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333A - 피하 조직 및 피하 지방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하 조직 및 피하 지방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333A
KR20140126333A KR1020147023336A KR20147023336A KR20140126333A KR 20140126333 A KR20140126333 A KR 20140126333A KR 1020147023336 A KR1020147023336 A KR 1020147023336A KR 20147023336 A KR20147023336 A KR 20147023336A KR 20140126333 A KR20140126333 A KR 20140126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breast
fat
promoting
breast enlar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5929B1 (ko
Inventor
겐스케 야마카와
Original Assignee
겐스케 야마카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4814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12633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겐스케 야마카와 filed Critical 겐스케 야마카와
Publication of KR2014012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6Blood plasma; Blood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25Fibroblast growth factor [FG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1Mammary glands, e.g. breasts, udder; Intramammary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27Other specific proteins or polypeptides not covered by A61L27/222, A61L27/225 or A61L27/2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61L27/3616Blood, e.g. platelet-rich plas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 A61L2300/414Growth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Immu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otan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docri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유선 주위에 지방 조직을 생성, 증가시킴으로써, 유방의 피하에 지방 조직의 축적, 증대를 도모하고, 안전하고 자연스러운 방법에 의한 자기 조직의 회복, 용모의 회복이 얻어지는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특히 유방 확대용 조성물, 유방 확대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자기 유래의 혈장, 및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 인자 (b-FGF)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 특히 유방 확대용 조성물로서, 추가로 지방을 함유한 상기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이며, 구체적으로는, 지방이 지방 유제의 형태에 있고, 당해 지방 유제가 유지를 유화제의 존재하에서 유화시킨 수중유형 지방 유제인 상기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사용한 유방 확대 방법이며, 또 당해 유방 확대용 조성물의 주입 유닛이다.

Description

피하 조직 및 피하 지방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OMOTING INCREASE OF SUBCUTANEOUS TISSUE AND SUBCUTANEOUS FATTY TISSUE}
본 발명은, 유선 주위 등에 피하 조직 또는 지방 조직을 생성, 증가시킴으로써, 유방 등의 피하에 피하 조직, 지방 조직의 축적, 증대를 도모하는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유방은 주로 유선과 지방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방의 용량은 개인차가 큰 데다가, 체중의 증감 등에 따라 용이하게 변동하며, 건강한 여성에게서는, 유방의 용량 (크기) 은 지방 조직의 용량에 의존하여 변동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지방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지방 세포에 있어서는, 신체 부위에 따라 지방 대사가 상이한 것이 밝혀졌으며, 그 중에서도 유방은 종아리부 등과 비교하여 지방 합성 작용이 낮은 데다가, 지방 분화 작용이 높은 특징이 있기 때문에, 풍만한 유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방 세포에 있어서의 지방 합성을 촉진시켜, 지방 조직의 증대, 축적을 촉진시키고, 추가로, 피하 조직을 증대시켜 중량이 있는 유방이 하수 (下垂) 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를 해결하는 만족할 만한 피하 조직용 조성물, 피하 지방 조직용 조성물인 유방 확대용 조성물은 여전히 발견되지 않은 것이 현 상황이다.
한편, 여성에게 있어서, 용자 (容姿) 미용의 목적으로, 풍만한 유방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요망이 크며, 이를 위한 유방 확대 수술은 예로부터 다양하게 실시되어 왔다.
미용의 목적으로 건강한 유방에 유방 확대술이 실시된 것은 1950년대에 미국에서 최초로 실시되었으며, 파라핀이나 실리콘 젤을 유방의 피하에 직접 주입하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주입된 파라핀이나 실리콘 젤에 의해 조직의 괴사 등의 합병증·후유증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후, 실리콘제 주머니 (백) 에 실리콘 젤을 채운 유방 임플란트가 개발되었고, 또한, 실리콘을 대신하는 생리 식염수가 들어 있는 백이 탄생하여, 미용 목적으로 흉부에 삽입하는 유방 확대술이 널리 실시되게 되었다.
그러나, 흉부에 삽입된 백의 파손에 의한 변형이나, 누출된 경우의 건강 피해 등의 문제가 표면화되어, 미국에서는, 식품 의약품국 (FDA) 은 실리콘 젤 백의 사용을 일시 금지하였고, 그 후에는 실리콘 젤 백 대신에 생리 식염수 백이 널리 보급되었다.
또한, 1995년대에는 생리 식염수에 고분자 폴리머를 첨가한 하이드로 젤 백이 탄생하였지만, 프랑스 그리고 영국의 양국에서는, 장기 사용에 의한 안전성이 문제시되어 사용이 금지되었다. 2000년에 접어들어 FDA 는 미국 내에 있어서의 생리 식염수 백의 사용을 허가하였고, 그 후 코히시브 실리콘 (cohesive silicon) 등 점도성이 높아, 누출시의 위험이 적은 소재가 개발되었고, 2006년에는 실리콘 젤 백의 사용도 허가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일본에서는, 후생 노동성은 그 밖의 유방 임플란트를 포함하여 어느 유방 임플란트에 대해서도 약사 승인을 하지 않고 있어, 그들의 안전성에 관해서는 보장하고 있지 않다.
한편, 유방 임플란트를 대신하는 것으로서, 유방으로의 지방 이식 (지방 주입) 술이 1980년대 초두부터 실시되게 되었지만, 버스트 업 효과가 불충분한 점이나, 석회화된 경우에는 유방암 진단의 방해가 되는 등의 장해가 있어, 부정적인 의견도 많다. 최근에는, 지방 이식 기법이 보다 발달되어, 주입된 지방이 괴사하거나 석회화되거나 할 리스크는 저감되었지만, 지방 이식 기법에 의한 리스크가 완전히 없어진 것은 아니다.
또, 그 밖에 유방 확대에 관한 다양한 제안이 많이 이루어졌으며, 최근에 이르러 발전한 유방 확대 방법으로서, 히알루론산 주입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히알루론산의 유방으로의 주입은 주입된 히알루론산에 의해 유방 확대를 달성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점에서 프티 유방 확대로도 불리고 있다. 그러나, 그 효과는 일시적인 것으로서, 히알루론산이 체내로 흡수된 경우에는, 유방 확대를 위해 다시 주입이 필요해진다.
단, 히알루론산의 유방으로의 주입에서는, 유방암 검진에서는 진단의 장해가 되고, 주입된 히알루론산은 새까만 다수의 낭포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반복 실시되는 히알루론산의 주입에 의한 피하 조직화라는 현상으로서, 히알루론산 주입법에서는, 이 히알루론산의 피하 조직화가 문제가 되고 있으며, 피하 조직에 주입되어 체내로 흡수되지 않고 남은 히알루론산은 이물질로서 느껴져, 주입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여 유선·유선 주위 조직의 적출술을 받는 환자도 적지 않아, 앞으로는 더욱 사회 문제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 그 밖에 콜라겐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유방 확대제 (특허문헌 1), 혹은 골아 세포 및 연골 세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세포와 겔 재료 혹은 생체 내에서 겔화 가능한 겔 전구체 재료를 함유하는, 유방 확대 처치를 위한 이식 재료 (특허문헌 2) 등도 제안되어 있지만, 주입되는 콜라겐 자체는, 생합성품, 혹은 이종 동물 (소, 돼지) 유래의 것으로서, 히알루론산에 의해 생체 알레르기 반응을 발생시키기 쉽고, 주름 제거 등에 사용되고 있는 실적은 있지만, 유방 확대를 위한 유방으로의 주입은 완전히 안전한 것이라고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식물 성분을 함유하는 유방 확대 촉진제 (특허문헌 3), 패류로부터 추출하여 얻어지는 추출물에 유방 확대를 촉진시키는 성분이 많은 점에서, 이들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유방 확대제 (특허문헌 4) 등이 제안되어 있지만, 아직도 풍만한 유방을 유지하기 위한 지방 세포에 있어서의 지방 합성을 촉진시켜, 지방 조직의 증대, 축적을 촉진시키는 유방 확대제는 등장하지 않은 것이 현 상황이다.
그런데, 최근에 이르러 자기 유래의 백혈구를 함유하는 다혈소판 혈장 (PRP : Plate Rich Plasma) 과 성장 인자 (GF : Growth Factor) 를 조합하여 혼합 주입함으로써, 세포 조직 증가 촉진에 의한 피부 문제 개선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5). 이 피부 문제 개선은 피부의 주름, 늘어짐 등, 주로 노화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의 건조나, 탄력의 저하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유방 확대술에도 적용의 여지가 있다고 되어 있지만, PRP 로서 분리되는 혈장은 채혈한 혈액량의 10 분의 1 내지 20 분의 1 정도로서, 40 ㎖ 의 PRP 를 얻으려고 하면 최대 400 ∼ 800 ㎖ 의 혈액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용할 수 있는 PRP 는 겨우 수 ㎖ 내지 좋아야 40 ㎖ 로서, 수십 내지 수백 ㎖ 를 필요로 하는 유방 확대에는 실용적이지 않으며, 이 PRP 에 의한 유방 확대 방법이 유방 확대에 효과적인 것인지는 일절 검토되지 않았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현 상황하에서, 자기 유래의 혈액 성분 중에서도, 그 절반수를 차지하는 액체 성분인 혈장에 착안하여, 혈장과, 성장 인자 중에서도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 인자 (b-FGF) 를 조합하여 유방의 피하 조직에 주입해주면, 혈장 중에 함유되는 단백질을 비롯한 지질, 포도당, 호르몬, 특히 지질이 b-FGF 의 작용과 더불어, 유방의 피하에 피하 조직의 축적, 증대를 도모할 수 있고, 또 혈장으로서 지질이 불충분한 경우에는, 인공 지질 (지방) 을 보충함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유방의 피하에 지방 조직의 축적, 증대를 도모할 수 있어, 유방 확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04489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3011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026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0120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35004호
그리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유방 확대술에서 사용되었던 유방 임플란트, 예를 들어, 코히시브 실리콘 (cohesive silicon) 혹은 실리콘 젤 백에 의해 우려되는 파열, 발암 가능성을 회피하고, 또 히알루론산 주입으로 발생하는 히알루론산의 피하 조직화에 의한 경결 (硬結) 을 회피하여, 유선 주위에 지방 조직을 생성, 증가시킴으로써, 유방의 피하에 피하 조직, 지방 조직의 축적, 증대를 도모하는, 안전하고 자연스러운 방법에 의한 자기 조직의 회복, 용모의 회복이 얻어지는 피하 조직 및/또는 피하 지방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인 유방 확대용 조성물, 유방 확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또 유방 이외에도 피하 조직 및/또는 지방 조직의 증가 촉진을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본적 양태로서의 본 발명은 자기 유래의 혈장, 및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 인자 (b-FGF)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피하 조직이 피하 세포 조직 및/또는 피하 지방 조직인 상기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추가로 지방을 함유한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로서, 당해 지방이 지방 유제 (乳劑) 의 형태에 있고, 지방 유제가 유지를 유화제의 존재하에서 유화시킨 수중유형 지방 유제인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이다.
가장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유방 확대를 위해 사용하는 상기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이다.
또, 본 발명은 다른 양태로서, 상기한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을 피하에 주입하여 이루어지는 피하 조직 증가 촉진 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그들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피하에 주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확대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양태로서, 상기한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의 주입 유닛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방 확대를 위한, 자기 유래의 혈장, 및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 인자 (b-FGF) 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주입 유닛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추가로 지방을 함유한 유방 확대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주입 유닛으로서, 지방이 지방 유제의 형태에 있고, 구체적으로는, 지방 유제가 유지를 유화제의 존재하에서 유화시킨 수중유형 지방 유제인 유방 확대용 주입 유닛이다.
본 발명에 의해, 지금까지 실시되었던 유방 임플란트의 삽입에 의한 유방 확대술, 예를 들어, 코히시브 실리콘 (cohesive silicon) 혹은 실리콘 젤 백에 의한 유방 확대술에서 우려되는 백의 파열, 그것에 따른 발암 가능성을 회피하고, 또 히알루론산 주입으로 발생하는 히알루론산의 피하 조직화에 의한 경결을 회피하여, 안전하고 자연스러운 방법에 의한 피하 조직용 증가 촉진용의 조성물이 제공되며, 특히, 유방 확대에 있어서는 그 효과가 현저하게 얻어지는 피하 지방 조직용 조성물인 유방 확대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은, 국소적으로 피하 조직 형성을 촉진시키고, 또 지방 세포에 있어서의 지방 합성을 촉진시켜, 피하의 세포 조직 및/또는 지방 조직을 생성, 증가시킴으로써, 자연스러운 방법에 의한 자기 조직의 회복, 용모의 회복이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은, 특히, 유방의 지방 조직을 생성, 증가시킴으로써, 유방의 피하에 있어서의 피하 세포 조직 및/또는 피하 지방 조직의 축적, 증대를 도모하고, 자연스러운 방법에 의한 자기 조직의 회복, 용모의 회복이 얻어지는 것으로서, 안전한 수단에 의한 유방 확대용 조성물, 유방 확대 방법이 제공되는 점에서, 의료상의 효과는 다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인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사용한 실제의 유방 확대술의 일례 (실시예 2 : 증례 1) 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인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사용한 실제의 피하 조직 형성, 유방 확대술의 다른 일례 (실시예 3 : 증례 2) 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인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사용한 실제의 피하 조직 형성, 유방 확대술의 다른 일례 (실시예 4 : 증례 3) 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인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사용한 증례 1 ∼ 3 의 피험자의 브래지어 사이즈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 기본적 양태는 자기 유래의 혈장, 및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 인자 (b-FGF)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증가, 촉진시키는 피하 조직은 피하 세포 조직 및/또는 피하 지방 조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방의 피하 세포 조직 및/또는 피하 지방 조직의 증가 촉진을 도모하는 점에서, 유방 확대에 있어서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이기도 하다.
이하에 본 발명을 유방의 유방 확대에 있어서의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중심으로 설명해 가는데,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유방 이외의 다른 피하 조직의 증가 촉진에 의한 미용 정용 (整容) 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자기 유래의 혈장으로는, 자기의 혈액을 채취하여 통상적인 방법, 원심 분리하여 얻은 혈장으로서, 혈액의 약 55 % 를 차지하는 액체 성분이다.
그 성분은, 단백질을 비롯하여 비단백 질소, 지질, 포도당, 호르몬, 항체 등 많은 유기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혈장에는 체내의 예비 단백으로서의 영양적 의의뿐만 아니라, 혈액이나 체액의 양의 조절, 혈액 응고 인자, 혈액에 점도를 부여하여 혈압을 조제, 결합한 물질의 운반, 면역에 대한 관계 그 외에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혈액 성분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유방 확대를 실시하고자 하는 인간의 혈액 (자기 혈액) 을 채취하고, 최대 4,000 rpm, 바람직하게는 3,000 ∼ 4,000 rpm 의 범위 내에서 원심 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항응고약인 헤파린, 또는 시트르산을 첨가하여, 겔상의 자기 유래의 혈장을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이러한 자기 유래의 혈장을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 인자 (b-FGF :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와 병용시킨 조성물이다.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 인자 (b-FGF) 는 선유아세포의 증식을 현저하게 촉진시키는 단백질로서 발견되었고, 그 후, in vitro 에 있어서 선유아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혈관 내피 세포, 혈관 평활근 세포, 상피 세포 등의 다양한 세포에 대해서도 그 증식이나 유주 (遊走), 분화에 대한 촉진 작용을 갖는 것이 밝혀진 인자이다.
그 작용 기전은, 혈관 내피 세포, 선유아세포 등에 존재하는 FGF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혈관 신생 작용이나 육아 (肉芽) 형성 촉진 작용을 나타내는 인자로서, 창상 치유 과정의 증식기에 있어서, 장기 형성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결합섬세포인 선유아세포를 증식시킴과 함께, 재구축에 이르는 과정에서는 아포토시스를 촉진시킴으로써, 선유아세포의 수를 줄이고, 반흔을 경징화시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는, 욕창·피부 궤양 치료약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간 유래 염기성 선유아세포 성장 인자 게놈 유전자의 발현에 의해, 재조합체로 산생되는, 유전자 재조합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 인자로서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 구체적으로는「트라페르민」의 일반명이고, 카켄 제약 (주) 로부터「피블라스트 (등록 상표) 스프레이」의 판매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한 자기 유래의 혈장과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 인자 (b-FGF) 를 병용한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로서, 당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유방의 유선과 대흉근막 사이에 투여함으로써, 유선 주위에 지방 조직을 생성, 증가시켜, 유방의 피하에 지방 조직의 축적,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데, 보다 지방 조직을 생성, 증가시키기 위해, 필요하면 지방을 동시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지방으로는, 생체 내에 투여된 경우에 생체 적합성이 있는 지방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정제 대두유, 면실유, 선플라워유, 옥수수유, 야자유, 들기름, 아마인유 등의 식물유나 정어리유, 대구 간유 (肝油) 등의 어유 등의 필수 지방산원으로서의 장사슬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LTC) (바람직하게는 장사슬 지방산의 탄소수는 11 ∼ 24), 및 흡수 용이성, 연소 용이성, 난축적성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예를 들어, 상품명 파나세이트 (니혼 유지 (주) 제조), 상품명 ODO (닛신 제유 (주) 제조) 등의 통상적으로 탄소수 8 ∼ 10 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중사슬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MCT) 를 그 대표예로서 예시할 수 있다.
이 지방은 바람직하게는 지방 유제의 형태로 투여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정제 대두유 등의 유지를 유화제의 존재하에서 유화시킨 수중유형 지방 유제이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조제되는 수중유형 유제 중에 유지 농도로서 0.5 ∼ 30 v/v% 정도, 바람직하게는 0.5 ∼ 20 v/v%,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0 v/v% 가 되는 범위에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투여량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히 증감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유지를 유화 분산시키기 위한 유화제로는, 예를 들어, 정제 난황 레시틴, 수소 첨가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수소 첨가 대두 레시틴 등의 인 지질이나 합성 계면 활성제 (예를 들어, 트윈 80, HCO-6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플루로닉 F68 등의 시판품) 등의 일반적으로 잘 사용되고 있는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그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지방 유제로는, 예를 들어, 프레지니우스 카비 재팬 (주) 로부터 정주용 지방 유제로서 제공되고 있는「인트라피리드 (등록 상표) 수액」제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인트라피리드 (등록 상표)」는, 정제 대두유를, 첨가제로서 정제 난황 레시틴 (유화제), 농글리세린 (등장화제), 및 수산화나트륨 (pH 조절제) 을 사용하여 유화시킨 영양 보급제로서의 수중유형 지방 유제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그 조성물로 하여, 1 회의 유방 확대 처치에 있어서, 50 ∼ 200 ㎖/회의 투여량으로 투여하고, 투여 후의 유방 증대 효과를 관찰하면서 수 회, 바람직하게는 10 회 정도의 유방 확대 조치를 위한 투여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또, 투여 간격은 약 1 개월 내지 3 개월에 1 회의 처치가 바람직하다.
자기 유래의 혈장의 투여량으로는, 25 ∼ 100 ㎖/회이고,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 인자 (b-FGF) 의 투여량으로는, 상기한「트라페르민」을 2.5 ∼ 5 ㎍/㎖/회이고, 지방에 대해서는, 그 유방 증대 효과를 관찰하면서, 예를 들어, 정제 대두유로 하여 0 ∼ 0.2 g/㎖/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투여량은 일반적인 유방 증대 효과가 얻어지는 투여량으로서, 이 투여량에 한정시키는 것이 아니며, 적절히 증감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은, 유방의 유선과 대흉근막 사이에 투여됨으로써, 유선 주위에 지방 조직을 생성, 증가시켜, 유방의 피하에 지방 조직을 생성, 증가시킴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유방 확대가 달성된다. 또, 흉부 이외에 있어서도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로서 인간 피부에 있어서의 피하 조직의 형성을 촉진시켜, 미용 정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의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사용한 유방 확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유방 확대 방법에 있어서의 유방 확대용 조성물의 주입 유닛, 즉, 자기 유래의 혈장,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 인자 (b-FGF), 추가로 필요에 따라 지방을 병용한 조합에 의한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의 주입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기도 하다. 또, 흉부 이외에 있어서도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로서 인간 피부에 있어서의 피하 조직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주입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유방 확대용 조성물의 주입 유닛에 있어서의, 자기 유래의 혈장,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 인자 (b-FGF), 그리고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지방의 투여 단위량은 상기에서 설명한 투여량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 그리고 그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의 구체적인 조제 방법, 그리고 당해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사용한 유방 확대술의 실제를 설명함으로써,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양한 변법을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변법도 본원 발명에 포함되는 것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 1 :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의 조제
<자기 유래 혈장의 조제>
채혈은, 헤파린나트륨 (10 단위/㎖) 2.5 ㎖ 를 시린지 용적 50 ㏄ 의 시린지에 첨가하고, 50 ㎖ 의 혈액을 채혈하여, 총량으로서 220 ∼ 300 ㎖ 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혈한 혈액을 원심 분리 (KUBOTA 2420, KUBOTA RS-240 (로터) 의 조합 : 4,000 rpm/10 분간) 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장을 50 ㏄ 의 시린지에 25 ㎖ 채취하여, 헤파린 첨가 혈장을 얻었다.
자기 유래의 가열 혈장을 얻는 경우에는, 헤파린 첨가 혈장을 얻은 후에 드라이 서모 유닛 (TAITEC Corporation 의 Dry Thermo Unit DTU-1C) 을 사용하여 헤파린 첨가 혈장을 100 ℃ 에서 10 분간 혈장의 가열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에 급속히 냉각시켰다. 그 결과, 겔상의 자기 유래의 가열 혈장을 얻었다.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의 조제>
트라페르민 (등록 상표) 제제 (유전자 재조합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 b-FGF : 카켄 제약) 를 첨부된 용액으로 용해시키고, 트라페르민 농도로서 농도가 2.5 ㎍/㎖ 가 되도록 혼화하였다. 이 용액을 상기에서 얻어진 비가열 또는 가열 혈장 (25 ㎖) 과 혼화하고, 필요에 따라, 이어서, 지방 유제로서 인트라리피드 (등록 상표) 수액 20 % (프레지니우스 카비 재팬 제조) 를 각 시린지에 25 ㎖ 첨가하여, 총량으로서 50 ㎖ 의 자기 유래의 혈장,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b-FGF), 지방 유제의 혼합액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인트라리피드를 첨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헤파린 첨가 혈장 50 ㎖ 를 50 ㏄ 의 시린지에 채취하고, 트라페르민 농도로서 농도가 2.5 ㎍/㎖ 가 되도록 혼화하였다.
또한, 트라페르민 (등록 상표) 제제의 첨가 농도를 2.5 ㎍/㎖ 에서 5.0 ㎍/㎖ 로 변화시키거나, 지방 유제 (인트라리피드 (등록 상표) 수액) 를 첨가하거나 하지 않는 등, 다양한 조건으로 또 다른 본 발명의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하에 상기 실시예에 준하여 얻은 본 발명의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사용한 실제의 임상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임상예에 있어서, 자기 유래의 혈장 이외의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b-FGF) 로는「트라페르민」을, 지방 유제로서「인트라리피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구체적인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의 투여예 (증례 1)
사전에 충분한 인폼드 컨센트를 실시하여 동의를 얻은 45 세 여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투여하여, 유방 확대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 에 준하여 조제한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5 회에 걸쳐서 트라페르민, 인트라리피드 (지방 유제), 헤파린 첨가 자기 유래의 혈장의 혼합액을 유선과 대흉근막 사이에 투여하였다.
1 회에서 3 회째까지는 편측 50 ㎖, 총량 100 ㎖ 를, 4 회와 5 회째에는 편측 100 ㎖, 총량 200 ㎖ 를 투여하였다. 지방 유제 농도는 50 v/v% 이고, 트라페르민 농도는 2.5 ㎍/㎖ 로 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에 나타냈다.
도 중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편측 50 ㎖ 의 트라페르민, 지방 유제 (인트라리피드), 헤파린 첨가 자기 유래의 혈장의 혼합액 투여에서는, 톱 버스트의 길이는 1.5 ㎝ 안팎밖에 증대되지 않았지만, 그 후의 편측 100 ㎖ 의 그 혼합 용액을 투여함으로써, 2.5 ㎝ 안팎 톱 버스트의 길이가 증대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 투여에 의한 유방 증대 효과는, 투여하는 본 발명의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의 투여량에 관계하여 증감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3 : 구체적인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의 투여예 (증례 2)
사전에 충분한 인폼드 컨센트를 실시하여 동의를 얻은 36 세 여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투여하여, 유방 확대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의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구성하는 트라페르민, 지방 유제 (인트라리피드), 헤파린 첨가 자기 유래의 혈장의 혼합액에 있어서, 어느 인자가 필요한지를 확인하였다.
먼저, 지방 유제 (인트라리피드) 를 제외한 트라페르민 및 헤파린 첨가 자기 유래의 혈장의 혼합액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3 회 투여하였다. 그 결과, 톱 버스트 길이의 증가는 약 1.1 ㎝ 였다.
이어서, 4 회째, 5 회째의 투여시에 50 v/v% 농도의 지방 유제 (인트라리피드) 를 추가로 첨가한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로 하여 투여를 실시하였다. 또한, 4 회째의 본 발명의 유방 확대용 조성물의 투여에 있어서는, 트라페르민의 농도를 2.5 ㎍/㎖ 로 하고, 5 회째의 투여에 있어서는, 5.0 ㎍/㎖ 로 하였다.
그 결과, 4 회째의 투여 후에 있어서의 톱 버스트 길이의 증가는 약 2.4 ㎝ 이고, 5 회째의 투여 후에 있어서의 톱 버스트 길이의 증가는 4.1 ㎝ 였다.
그 결과를 도 2 에 나타냈다.
도 중에 나타낸 결과로부터도 판명되는 바와 같이, 유방의 체적 증가는, 자기 유래의 혈장과 트라페르민의 조합에 기초한 본 발명의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의 투여에서도 발생하였지만, 그 증가는 적은 것이었으며, 이것에 지방 유제 (인트라리피드) 를 첨가함으로써 유방의 체적 증가 효과는 증대되었다.
이 사실로부터, 본 발명의 유방 확대용 조성물인 자기 유래의 헤파린 첨가 혈장과 트라페르민, 및 지방 유제 (인트라리피드) 의 혼합액에 유방의 체적 증가 (톱 버스트 길이의 증가) 에는, 지방 유제 (인트라리피드) 에 의존하는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부분과, 트라페르민 및 자기 유래의 헤파린 첨가 혈장에 의존하는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헤파린 첨가 자기 유래 혈장에 의존하는 톱 버스트 길이의 증대는, 트라페르민 농도의 증가에 의해 확실히 자극되어 증대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4 : 구체적인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의 투여예 (증례 3)
40 세 여성. 본인으로부터 자기 유래의 가열 혈장을 사용하여 유방 확대를 하고 싶다는 희망을 받아, 사전에 충분한 인폼드 컨센트를 실시하여 동의를 얻고, 본 발명의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투여하여, 유방 확대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3 회에 걸쳐서 실시예 1 에 준하여 조제한 자기 유래의 헤파린 첨가·가열 혈장과 트라페르민, 및 지방 유제 (인트라리피드) 의 혼합액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편측 50 ㎖, 총량 100 ㎖ 투여하였지만, 톱 버스트 길이에 변화는 없었다.
피험자의 혈장에 문제가 있는가라는 의문을 부정하기 위해, 4 ∼ 6 회째에 있어서는, 지방 유제를 제외한 트라페르민, 및 자기 유래의 헤파린 첨가·비가열 혈장의 혼합액 100 ㎖ 를 투여하니, 상기 증례 2 (실시예 3) 와 동일하게, 1 ㎝ 안팎의 지방 유제 비의존성의 톱 버스트 길이의 증대가 관찰되었다.
그래서, 7 회째 및 8 회째에 자기 유래의 헤파린 첨가·비가열 혈장과 트라페르민, 및 지방 유제 (인트라리피드) 의 혼합액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편측 50 ㎖, 총량 100 ㎖ 투여한 결과, 톱 버스트 길이에 3 ㎝ 의 증대가 보여졌다.
또한, 이 증례에 있어서는, 트라페르민의 농도는 2.5 ㎍/㎖ 이고, 지방 유제 (인트라리피드) 농도는 50 v/v% 였다.
그 결과를 도 3 에 나타냈다.
이상의 실시예 2 ∼ 4 (증례 1 ∼ 3) 에 있어서의 피험자의 브래지어 사이즈의 변화를 도 4 에 나타냈다.
각 증례에 있어서, 브래지어의 사이즈가 2 ∼ 4 사이즈 증대되었다.
또한, 브래지어 사이즈의 부호는 이하의 표 1 중에 규정하는 의미를 갖는다.
Figure pct00001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지금까지 실시되었던 유방 임플란트의 삽입에 의한 유방 확대술, 혹은 히알루론산 주입 등에 의한 유방 확대에 있어서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회피하여, 안전하고 자연스러운 방법에 의한 유방 확대 효과가 얻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은, 피하 조직 형성의 촉진과 지방 세포에 있어서의 지방 합성을 촉진시켜, 유방의 지방 조직을 생성, 증가시킴으로써, 유방의 피하에 지방 조직의 축적, 증대를 도모하고, 자연스러운 방법에 의한 자기 조직의 회복, 용모의 회복이 얻어진다.
따라서, 유방 확대에 있어서는 안전한 수단에 의한 피하 조직 및/또는 피하 지방 조직의 증가 촉진에 의한 유방 확대용 조성물, 유방 확대 방법이 제공되는 점에서 본 발명의 산업상 이용성은 다대한 것이다.

Claims (13)

  1. 자기 유래의 혈장, 및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 인자 (b-FGF) 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피하 조직이 피하 세포 조직 및/또는 피하 지방 조직인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
  3.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추가로 지방을 함유한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지방이 지방 유제의 형태에 있는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지방 유제가 유지를 유화제의 존재하에서 유화시킨 수중유형 지방 유제인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
  6. 유방 확대를 위해 사용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을 피하에 주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하 조직 증가 촉진 방법.
  8. 제 6 항에 기재된 유방 확대용 조성물을 피하에 주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확대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하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하 조직 증가 촉진 조성물의 주입 유닛.
  10. 유방 확대를 위한, 자기 유래의 혈장, 및 염기성 선유아세포 증식 인자 (b-FGF)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방 확대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주입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추가로 지방을 함유한 주입 유닛.
  12. 제 11 항에 있어서,
    지방이 지방 유제의 형태에 있는 주입 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지방 유제가 유지를 유화제의 존재하에서 유화시킨 수중유형 지방 유제인 주입 유닛.
KR1020147023336A 2012-02-24 2013-02-21 피하 조직 및 피하 지방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 KR101835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38537 2012-02-24
JP2012038537A JP5186050B1 (ja) 2012-02-24 2012-02-24 皮下組織および皮下脂肪組織増加促進用組成物
PCT/JP2013/054324 WO2013125632A1 (ja) 2012-02-24 2013-02-21 皮下組織および皮下脂肪組織増加促進用組成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763A Division KR20160138322A (ko) 2012-02-24 2013-02-21 피하 조직 및 피하 지방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333A true KR20140126333A (ko) 2014-10-30
KR101835929B1 KR101835929B1 (ko) 2018-03-08

Family

ID=484814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763A KR20160138322A (ko) 2012-02-24 2013-02-21 피하 조직 및 피하 지방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
KR1020147023336A KR101835929B1 (ko) 2012-02-24 2013-02-21 피하 조직 및 피하 지방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763A KR20160138322A (ko) 2012-02-24 2013-02-21 피하 조직 및 피하 지방 조직 증가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849930B2 (ko)
EP (1) EP2818174B1 (ko)
JP (1) JP5186050B1 (ko)
KR (2) KR20160138322A (ko)
CN (1) CN104244960B (ko)
ES (1) ES2628066T3 (ko)
HK (1) HK1204448A1 (ko)
WO (1) WO20131256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7400B2 (ja) * 2013-12-31 2017-12-13 ペベエベ・エスア 身体再建及び身体成形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制御放出脂肪酸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8505047L (sv) * 1985-10-25 1987-04-26 Nutritional Int Res Inst Fettemulsion
JP3739555B2 (ja) * 1998-01-07 2006-01-25 株式会社カネボウ化粧品 脂肪合成促進剤および豊胸用皮膚外用組成物
JP2000302667A (ja) 1999-04-23 2000-10-31 Kobe Tennenbutsu Kagaku Kk 豊胸促進剤
US20020025340A1 (en) * 2000-08-30 2002-02-28 Dyer Wallace K.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issue augmentation
US20110009960A1 (en) * 2001-11-16 2011-01-13 Allergan, Inc. Prosthetic fabric structure
US7316822B2 (en) * 2003-11-26 2008-01-08 Ethicon, Inc. Conformable tissue repair implant capable of injection delivery
CA2610022A1 (en) * 2005-06-06 2006-12-14 Georgetown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ipo modeling
JP4893915B2 (ja) 2005-11-09 2012-03-07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移植材料
WO2007105600A1 (ja) * 2006-03-10 2007-09-20 Takiron Co., Ltd. インプラント複合材料
JP2008044890A (ja) 2006-08-17 2008-02-28 Yaizu Suisankagaku Industry Co Ltd 豊胸用組成物及び豊胸用飲食品
EP2076589B1 (en) * 2006-10-02 2017-02-22 Orthocell Limited A method of producing native components, such as growth factors or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through cell culturing of tissue samples for tissue repair
US8715653B2 (en) * 2006-11-21 2014-05-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odulation of Rhamm (CD168) for selective adipose tissue development
ATE487441T1 (de) * 2007-06-01 2010-11-15 Allergan Inc Gerät zur erzeugung des zugspannungsinduzierten wachstums von biologischem gewebe
JP2009235004A (ja) * 2008-03-27 2009-10-15 J Hewitt Kk 細胞組織増加促進方法及び肌問題改善方法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キット
US20100249924A1 (en) * 2009-03-27 2010-09-30 Allergan, Inc. Bioerodible matrix for tissue involvement
AU2009100401A4 (en) * 2009-04-30 2009-06-04 Gl Holdings Inc Bv Method of extracting and activating adipose-derived stem cells
JP5313064B2 (ja) * 2009-07-03 2013-10-09 株式会社ノエビア 中性脂肪蓄積促進剤、豊胸剤
IT1400069B1 (it) * 2010-05-20 2013-05-17 Tremolada Dispositivo e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tessuto, in particolare tessuto adiposo per trapianto ottenuto da materiale adiposo lobulare estratto tramite liposuzione
US8926963B2 (en) * 2010-08-19 2015-01-06 Allergan, Inc. Compositions and soft tissue replacement methods
CN102284082B (zh) * 2011-07-01 2014-03-26 董萍 一种可用于面部美容的皮下软组织填充定位纤维蛋白复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357263A (zh) * 2011-11-04 2012-02-22 董萍 一种可用于美容和美体的促自体外周前体脂肪细胞增殖和增大的复合诱导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929B1 (ko) 2018-03-08
WO2013125632A1 (ja) 2013-08-29
EP2818174B1 (en) 2017-03-22
HK1204448A1 (en) 2015-11-20
EP2818174A4 (en) 2015-11-04
US10849930B2 (en) 2020-12-01
CN104244960B (zh) 2018-11-13
JP2014131964A (ja) 2014-07-17
CN104244960A (zh) 2014-12-24
JP5186050B1 (ja) 2013-04-17
US20150004245A1 (en) 2015-01-01
KR20160138322A (ko) 2016-12-02
ES2628066T3 (es) 2017-08-01
US20210030792A1 (en) 2021-02-04
EP2818174A1 (en)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8226B2 (en) Method of soft tissue augmentation
Cervelli et al. Regenerative surgery: use of fat grafting combined with platelet-rich plasma for chronic lower-extremity ulcers
KR101738536B1 (ko) 모발 성장 촉진용 염기성 섬유모세포 생장인자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306954C (zh) 表皮生长因子在制备预防糖尿病肢端坏疽截肢的注射用药物组合物中的用途
KR20170088366A (ko) 혈소판 풍부 혈장(prp) 또는 골수 농축물(bmc)을 단독으로 혹은 히알루론산과 결합하여 조제하기 위한 새로운 표준화 및 의료장비
KR101940888B1 (ko) 체형 복원 및 체형 관리용 제어 방출 지방산 조성물
KR20190118155A (ko) 주사용 필러 및 콜라겐 성장을 위한 스캐폴드로 유용한 실리콘 수중유형 조성물
JP2009235004A (ja) 細胞組織増加促進方法及び肌問題改善方法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キット
Fulton Breast contouring with" gelled" autologous fat: A 10-year update
US20210030792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Increase in Subcutaneous Tissue and Subcutaneous Adipose Tissue
US20120171169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reventing, or alleviating bone or cartilage diseases
US20200030253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body conditions
US2015017417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and alleviation of bone and cartilage diseases or injuries and hair loss
CN102357263A (zh) 一种可用于美容和美体的促自体外周前体脂肪细胞增殖和增大的复合诱导剂及其制备方法
RU2297217C2 (ru) Способ оптимизации репаративной регенерации кости
CN101057823B (zh) 一种具有抗衰老及美容作用的复合生物制剂
Tolba et al. Initial experience of face augmentation using fat graft-platlet rich plasma mix
WO2019067942A1 (en) BIOACTIVE IMPLANTS AND METHODS OF MAKING
JP3652865B2 (ja) 乳酸縮合物の混合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CN113520991B (zh) 一种阻断瘢痕形成与逆向修复调节的纳米生物凝胶及其制备方法
KR20140049772A (ko)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659959C1 (ru) Состав препарата для коррекции дефектов кожи
Burgess Soft tissue augmentation
Brecht Breast Augmentation: Autologous Fat Transfer
CN117617500A (zh) 一种适用于术后恢复的功能型配方粉及其制备方法和用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62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123

Effective date: 201710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