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373A - 공조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조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373A
KR20140127373A KR1020147029294A KR20147029294A KR20140127373A KR 20140127373 A KR20140127373 A KR 20140127373A KR 1020147029294 A KR1020147029294 A KR 1020147029294A KR 20147029294 A KR20147029294 A KR 20147029294A KR 20140127373 A KR20140127373 A KR 20140127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at exchanger
lower suction
air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1007B1 (ko
Inventor
마사나오 야스토미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중량물인 열교환기(13)는 제1 프레임(17)에 의해 지지된다. 이 열교환기(13)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17)은, 제2 프레임(27)을 개재하지 않고 설치 측벽(45)에 고정된다. 즉, 중량물인 열교환기(13)를 지지하는 열교환기 지지부(17h)와 설치 측벽(45)에 직접 고정되는 고정부(17d)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1 프레임(17)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량물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설치 측벽(45)에 고정되는 프레임이 별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별체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에서의 취약성이 없어져, 제1 프레임(17)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공조 실내기{INDO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조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2001-116346호 공보)에는, 본체의 전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흡입구를 가지고 있는 공조 실내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체의 하부의 하측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하측 흡입 경로를 경유하여 열교환기에 공급된다. 하측 흡입구 및 하측 흡입 경로는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은 열교환기로부터의 중량을 받고 있어, 큰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1-116346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는 하측 흡입구 및 하측 흡입 경로를 형성하는 프레임의 강도를 높이는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가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프레임의 구조를 가지는 공조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는, 하부에 설치된 하측 흡입구를 가지는 공조 실내기이며,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열교환기 지지부와, 배면을 설치 측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가지는 제1 프레임과, 하측 흡입구로부터 열교환기에 이르는 하측 흡입 경로 및 하측 흡입구를 제1 프레임과 함께 구성하고, 설치 측벽에 면하여 설치되는 제2 프레임을 구비한다.
이 공조 실내기에 의하면, 중량물인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열교환기 지지부와 설치 측벽에 직접 고정되는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1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량물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설치 측벽에 고정되는 프레임이 별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별체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에서의 취약성이 없어져, 제1 프레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는, 제1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에 있어서, 제1 프레임에는, 열교환기로부터의 공기를 취출(吹出)하는 취출 경로를 이루는 제1면과, 제1면과 반대측의 면인 제2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프레임에는, 제1 프레임의 배면측에 장착됨으로써, 제1 프레임의 제2면과 함께 하측 흡입 경로 및 하측 흡입구를 구성하는 제3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조 실내기에 의하면, 2개의 제1 및 제2 프레임은 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금형으로부터의 꺼냄이 용이하다. 또, 면형상의 2개의 제1 및 제2 프레임을 조합함으로써 원하는 하측 흡입 경로 및 하측 흡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는, 제1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에 있어서, 제1 프레임은, 하측 흡입 경로로부터 열교환기로의 공기를 보내기 위한 연통구를 더 가지고 있으며, 제2 프레임은, 연통구의 개구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장착되어 있어, 하측 흡입 경로와 연통구를 일련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공조 실내기에 의하면, 하측 흡입 경로로부터 연통구가 일련이 되도록 제2 프레임이 제1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하측 흡입 경로를 통과한 공기가 연통구로부터 효율적으로 열교환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에서는, 중량물인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열교환기 지지부와 설치 측벽에 직접 고정되는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1 프레임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에서는, 2개의 제1 및 제2 프레임은 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금형으로부터의 꺼냄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에서는, 하측 흡입 경로로부터 연통구가 일련이 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 흡입 경로를 통과한 공기가 연통구로부터 효율적으로 열교환기에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며, (a)는 단면도이며, (b)는 제1 프레임 및 열교환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프레임에 제2 프레임이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프레임의 전면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구체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예>
(1) 전체 구성
도 1, 도 2를 이용하여 공조 실내기(10)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10)는 벽걸이 타입이며, 본체 케이싱(11), 열교환기(13), 실내 팬(15), 제1 프레임(17), 제2 프레임(27), 필터(25) 및 제어부(41)가 탑재되어 있다.
본체 케이싱(11)은, 전면 그릴(11a) 및 전면 패널(11b)을 가지며, 부착판(11c)을 개재하여 설치 측벽(45)(도 3 참조)에 부착된다. 전면 그릴(11a), 전면 패널(11b) 및 제1 프레임(17)에 의해 형성되는 입체 공간 내에, 열교환기(13), 실내 팬(15), 필터(25) 및 제어부(41)가 들어가 있다. 제1 프레임(17)의 배면에는, 부착판(11c)과의 사이에 제2 프레임(27)이 설치되어 있다. 전면 패널(11b)은, 전면 그릴(11a)의 전면을 덮고 있으며, 상단이 전면 그릴(11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힌지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열교환기(13)는,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또, 열교환기(13)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양단이 하방을 향해 굴곡되는 역V자형상의 형상을 이루며, 제1 프레임(17)에 부착되어 있다.
실내 팬(15)은 열교환기(13)의 하방에 위치한다. 실내 팬(15)은, 크로스 플로우 팬이며, 실내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열교환기(13)에 맞혀 통과시킨 후, 실내에 취출(吹出)한다.
본체 케이싱(11)의 하면부에는, 취출구(19)가 설치되어 있다. 취출구(19)에는, 취출구(19)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플랩(29)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플랩(29)은,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하며, 공기의 취출 방향을 변경할 뿐만 아니라, 취출구(19)를 개폐할 수도 있다. 취출구(19)는, 취출 경로(18)를 통하여 본체 케이싱(11)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열교환기(13)에 있어서 열교환된 공기를 취출한다. 취출 경로(18)는 취출구(19)로부터 제1 프레임(17)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싱(11)의 하면부에는, 하측 흡입구(21)가 취출구(19)보다 벽측에 설치되어 있다. 하측 흡입구(21)는, 제1 프레임(17)과 제2 프레임(27)과의 하부의 개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 흡입 경로(16)를 통하여 본체 케이싱(11)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다. 하측 흡입구(21)에는, 개폐 기구(32)의 회동에 의해 하측 흡입구(21)를 개폐하는 셔터(31)가 설치되어 있다. 하측 흡입 경로(16)는, 제1 프레임(17)과 제2 프레임(27) 사이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측 흡입 경로(16)는, 제1 프레임(17)을 사이에 두고 취출 경로(18)와 인접하고 있다.
하측 흡입구(21) 근방의 실내 공기는, 실내 팬(15)의 가동에 의해 하측 흡입구(21), 하측 흡입 경로(16), 필터(25) 및 열교환기(13)를 거쳐 실내 팬(15)에 흡입되며, 실내 팬(15)으로부터 취출 경로(18)를 거쳐 취출구(19)로부터 취출된다.
본체 케이싱(11)의 전면 그릴(11a)과 열교환기(13)의 사이에는 필터(25)가 배치되어 있다. 필터(25)는, 열교환기(13)를 향해 유입해 오는 공기에 포함되는 진애를 제거한다.
전면 그릴(11a)의 전측 상부에는, 상측 흡입구(22)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 흡입구(22) 근방의 실내 공기는, 실내 팬(15)의 가동에 의해 상측 흡입구(22), 필터(25) 및 열교환기(13)를 거쳐 실내 팬(15)에 흡입되며, 실내 팬(15)으로부터 취출 경로(18)를 거쳐 취출구(19)로부터 취출된다.
제어부(41)는, 본체 케이싱(11)의 전방 부분에 들어가 있으며, 실내 팬(15)의 회전수 제어, 취출구(19)의 개도(開度) 조절, 하측 흡입구(21)의 개도 조절, 및 상측 흡입구(22)의 개도 조절을 위한 지령을 행한다.
(2)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구성
다음에, 도 2, 도 3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17) 및 제2 프레임(27)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며, (a)는 단면도이며, (b)는 제1 프레임 및 열교환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체 케이싱(11)에는, 본체 케이싱(11)을 지지하기 위한 부착판(11c)이 부착되어 있다. 부착판(11c)으로부터 전면 패널(11b)측을 향해 순서대로 제2 프레임(27) 및 제1 프레임(17)이 설치되어 있다. 제1 프레임(17)은, 전면의 열교환기(13)를 지지하고 있다.
(2-1) 제1 프레임
제1 프레임(17)은, 취출 단부(17a), 취출 경로 구성부(17b), 드레인 팬(17c), 고정부(17d), 연통구(17e) 및 열교환기 지지부(17h)를 가진다.
취출 단부(17a)는, 제1 프레임(17)의 일단부이며 취출구(19)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출 경로 구성부(17b)에 대해 굴곡됨으로써 본체 케이싱(11)에 부착되어 있다.
취출 경로 구성부(17b)는 취출 단부(17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실내 팬(15)으로부터 출력되는 공기를 취출구(19)에 취출하는 취출 경로(18)를 구성한다. 제1 프레임(17)에는, 제1면(17f)과, 제1면(17f)의 반대측의 제2면(17g)이 형성되어 있으며, 취출 경로 구성부(17b)의 제1면(17f)이 취출 경로(18)의 일면을 형성한다.
드레인 팬(17c)은, 취출 경로 구성부(17b)로부터 예를 들면 분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1 받이부(17c-1) 및 제2 받이부(17c-2)를 가진다. 제1 받이부(17c-1) 및 제2 받이부(17c-2)에 의해 열교환기(13)로부터 적하하는 액체를 받는 받침 접시를 구성한다.
고정부(17d)는, 제1 프레임(17)의 타단부이며, 드레인 팬(17c) 중 제 1받이부(17c-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7d)가 부착판(11c)에 고정됨으로써, 제1 프레임(17)은 열교환기(13) 등의 중량물을 지지할 수 있다.
연통구(17e)는, 하측 흡입구(21)로부터 흡입되며 하측 흡입 경로(16)를 거친 공기를 열교환기(13)에 보내기 위한 개구이다. 연통구(17e)는, 드레인 팬(17c)의 제1 받이부(17c-1)와 고정부(17d)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열교환기 지지부(17h)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11)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열교환기(13)를 지지한다. 열교환기 지지부(17h)는, 제1 열교환기 지지부(17h-1) 및 제2 열교환기 지지부(17h-2)를 포함한다. 제1 열교환기 지지부(17h-1) 및 제2 열교환기 지지부(17h-2)에 의해 열교환기(13)의 양단을 지지한다.
(2-2) 제2 프레임
제2 프레임(27)은, 제1 프레임(17)과 함께 하측 흡입구(21) 및 하측 흡입 경로(16)를 구성하고 있으며, 배면부(27a), 연결부(27b) 및 배관 공간 구성부(27c)를 가진다.
배면부(27a)는 부착판(11c)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배관 공간 구성부(27c)는, 부착판(11c)과의 사이에 배관용의 공간(60)을 형성하도록, 배면부(27a)의 일단으로부터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배관용의 공간(60)에는, 공조 실외기와 공조 실내기(10) 사이에 접속되는 배관 등이 수납된다.
연결부(27b)는 배면부(27a)의 타단으로부터 제1 프레임(17)측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7b)는, 하측 흡입 경로(16)를 거친 공기가 연통구(17e)를 통하여 열교환기(13)에 도입되도록, 제1 프레임(17)의 연통구(17e)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하측 흡입 경로(16)로부터 연통구(17e)가 일련이 되도록 제2 프레임(27)이 제1 프레임(17)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 흡입 경로(16)를 통과한 공기가 연통구(17e)로부터 효율적으로 열교환기(13)에 제공된다.
이러한 제2 프레임(27)에는, 제3면(27d)과, 제3면(27d)의 반대측의 제4면(27e)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프레임(27)이 제1 프레임(17)의 배면측에 장착됨으로써, 제1 프레임의 제2면(17g) 및 제2 프레임(27)의 제3면(27d)이 하측 흡입 경로(16)를 형성하고 있다.
(3)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작용
열교환기(13) 등의 중량물은 제1 프레임(17)에 의해 지지된다. 이 제1 프레임(17)은, 제2 프레임(27)을 개재하지 않고 설치 측벽(45)에 고정된다. 즉, 제1 프레임(17)은, 취출 단부(17a), 취출 경로 구성부(17b), 드레인 팬(17c), 고정부(17d) 및 열교환기 지지부(17h)가 일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련 일체의 제1 프레임(17)의 열교환기 지지부(17h)에 의해 열교환기(13) 등의 중량물을 지지한다. 따라서, 중량물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설치 측벽(45)에 고정되는 프레임이 별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별체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에서의 취약성이 없어져, 제1 프레임(17)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만약, 이 2개의 프레임을, 열교환기 등의 중량물을 지지하는 전측 프레임과, 전측 프레임이 받는 중량을 지지하면서 벽에 고정되는 배면측 프레임으로 분리해 형성했다고 한다. 이 경우, 중량물의 무게에 의해 전측 프레임이 낙하하지 않도록 전측 프레임과 배면측 프레임의 연결을 강고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측 프레임과 배면측 프레임이 별체인 구성에 있어서는, 그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취약성을 피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한 대로 중량물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17) 자체가 설치 측벽(45)에 고정되기 때문에, 충분히 중량물을 지지할 수 있다.
또, 하측 흡입 경로(16) 및 하측 흡입구(21)를 형성하는 제1 프레임(17) 및 제2 프레임(27)은 각각 별체의 프레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금형의 제약도 만족하고 있다. 즉, 제1 프레임(17) 및 제2 프레임(27) 등의 프레임은, 통상,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금형의 제약 상, 제1 프레임(17) 및 제2 프레임(27)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왜냐하면, 금형에 성형 재료를 흘려 넣어 제1 프레임(17)과 제2 프레임(27)을 일체로 형성한 경우에는, 프레임을 금형으로부터 꺼낼 수 없거나, 혹은 꺼내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또, 예를 들어 제 1 프레임(17) 및 제2 프레임(27)을 일체로 형성 가능해도, 금형으로부터의 꺼냄이 가능한 프레임 형상에 한정되어 프레임 형상의 자유도가 저하된다. 이 때문에 제1 프레임(17) 및 제2 프레임(27)은 각각 제1 프레임(17)용의 금형 및 제2 프레임(27)용의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하측 흡입 유로(16)의 일면을 이루는 제1 프레임(17)과 타면을 이루는 제2 프레임(27)을 별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금형의 제약을 만족하고 있다. 또, 2개의 제1 프레임(17) 및 제2 프레임(27)은 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금형으로부터의 꺼냄이 용이하다.
(4) 실시예
본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을 도 4~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1 프레임에 제2 프레임이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6은 제2 프레임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제1 프레임(17)이 열교환기(13) 등의 중량물을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도 5는 제1 프레임(17)의 배면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배면측에 도 6의 제2 프레임(27)의 전면측이 대향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7)은, 취출 단부(17a), 취출 경로 구성부(17b), 드레인 팬(17c), 고정부(17d) 및 열교환기 지지부(17h)가 일련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프레임(27)은 제1 프레임(17)의 배면의 일부를 덮고 장착되어, 하측 흡입 경로(16)를 형성한다.
(5) 특징
(5-1)
중량물인 열교환기(13)는 제1 프레임(17)에 의해 지지된다. 이 열교환기(13)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17)은, 제2 프레임(27)을 개재하지 않고 설치 측벽(45)에 고정된다. 즉, 중량물인 열교환기(13)를 지지하는 열교환기 지지부(17h)와 설치 측벽(45)에 직접 고정되는 고정부(17d)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1 프레임(17)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량물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설치 측벽(45)에 고정되는 프레임이 별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별체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에서의 취약성이 없어져, 제1 프레임(17)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하측 흡입 경로(16) 및 하측 흡입구(21)를 형성하는 제1 프레임(17) 및 제2 프레임(27)은 각각 별체의 프레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금형의 제약도 만족하고 있다.
(5-2)
2개의 제1 프레임(17) 및 제2 프레임(27)은 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금형으로부터의 꺼냄이 용이하다. 또, 면형상의 2개의 제1 프레임(17) 및 제2 프레임(27)을 조합함으로써 원하는 하측 흡입 경로(16) 및 하측 흡입구(21)를 형성할 수 있다.
(5-3)
하측 흡입 경로(16)로부터 연통구(17e)가 일련이 되도록 제2 프레임(27)이 제1 프레임(17)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하측 흡입 경로(16)를 통과한 공기가 연통구(17e)로부터 효율적으로 열교환기(13)에 제공된다.
(6) 변형예
(6-1) 변형예 1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열교환기(13)는 제1 프레임(17)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열교환기(13)는, 제1 프레임(17)에 의해 그 중량이 지지되면 되고, 제1 프레임(17)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어도 되거나, 혹은 간접적으로 지지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프레임(17)은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열교환기 지지부(17h)에 의해 열교환기(13)를 지지해도 된다.
(6-2) 변형예 1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프레임(17)은 열교환기(13)를 지지하고 있다. 제1 프레임(17)은 본체 케이싱(11) 중 비교적 중량이 큰 중량물을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이면 되고, 예를 들면 열교환기(13)만을 지지해도 되며, 열교환기(13) 및 실내 팬(15) 등의 그 외의 구성을 지지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 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프레임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벽걸이식의 공조 실내기에 유용하다.
10: 공조 실내기 11: 본체 케이싱
11a: 전면 그릴 11b: 전면 패널
11c: 부착판 13: 열교환기
15: 실내 팬 16: 하측 흡입 경로
17: 제1 프레임 17a: 취출 단부
17b: 취출 경로 구성부 17c: 드레인 팬
17c-1: 제1 받이부 17c-2: 제2 받이부
17d: 고정부 17e: 연통구
17f: 제1면 17g: 제2면
17h: 열교환기 지지부 17f-1: 제1 열교환기 지지부
17f-2: 제2 열교환기 지지부 18: 취출 경로
19: 취출구 21: 하측 흡입구
22: 상측 흡입구 25: 필터
27: 제2 프레임 27a: 배면부
27b: 연결부 27c: 배관 공간 구성부
27d: 제3면 27e: 제4면
29: 플랩 31: 셔터
32: 개폐 기구 41: 제어부
45: 설치 측벽 60: 공간

Claims (3)

  1. 하부에 설치된 하측 흡입구(21)를 가지는 공조 실내기(10)로서,
    열교환기(13)를 지지하는 열교환기 지지부(17h)와, 배면을 설치 측벽(45)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7d)를 가지는 제1 프레임(17)과,
    상기 하측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교환기에 이르는 하측 흡입 경로(16) 및 상기 하측 흡입구를 상기 제 1 프레임과 함께 구성하고, 상기 설치 측벽에 면하여 설치되는 제2 프레임(27)을 구비하는, 공조 실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에는, 상기 열교환기로부터의 공기를 취출(吹出)하는 취출 경로를 이루는 제1면(17f)과, 상기 제 1면과 반대측의 면인 제2면(17g)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프레임에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배면측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 1 프레임의 제2면과 함께 상기 하측 흡입 경로 및 상기 하측 흡입구를 구성하는 제3면(27d)이 형성되어 있는, 공조 실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하측 흡입 경로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로의 공기를 보내기 위한 연통구(17e)를 더 가지고 있고,
    상기 제 2 프레임은, 상기 연통구의 개구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장착되어 있어, 상기 하측 흡입 경로와 상기 연통구를 일련으로 형성하고 있는, 공조 실내기.
KR1020147029294A 2012-03-23 2013-02-13 공조 실내기 KR101511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66673 2012-03-23
JP2012066673A JP5447567B2 (ja) 2012-03-23 2012-03-23 空調室内機
PCT/JP2013/053330 WO2013140895A1 (ja) 2012-03-23 2013-02-13 空調室内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373A true KR20140127373A (ko) 2014-11-03
KR101511007B1 KR101511007B1 (ko) 2015-04-10

Family

ID=4922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294A KR101511007B1 (ko) 2012-03-23 2013-02-13 공조 실내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829814B1 (ko)
JP (1) JP5447567B2 (ko)
KR (1) KR101511007B1 (ko)
CN (1) CN104204687B (ko)
ES (1) ES2628923T3 (ko)
RU (1) RU2557489C1 (ko)
WO (1) WO20131408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7822A (ja) * 2014-01-23 2015-07-3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6252392B2 (ja) 2014-07-23 2017-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AU2015403945B2 (en) * 2015-07-30 2019-01-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07796108B (zh) * 2016-08-29 2020-08-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底壳组件、壁挂机外壳、空调器、空调器的组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1488A (ja) * 1998-01-20 1999-07-30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0205644A (ja) * 1999-01-20 2000-07-2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1116346A (ja) 1999-10-20 2001-04-27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1324213A (ja) * 2000-05-19 2001-11-2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2195640A (ja) 2000-12-20 2002-07-10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2195599A (ja) * 2000-12-20 2002-07-10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4011941A (ja) * 2002-06-04 2004-01-15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ITTN20020016A1 (it) * 2002-08-30 2004-02-29 Rosella Rizzonelli Ventilconvettore ad effetto convettivo e radiante.
WO2005040690A1 (en) * 2003-10-24 2005-05-06 Lg Electronics Ltd. Indoor unit in air conditioner
KR100633170B1 (ko) * 2004-05-12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박형 공기조화기
ES2323280T3 (es) * 2005-05-21 2009-07-10 Lg Electronics Inc. Climatizador.
KR100809784B1 (ko) * 2006-05-20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횡류팬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20080006758A (ko) * 2006-07-13 200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표시유닛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WO2008007841A2 (en) * 2006-07-13 2008-01-17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having image display function
CN102213482B (zh) * 2010-04-02 2012-12-0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
CN102313346B (zh) * 2010-06-29 2015-04-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04687B (zh) 2016-01-20
KR101511007B1 (ko) 2015-04-10
EP2829814B1 (en) 2017-06-07
ES2628923T3 (es) 2017-08-04
CN104204687A (zh) 2014-12-10
RU2557489C1 (ru) 2015-07-20
WO2013140895A1 (ja) 2013-09-26
JP5447567B2 (ja) 2014-03-19
JP2013195048A (ja) 2013-09-30
EP2829814A1 (en) 2015-01-28
EP2829814A4 (en)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919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511007B1 (ko) 공조 실내기
US8944493B2 (en) Construction machine
US20090100851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32154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EP1950500A3 (en) Air conditioner
EP3076097B1 (en) Indoor unit
KR101186016B1 (ko) 열교환 환기 장치
JP5668739B2 (ja) 空調室内機
EP3252388B1 (en) Indoor air conditioning device
CN203231411U (zh) 空调机室内机
JP5305782B2 (ja) 空気調和機
CN104515200A (zh) 空气调节装置的室内机
KR20130043984A (ko) 공기조화기
KR101195562B1 (ko) 공기조화기
CN101660809A (zh) 空调机
JP2008138929A (ja) 空気調和機
JP6069866B2 (ja) 空調室内機
CN100375865C (zh) 整体式空调器的换气窗驱动装置
CN101581473A (zh) 空调器
CN201014647Y (zh) 空调机的室内机
KR10170934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101581466A (zh) 空气调节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