와 스토퍼 부재(33) 사이에 환상 부재(40)를 형성함으로써, 환상 홈(32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밸브 시트 부재(32)를 가공하는 일 없이, 환상 홈(32B)이 형성될 수 있다.
환상 홈(32B)의 외주측 연부(321B)는 유통로(33B)의 외주측 연부(331B)보다도 외측 또는 내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환상 홈(32B)의 외주측 연부(321B)와 유통로(33B)의 외주측 연부(331B)가 스토퍼 부재(33)의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연속해 있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벽(33A) 및 유통로(33B)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1 : 위사 삽입 펌프
12 : 토출관
13 : 위사 삽입 노즐
14 : 흡입관
15 : 물탱크
20 : 펌프 하우징
21 : 저수실 형성 실린더
22 : 플런저
23 : 흡입구
24 : 토출구
25 : 저수실
30A : 흡입측 역지 밸브
30B : 토출측 역지 밸브
31 : 밸브체
32 : 밸브 시트 부재
32A : 흡입 통로
32B : 환상 홈
32E : 밸브 시트
33 : 스토퍼 부재
33A : 가이드벽
33B : 유통로
33E : 스톱면
40 : 환상 부재
321B, 331B : 외주측 연부

Claims (3)

  1. 워터 제트 룸의 위사 삽입 펌프로서,
    펌프 하우징과;
    상기 펌프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저수실 형성 실린더와;
    상기 저수실 형성 실린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플런저와;
    상기 펌프 하우징에 형성되고 위사 삽입 노즐에 접속되는 토출구와;
    상기 펌프 하우징에 형성되고 물탱크에 접속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저수실과;
    상기 저수실과 상기 토출구 사이에 개재되는 토출측 역지 밸브와;
    상기 저수실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개재되는 흡입측 역지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측 역지 밸브가,
    구 형상의 밸브체와;
    밸브 면을 가지며, 흡입 통로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밸브 시트 부재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밸브 시트 부재의 상기 밸브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의 상기 밸브체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형성된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스토퍼 부재로서, 상기 스토퍼 부재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가이드 벽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축 방향으로 상기 밸브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가이드벽의 사이에는 유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 통로로부터 물이 상기 유통로를 통하여 흐르게 되는 스토퍼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시트 부재에는, 상기 밸브 면을 둘러싸도록 그리고 상기 밸브 면에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각 유통로 사이를 유체 연통하는 환상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제트 룸의 위사 삽입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홈은 외주측 연부(edge)를 갖고, 각 유통로는 외주측 연부를 가지며, 상기 환상 홈의 외주측 연부와 상기 유통로의 외주측 연부는 상기 스토퍼 부재의 축방향에 있어서 서로 연속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제트 룸의 위사 삽입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홈은 상기 밸브 시트 부재와 상기 스토퍼 부재 사이에 환상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제트 룸의 위사 삽입 펌프.
KR20140048612A 2013-04-26 2014-04-23 워터 제트 룸의 위사 삽입 펌프 KR201401282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3906A JP2014214402A (ja) 2013-04-26 2013-04-26 ウォータジェットルームの緯入れポンプ
JPJP-P-2013-093906 2013-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249A true KR20140128249A (ko) 2014-11-05

Family

ID=5178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8612A KR20140128249A (ko) 2013-04-26 2014-04-23 워터 제트 룸의 위사 삽입 펌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322052A1 (ko)
JP (1) JP2014214402A (ko)
KR (1) KR20140128249A (ko)
CN (1) CN104131395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350A (ja) * 1998-06-17 2000-01-07 Tsudakoma Corp 逆止弁
JP3783933B2 (ja) * 2001-12-05 2006-06-07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ウォータ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水噴射装置
JP2005003034A (ja) * 2003-06-10 2005-01-06 Tsudakoma Corp 逆止弁
JP2009024319A (ja) * 2007-06-21 2009-02-05 Toyota Industries Corp ウォータジェットルームの緯入れポンプ
JP5521588B2 (ja) * 2010-02-01 2014-06-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水噴射式織機における水噴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14402A (ja) 2014-11-17
CN104131395A (zh) 2014-11-05
US20140322052A1 (en)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68614B (zh) 安全阀以及包括该安全阀的高压泵
JP4752853B2 (ja) 流量制御弁
JP2014224523A (ja) 弁装置、及びこの弁装置を用いる高圧ポンプ
CN106414192B (zh) 具有容纳元件的排出阀
US9546653B2 (en) Electromagnetic valve and high pressure pump using the same
US20180223826A1 (en) Dual pumping fluid pump
WO2016113824A1 (ja) 高圧ポンプ
JP5369768B2 (ja) ポンプ
JP6432440B2 (ja) 高圧ポンプ
JP6018202B2 (ja) 高圧流体ポンプに用いられる流体出入バルブ
JP5682335B2 (ja) 高圧ポンプ
KR20110051826A (ko) 고압 연료 펌프의 토출 밸브와 압력 릴리프 밸브 일체형 구조
KR20140128249A (ko) 워터 제트 룸의 위사 삽입 펌프
US10344724B2 (en) High-pressure pump
JP6586931B2 (ja) リリーフ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高圧ポンプ
JP5768723B2 (ja) 高圧ポンプ
JP2006207486A (ja) 高圧燃料ポンプ
JP2010275874A (ja) 燃料噴射ポンプ
JP2018053842A (ja) 高圧燃料供給ポンプ
KR101373353B1 (ko) 연료분사펌프의 분사장치
KR101787591B1 (ko) 직접분사식 가솔린 엔진용 고압 연료펌프
JP6583514B2 (ja) 高圧ポンプ
CN219317079U (zh) 用于车辆的燃油喷射系统及其高压燃油泵
JP2010190107A (ja) 高圧ポンプ
JP6225648B2 (ja) 高圧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