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218A -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 Google Patents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218A
KR20140124218A KR20130041687A KR20130041687A KR20140124218A KR 20140124218 A KR20140124218 A KR 20140124218A KR 20130041687 A KR20130041687 A KR 20130041687A KR 20130041687 A KR20130041687 A KR 20130041687A KR 20140124218 A KR20140124218 A KR 20140124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heat insulating
pair
panel
insulat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6044B1 (ko
Inventor
박철균
황승식
최규홍
Original Assignee
(주)에코메이텍
황승식
최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메이텍, 황승식, 최규홍 filed Critical (주)에코메이텍
Priority to KR20130041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04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4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가벼우면서도 단열 효과가 높고 작업시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 단열패널의 양면인 한 쌍의 외부 마감재;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보강재;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 상기 보강재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의 간격을 유지시켜주고, 상기 단열재를 고정하는 간격유지기를 포함하고, 단열재로 알루미늄 등이 증착된 박막의 플라스틱 필름과 망사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단열재를 제작함으로써, 폴리우레탄을 이용하는 단열재에 비하여 경량화가 가능하면서도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이면서도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Panel for refrigerator-freezer}
본 발명은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벼우면서도 단열 효과가 높고 작업시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및 육가공 기타 저온에서의 보관이 필요로 하는 식품들은 냉동 및 냉장고에서 변질을 방지한다. 보통가정의 경우는 냉장고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대형 음식점 또는 중간 유통, 보관업체에서는 대형화된 냉장, 냉동 설비를 구비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냉장, 냉동 설비는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일정한 크기로 이루어진 단열 패널을 여러 개의 박스형태로 조립하고, 그 내부에 냉동 챔버를 형성한다.
냉장, 냉동 설비에 적용된 단열 패널에 대한 종래 기술이 하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 개시된다.
<특허문헌 1>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0678416호(2007.02.02. 공고)는 대형 냉동 냉장고용 단열 패널로서,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 그 일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타 측면에 형성된 체결부를 구비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양면에 접합되는 패널 부재를 포함한다. 아울러 고정부재의 돌출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부에 제1경사면과 밀착되게 형성된 제2경사면, 상기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밀착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와 체결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로 제작된 단열 패널은 패널들 간의 조립을 위해 형성되는 고정부재의 돌출부 및 체결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조립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공간부를 통해 냉기가 빠져나가지 않는 충분한 기밀구조를 확보하게 된다.
<특허문헌 2>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168014호(2000.02.15. 공고)는 냉동 캐비닛용 냉동 패널로서, 상하부 패널 부재의 테두리부에는 발포 성형된 고정부재가 각각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단열재가 발포 형성되고, 고정부재에는 서로 다른 냉동 패널과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부 및 체결 홈이 형성되어 여러 개가 박스 형태로 결합되어 내부에 냉동 챔버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로 제작된 냉동 패널은 단열 효과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특허문헌 3>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37928호(2008.01.08. 공고)는 냉장, 냉동용 패널 조립체로서, HIPS(High Impact Polystyrene)로 베이스부를 형성하여 강도가 증가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수지제의 밀폐 부재를 형성하여 밀폐성이 향상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0678416호(2007.02.02.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168014호(2000.02.1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37928호(2008.01.08. 공고)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단열패널은 철로 만들어진 시트형태의 외부 마감재와 외부 마감재 사이를 폴리우레탄으로 충진한 형태이므로, 패널의 두께가 두껍고, 무거워 설치가 불편하고, 냉동 및 냉장고 내부 용적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폴리우레탄은 건축용 단열재로 사용되는 스티로폼(Styrofoam) 대비 30% 정도 단열 효과가 뛰어나다. 하지만,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패널의 제품 두께인 150mm 또는 200mm인 제품은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양으로 인해 무거워 1인이 작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같은 용적의 건물에 있어 패널의 두께로 인해 내부 용적이 줄어드는 단점도 유발한다. 따라서 경량이면서도 단열효과가 우수한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 패널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벼우면서도 단열 효과가 높고 작업시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동 및 냉장창고용 패널에 적용하는 폴리우레탄 단열재를 다층박막을 적층한 단열재로 대체함으로써 단열 패널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기존 폴리우레탄 단열재 대비 더 우수한 단열 효과를 갖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층박막을 적층한 단열재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보강재 및 간격 유지기를 통해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패널의 모서리 마감재의 형상을 조립식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은 단열패널의 양면인 한 쌍의 외부 마감재;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보강재;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 상기 보강재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의 간격을 유지시켜주고, 상기 단열재를 고정하는 간격유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은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의 모서리를 마감하는 모서리 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서리 마감재는 다른 외부 마감재의 모서리에 구비된 결합 홈에 삽입하여 다른 외부 마감재와 결합하는 결합 돌기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마감재에 구비된 결합 돌기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결합 홈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 돌기의 내부에는 패널 조립부분의 단열 효과를 유지하기 위한 공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는 금속 및 플라스틱 시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재는 금속의 주조물 및 플라스틱 사출 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재는 트러스 패턴 및 다이아몬드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재는 알루미늄이 증착 또는 접착된 플라스틱 박막 필름, 플라스틱 박막 필름과 플라스틱 재질의 망사가 복수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재는 상기 플라스틱 박막 필름과 망사가 교호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막 필름을 적층하여 단열재로 사용함으로써, 가벼우면서도 단열 효과를 높이고 작업시 편리성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동 및 냉장 창고용 패널에 적용하는 단열재를 다층박막을 적층한 단열재로 대체함으로써 단열 패널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박막을 적층한 단열재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보강재 및 간격 유지기를 통해 제품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패널의 모서리 마감재의 형상을 조립식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 패널의 두께가 얇아 냉동 및 냉장 창고의 내부 용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어, 공간 효율성 향상을 도모해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의 조립 상태도.
도 2는 도 1의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의 부분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적용된 보강재의 트러스 패턴 형상도.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된 보강재의 다이아몬드 패턴 형상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의 조립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100)은 양단에 한 쌍의 외부 마감재(11)(12)가 구비된다. 여기서 한 쌍의 외부 마감재(11)(12)는 금속 및 플라스틱 시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11)(12)의 내측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재(30)가 부착된다. 상기 보강재(30)는 금속의 주조물 및 플라스틱 사출 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보강재(30)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러스 패턴이나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패턴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11)(12) 사이에는 단열재(50)가 구비된다. 상기 단열재(50)는 알루미늄이 증착 또는 접착된 플라스틱 박막 필름, 플라스틱 박막 필름과 플라스틱 재질의 망사(그물망)를 복수로 적층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플라스틱 박막 필름과 망사는 교호로 적층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보강재(30)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11)(12)의 간격을 유지시켜주고, 상기 단열재(50)를 고정하는 간격유지기(40)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간격 유지기(40)는 일 측 외부 마감재(예를 들어, 11)에 부착되는 보강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추후 단열재 제조시 타측 외부 마감재(12)에 부착되는 보강재에 형성된 삽입공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은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11)(12)의 모서리를 마감하는 모서리 마감재(2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모서리 마감재(20)는 다른 외부 마감재의 모서리에 구비된 결합 홈에 삽입하여 다른 외부 마감재와 결합하는 결합 돌기(21) 또는 상기 다른 외부 마감재에 구비된 결합 돌기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결합 홈(22)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상기 모서리 마감재(20)는 외부 마감재의 좌우 또는 상하에 구비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모서리 마감재(20)가 좌우에 구비된 것으로만 도시하였으나, 실제 모서리 마감재(20)는 좌우 이외에 상하에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쌍의 외부 마감재(11)(12)는 단열 패널(100)의 양면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금속 또는 플라스틱의 시트를 적용한다.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11)(12)의 내측에는 금속의 주조물 또는 플라스틱 등의 사출 물로 제작된 보강재(30)를 부착한다. 여기서 보강재(30)는 한 쌍의 외부 마감재(11)(12)에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 본딩 결합을 한다.
보강재(30)는 한 쌍의 외부 마감재(11)(12)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일정 강도 이상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제품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보강재(30)는 도 3a에 도시한 트러스 패턴 또는 도 3b에 도시한 다이아몬드 패턴을 갖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러스 패턴이나 다이아몬드 패턴은 평면상에 돌출된 형태로 제작된다. 여기서 외부 마감재(11)에 부착되는 보강재와 다른 외부 마감재(12)에 부착되는 보강재는 서로 대향 되도록 부착하거나 서로 어긋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간격 유지기(40)가 결합되는 보강재는 서로 대향되게 부착하고, 나머지 보강재는 서로 어긋나게 부착할 수도 있다.
보강재(30)를 외부 마감재(30)에 부착한 상태에서, 간격 유지기(40)의 일단을 일측 외부 마감재(예를 들어, 11)의 보강재(30)에 고정 장착한다. 여기서 간격 유지기(40)를 보강재(30)에 고정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컨대, 보강재(30) 제작시 간격 유지기(4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요철을 주어 억지 끼움 조립도 가능하며, 보강재(30)에 간격 유지기(40)를 본딩 결합 등으로 고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여기서 간격 유지기(40)는 금속의 주조물 또는 플라스틱의 사출 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쌍의 외부 마감재(11)(12)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외부 마감재(11)(12)가 형상을 유지하도록 해준다. 간격 유지기(40)는 단열 패널의 길이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 유지기(40)를 보강재(30)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간격 유지기(40)에 단열재(50)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여기서 단열재(50)는 기존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단열재에 비하여 무게를 줄이면서도 폴리우레탄 이상의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얇은 필름을 여러 층 적층하여 제작한다. 예컨대, 단열재(50)는 알루미늄이 증착되거나 접착된 플라스틱 등의 필름을 알루미늄 면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한 후 그 위에 플라스틱 재질의 망사(그물망)를 덧댄다. 그리고 망사 위에는 다시 플라스틱 필름을 적층한다. 이러한 과정 즉, 망사와 플라스틱 필름을 번갈아 적층한 후 패널의 두께에 따른 간격 유지기(40)의 단열재 두께만큼 적층하고 가장 위에 알루미늄이 증착되거나 접착된 플라스틱 박막 필름을 적층한다. 이때 맨 위에 마지막으로 적층되는 플라스틱 박막 필름은 알루미늄 면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작되는 단열재(50)에는 간격 유지기(40)에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뚫은 후 간격 유지기(40)에 끼워서 단열재(50)를 간격 유지기(40)에 고정한다.
이러한 방식은 단열재(50) 장착을 위한 별도의 구성부품을 제거하면서 전체적인 무게도 줄일 수 있으며,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제품의 가격도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간격 유지기(40)가 부착되지 않은 외부 마감재(예를 들어, 12)를 상기 외부 마감재(11)와 결합하여, 단품의 단열 패널(100)을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한 쌍의 외무 마감재(11)(12)의 결합 방식은 간격 유지기(40)의 일단을 외부 마감재(12)에 부착된 보강재(30)에 형성된 삽입 홈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작되는 단품의 단열 패널(100)을 실제 냉동 및 냉장 창고의 건축에 사용할 경우, 단열 패널(100)을 복수 개 조립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열 패널(100) 간을 상호 조립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단열 패널(100)의 모서리에 모서리 마감재(20)를 구비시킨다. 즉, 모서리 마감재(20)는 외부 마감재 사이의 모서리 공간에 대한 처리를 위해 사용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칭되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대칭 면에 요철을 주어 패널 사이의 조립을 원활하게 한다. 예컨대, 모서리 마감재(20)는 다른 단열 패널에 형성된 삽입 홈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 돌기(21) 또는 다른 단열 패널에 형성된 삽입 돌기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홈(22)으로 요철을 형성하고, 삽입 돌기와 대향되는 삽입 홈을 끼워 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하게 된다. 이로써 조립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크기에 따라 모서리 마감재의 좌우 또는 상하를 다른 외부 마감재와 결합하여 단열 패널을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재로 알루미늄 등이 증착된 박막의 플라스틱 필름과 망사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단열재를 제작함으로써, 기존 폴리우레탄을 이용하는 단열재에 비하여 경량화가 가능하면서도 전체적인 두께를 줄이면서도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냉동 식품이나 농산물을 장기 저장하기 위한 단열 패널 기술에 적용된다, 특히, 냉동 및 냉장 창고용 건축물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100… 단열 패널
11, 12… 외부 마감재
20… 모서리 마감재
30… 보강재
40… 간격 유지기
50… 단열재

Claims (8)

  1. 단열패널의 양면인 한 쌍의 외부 마감재;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보강재;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
    상기 보강재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의 간격을 유지시켜주고, 상기 단열재를 고정하는 간격유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의 모서리를 마감하는 모서리 마감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마감재는 다른 외부 마감재의 모서리에 구비된 결합 홈에 삽입하여 다른 외부 마감재와 결합하는 결합 돌기 및 상기 다른 외부 마감재에 구비된 결합 돌기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결합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외부 마감재는 금속 및 플라스틱 시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금속의 주조물 및 플라스틱 사출 물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트러스 패턴 및 다이아몬드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알루미늄이 증착 또는 접착된 플라스틱 박막 필름, 플라스틱 박막 필름과 플라스틱 재질의 망사가 복수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상기 플라스틱 박막 필름과 망사가 교호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KR20130041687A 2013-04-16 2013-04-16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KR101486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1687A KR101486044B1 (ko) 2013-04-16 2013-04-16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1687A KR101486044B1 (ko) 2013-04-16 2013-04-16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218A true KR20140124218A (ko) 2014-10-24
KR101486044B1 KR101486044B1 (ko) 2015-01-27

Family

ID=5199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1687A KR101486044B1 (ko) 2013-04-16 2013-04-16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156B1 (ko) 2020-04-23 2021-05-28 주식회사 삼원기연 대형 냉장·냉동고용 맞춤형 우레탄 단열패널 제조 장치와 그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우레탄 단열패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0511B2 (ja) * 1997-10-24 2007-01-17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断熱壁構造
JP4069079B2 (ja) 2004-01-08 2008-03-26 ダウ化工株式会社 冷凍または保冷車の収納庫
KR100613164B1 (ko) * 2004-12-29 2006-08-17 주식회사 젠트로 초저온용 단열패널
KR100827403B1 (ko) * 2006-11-28 2008-05-06 주식회사 삼우이앤아이 냉장 및 냉동창고의 조립식 패널 연결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044B1 (ko)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08294B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е изоляционных панелей
US2576208A (en) Refrigerator cabinet construction having heat exchange inner walls
JP2006242439A (ja) 冷蔵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90095006A1 (en) Refrigeration compartment including freezer section
RU2115071C1 (ru) Шкаф с поддерживаемой регулируемой температурой
JP2005114028A (ja) 真空パネル・断熱材積層断熱プレート
TWI727629B (zh) 冰箱
JP2005106311A (ja) 冷蔵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43634B1 (ko) 단열용 조립식 패널
US9687089B2 (en) Insulated foam panels for refrigerated display cases
KR101486044B1 (ko)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단열패널
JP2016037791A (ja) 遮熱及び断熱壁構造物の製造方法並びに遮熱及び断熱壁構造物
US20180259243A1 (en) Refrigerator
KR101519135B1 (ko) 냉장고
JP2006194258A (ja) 断熱パネルおよび断熱箱体
US20220341656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device
KR102134510B1 (ko) 냉동 및 냉장고 벽체용 샌드위치패널의 코너연결패널
JPH11159950A (ja) 冷蔵庫の断熱箱体
JP2014005997A (ja) 冷蔵庫
KR20110016171A (ko)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구조
JP2018151112A (ja) 組立式断熱箱体および冷却貯蔵庫
JP4229031B2 (ja) 断熱箱体
CN103502755A (zh) 隔热的壁
KR101135512B1 (ko) 냉동탑차용 진공 냉동패널 및 냉동박스
JP6482643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