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834A - 연료전지유닛 및 연료전지차량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유닛 및 연료전지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834A
KR20140127834A KR1020147023939A KR20147023939A KR20140127834A KR 20140127834 A KR20140127834 A KR 20140127834A KR 1020147023939 A KR1020147023939 A KR 1020147023939A KR 20147023939 A KR20147023939 A KR 20147023939A KR 20140127834 A KR20140127834 A KR 20140127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cells
connectors
dispose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토무 시라카와
노리시게 곤노
가즈야 모리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4012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5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1Arrangement of fuel cells with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2Constructional details of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858Electric variables
    • H01M8/04925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 H01M8/04932Power, energy, capacity or load of the individual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차량의 언더플로어 공간에 배치된 연료전지유닛(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료전지유닛(1)은, 복수 적층된 셀(11)들을 구비한 연료전지(10); 및 상기 연료전지(10)의 측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셀(11)들의 상태를 감시하는 셀 모니터(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유닛 및 연료전지차량{FUEL CELL UNIT AND FUEL CELL VEHICLE}
본 발명은 연료전지유닛 및 연료전지차량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와 (셀 모니터 및 제어회로 등과 같은) 주변기기들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유닛이 차량 등의 각종 구조체들에 탑재되어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연료전지유닛을 구조체에 탑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료전지유닛을 소정의 케이스에 수납함으로써, 연료전지 및 주변기기들을 외부의 수분 및 전자파들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전기 절연을 실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에는, 주변기기와 연료전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과 상기 연료전지유닛을 수납하는 케이스 사이에 보호 시트를 배치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출원공보 제2009-163909호(JP 2009-163909 A) 참조). 이러한 종류의 기술을 채용하면, 케이스에의 케이블의 접촉을 막게 되어, 상기 케이블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JP 2009-163909 A에 기재된 것 같은 연료전지유닛(100)(도 4 참조)에 있어서는, 셀 모니터(110)가 연료전지(120)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셀 모니터(110)를 상기 연료전지(120)의 상방으로 배치한다면, 상기 연료전지유닛(100)의 높이 치수가 커져 버린다. 따라서, 예를 들면 차량의 플로어(floor) 아래 공간에서와 같이 높이 치수에 제약이 있는 공간에 상기 연료전지유닛(100)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료전지(120) 자체의 높이가 축소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연료전지(120) 자체의 높이를 축소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료전지(120)를 구성하는 셀(121)들의 발전 영역을 축소시킬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상기 연료전지(120)의 발전 성능이 저하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차량의 언더플로어(underfloor) 공간에 연료전지유닛을 배치하는 경우, 발전 영역을 확보하여 발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연료전지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형태는, 연료전지차량의 언더플로어 공간에 배치된 연료전지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료전지유닛은, 복수 적층된 셀들을 구비하는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스택의 측방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셀들의 상태를 감시하는 셀 모니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연료전지의 측방 영역(연료전지스택의 높이 방향의 최상부에 접하는 가상 평면과 연료전지스택의 높이 방향의 최하부에 접하는 가상 평면 사이의 영역)에 셀 모니터가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연료전지차량의 언더플로어 공간에 연료전지를 배치할 때, 상기 언더플로어 공간의 높이 방향으로의 치수를 상기 연료전지스택에 가능한 최대 규모로 점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전지차량의 언더플로어 공간의 높이 치수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셀들의 발전 영역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연료전지의 발전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4개의 측면을 갖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구비한 연료전지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셀 모니터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셀들의 적층 방향은 대략 수평 방향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셀들이 적층되는 연료전지의 네 측면들 가운데, 상기 셀들의 적층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표면 상에 셀 모니터를 배치할 수도 있고,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네 측면들 가운데, 단부 판측면(end plate-side surface) 양자 모두를 제외한 표면 상에 각 연료전지셀의 커넥터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셀 모니터의 커넥터들과 상기 셀들의 커넥터들을 접속하는 케이블들의 길이가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 모니터는, 상기 셀들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셀 모니터의 표면들 가운데, 상기 셀들의 커넥터들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표면 상에 상기 셀 모니터의 커넥터들을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셀 모니터의 커넥터들은, 상기 셀들의 커넥터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lined up)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셀 모니터의 커넥터들과 상기 셀들의 커넥터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케이블들의 과도한 절곡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셀 모니터가 상기 셀들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가지는 경우, 상기 셀 모니터의 표면들 가운데, 연직 방향 하측에 있는 표면 상에, 셀 모니터의 커넥터들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적층면의 연직 방향 하측 영역에 상기 셀들의 커넥터들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셀 모니터의 커넥터들이 연직 방향 하측에 있는 표면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셀 모니터의 상방으로부터 결로수(dew condensation water)가 적하하는 경우에도, 상기 셀 모니터의 커넥터들이 결로수와 접촉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따라서, 방적용 프로텍터(drip-proofing protector) 등을 설치하거나, 또는 방수 커넥터들을 채용하거나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부품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유닛의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증대에 따르는 유닛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전지는, 발전용 반응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셀들의 커넥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관통 구멍 부근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전압 저하가 발생하기 쉬운 부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셀들의 전압 저하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형태는, 상술된 연료전지유닛을 구비한 연료전지차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료전지유닛은 언더플로어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료전지차량의 언더플로어 공간에 연료전지유닛을 배치하는 경우, 발전 영역을 확보하여 발전 성능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특징, 장점, 그리고 기술적 및 산업상 현저성을, 동일한 부호들이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내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유닛을 탑재한 연료전지차량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유닛의 커넥터 근방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종래의 연료전지유닛의 분해 사시도; 및
도 5는 종래의 연료전지유닛의 커넥터 근방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에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전지차량 C의 플로어 F의 하방 공간 SF(이하, 이 공간을 "언더플로어 공간 SF"라고 함)에 배치되는 연료전지유닛(1)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유닛(1)은, 복수 적층된 셀(단전지; single cell)(11)들을 가지는 연료전지(10), 각 연료전지셀(11)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셀 모니터(20), 및 상기 연료전지(10)와 상기 셀 모니터(20)를 수납하는 연료전지케이스(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료전지(10)는, 막전극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와 세퍼레이터(separator)로 이루어지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나타내는 판상의 셀(11)들을 복수 적층하여 형성된 적층체, 및 상기 적층체의 셀 적층 방향 양단에 배치된, 도시되지 않은 2개의 엔드 플레이트(end plate)들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체가 두 엔드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적층체의 각 측면 상에 하나의 엔드 플레이트가 있도록 상기 엔드 플레이트들을 배치하고, 상기 셀 적층 방향으로 압축력을 가하며, 적층체의 외측에서 셀 적층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시되지 않은 텐션 플레이트(tension plate)들을 양쪽 엔드 플레이트에 고정함으로써, 4개의 측면을 가지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연료전지스택(12)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연료전지(10)는, 상기 셀(11)들의 적층 방향이 대략 수평 방향(즉, 연료전지차량 C의 차폭 방향)이 되도록 상기 케이스(30) 안에 수납된 상태에서 언더플로어 공간 SF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1열의 연료전지스택(12)을 채용하고 있지만, 2열 이상의 연료전지스택(12)들을 열거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각각의 셀(11)들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11a)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연료전지 셀(11)의 커넥터(11a)는, 케이블(40)을 통하여 상기 셀 모니터(20)의 커넥터(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연료전지 셀(11)의 커넥터(11a)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료전지스택(12)의 연직 방향 하측면(즉, 연료전지스택(12)의 연직 방향의 하측면)의 상기 셀 모니터(20)측에 있는 단부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료전지(10)는, 발전용 반응 가스(연료 가스 및 산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관통 구멍(14)을 구비하고 있다. 셀 적층 방향의 단부 상에 배치되는 상기 셀(11)들의 커넥터(11a)들은, 이 관통 구멍(14)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셀 모니터(20)는, 각각의 연료전지 셀(11)의 상태(예컨대, 전압, 전류, 온도 등)를 감시하기 위한 전자기기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료전지(10)의 측방 영역에 상기 셀 모니터(20)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료전지(10)의 측방 영역이란, 상기 연료전지(10)의 높이 방향의 최상부에 접하는 가상 평면과 상기 연료전지(10)의 높이 방향의 최하부에 접하는 가상 평면 사이의 영역을 말한다. 상기 셀 모니터(20)를 상기 연료전지(10)의 상방이 아니고 측방 영역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언더플로어 공간 SF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상기 연료전지(10)에 가능한 최대 규모로 점유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셀(11)들의 발전 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 상기 연료전지(10)의 발전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셀 모니터(20)를 상기 연료전지스택(12)의 측면(13)(연료전지(10)의 측방 영역의 일례)에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13)은,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양 단판측에 있는 표면들, 및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연직 방향의 상·하측면들을 제외한 표면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연료전지차량 C의 차폭 방향으로 상기 셀(11)들을 적층하고 있으므로, 상기 연료전지스택(12)의 측면(13)은, 상기 연료전지차량 C의 차량 전방측과 차량 후방측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셀 모니터(20)는, 이들 2개의 측면(13)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셀 모니터(20)는, 상기 연료전지스택(12)의 측면(13)에 밀착해서 있어도 되고, 상기 측면(13)로부터 약간 떨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셀 모니터(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셀(11)들의 적층 방향(즉, 대략 수평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측면(하측면(21) 및 상측면(22))들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셀(11)들의 커넥터(11a)들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연직 방향 하측면(즉, 하측면(21))에는 상기 커넥터(21a)들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셀 모니터(20)의 커넥터(21a)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셀 모니터(20)의 하측면(21)에 하방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셀 모니터(20)의 상방으로부터 결로수가 적하하는 경우에도, 상기 커넥터(21a)들이 결로수에 접촉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상기 연료전지케이스(3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31), 및 상기 상부 케이스(31)의 하방 개구부에 장착되는 하부 커버(32)에 의하여,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케이스(30)는, 양호한 전자기 차폐(electromagnetic shielding), 기밀성(airtightness), 및 액밀성(liquid-tightness)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연료전지케이스(30)는, 언더플로어 공간 SF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유닛(1)에 있어서는, 상기 연료전지(10)의 측방 영역(즉, 연료전지스택(12)의 측면(13))에 상기 셀 모니터(20)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연료전지차량 C의 언더플로어 공간 SF에 상기 연료전지(10)를 배치할 때, 상기 언더플로어 공간 SF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상기 연료전지(10)에 가능한 최대 규모로 점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높이 치수에 제약이 있는 언더플로어 공간 SF에 연료전지(10)를 배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연료전지(10)를 구성하는 셀(11)들의 발전 영역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연료전지(10)의 발전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셀 모니터(110)의 커넥터(111)들이 늘어서는 방향이 상기 연료전지(120)를 구성하는 셀(121)들의 커넥터(122)들이 늘어서는 방향과 직교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커넥터들끼리를 접속하는 케이블(300)들을 연장하거나 절곡할 필요가 있고, 조립 작업이 곤란하다.
또한, 종래에는, 셀 모니터(110)를 연료전지(120)의 상방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셀 모니터(110)의 커넥터(111)들이 측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연료전지수납용케이스(200)(케이스(210) 및 상부 커버(220))의 내부에서 생성된 결로수가, 상기 셀 모니터(110)의 커넥터(111)들에 적하하여 접촉해버릴 가능성이 있게 된다. 그러므로, 방적용 프로텍터나 방수 커넥터들을 채용할 필요가 있게 되어, 부품수가 증대하는데, 이는 유닛의 대형화 뿐만 아니라 비용 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상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유닛(1)에 있어서는, 상기 연료전지스택(12)의 측면(13)에 상기 셀 모니터(20)가 배치되고, 상기 연료전지스택(12)의 연직 하측면에는 상기 셀(11)들의 커넥터(11a)들이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셀 모니터(20)의 커넥터(21a)들과 상기 셀(11)들의 커넥터(11a)들을 접속하는 케이블(40)들의 길이를 보다 짧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료전지유닛(1)에 있어서는, 상기 셀 모니터(20)의 커넥터(21a)들이, 상기 셀(11)들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셀(11)들의 커넥터(11a)들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하측면(21)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셀 모니터(20)의 커넥터(21a)들은, 상기 셀(11)들의 커넥터(11a)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셀 모니터(20)의 커넥터(21a)들과 상기 셀(11)들의 커넥터(11a)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케이블(40)들의 과도한 절곡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유닛(1)에 있어서는, 상기 셀 모니터(20)의 커넥터(21a)들이 연직 방향 하측면(즉, 하측면(21))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셀 모니터(20)의 상방으로부터 결로수가 적하하는 상황에서도, 상기 셀 모니터(20)의 커넥터(21a)들이 결로수에 접촉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따라서, 방적용 프로텍터 등을 설치하거나 방수 커넥터들을 채용하거나 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부품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고, 이는 유닛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 증대에 따르는 유닛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유닛(1)에 있어서는, 발전용 반응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14) 부근에 상기 셀(11)들의 커넥터(11a)들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압 저하가 발생하기 쉬운 부위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셀(11)들의 전압 저하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나타내는 판상의 셀(11)들을 복수 적층하여 대략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는 연료전지스택(12)(즉, 연료전지(10))을 구성한 예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셀(11)들의 형상 및 상기 연료전지스택(12)(연료전지(10))의 형상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료전지차량 C의 차폭 방향으로 상기 셀(11)들이 적층되어 있다. 하지만, 대안적으로는, 연료전지차량 C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상기 셀(11)들이 적층될 수도 있다. 상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셀(11)들의 커넥터(11a)들이 상기 연료전지스택(12)의 연직 하측면 상에 제공되지만, 상기 측면(13)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40)들의 벤딩이 훨씬 더 큰 규모까지 회피될 수 있으므로, 상기 셀(11)들의 커넥터(11a)들과 상기 셀 모니터(20)의 커넥터(21a)들 간의 거리도 더욱 단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케이블(40)들이 상기 연료전지스택(12) 아래 영역에 배치되는 케이스가 회피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연료전지스택(12) 상하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셀 모니터(20)의 커넥터(21a)들은 하측면 상에 제공되므로, 상기 커넥터(11a)들이 상기 측면(13)의 하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케이블(40)들의 길이가 단축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결로수가 상기 커넥터(11a)와 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전지스택(12)의 연직 하측면 상에 커넥터(11a)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당업계의 당업자가 적절히 설계 변경을 더한 예시적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 안에 포함된다. 즉, 상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각 요소 뿐만 아니라, 그 배치, 재료, 조건, 형상, 및 사이즈 등은 예시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요소들은,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면 조합시킬 수도 있고, 이것들을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 안에 포함된다.

Claims (13)

  1. 복수 적층된 셀들을 구비한 연료전지; 및
    상기 연료전지의 측방 영역에 배치되어, 각각의 상기 셀들의 상태를 감시하는 셀 모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차량의 언더플로어 공간에 배치된 연료전지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는 4개의 측면을 갖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셀 모니터는 상기 연료전지의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연료전지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적층되고, 상기 셀 모니터는 상기 연료전지의 4개의 측면 가운데 상기 셀들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표면 상에 배치되며, 각각의 셀의 커넥터는, 상기 연료전지의 4개의 측면 가운데, 단부 판측면 양자 모두를 제외한 표면 상에 배치되는 연료전지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의 커넥터들은, 상기 연료전지의 연직 방향 하측 영역에 배치되는 연료전지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의 커넥터들은, 상기 연료전지의 표면들 가운데 하측면 상에 배치되는 연료전지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의 커넥터들은, 상기 연료전지의 하측면의, 셀 모니터측에 있는 단부 상에 배치되는 연료전지유닛.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는, 발전용 반응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셀들의 커넥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관통 구멍 부근에 배치되는 연료전지유닛.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모니터는, 상기 셀들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가지고, 상기 셀 모니터의 커넥터들은, 상기 셀들의 커넥터들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표면 상에 배치되는 연료전지유닛.
  9.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모니터는, 상기 셀들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가지고, 상기 셀 모니터의 커넥터들은, 상기 셀 모니터의 표면들 가운데, 연직 방향 하측에 있는 표면 상에 배치되는 연료전지유닛.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셀 모니터의 커넥터들은, 상기 셀들의 커넥터들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는 연료전지유닛.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모니터의 커넥터들에 상기 셀들의 커넥터들을 접속하는 케이블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유닛.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료전지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차량.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은 차폭 방향으로 적층되는 연료전지차량.
KR1020147023939A 2012-03-01 2013-02-15 연료전지유닛 및 연료전지차량 KR201401278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45317A JP6290522B2 (ja) 2012-03-01 2012-03-01 燃料電池ユニット及び燃料電池車両
JPJP-P-2012-045317 2012-03-01
PCT/IB2013/000196 WO2013128257A1 (en) 2012-03-01 2013-02-15 Fuel cell unit and fuel cell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834A true KR20140127834A (ko) 2014-11-04

Family

ID=4788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939A KR20140127834A (ko) 2012-03-01 2013-02-15 연료전지유닛 및 연료전지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05211B2 (ko)
JP (1) JP6290522B2 (ko)
KR (1) KR20140127834A (ko)
CN (1) CN104137317B (ko)
CA (1) CA2865521C (ko)
DE (1) DE112013001227B8 (ko)
WO (1) WO20131282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0332B2 (ja) 2013-04-23 2016-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ユニット
JP6268607B2 (ja) 2014-11-27 2018-01-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の検査方法
JP6696794B2 (ja) * 2016-02-26 2020-05-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ユニット
JP6724825B2 (ja) * 2017-03-10 2020-07-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ユニット
JP7568521B2 (ja) 2021-01-15 2024-10-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燃料電池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0401B2 (en) 2001-07-25 2005-11-01 Ballard Power Systems Inc. Fuel cell purging method and apparatus
US6749452B2 (en) * 2002-03-14 2004-06-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cell monitor connector
EP1411569B1 (en) * 2002-10-03 2013-08-1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Fuel cell and its connection structure to a processing unit
US7153600B2 (en) * 2004-02-24 2006-12-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tegrated cell voltage monitoring module
JP4816868B2 (ja) * 2004-03-23 2011-11-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のセル電圧測定構造
JP2006185868A (ja) 2004-12-28 2006-07-13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8034308A (ja) * 2006-07-31 2008-02-14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JP4843438B2 (ja) 2006-09-28 2011-12-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自動車用燃料電池のセル電圧監視装置の配置構造
JP2008279955A (ja) * 2007-05-11 2008-11-20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搭載車両
JP5040428B2 (ja) 2007-05-11 2012-10-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搭載車両
JP5332201B2 (ja) 2007-12-28 2013-11-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ユニットおよび燃料電池
JP2009181939A (ja) * 2008-02-01 2009-08-13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
JP2010257804A (ja) 2009-04-27 2010-11-11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
JP5077611B2 (ja) * 2009-05-28 2012-1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車両
US8820666B2 (en) 2011-02-09 2014-09-02 Wisconsin Film & Bag, Inc. Post consumer scrap film recycling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65521C (en) 2017-09-26
CN104137317B (zh) 2016-10-19
CN104137317A (zh) 2014-11-05
DE112013001227T5 (de) 2015-01-08
JP6290522B2 (ja) 2018-03-07
WO2013128257A1 (en) 2013-09-06
DE112013001227B4 (de) 2022-08-11
JP2013180643A (ja) 2013-09-12
US10505211B2 (en) 2019-12-10
CA2865521A1 (en) 2013-09-06
DE112013001227B8 (de) 2022-10-06
US20150017563A1 (en)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9324B2 (en) Voltage sensing member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EP1991880B1 (en) Voltage sensing member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JP6622163B2 (ja) 電池モジュールの電圧検出体及び電池パック
JP6254904B2 (ja) 蓄電モジュール及びその固定構造
US20110097614A1 (en) Battery pack
CN110998900B (zh) 结合电池模块以及结合电池组
KR20140127834A (ko) 연료전지유닛 및 연료전지차량
CN112470335B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JP6728576B2 (ja) 電池パック
CN112753123B (zh) 钠二次电池模组
JP2013152814A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
JP2015049932A (ja) 電池パックの電池内配線モジュール
JPWO2015159524A1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バッテリ監視モジュールおよ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KR20210126306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JP2018045825A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KR102337030B1 (ko) 축전 장치
KR20210112650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6388215B2 (ja) 燃料電池ユニット及び燃料電池車両
JP6711234B2 (ja) 電池ユニット
JP6107325B2 (ja) 蓄電装置
US10099572B2 (en) Battery block with external guiding member receiving a rail
WO2017175636A1 (ja) 蓄電装置パック
JP7243561B2 (ja) 電池パック
KR20210070774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JP5280253B2 (ja) 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69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213

Effective date: 2018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