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067A - 레졸버 - Google Patents

레졸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067A
KR20140127067A KR20130045614A KR20130045614A KR20140127067A KR 20140127067 A KR20140127067 A KR 20140127067A KR 20130045614 A KR20130045614 A KR 20130045614A KR 20130045614 A KR20130045614 A KR 20130045614A KR 20140127067 A KR20140127067 A KR 20140127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winding
phase output
output winding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5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440B1 (ko
Inventor
진창성
박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5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440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4/00Machines adapted for the instantaneous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the angular displacement of rotating parts, e.g. synchro, selsy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관한 레졸버는,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연속하여 배치되며 서로 결합되는 제1 코어 및 제2 코어를 구비하는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의 내측에 회전하도록 배치된 로터와,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각각에 감기는 신호 주입 권선과, 제1 코어에 감기는 제1 상 출력 권선과, 제2 코어에 감기는 제2 상 출력 권선을 구비하고, 신호 주입 권선과 제1 상 출력 권선이 제1 코어에 감긴 횟수를 합한 제1 권선수와, 신호 주입 권선과 제2 상 출력 권선이 제2 코어에 감긴 횟수를 합한 제2 권선수가 서로 동일하다.

Description

레졸버{Resolver}
실시예들은 레졸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할 코어의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며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한 레졸버에 관한 것이다.
레졸버는 모터의 회전자의 위치와 운동 속도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이며, 엔코더(encoder)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레졸버는 충격에 강하고, 엔코더에 비교하여 온도나 습도 등의 변화에 강인하여 내환경성이 좋으며, 넓은 범위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노이즈에 강한 특성을 갖는다.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이나 전기 차량(EV; electric vehicle)과 같은 자동차의 개발이 가속화됨에 따라 레졸버의 활용도가 높아졌다.
도 1은 종래의 레졸버에서 스테이터에 코일들이 감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십자(+) 표시는 코일들이 감길 때에 도면에서 뒤쪽으로 들어가는 방향을 나타내고, 점(.) 표시는 코일들이 감길 때에 도면에서 앞쪽으로 나오는 방향을 각각 가리킨다.
도 1에서 레졸버의 스테이터(521)의 각각의 치들(521p, 521p2, 521p3, 521p4)에는 신호 주입 권선(522)과 제1 상 출력 권선(523A)과, 제2 상 출력 권선(523B)이 각각 감긴다.
이하의 표 1은 도 1의 레졸버의 스테이터(521)의 각각의 치들(521p, 521p2, 521p3, 521p4)에 감기는 신호 주입 권선(522)과 제1 상 출력 권선(523A)과, 제2 상 출력 권선(523B)의 각각의 권선수와 전체 권선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이와 같은 종래의 레졸버의 권선 구조에 의하면, 레졸버의 제조 시에 신호 주입 권선(522)과 제1 상 출력 권선(523A)과, 제2 상 출력 권선(523B)의 권선수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의 각각의 치에 감기는 코일들의 권선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전체 구조를 효율적으로 설계하기가 어려우며 레졸버의 제작 과정도 어렵다.
레졸버와 달리 모터의 제작 과정에는 분할된 복수 개의 코어들을 조립하여 스테이터를 제조하는 분할 코어 방식이 적용되기도 한다. 분할 코어 방식은 모터의 스테이터의 치에 대한 점적율(slot fill factor; 슬롯면적에 대한 코일면적의 비)을 높임으로써 모터를 소형화할 수 있는 권선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분할 코어 방식의 구조는 레졸버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예를 들어, 1번 치에 신호 주입 권선과 출력 권선이 총 96회 감기는데, 2번 치에는 총 114회가 감긴다. 따라서 분할 코어 방식을 이용하여 레졸버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1번 치와 2번 치가 바뀌어 조립된다면, 출력 신호에 오류가 발생하므로 레졸버에는 분할 코어 방식을 적용하기가 어렵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7-0039385호 공보(2007.04.11)
실시예들의 목적은 복수 개의 코어들을 결합하여 스테이터를 제조하는 분할 코어 방식의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한 레졸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코어들에 동일한 횟수의 코일을 감아 제작과 관리가 용이한 레졸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레졸버는,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연속하여 배치되며 서로 결합되는 제1 코어 및 제2 코어를 구비하며 링 형상을 이루는 스테이터와, 스테이터의 내측에 회전하도록 배치된 로터와,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각각에 감기는 신호 주입 권선과, 제1 코어에 감기는 제1 상 출력 권선과, 제2 코어에 감기는 제2 상 출력 권선을 구비하고, 신호 주입 권선과 제1 상 출력 권선이 제1 코어에 감긴 횟수를 합한 제1 권선수와, 신호 주입 권선과 제2 상 출력 권선이 제2 코어에 감긴 횟수를 합한 제2 권선수가 서로 동일하다.
서로 인접하는 제1 코어와 제2 코어의 어느 하나는 돌기를 구비할 수 있고, 서로 인접하는 제1 코어와 제2 코어의 다른 하나는 돌기가 삽입되는 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주입 권선이 제1 코어에 감기는 방향은 제1 코어에 인접한 제2 코어에 신호 주입 권선이 감기는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각각에 제1 상 출력 권선과 제2 상 출력 권선이 감기는 방향은,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쌍에 인접하는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쌍에서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각각에 제1 상 출력 권선과 제2 상 출력 권선이 감기는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로터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X개의 돌출 극들을 구비할 수 있고, 스테이터가 구비하는 제1 코어의 개수와 제2 코어의 개수를 합한 코어 개수 Z는, 출력신호의 상의 개수(m)와 돌출 극들의 개수(X)의 곱에 비례할 수 있다.
제1 상 출력 권선과 제2 상 출력 권선의 각각이 제1 코어와 제2 코어에 감기는 횟수 Nip는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Nt는 제1 상 출력 권선과 제2 상 출력 권선의 각각의 전체 감긴 횟수이고, Z는 제1 코어의 개수와 제2 코어의 개수를 합한 코어 개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레졸버는, 제1 상 출력 권선과 제2 상 출력 권선의 각각이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각각에 감기므로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권선수를 단순화할 수 있어서 레졸버의 제조에 분할 코어 방식의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어에 코일들이 감기는 제1 권선수와 제2 코어에 코일들이 감기는 제2 권선수가 동일하므로, 레졸버의 제작과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레졸버에서 스테이터에 코일들이 감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관한 레졸버의 일부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레졸버의 스테이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레졸버의 코어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레졸버의 로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레졸버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3의 레졸버가 작동할 때의 신호 변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2의 레졸버의 스테이터에 코일들이 감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실시예들에 관한 레졸버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 중에 사용되는 '및/또는'의 표현은 관련 요소들의 하나 또는 요소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관한 레졸버의 일부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레졸버의 스테이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레졸버의 코어들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레졸버(100)는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연속하여 배치되며 서로 결합되는 제1 코어(11) 및 제2 코어(12)를 구비하여 링 형상을 이루는 스테이터(10)와, 스테이터(10)의 내측에 회전하도록 배치된 로터(20)와,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의 각각에 감기는 신호 주입 권선(30)과, 제1 상 출력 권선(40)과 제2 상 출력 권선(50)을 구비한다.
실시예는 스테이터(10)를 이루는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의 개수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도면들에 나타나는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는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개수로 변형될 수 있다.
레졸버는 모터(미도시)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로터(20)와 스테이터(10)를 구비한다.
로터(2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스테이터(10)는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를 구비한다.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스테이터(10)의 전체적인 구조가 로터(20)를 둘러싸는 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스테이터(10)의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의 각각은 반경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스테이터 치들(11b, 12b)을 구비한다. 스테이터 치들(11b, 12b)에는 신호 주입 권선(30)과, 제1 상 출력 권선(40)과 제2 상 출력 권선(50)의 코일이 감길 수 있다.
인접하는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의 스테이터 치들(11b, 12b)의 각각의 단부에는 서로를 향하여 돌출된 슈(11f, 12f)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의 각각은 스테이터(10)의 외측을 둘러싸는 케이스(70)의 홈(71)에 삽입되는 돌출부(11a, 12a)를 구비한다.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는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11d, 12d)와, 홈부(11c, 12c)를 구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접하는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에서 제2 코어(12)의 제1 코어(11)를 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돌기(12d)가 제1 코어(11)의 제2 코어(12)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 홈부(11c)에 삽입됨으로써, 인접하는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코어(11)에는 신호 주입 권선(30)과 제1 상 출력 권선(40)이 감긴다. 제2 코어(12)에는 신호 주입 권선(30)과 제2 상 출력 권선(50)이 감긴다.
도 5는 도 2의 레졸버의 로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로터(20)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굴곡부(21)에 의해 형성되는 4개의 돌출 극들(P1, P2, P3, P4)을 구비한다.
도 6은 도 3의 레졸버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3의 레졸버가 작동할 때의 신호 변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신호 주입 권선(30)에 입력되어 교류 자계를 발생시키는 입력 전압 신호(Ssou)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3
여기에서, E0는 첨단(peak) 전압 값을, ω는 각속도를, 그리고 t는 시간을 나타낸다.
제1 상 출력 권선(40)의 출력 신호인 제1 유기 전압 신호(Sout1)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pat00004
여기에서, K는 첨단(peak) 전압 값(E0)에 비례한 상수로서, 레졸버에서의 누설 자속량 및 쇄교 자속량에 따라 결정된다. X는 로터(20)의 돌출 극들(P1 내지 P4)의 개수를, 그리고 θ는 로터(20)의 회전 각도를 나타낸다.
제2 상 출력 권선(50)의 출력 신호인 제2 유기 전압 신호(Sout2)는 아래의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pat00005
신호 변환기(4)는 레졸버(1)로부터의 제1 유기 전압 신호(Sout1) 및 제2 유기 전압 신호(Sout2)의 각각에 상응하는 디지털 정현파 신호들을 생성하여 모터의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에 제공한다.
신호 변환기(4)의 특성에 따른 상수를 k라 하면, 제1 유기 전압 신호(Sout1)에 상응하는 디지털 정현파 신호는 kcosθ이고, 제2 유기 전압 신호(Sout2)에 상응하는 디지털 정현파 신호는 ksinθ이다.
신호 변환기(4)의 입력 및 출력 신호들을 살펴보면, 4 개의 돌출 극들(P1 내지 P4)을 구비한 로터(20)에, 로터(20)의 90도 회전 범위에 대하여 180도 범위의 정현파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로터(20)의 회전 각도를 기구 각도라 부르고, 신호 변환기(4)의 출력 회전 각도를 전기 각도라 부른다. 4 개의 돌출 극들(P1 내지 P4)을 구비한 로터(20)에서 전기 각도는 기구 각도의 2 배이다. 이하에서는, 기구 각도인 로터(20)의 회전 각도에 대해서만 언급된다.
신호 주입 권선(30)은 스테이터(19)의 제1 코어(11) 및 제2 코어(12)에 감기어, 외부로부터 입력 전압 신호(Ssou)가 인가됨에 따라 교류 자계를 발생시킨다.
도 8은 도 2의 레졸버의 스테이터에 코일들이 감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의 제1 쌍(10a)과, 제1 쌍(10a)에 인접한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의 제2 쌍(10b)이 편의 상 수평하게 도시되었다.
도 8에서 십자(+) 표시는 코일들이 감길 때에 도면에서 뒤쪽으로 들어가는 방향을 나타내고, 점(.) 표시는 코일들이 감길 때에 도면에서 앞쪽으로 나오는 방향을 각각 가리킨다. 또한 도 8에서 참조 부호 30은 신호 주입 권선, 40은 제1 상 출력 권선, 50은 제2 상 출력 권선을 나타낸다.
도 8에서 좌측으로부터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와 번갈아 배치되며, 제1 쌍(10a)에 속하는 제1 코어(11)를 ①번 코어, 제2 코어(12)를 ②번 코어, 제2 쌍(10b)에 속하는 제1 코어(11)를 ③번 코어, 제2 코어(12)를 ④번 코어로 표기하였다.
신호 주입 권선(30)이 제1 코어(11)에 감기는 방향은 제1 코어(11)에 인접하는 제2 코어(12)에 감기는 신호 주입 권선(30)이 감기는 방향과 반대이다. 따라서 도 8의 ①번 코어에서부터 ④번 코어까지 신호 주입 권선(30)의 감기는 방향이 순차적으로 변경된다.
제1 상 출력 권선(40)과 제2 상 출력 권선(50)의 각각은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에 순서대로 번갈아가면서 감긴다. 제1 상 출력 권선(40)과 제2 상 출력 권선(50)은 신호 주입 권선(30)으로부터의 교류 자계가 인가되며 로터(20)가 회전함에 따라 서로 다른 위상의 유기 전압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신호 주입 권선(30)과 제1 상 출력 권선(40)이 제1 코어(11)에 감기는 횟수를 합한 제1 권선수는, 신호 주입 권선(30)과 제2 상 출력 권선(50)이 제2 코어(12)에 감기는 횟수를 합한 제2 권선수와 동일하다.
또한 제1 코어(11) 및 제2 코어(12)의 각각에 제1 상 출력 권선(40)과 제2 상 출력 권선(50)이 감기는 방향은, 제1 코어(11) 및 제2 코어(12)의 쌍에 인접하는 쌍에서 변경된다. 즉 도 8에서 제1 쌍(10a)에서는 제1 상 출력 권선(40)과 제2 상 출력 권선(50)의 감기는 방향이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며 감기었지만, 제1 쌍(10a)에 인접하는 제2 쌍(10b)에서는 제1 상 출력 권선(40)과 제2 상 출력 권선(50)의 감기는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며 감기도록 변경되었다.
따라서 제1 상 출력 권선(40)은 ①번 코어에서부터 ④번 코어 중에서 홀수 번째 코어에 동일한 횟수로 감기고, 제2 상 출력 권선(50)은 ①번 코어에서부터 ④번 코어 중에서 짝수 번째 코어에 동일한 횟수로 감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인해 각각의 제1 코어(11) 및 제2 코어(12)의 각각에 감기는 신호 주입 권선(30) 및 제1 상 출력 권선(40)과 제2 상 출력 권선(50)의 총 감긴 횟수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 출력 권선(40)과 제2 상 출력 권선(50)의 각각이 제1 코어(11) 및 제2 코어(12)의 각각에 순서대로 번갈아가며 동일한 횟수로 감기더라도, 로터(20)의 회전 방향의 외주면의 돌출 극들의 형상의 변화에 따른 자기저항(reluctance)의 작용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위상의 유기 전압 신호들(Sout1,Sout2)이 생성될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스테이터(10)를 이루는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에 순서대로 1~16번의 번호를 부여하였을 때, 각각의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에 감기는 권선수를 나타낸 것이다. 표 2에서 음의 부호(-)는 감기는 방향이 반대인 것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6
도 2에서 스테이터(10)를 이루는 제1 코어(11) 및 제2 코어(12)의 전체 개수에 해당하는 코어 개수(Z)는, 출력 권선의 전체 상의 개수 m과 로터(20)의 돌출 극들(P1 내지 P4)의 개수 X를 곱한 결과에 비례한다. 제1 코어(11) 및 제2 코어(12)의 코어 개수(Z)는 고정자의 치수(齒數)라고도 부르며, 아래의 수학식 4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상술한 실시예에서, k는 1이고, m은 2이며, X는 4이므로, 제1 코어(11) 및 제2 코어(12)의 전체 개수, 즉 코어 개수는 16이다.
제1 상 출력 권선(40)과 제2 상 출력 권선(50)의 각각이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의 각각에 감기는 횟수 Nip는, 제1 상 출력 권선(40) 또는 제2 상 출력 권선(50)의 총 감김 횟수를 Nt라 할 때 아래의 수학식 5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8
수학식 5에서 우변의 분모가 Z가 아니고 (Z/2)가 된 이유는, 제1 상 출력 권선(40)과 제2 상 출력 권선(50)이 제1 코어(11)와 제2 코어(12)에 순서대로 번갈아가면서 감기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관한 레졸버에 의하면, 제1 상 출력 권선(40) 및 제2 상 출력 권선(50)의 각각이 제1 코어(11) 및 제2 코어(12)의 각각에 감기므로 제1 코어(11) 및 제2 코어(12)의 권선수가 단순화되므로 레졸버의 제조 시에 분할 코어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코어(11) 및 제2 코어(12)에 감기는 제1 상 출력 권선(40)과 제2 상 출력 권선(50)과 신호 주입 권선(30)의 점적율을 높임으로써 레졸버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대량 생산에 유리한 레졸버의 설계가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레졸버 19: 스테이터
4: 신호 변환기 20: 로터
10: 스테이터 21: 굴곡부
10a: 제1 쌍 11f, 12f: 슈
10b: 제2 쌍 30: 신호 주입 권선
11: 제1 코어 40: 제1 상 출력 권선
11a, 12a: 돌출부 50: 제2 상 출력 권선
11d, 12d: 돌기 70: 케이스
11b, 12b: 스테이터 치들 71: 홈
11c, 12c: 홈부 100: 레졸버
12: 제2 코어 P1, P2, P3, P4: 돌출 극

Claims (6)

  1.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연속하여 배치되며 서로 결합되는 제1 코어 및 제2 코어를 구비하며, 링 형상을 이루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내측에 회전하도록 배치된 로터;
    상기 제1 코어 및 상기 제2 코어의 각각에 감기는 신호 주입 권선;
    상기 제1 코어에 감기는 제1 상 출력 권선; 및
    상기 제2 코어에 감기는 제2 상 출력 권선;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 주입 권선과 상기 제1 상 출력 권선이 상기 제1 코어에 감긴 횟수를 합한 제1 권선수와, 상기 신호 주입 권선과 상기 제2 상 출력 권선이 상기 제2 코어에 감긴 횟수를 합한 제2 권선수가 서로 동일한, 레졸버.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의 어느 하나는 돌기를 구비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의 다른 하나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레졸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주입 권선이 상기 제1 코어에 감기는 방향은, 상기 제1 코어에 인접한 상기 제2 코어에 상기 신호 주입 권선이 감기는 방향과 반대인, 레졸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 및 상기 제2 코어의 각각에 상기 제1 상 출력 권선과 상기 제2 상 출력 권선이 감기는 방향은, 상기 제1 코어 및 상기 제2 코어의 쌍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코어 및 상기 제2 코어의 쌍에서 상기 제1 코어 및 상기 제2 코어의 각각에 상기 제1 상 출력 권선과 상기 제2 상 출력 권선이 감기는 방향과 반대인, 레졸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X개의 돌출 극들을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가 구비하는 상기 제1 코어의 개수와 상기 제2 코어의 개수를 합한 코어 개수 Z는, 출력신호의 상의 개수(m)와 상기 돌출 극들의 개수(X)의 곱에 비례하는, 레졸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 출력 권선과 상기 제2 상 출력 권선의 각각이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에 감기는 횟수 Nip는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레졸버.
    <수학식>
    Figure pat00009

    여기에서, Nt는 상기 제1 상 출력 권선과 상기 제2 상 출력 권선의 각각의 전체 감긴 횟수이고, Z는 상기 제1 코어의 개수와 상기 제2 코어의 개수를 합한 상기 코어 개수이다.
KR1020130045614A 2013-04-24 2013-04-24 레졸버 KR101872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614A KR101872440B1 (ko) 2013-04-24 2013-04-24 레졸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614A KR101872440B1 (ko) 2013-04-24 2013-04-24 레졸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067A true KR20140127067A (ko) 2014-11-03
KR101872440B1 KR101872440B1 (ko) 2018-06-28

Family

ID=5245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614A KR101872440B1 (ko) 2013-04-24 2013-04-24 레졸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4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648B1 (ko) * 2015-11-11 2016-12-01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레졸버
KR20190043276A (ko) 2017-10-18 2019-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졸버 스테이터
KR20190051241A (ko)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유라테크 절대위치 센서를 구비한 모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385A (ko) 2005-10-07 2007-04-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리졸버
JP2009168493A (ja) * 2008-01-11 2009-07-30 Nippon Densan Corp レゾルバ、モータ、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レゾルバの製造方法
JP2012060766A (ja) * 2010-09-08 2012-03-22 Jtekt Corp ステータ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9385A (ko) 2005-10-07 2007-04-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리졸버
JP2009168493A (ja) * 2008-01-11 2009-07-30 Nippon Densan Corp レゾルバ、モータ、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レゾルバの製造方法
JP2012060766A (ja) * 2010-09-08 2012-03-22 Jtekt Corp ステータユニッ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1648B1 (ko) * 2015-11-11 2016-12-01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레졸버
WO2017082465A1 (ko) * 2015-11-11 2017-05-18 엘에스오모모티브 주식회사 레졸버
JP2018536877A (ja) * 2015-11-11 2018-12-13 エルエス オートモーティブ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Ls Automotive Technologies Co., Ltd. レゾルバ
US10931184B2 (en) 2015-11-11 2021-02-23 Ls Automotive Technologies Co., Ltd. Resolver
KR20190043276A (ko) 2017-10-18 2019-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레졸버 스테이터
US10554108B2 (en) 2017-10-18 2020-02-04 Hyundai Motor Company Resolver stator having multilayered core
KR20190051241A (ko)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유라테크 절대위치 센서를 구비한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440B1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 et al. A novel variable reluctance resolver with nonoverlapping tooth–coil windings
Ge et al. Analysis of windings in variable reluctance resolver
Jin et al. Proposal of improved winding method for VR resolver
JP5127923B2 (ja) 回転角度検出装置
KR20120023800A (ko) 자기전자 각도 센서, 특히 릴럭턴스 리졸버
EP3101787B1 (en) Resolver device, motor, and actuator
JPS6243426B2 (ko)
EP2853861B1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KR101872440B1 (ko) 레졸버
JP5201589B2 (ja) レゾルバ
JP4397788B2 (ja) 回転角度検出装置
KR101964371B1 (ko) 리졸버 및 그 제조 방법
JP4395163B2 (ja) 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型レゾルバ
JP2001183169A (ja) 位置検出装置
JP6730732B2 (ja) 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型レゾルバ
JP3704462B2 (ja) リラクタンスレゾルバを用いた絶対位置検出器
JP2012005327A (ja) レゾルバ
JP2000316266A (ja) 可変磁気抵抗型位置検出器
JP5470552B2 (ja) レゾルバ及びレゾルバの製造方法
JP2000081344A (ja) 高精度vr型レゾルバ
JP4418475B2 (ja) 回転角度センサー
JP5249174B2 (ja) 回転角センサ
JP5135277B2 (ja) 回転型位置検出装置
JP2013027130A (ja) レゾルバ
JP2011151973A (ja) 固定子のインシュレータおよび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