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471A - 음악 생성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악 생성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471A
KR20140123471A KR1020147004526A KR20147004526A KR20140123471A KR 20140123471 A KR20140123471 A KR 20140123471A KR 1020147004526 A KR1020147004526 A KR 1020147004526A KR 20147004526 A KR20147004526 A KR 20147004526A KR 20140123471 A KR20140123471 A KR 20140123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usic
instrument
signal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제이. 섹스턴
매튜 씨. 섹스턴
Original Assignee
넥소베이션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소베이션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넥소베이션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2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2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guitar-like instruments with or without strings and with a neck on which switches or string-fret contacts are used to detect the notes being play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8Chord
    • G10H1/386One-finger or one-key chord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096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using a touch scree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 G10H2220/24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on touchscreens, i.e. keys, frets, strings, tablature or staff displayed on a touchscreen display for note input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45Special instrument [spint], i.e. mimicking the ergonomy, shape, sound or other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acoustic musical instrument category
    • G10H2230/155Spint wind instrument, i.e. mimicking musical wind instrument features; Electrophonic aspects of acoustic wind instruments; MIDI-like control therefor
    • G10H2230/171Spint brass mouthpiece, i.e. mimicking brass-like instruments equipped with a cupped mouthpiece, e.g. allowing it to be played like a brass instrument, with lip controlled sound generation as in an acoustic brass instrument; Embouchure sensor or MIDI interface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45Special instrument [spint], i.e. mimicking the ergonomy, shape, sound or other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acoustic musical instrument category
    • G10H2230/155Spint wind instrument, i.e. mimicking musical wind instrument features; Electrophonic aspects of acoustic wind instruments; MIDI-like control therefor
    • G10H2230/205Spint reed, i.e. mimicking or emulating reed instruments, sensors or interface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365Ergonomy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음악을 생성하기 위한 음악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입력부와,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음악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악 신호 생성기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입력부를 포함하고, 제2 신호는 음악 신호 생성기를 제어하고, 제2 입력부는, 키(key), 음(note) 및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버튼과, 범위 내에서 음표 및 음계(musical scale)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버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악 생성 장치, 방법 및 시스템{DEVICE,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MUSIC}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1년 7월 23일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No. 61/511,041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음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입력부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음악 장치는, 현악기, 목관 악기, 금관 악기 및 건반 악기를 포함한다.
전통적인 악기 및 전통적인 악기의 전자적 형태는 수 백년 동안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대부분의 전통적인 악기를 음악가로서 완전히 익히기 위하여는 높은 수준의 기술과 시간이 필요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그 전통적인 악기를 이전에 완전히 익힌 누군가로부터의 지도를 필요로 한다.
전통적인 악기를 연주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 및 방법은 수 백년 동안 사실상 변화되지 않은 채 유지되어 왔다. 수 세기 동안 상이한 기술과 솜씨가 사회에서 발달되어 왔으며, 과학 기술, 기술 세트 및 21세기의 사람들과 미래의 음악가의 경향에 맞춘 새로운 종류의 악기 및 음악가를 만드는 기회가 있다.
종래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전술하거나 다른 문제점, 불리한 점 및 단점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는 음악가 또는 작곡가가 종래의 악기에 비해 훨씬 더 짧은 시간에 그리고 더 적은 물리적 요건으로 음악을 연주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음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양태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입력부와,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음악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악 신호 생성기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입력부를 포함하는 음악을 생성하기 위한 음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2 신호는 음악 신호 생성기를 제어하고, 제2 입력부는, 키(key), 음(note) 및 코드(cho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버튼과, 범위 내에서 음 및 음계(musical scale)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양태는, 본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본체에 형성된 제1 입력부와,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음악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본체 내에 형성된 음악 신호 생성기와, 본체에 연결된 목부(neck)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입력부와, 음악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는 음악을 생성하기 위한 음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2 신호는 음악 신호 생성기를 제어하고, 제2 입력부는 키(key), 음(note) 및 코드(cho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버튼과, 범위 내에서 음 및 음계(musical scale)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양태는, 프로그래밍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와, 음악을 생성하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신호에 의해 프로그래밍 가능한 음악 장치를 포함하는 음악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악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입력부와,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음악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악 신호 생성기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입력부를 포함하고, 제2 신호는 음악 신호 생성기를 제어하고, 제2 입력부는 키(key), 음(note) 및 코드(cho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버튼과, 범위 내에서 음 및 음계(musical scale)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양태는, 음악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입력부로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음악 신호 생성기로 음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입력부로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신호는 음악 신호 생성기를 제어하고, 제2 입력부는 키(key), 음(note) 및 코드(cho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버튼과, 범위 내에서 음 및 음계(musical scale)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버튼을 포함한다.
고유의 신규한 특징으로, 본 발명은 음악가 및 작곡가가 종래의 악기에 비하여 음악 또는 음색 파라미터의 더 큰 변형을 허용하며, 음악가 및 작곡가가 종래의 악기에 비하여 훨씬 짧은 시간에 음악을 연주하는 것에 능숙하게 되게 할 수 있는 음악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하거나 다른 목적, 양태 및 이점은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어지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제1 입력부(160a)를 도시한다;
도 1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제1 입력부(160b)를 도시한다;
도 1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제1 입력부(160) 및 수용부(150a) 사이의 예시적인 연결을 도시한다;
도 1e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수용부(150b)에 연결된 현악기 입력 모듈(160c) 및 수용부(150c)에 연결된 목부(175)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1f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현악기 입력 모듈(160c)과 수용부(150b) 사이의 예시적인 연결을 도시한다;
도 1g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건반 악기 입력 모듈(160d)을 포함하는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1h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음악 장치(100)에서의 본체(110)의 하면(111a)과 목부(175)의 하면(111b)을 도시한다;
도 1i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본체(110)와 목부(175) 사이의 커넥터(191)를 도시한다;
도 1j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복수의 제1 버튼(135) 및 복수의 제1 버튼(135)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예를 들어, 목부(175)의 세로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버튼(138)을 갖는 목부(175)를 구비하는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1k 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수용부(150b)에 연결된 타악기 입력 모듈(160e)을 포함하는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다양한 구성을 갖는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음악 장치(350)를 포함하는 시스템(300)을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음악 장치(100) 내의 회로(365)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음악 생성 방법(400)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시스템(500)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기록 매체(600) 및 예시적인 기록 매체(602)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7f는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손가락 악기(701), 활(bow) 악기(702), 관악기(703), 페달(704), 다른 목부(705)의 상면도와 활(706)의 측면도이다;
도 8a 내지 8h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손가락 악기(701)의 상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손가락 악기(701)의 하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손가락 악기(701)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손가락 악기(701)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12a 내지 12h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활 악기(702)의 상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활 악기(702)의 하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활 악기(702)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활 악기(702)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활 악기(702)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활(1601)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17a 내지 17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관악기(703)의 상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관악기(703)의 하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관악기(703)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관악기(703)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관악기(703)의 관절형 목부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22a 내지 22f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악기(701, 702, 703)를 위한 발 페달(foot pedal) 인터페이스의 상면도, 하면도 및 4개의 측면도를 각각 도시하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a 내지 22f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를 도시한다
전통적인 음악 장치가 갖는 문제점은 장치는 장치를 완전히 익히는 것은 일반적으로 수년간의 훈련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수반한다는 것이다. 피아노 및 기타와 같은 전자 음악 악기(전통적인 음악 장치의 전자 버전)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 버전은 기본적으로 전통적인 악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모두 전통적인 음악 장치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연주된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예를 들어, 어코스틱(acoustic)) 기타에서와 같이, 전자 기타의 사용자는 정확한 코드를 잡고 정확한 스트링(string)을 칠 수 있어야 하며, 전통적인 피아노에서와 같이, 전자 피아노의 사용자는 음악 화음을 생성하기 위하여 정확한 건반을 누를 수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전통적인 악기에서와 같이, 전자 음악 장치를 완전히 익히는 것은 수년간의 훈련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수반한다.
또한, 전통적인 장치(예를 들어, 피아노)는 제한된 개수(예를 들어, 적은 개수)의 음(musical note)만을 연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피아노는 12개의 건반(예를 들어, 옥타브당)을 포함하며, 전통적인 기타는 단지 6개의 스트링만을 가진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k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음악 생성을 위한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음악 장치(100)는 사용자(예를 들어, 음악가 및 작곡가)가 종래의 악기에 비하여 훨씬 짧은 시간에 더 적은 물리적 요건으로 음악을 연주하는데 숙달되게 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입력부(160)와,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음악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악 신호 생성기(130)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입력부(170)를 포함하고, 제2 신호는 음악 신호 생성기(130)를 제어하며, 제2 입력부(170)는 키(key), 음(note) 및 코드(chord)(예를 들어, "C"의 키와 같은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버튼(135)(예를 들어, 터치 민감형 표면, 키, 노브(knob), 레버(lever), 페달, 스위치, 슬라이드 등)과, 범위 내의 음 및 음계(musical scale)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버튼(138)(예를 들어, 반음계(chromatic scale)로부터의 12개 음 중 하나와 같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 내에서 동작하기 위한 서브 모드)을 포함한다.
또한, 음악 장치(100)의 제2 입력부(170)는 복수의 제1 버튼(135)의 범위 변동 또는 음악 변수(musical variable)를 정의하기 위한 제3 복수의 버튼(139)과, 코드, 음조(pitch) 및 옥타브나 다른 주파수, 음색(tonal) 또는 음악 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기 위한 프로그래머블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4 버튼(P)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서, 현악기 입력 모듈(160c)이 제1 입력부(160)로서 도시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1 입력부(160)는 현악기 입력 모듈(160c),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관 악기 입력 모듈(160a),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목관 악기 입력 모듈(160b),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건반 악기 입력 모듈(160d) 또는 (도 1k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악기 입력 모듈(160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신호가 여기에서 음악 신호 생성기(130)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제2 신호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음악 신호 생성기(130)에 의해 생성되는 음악 신호를 조정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양태에서, 음악 장치(100)가 음악 신호 조정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입력부(170)로부터의 제2 신호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음악 신호 조정기를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음악 장치(100)에서, 복수의 제1 버튼 중 제1 버튼(135)이 음악 장치(100)를 위한 키/코드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C"에 대한 키), 복수의 제2 버튼(138) 중 제2 버튼(138)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코드 모드 내 반음계에서의 12개 음 중 하나로부터 음 하부 모드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수 있다(예를 들어, "G" 음).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현악기 입력 모듈(160c)에서 스트링을 뜯거나, 스트링을 퉁기거나, 스트링을 가로질러 활을 당긴다면, 음악 신호 생성기(130)는 현악기(예를 들어, 기타, 바이올린, 밴조 등)로부터 "C"에 대한 키에서 "G" 음(예를 들어, 완벽한 주파수를 갖는 "G" 음)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관 악기 입력 모듈(160a)의 마우스피스를 분다면, 음악 신호 생성기(130)는 금관 악기(예를 들어, 트럼펫, 튜바, 프렌치 호른 등)로부터 "C"에 대한 키에서 "G" 음(예를 들어, 완벽한 주파수를 갖는 "G" 음)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목관 악기 입력 모듈(160b)의 마우스피스를 분다면, 음악 신호 생성기(130)는 목관 악기(예를 들어, 클라리넷, 색소폰, 오보에 등)로부터 "C"에 대한 키에서 "G" 음(예를 들어, 완벽한 주파수를 갖는 "G" 음)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건반 악기 입력 모듈(160d)의 건반을 누른다면, 음악 신호 생성기(130)는 건반 악기(예를 들어, 피아노, 오르간 등)로부터 "C"에 대한 키에서 "G" 음(예를 들어, 완벽한 주파수를 갖는 "G" 음)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가 (도 1k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악기 입력 모듈(160e)의 헤드를 친다면, 음악 신호 생성기(130)는 타악기(예를 들어, 피아노, 오르간, 실로폰, 차임(chime), 벨 등)로부터 "C"에 대한 키에서 "G" 음(예를 들어, 완벽한 주파수를 갖는 "G" 음)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장치(100)는 본체(110) 및 본체(110) 내에 형성된 전자 모듈(예를 들어, 전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모듈은 음악 장치(100)의 동작과 프로그래밍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모듈은 음악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악 신호 생성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60) 및/또는 제2 입력부(17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장치(100)는 목부(neck)(175)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60) 및/또는 제2 입력부(170)도 목부(175)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 및/또는 목부(175)에서의 복수의 제1 및 제2 버튼(135, 138)의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버튼(138)은 복수의 제1 버튼(135)으로부터 세로 방향(예를 들어, 목부(175)의 세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대신에, 도 1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버튼(138)은 복수의 제1 버튼(135)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예를 들어, 목부(175)의 세로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j에서의 복수의 제1 및 제2 버튼(135, 138)의 배치는 본질적으로 금관 악기 또는 목관 악기와 같은 음악 장치(100)를 이용하는데 효율적이며, 이 경우에, 사용자는 왼손 및 오른손 모두로 목부(175)를 잡을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음악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140)(예를 들어, 스피커, 앰프, 녹음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본체(110)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향 생성기(예를 들어, 음악 신호 생성기(130)로부터의 음악 신호를 수신하는 스피커) 또는 외부 스피커로 음악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생성기는 음악 신호에 기초하여 현악기, 목관 악기, 금관 악기 및 건반 악기 중 하나 또는 이러한 악기들의 임의의 조합에 대응하는 음향(sound)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핵심 전자 장치 모듈, 처리 모듈 및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10)는 배터리 팩과 같은 전원(115) 또는 외부 전원(예를 들어, 직류 또는 교류의 표준 전원)에 대한 연결부(예를 들어, 전기 코드에 의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110)는 현악기, 목관 악기, 금관 악기 및 건반 악기 중 하나 또는 이러한 악기들의 임의의 조합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1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입력부(170)는 제1 입력부(160) 및/또는 제2 입력부(170)의 청각적 특징(aural feature)을 정밀 튜닝하기 위한 청각적 특징 설정 선택기(117)를 포함할 수 있다. 청각적 특징 설정 선택기(117)는 음악 장치(100)에 의해 연주될 키, 음, 코드, 음조, 음조류(pitch class), 음계 또는 옥타브를 정밀 튜닝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청각적 특징 설정 선택기(117)는 복수의 청각적 특징 설정 중에서 제2 입력부(170)에 대한 청각적 특징 설정을 선택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청각적 특징 설정 선택기(117)는 키 설정 설택기, 음 설정 선택기, 코드 설정 선택기, 음조 설정 선택기, 음조류 설정 선택기, 음계 설정 선택기 및 옥타브 설정 선택기와 같은 음악적 파라미터 또는 변수의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음악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트랜스시버(transceiver)(118a)와, 음악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와이어(예를 들어, 패러럴 케이블, 시리얼 케이블, 이더넷 케이블, 동축 케이블, HDMI 케이블 등)을 본체(110)에 연결하기 위한 포트(118b)(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패러럴 포트, 시리얼 포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118b)는, 음악 장치(100)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예를 들어, 템포를 설정하고 동기화하기 위하여) 음악적 표기, 음조, 속도, 파라미터(예를 들어, 볼륨, 비브라토, 오디오 패닝)에 대한 제어 신호, 큐 및 클록 신호에 관한 이벤트 메시지를 통신하기 위하여, 음악 장치 생성기(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도 1a에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 다이얼, 오디오 잭 등과 같은 추가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신호 생성기(130)(예를 들어, 전자 모듈)에 의해 생성된 음악 신호는,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포함할 수 있어, 앰프, 컴퓨터, 녹음 설비 및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의 특정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출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에 대한 상이한 출력 인터페이스를 허용한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음악적인 구성 요소(예를 들어, 노래의 음, 코드 및 멜로디, 복수의 제1 버튼 및 복수의 제2 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음악적 표기, 또는 가사, 리듬, 박자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본체(110)의 표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125)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25)는 사용자가 음악 장치(100)를 연주하는 동안 디스플레이 표면(125a)에 디스플레이된 음악적 구성 요소를 편리하게 읽을 수 있도록 본체(110)(예를 들어, 본체의 주 표면(main surface))로부터 돌출한 디스플레이 표면(125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25)는 도 1b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 가능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표면(125a)은, 사용자가 예를 들어 목관 악기로서의 음악 장치(100)를 연주하고 있는 경우에, 원하는 방향을 마주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현악기로서 음악 장치(100)를 연주하고 있는 경우에, 다른 방향을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장치(100)의 전자 모듈(예를 들어, 음악 신호 생성기를 포함하는 회로)은, 음악적 구성 요소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370)(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와 같은 고체 상태 메모리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25)가 음악적인 구성 요소를 디스플레이하게 하기 위하여 메모리 장치(370)를 액세스할 수 있는 마이크로컨트롤러(예를 들어, 아래의 도 3b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25)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본체(110) 상에 형성된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25)는 음악 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음악적 표기를 표시할 수 있다. 악보는, 코드/키를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악보, 코드/키 내의 음 및 음의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음악 장치(100)로, 사용자는 보표(nusical staff), 온음표(whole note), 4분 음표(quater note), 쉼표 등과 같은 전통적인 음악적 표기를 알 필요가 없으며, 디스플레이는 이러한 음악적 표기를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25) 상에 디스플레이된 음악적 표기는 코드/키, 코드/키 내의 음 및 음의 길이만을 포함하여도 된다.
또한, 본체(110)는 복수의 모드 중에서 음악 장치(100)의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예를 들어,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설정 스위치(119)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장치가 외부 장치(예를 들어, 무선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해, 또는 포트(118b)를 통한 와이어에 의해 음악 장치(100)에 연결된 컴퓨터)에 의해서 또는 본체(110) 상에 형성된 키보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와 같이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프로그래밍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25)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고, 키보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25)의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음악 장치(100)는 왼손 연주 모드, 오른손 연주 모드, 어코스틱 악기 모드, 전기/전자 악기 모드 및 어코스틱/전자 하이브리드 악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제1 입력부(16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50a, 150b, 150c)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a 내지 1c 참조). 제1 입력부(160)는 본체(110)에 고정(예를 들어,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구에 의해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본체(110)의 수용부(150a, 150b, 150c)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예를 들어, 본체(110)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입력부(170)도 본체(110)에 고정(예를 들어,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구에 의해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본체(110)의 수용부(미도시)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예를 들어, 본체(110)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음악 신호 생성기(130)에 의해 생성된 음악 신호는 출력부(140)(예를 들어, 음향 생성기, 스피커, 앰프, 음악 신호를 외부 스피크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에 의해 수신되어 출력부(140)가 전통적인 악기의 음향을 시뮬레이션하는 음향(예를 들어, 코드, 음, 음조와 같은 음향)을 생성하게 할 수 있으며, 전통적인 악기가 생성할 수 없는 추가적인 음향(예를 들어, 트럼펫과 피아노의 조합 음향과 같은 하이브리드 음향)도 생성할 수 있다. 더욱 특별하게는, 음악 장치(100)는 활로 연주되는 스트링, 목관, 금관, 키보드 및 기타의 전통적인 악기 카테고리에서의 하이브리드의 전통 및 전자, 아날로그 및 디지털 악기나, 전통적인 악기와는 근본적으로 상이한 완전한 디지털 입력 악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음악 장치(100)는 음색, 및 음향 변형을 생성하는 새로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디자인, 속성 및 방법 때문에, 음악 장치(100)는 더욱 인체공학적으로, 육체적으로 덜 힘들고, 인간의 손 크기, 손가락 세기, 팔 길이, 폐활량 및 신체적 특성이 더 크게 변동되어도 개인별로 더욱 쉽게 연주될 수 있다. 음악 장치(100)는 전통적인 악기에 비하여 음악에 대한 더 쉬운 학습, 연주, 작곡 및 공연을 용이하게 하며, 이는 더 넓은 범위의 나이, 육체적 편차 및 경험 레벨의 더 많은 장래의 음악가 및 작곡가를 가능하게 한다.
음악 장치(100)는 원하는 코드, 음, 음조 또는 다른 변형을 부적절하게 연주하는 가능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고, 음악가와 작곡가가 쉽고 훨씬 더 짧은 기간에 음악을 연주하는데 숙달되게 하여,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음악을 자유롭게 창작, 작곡, 연주, 공연 및/또는 공유하는데 초점을 맞추게 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음악 장치(100)는 음악을 생성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키, 음, 코드, 음조 또는 음조류, 음계 및 옥타브의 음악적 파라미터(음색 또는 음향)를 실시간으로(예를 들어, 그때 그때(on the fly)) 변경하게 할 수 있다. 음악 장치(100)는 현악기(예를 들어, 기타, 바이올린, 첼로 등), 목관 악기, 금관 악기 및 건반 악기의 전통적인 카테고리에서의 일련의 전자식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기계 지능형" 하이브리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악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음악 장치(100)는 키, 음, 코드, 음조 또는 음조류, 음계 및 옥타브의 음악적 파라미터(예를 들어, 음악적이거나 음색에 대한)를 변경하기 위하여 입력 컴포넌트, 키, 스위치, 버튼, 현 또는 터치 민감형 구역의 상이한 조합 또는 변형을 이용할 수 있다(예를 들어, 고정되거나 제거 가능한 목부에서). 음악 장치(100)는 현악기(예를 들어, 기타, 바이올린, 첼로 등), 목관 악기, 금관 악기 및 건반 악기의 전통적인 악기 카테고리를 에뮬레이션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음악 장치(100)는 전통적인 악기 또는 종래의 전자 악기(예를 들어, 전자 기타 또는 전자 피아노와 같은 신디사이즈 악기)에 의해 가능하지 않은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음악 장치(100)는 음색 키들, 음들, 옥타브들, 음조들 또는 음색 키, 음 또는 임의의 음향 변형 및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변경하고, 종료하는 공통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음악 장치(100)로, 음악가(예를 들어, 초보 음악가)는 이러한 상이한 악기들을 악기들 사이의 공통성 및 방법을 이용하여 더욱 용이하고 빠르게 학습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제2 입력부(170)는 터치 민감형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버튼(135)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등을 위하여 제1 버튼(135)의 위치에서 제2 입력부(170)의 터치 민감형 표면을 터치할 수 있다. 특히, 터치 민감형 표면은 복수의 제1 버튼(135), 복수의 제2 버튼(138) 및 복수의 제3 버튼(139)과 복수의 제4 버튼(P)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버튼(135)에 대응하는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등을 위하여 제1 버튼(135)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서 제2 입력부(170)의 터치 민감형 표면을 터치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60)는 금관 악기의 구조 요소(예를 들어, 금관 악기 마우스피스), 목관 악기의 구조 요소(예를 들어, 목관 악기 마우스피스), 현악기의 구조 요소(예를 들어, 현악기의 스트링) 또는 건반 악기의 구조 요소(예를 들어, 피아노 건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60)는, 라우드니스(loudness), 지속 시간, 위치 변동, 속도, 압력, 리듬, 퉁기는 패턴-건반을 치는 패턴-활을 켜는 패턴-부는 패턴, 피치 벤드, 비브라토, 트레몰로, 소리를 줄이는 것, 현을 뜯는 것, 철썩 치는 것 및 윙윙거리는 것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음향 생성 입력 파라미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서 현악기 입력 모듈(160c)의 스트링을 더 강하게 뜯는 것으로, 사용자는 음악 신호 생성기(130)가 더 큰 음향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를 생성하게 할 수 있으며, 도 1a에서 현악기 입력 모듈(160a)의 스트링을 더 부드럽게 뜯는 것으로, 사용자는 음악 신호 생성기(130)가 더 작은 음향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를 생성하게 할 수 있으며, 도 1b에서 금관 악기 입력 모듈(160a)에서 더 강하게 부는 것(예를 들어, 증가된 공기 압력, 속도 등)으로, 사용자는 음악 신호 생성기(130)가 더 큰 음향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를 생성하게 할 수 있으며, 관현 악기 입력 모듈(160a)에서 더 부드럽게 부는 것(예를 들어, 증가된 공기 압력, 속도 등)으로, 사용자는 음악 신호 생성기(130)가 더 작은 음향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제2 입력부(170)는 임의의 종래의 어코스틱 또는 전자(예를 들어, 신디사이즈) 음악 장치(예를 들어, 악기)와 근본적으로 상이할 수 있는 음향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그리고/또는 조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제2 입력부(170)의 제1 복수의 버튼(135)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파라미터는, 키 A 내지 G(배음 중심(harmonic center) 또는 으뜸음(tonic) 포함), 코드(장조, 단조, 샵(sharp), 플랫(flat), 감음(diminished), 증음(augemented), 슬래시(slash), 파워(power), 딸림음(diminant)을 포함), 음조(고조파(hrmonics), 주파수 포함) 및 옥타브(12개 반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복수의 버튼(138)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파라미터는 음계(반음계(chromatic), 온음계(whole tonic), 5음 음계(pentatonic), 감음계(diminished), 전음계(diatonic), 임시음(accidental)을 포함) 및 음을 포함한다.
제3 복수의 버튼(P)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파라미터는 효과(악센트(accent), 서스테인(sustain), 왜곡(distortion), 강약법(dynamics), 필터, 변조, 시간 의존(time-based), 반향(reverb), 피드백을 포함)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4 버튼(P)은,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버튼(135)의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키/코드의 정밀 조정을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 대신에, 복수의 제4 버튼(P)은 악센트, 서스테인, 왜곡, 강약법, 필터, 변조, 시간 의존, 반향 및 피드백과 같은 다른 효과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중요하게는, 복수의 제1, 제2 제3 및 제4 버튼(135, 138, 139, P)은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래밍 가능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의 고유 요구에 음악 장치(100)가 커스터마이징되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C"의 키만으로 음악을 연주한다면, 사용자는 다른 복수의 제1 버튼(135)으로부터 다른 키(예를 들어, D, E, F 등)를 제거하도록 음악 장치(100)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나머지 복수의 제1 버튼(135)은 일부 다른 용도(예를 들어, 악센트, 서스테인, 왜곡, 강약법, 필터, 변조, 시간 의존, 반향 및 피드백과 같은 효과)로 전용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또한, 음악 장치(100)의 설정은 한 명 이상의 사용자를 위해 메모리 장치(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37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연주자는 자신의 설정(예를 들어, 제1 입력부 설정, 제2 입력부 설정 등)을 포함하도록 음악 장치(100)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으며, 제2 연주자는 자신의 설정을 포함하도록 음악 장치(100)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 연주자는 모드 설정 스위치(119)를 이용하여 음악 장치(100)가 제1 연주자의 설정으로 설정되는 경우인 제1 연주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2 연주자는 모드 설정 스위치(119)를 이용하여 음악 장치(100)가 제2 연주자의 설정으로 설정되는 경우인 제2 연주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장치(100)는, 복수의 제1 버튼(135)이 제1의 7개 서브 부분(예를 들어, 본체로부터 가장 먼 7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이것들이 주요(음조, 악기 곡조의 키) 또는 보조(연주되는 음악 또는 음향의 키 또는 메이저 코드) 키 A 내지 G 입력이 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4 버튼(P)은 세로 방향으로 복수의 제1 버튼(135)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코드, 음조 및 옥타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변형에 대하여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버튼(138)은 세로 방향으로 복수의 제4 버튼(P)에 인접할 수 있으며, 선택된 키(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버튼(135)의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 반음계 또는 12개의 옥타브 반음에서의 독주 음 연주에 대하여 프로그래밍되는 12개의 입/출력 서브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3 버튼(139)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부(175)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3 버튼(139)은,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버튼(135)의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키/코드의 정밀 조정을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악 장치(100)가 "C"의 키와 "D"의 키 사이에 있는 "키"로 연주하게 하도록 제3 버튼(139)을 터치할 수 있다. 이 대신에, 복수의 제3 버튼(139)은 악센트, 서스테인, 왜곡, 강약법, 필터, 변조, 시간 의존, 반향 및 피드백과 같은 다른 효과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음악 장치(100)로, 사용자가 C 코드를 선택하면, 음악 신호 생성기(130)는 사용자의 음악적 능력, 경험 및 재능에 관계없이, C 코드 섹션 내의 배치에 관계 없이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힘에 관계없이, 완벽한 C 코드를 생성하도록 음악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C 코드로부터 Am7 코드로 전환하고 입력 시컨스가 정확하다면, 다시 사용자의 음악적 능력, 경험 및 재능에 관계없이 그리고 Am7 코드 섹션 내의 배치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힘에 관계없이, 음악 신호 생성기(130)는 완벽한 Am7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독주 음 섹션에서 동작하도록 복수의 제2 버튼(138)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버튼의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음악 신호 생성기가 반음계의 12개 변형 내의 음을 생성하여 연주되게 할 수 있고, 더하여, 음은 복수의 제1 버튼(135) 중 하나를 터치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키/코드에 완벽하게 기초할 수 있다. 요약하면, 사용자에 의해 연주되는 각각의 변형은 음색적으로 그리고 음악적으로 완벽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장치(100)의 제1 및 제2 입력부(160, 170)는 사용자의 고유 희망에 대하여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악 신호 생성기(130)가 각각 음 C(예를 들어, 반음계에서 C4), C#, D, D#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즉, 각각 261.63 Hz, 277.18 Hz, 293.67 Hz 및 311.13 Hz의 주파수를 갖는 음향)를 생성하게 하도록 복수의 제2 버튼(138)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C, C#, D 및 D#를 포함하는 제1 설정을 갖도록 음악 장치(100)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이 대신에, 사용자는 일부 상황에서, 음악 장치(100)의 특정 부분(예를 들어, 음)을 "불협화음으로(out of tune)" 또는 "곡조가 안 맞게(off key)" 연주하기 원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복수의 제2 버튼(138)의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져서 음악 신호 생성기(130)가 음계의 음의 주파수가 아닌(예를 들어, C, C#, D 및 D#가 아닌) 음향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를 생성하게 하도록 제2 설정을 가지게 음악 장치(100)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버튼(138)의 하나의 제2 버튼이 눌러져서 261.63 Hz 내지 277.18 Hz 사이의 주파수를 갖는 음향을 생성할 수 있고, 복수의 제2 버튼(138)의 다른 제2 버튼이 눌러져서 277.18 Hz 내지 293.67 Hz 사이의 주파수를 갖는 음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제1 및 제2 버튼(135, 138)의 설정을 실시간으로 "변경하기(tweak)" 위하여(예를 들어, "그때 그때" 설정을 조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제3 버튼(139) 중 하나의 제3 버튼이나 복수의 제4 버튼(P) 중 하나의 제4 버튼을 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설정을 연주(예를 들어, 음 C, C#, D 및 D#를 연주)할 수 있고, 제2 설정으로 변경하기 위하여(예를 들어, 음 C, C#, D 및 D#가 아닌 것을 연주하기 위하여) 복수의 제3 버튼(139) 중 하나의 제3 버튼이나 복수의 제4 버튼(P) 중 하나의 제4 버튼을 터치할 수 있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도 1b는 수용부(150a)에 연결된 금관 악기 입력 모듈(160a)(예를 들어, 금관 악기 마우스피스) 형태의 제1 입력부(1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음악 장치(100)를 도시하고, 도 1c는 수용부(150a)에 연결된 목관 악기 입력 모듈(160b)(예를 들어, 목관 악기 마우스피스) 형태의 제1 입력부(1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입력 모듈(160a)은 종래의 금관 악기(예를 들어, 프렌치 호른, 트럼펫, 트롬본 및 튜바)의 마우스피스와 유사한 형상과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입력 모듈(160b)은 종래의 목관 악기(예를 들어, 바순, 클라리넷, 플루트, 오보에 및 색소폰, 하모니카, 백파이프 등)의 마우스피스와 유사한 형상과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1 입력부(160)는 왼손 또는 오른손 지정, 전통적인 악기 에뮬레이션 종류, 전화(electrification) 또는 비전화(non-electrification), 조명(lighted) 또는 비조명(non-lighted)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음악 장치(100)의 여러 파라미터를 인식하기 위하여 음악 장치(100)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내부에 임베디드된 지능부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d는 본체(110)의 수용부(150a)와 금관 악기 입력 모듈(160a)(예를 들어, 제1 입력부(160)) 사이의 예시적인 연결을 도시한다.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모듈(160a)(예를 들어, 제1 입력부(160))은 금속 콘택(161)과 체결 구조(예를 들어, 스냅(snap), 클립, 클램프, 스크류, 홀 등)의 제1 부분(162)을 포함하고, 수용부(150a)는 금속 콘택(161)과 접속하여 금관 악기 입력 모듈(160a)과 수용부(150a)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완성하는 금속 콘택(151)을 포함한다.
또한, 금속 콘택(151, 161)은 본체(110)의 전원(115)으로부터 금관 악기 입력 모듈(160a)로 전력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160a)은 금속 콘택(169)를 포함하고, 수용부(150a)는 입력 모듈(160a)에 생성된 제2 입력 신호를 본체(110)로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금속 콘택(158)을 포함한다.
도면은 단지 예시적이며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즉, 제1 입력부(160)와 수용부(150a)는 본체(110)로부터 제1 입력부(160)로 전력을 전송하고 제1 입력부(160)로부터 본체(110)로 제2 입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임의의 개수의 금속 콘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165)(예를 들어, 필터, 증폭기 등)의 일부가 제1 입력부(160) 대신에 본체(110)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또한, 수용부(150a)는 금관 악기 입력 모듈(160a)을 본체의 수용부(150a)에 고정적으로 그리고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제1 부분(162)과 접속하도록 구성된 체결 구조(예를 들어, 스냅, 클립, 클램프, 스크류, 홀 등)의 제2 부분(152)(예를 들어, 연결부(152))을 포함한다.
또한, 도 1d는 금관 악기 입력 모듈(160a) 내에서 입력을 감지하고 전송하기 위한 회로(165)를 도시한다. 회로(165)는 금속 콘택(161)에 연결되어 입력 모듈(160a) 내의 압력을 감지하고 압력을 나타내는 전류를 생성하는 압력 트랜스듀서(transducer)(164a)와, 트랜스듀서(164)로부터의 전류를 제2 입력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처리 회로(164b)를 포함한다.
압력 트랜스듀서(164a)는, 예를 들어, 입력 모듈(160a)의 홀(165)(예를 들어, 도 1b 참조)로 사용자가 부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 모듈(160a)(예를 들어, 마우스피스) 내부의 압력을 변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160a)은 공기가 입력 모듈(160a)을 빠져나가게 할 수 있는 다른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홀(165) 내로 분다. 압력 트랜스듀서(164a)는 입력 모듈(160a) 내부의 압력에 응답하여 커패시턴스, 저항 및 인덕턴스 중 하나에서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트랜스듀서는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압력 모듈(160a) 내부의 압력이 캐패시터의 플레이트를 다른 플레이트로 더 가까이 밀어,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에서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거나, 또는 압력 트랜스듀서(164a)는 다이아프램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를 포함할 수 있고 압력이 다이아프램을 왜곡시켜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에서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목관 악기 입력 모듈(160b)의 구조와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금관 악기 입력 모듈(160a)의 구조와 동작에 유사할 수 있다.
도 1e는 수용부(150c)에 연결된 현악기(예를 들어, 기타의 목부)를 위한 목부(175)(예를 들어, 기타 목부, 바이올린 목부 등에 유사)를 포함도록 구성된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력부(170)가 목부(17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입력부(160)와 유사하게, 목부(175)는 체결 구조(예를 들어, 스냅, 클립, 클램프, 스크류 등)의 제1 부분(162)과 금속 콘택(161)을 포함하고, 수용부(150c)는 금속 콘택(161)과 접속하여 목부(175)와 수용부(150c)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완성하는 금속 콘택(151)을 포함한다. 또한, 수용부(150c)는 목부(175)를 본체(111)의 수용부(150c)에 고정적으로 그리고 분리 가능하게(예를 들어, 그리고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제1 부분(162)과 접속하도록 구성된 체결 구조(예를 들어, 스냅, 클립, 클램프, 스크류 등)의 제2 부분(152)을 포함한다.
본체(110)에 유사하게, 목부(175)는 코어 전자 장치 모듈, 처리 모듈 및 인터페이스 모듈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부(175)는 배터리팩 또는 외부 전원(예를 들어, 표준 AC 또는 DC 전원)으로의 연결부(예를 들어, 전기 코드에 의한)와 같은 전원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목부(175)는 현악기, 목관 악기, 금관 악기 및 건반 악기 중 하나에 대응하도록 음악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목부(175)는 왼손 또는 오른손 지정, 전통적인 악기 에뮬레이션 종류, 전화 또는 비전화, 조명 또는 비조명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음악 장치(100)의 여러 파라미터를 인식하기 위하여 음악 장치(100)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내부에 임베디드된 지능부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부(175)의 서브 부분(175)(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및 제2 버튼(135, 138))은, 예를 들어, 복수의 프렛(fret) 에뮬레이터(177)(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및 제2 버튼(135, 138)을 분리하는 선으로서 도 1e에 도시된 것)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프렛 에뮬레이터(177)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목부(175)의 표면 상에 돌출된 표면 또는 (예를 들어, 목부(175) 내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조명될 수 있는) 조명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목부(175)는 복수의 청각적 특징 설정 중에서 제1 입력부(및, 예를 들어, 후술되는 다른 입력부)를 위한 청각적 특징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청각적 설정 선택기를 포함할 수 있고, 청각적 특징 설정 선택기는, 키 설정 선택기, 음 설정 선택기, 코드 설정 선택기, 음조 설정 선택기, 음계 설정 선택기 및 옥타브 설정 선택기 중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목부(175)는, 스위치, 다이얼, USB(Universal Serial Bus) 패러럴 포트 및 시리얼 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 오디오 잭, 무선 전송기 등과 같은 출력부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목부(175)는 수용부(150a) 또는 수용부(150c)에 연결될 수 있고, 이는 사용자가 주로 왼손을 사용하는 악기 또는 주로 오른손을 사용하는 악기로서 음악 장치(100)를 구성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음악 장치(100)가 왼손 모드 또는 오른손 모드로 배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음악 장치(100)는 왼손 사용 또는 오른손 사용 모두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부(175)는, 목부(175)의 주 표면(예를 들어, 본체(110)의 주 표면과 동일 평면상의 표면)상에 형성된 터치 민감형 입/출력 구역(176), 주 표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프렛 에뮬레이터(177) 및 목부(175)의 측부상에 형성될 수 있는 다른 입력 구조(예를 들어, 스위치, 키, 버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목부(175)는 수용부(179) 및 수용부(179)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로고(190)를 포함할 수 있다. 로고(190)는 도 1f에 대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용부(179)에 연결될 수 있다. 로고(190)는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할 수 있으며, 교체 가능할 수 있으며, 전자식이거나 비전자식일 수 있으며, 전기가 통할 수 있고(예를 들어, 조명 또는 다른 전기가 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하여), 개인화된 식별자일 수 있고, 표준 또는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로고 또는 형상일 수 있다. 로고(190)는 왼손 또는 오른손 지정, 전통적인 악기 에뮬레이션 종류, 전화 또는 비전화, 조명 또는 비조명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음악 장치(100)의 여러 파라미터를 인식하기 위하여 음악 장치(100)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내부에 임베디드된 지능부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고(190)에는, 로고(190)와 목부(175) 사이에 "핸드쉐이크(handshake)"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로, 음악 장치(100)의 전자 모듈이 로고(190)가 목부(175)에 제대로 연결되어 제대로 동작하도록 로고(190)의 인식된 핸드쉐이크 서명(handshake signature)을 검출하기 위하여 필요할 수 있다. 음악 장치(100)의 다른 특징들(예를 들어, 목부(175), 금관 악기 입력 모듈(160a) 등)도 이러한 핸드쉐이크 서명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력부(170)에 더하여(또는 제2 입력부(170) 대신에), 목부(175)는 터치 민감형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터치 민감형 표면은 음악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음악 신호 생성기(13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특징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예를 들어, 터치 민감형 표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부(175) 상의 터치 민감형 표면은 복수의 제1 버튼(135), 복수의 제2 버튼(138) 및 복수의 제4 버튼(P)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제2 입력부(170)와 유사하게). 즉,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버튼(135)에 대응하는 제2 입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1 버튼(135)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목부(175)의 터치 민감형 표면을 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부(160)도 현악기(예를 들어, 기타)의 다른 구조 요소로서 현악기 입력 모듈(160c)을 포함할 수 있다. 현악기 입력 모듈(160c)은 도 1d에 대하여 전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본체(110)상의 수용부(150b)에 연결될 수 있다(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f 참조).
또한, 제1 입력부(160)(예를 들어, 금관 악기 입력 모듈(160a), 목관 악기 입력 모듈(160b), 현악기 입력 모듈(160c) 및 건반 악기 입력 모듈(160d))은 전자적 특징 및 전통 어코스틱 특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입력부(160)가 어코스틱 모드로 동작하게 하여 음악 신호 생성기(130)가 어코스틱 악기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를 생성하게 하는 어코스틱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모드 설정 스위치(119)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현악기 입력 모듈(160c)이 본체(110)에 연결되고 어코스틱 모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음악 신호 생성기(130)는 어코스틱 기타, 어코스틱 바이올린 등에 대응하는 음악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현악기 입력 모듈(160c)의 어코스틱 특징부는, 예를 들어, 모듈(160c)의 스트링에 연결된 음향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음향을 증폭하여 어코스틱 기타의 음향을 생성하는 사운드 보드(예를 들어, 본체(110)의 앞 부분에 장착된 나무 조각)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e의 음악 장치(100)에서, 전자 모듈의 음악 신호 생성기(130)는 제2 입력부(170)에 의해 생성된 제1 입력 신호와 현악기 입력 모듈(160c)에 의해 생성된 제2 입력 신호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음악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대신에, 목부(175)는 그 위에 형성된 제3 입력부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음악 신호 생성기(130)는 제2 입력부(170)에 의해 생성된 제1 입력 신호, 현악기 입력 모듈(160c)에 의해 생성된 제2 입력 신호 및 목부(175)에 형성된 제3 입력부로부터의 제3 입력 신호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음악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입력 모듈(160c)에 연결된 비브라토 레버(예를 들어, 와미 바(whammy bar))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입력 모듈(160c)에서의 스트링의 장력 그리고 가끔 스트링의 길이를 빠르게 변경할 수 있게 하여 비브라토, 포르타멘토(portamento) 또는 피치 벤드 효과를 생성하도록 음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f는 수용부(150b)에 연결될 현악기 입력 모듈(160c)의 하면에 대한 상세도를 도시한다. 현악기 입력 모듈(160c)은 복수의 스트링(166)(예를 들어, 금속 스트링)(예를 들어, 도 1e 참조)과 제2 입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전기 회로(165)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스트링(166)은 제2 입력 신호를 전자적으로 생성하도록 복수의 스트링(166)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회로(165) 내의 센서(16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d에서의 금관 악기 입력 모듈(160a)에 유사하게, 현악기 입력 모듈(160c)은 금속 콘택(161)과 체결 구조(예를 들어, 스냅, 클립, 클램프, 스크류 등)의 제1 부분(16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160c)은 금속 콘택(169)을 포함하고, 수용부(150a)는 제1 입력부(160)에서 생성된 제2 입력 신호를 본체(110) 내의 출력부(140)에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금속 콘택(159)을 포함한다.
현악기 입력 모듈(160c) 내의 회로(165)는 종래의 전기 기타에서의 회로와 유사하다. 예를 들어, 센서(167)는 현악기 입력 모듈에서의 스트링 아래에 장착된 자석 픽업(pickup)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 픽업은 코일이 둘러싸인 막대 자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진동하는 스트링은 자석의 자기장에서 대응하는 진동을 생성하고 따라서 코일 내의 진동하는 전류를 생성한다.
또한, 현악기 입력 모듈(160c)은 코일 내에 생성된 전류를 제2 입력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신호 처리 회로(168)(전통적인 전기 기타 처리 회로와 유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168)는 제1 입력 신호의 톤(tone)을 조정하기 위한 가변 저항과, 고주파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로우 패스 필터와, 제2 입력 신호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한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g는 제2 입력부(170), 목부(175) 및 건반 악기 입력 모듈(160d)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1g의 음악 장치(100)에서, 음악 신호 생성기(130)(예를 들어, 전자 모듈)는 제2 입력부(170)에 의해 생성된 제1 입력 신호와 건반 악기 입력 모듈(160d)에 의해 생성된 제2 입력 신호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음악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건반 악기 입력 모듈(160d)은 도 1f에서의 회로(165)와 유사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60d)은 종래의 디지털 피아노, 전기 피아노 또는 전자 피아노에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2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피아노로서 구성되면, 입력 모듈(160d)은 디지털 방식으로 샘플링된 음향 신호를 생성하고 가중치가 주어진 키 동작이 어코스틱 피아노의 동작을 모방하도록 키를 구비함으로써 어코스틱 피아노를 연주하는 느낌과 음향을 복제할 수 있다. 전기 피아노로서 구성되면, 입력 모듈(160d)은 진동하는 금속 틴(tine) 또는 스트링과, 스트링의 진동을 검출하기 위한 픽업(예를 들어 전기 기타에서와 같이)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피아노로서 구성되면(예를 들어, 전자 키보드), 입력 모듈(160d)은 컴퓨터 생성 사운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모듈(160d)의 키보드 상의 선택된 건반에 기초하여 컴퓨터 생성 사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입력부(170) 및 목부(175)와 유사하게, 수용부(150a)는 현악기, 목관 악기, 금관 악기 또는 건반 악기의 구조 요소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터치 민감형 표면(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는 구조 요소에 대응하는 제2 입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조 요소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서 터치 민감형 표면을 터치할 수 있다.
도 1h는 본체(110)의 배면(111a)(예를 들어, 수용부(150b)가 형성된 본체(110)의 주 표면에 대향하여 형성된 평평한 표면)과 목부(175)의 배면(111b)을 도시한다. 도 1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개구(112a)(예를 들어, 액세스 도어, 패널 등)가 배면(111a)상에 형성될 수 있고, 액세스 개구(112b)가 목부(175)의 배면(111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개구(113a)가 본체(100)의 측면상에 형성될 수 있고, 액세스 개구(113b)가 목부(175)의 측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장치(100)의 내부 전자 장치, 보드, 시스템 및 주변 장치는 액세스 개구(112a, 112b, 113a, 113b)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다.
도 1i는 목부(175)를 본체(100)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91)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1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는 목부(175)가 본체(100)의 평면을 벗어나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힌지 메커니즘 또는 소켓과 같은 회전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91)는 목부(175)가 0° 내지 90° 범위로 회전하게 할 수 있고, 본체(100)에 대하여 고정된 각도로 있도록 목부(175)를 잠그기 위한 로킹 메커니즘(예를 들어, 스크류, 볼트, 핀, 클립, 클램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음악 장치(100)에 클라리넷 또는 섹소폰과 같은 목관 악기와 유사한 외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91)는 목부(175)가 본체(110)의 평면 아래로 본체(110)의 평면을 벗어나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예를 들어, 소켓, 2축 힌지)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목부(175)가 수평으로(side-to-side)(예를 들어, 본체의 평면 내에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i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91)는 목부(195)가 본체(110)에 대하여 그 세로축(예를 들어, 도 1i에서의 점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회전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목부(175)가 도 1i에서 정사각형 실린더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목부(175)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상, 원형 실린더 형상 또는 반원 실린더 형상을 포함하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k는 수용부(150b)에 연결된 타악기 입력 모듈(160e)과, 수용부(150c)에 연결되고 타악기(예를 들어, 드럼, 실로폰, 차임(chime), 심벌즈 등)의 표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민감형 표면(285)을 구비하는 목부(175)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타악기 입력 모듈(160e)은 헤드(head)와, 헤드에 연결되고 종래의 전기 타악기(예를 들어, 전기 드럼 세트)에서의 회로와 유사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모듈(160e)은 다양한 입력 연주 모드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헤드(예를 들어, 프로그래머블 터치 민감형 바(bar))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력부(160)(및 터치 민감형 표면(280, 285))의 모두에서와 같이, 입력 모듈(160e)은 왼손 또는 오른손 지정, 전통적인 악기 에뮬레이션 종류, 전화 또는 비전화, 조명 또는 비조명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음악 장치(100)의 여러 파라미터를 인식하기 위하여 음악 장치(100)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내부에 임베디드된 지능부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음악 장치(100)는 많은 상이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2e는 음악 장치(100)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일부 예시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체(100)(예를 들어, 수용부(150b) 대신에)상에 형성된 터치 민감형 표면(280)(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과, 수용부(150a)에 연결된 목관 악기 입력 모듈(160b) 및 수용부(150c)에 연결된 목부(175)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목부(175)는 터치 민감형 표면(285)(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본 양태에서, 터치 민감형 표면(280) 및 터치 민감형 표면(285)는 모두 클라리넷, 섹소폰, 오보에 또는 바순과 같은 목관 악기의 키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터치 민감형 표면(280) 및/또는 터치 민감형 표면(285)에 디스플레이된 키는 제2 입력부(170)의 키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터치 민감형 표면(280, 285)상에 디스플레이된 키를 터치함으로써, 음악 신호는 C 음이 생성되게 할 수 있고, 다른 키를 터치함으로써, 음악 신호는 G 음이 생성되게 할 수 있다.
터치 민감형 표면(280, 285)는 다양한 입력 연주 모드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터치 민감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민감형 표면(280, 285)은 키보드의 건반(예를 들어, 전통적인 피아노 건반 레이아웃), 금관 악기의 밸브, 목관 악기의 키 및/또는 현악기의 스트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입력부(170) 및 입력 모듈(160a 내지 160d)과 유사하게, 터치 민감형 표면(280, 285)는 입력 모듈의 종류, 에뮬레이션될 악기의 종류, 왼손 또는 오른손 모드 선택 등을 식별하기 위하여 음악 장치(100)의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3b 참조)와 인터페이스하는 임베디드된 처리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구조 요소(예를 들어, 클라리넷 키, 트럼펫 밸브, 섹소폰 키, 피아노 건반, 기타 스트링 등) 중에서 터치 민감형 표면(280) 및 터치 민감형 표면(285) 상에 디스플레이될 악기 구조 요소를 선택하기 위하여 선택기(116)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부(175)는 터치 민감형 표면(285)상에 디스플레이될 악기 구조 요소의 디스플레이를 조정하기 위한 선택기(29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는 수용부(150a)에 연결된 금관 악기 입력 모듈(160a), 금관 악기의 밸브 또는 목관 악기의 키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민감형 표면(280) 및 트롬본 슬라이드(286)를 디스플레이 터치 민감형 표면(285)을 구비하는 목부(175)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부(175)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목부(175)는 터치 민감형 표면(285)의 평평한 표면이 본체(110)의 평평한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그 세로축의 둘레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는 본체(110)의 배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배향에 기초하여 본체(110) 상에 터치 스크린(280)의 디스플레이를 설정하는 배향 검출/설정 모듈(114)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목부(175)는 목부(175)의 배향을 검출하고 목부(175)상의 터치 민감형 표면(285)의 디스플레이를 설정하는 배향 검출/설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배향 검출/설정 모듈(114)은 음악 장치(100)가 오른손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지 왼손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지에 따라 음악 장치(100)가 다르게 구성되게 할 수 있다. 특히, 배향 검출/설정 모듈(114)은 음악 장치(100)가 오른손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지 왼손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지에 따라 본체(110)상의 터치 민감형 표면(280)과 목부(175)상의 터치 민감형 표면(285)이 상이하게 구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왼손 사용자로부터 오른손 사용자로 변경하는 것은 임의의 사용자 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장치(100)가 재구성되도록(예를 들어, 자동으로 재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c는 수용부(150b)에 연결된 건반 악기 입력 모듈(160d)과, 수용부(150c)에 연결되고 건반 악기의 건반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민감형 표면(285)을 구비하는 목부(175)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2d는 수용부(150b)에 연결된 현악기 입력 모듈(160c)과, 수용부(150c)에 연결되고 건반 악기의 건반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민감형 표면(285)을 구비하는 목부(175)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도 2e는 수용부(150a)에 연결된 현악기 입력 모듈(160c)과, 수용부(150c)에 연결되고 트롬본 슬라이드(286)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민감형 표면(285)을 구비하는 목부(175)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100)를 도시한다.
이 대신에, 도 2e의 현악기 입력 모듈(160c)은 터치 민감형 표면(280)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1f에 도시된 현악기 입력 모듈(160c) 내의 회로(165)와 유사하게, 터치 민감형 표면(280)도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와, 터치 민감형 표면(28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메모리 장치를 액세스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 장치는 복수의 "스트링(string)" 구성을 저장할 수 있다. 변형은 스트링의 개수의 변형, 게이지의 변형 및 간격의 변형, 4개 이상의 스트링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갖는 스트링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작동 식별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은, 만돌린, 밴조, 기타 및 베이스 기타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전통 악기에 대한 에뮬레이션과, 더블 베이스, 첼로, 하프 또는 바이올린과 같은 전통적인 현악기에 대한 손가락 기반의 에뮬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음악 생성 시스템(300)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300)은 프로그래밍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예를 들어, 컴퓨터(394))와, 음악을 생성하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신호에 의해 프로그래밍 가능한 음악 장치(350)를 포함한다. 음악 장치(35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입력부와,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음악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악 신호 생성기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입력부를 포함하고, 제2 신호는 음악 신호 생성기를 제어하고, 제2 입력부는 키, 음 및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버튼과, 범위 내의 음 및 음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300)은 음악 장치의 제1 입력부의 복수의 제1 버튼에 대응하는 음악적 표기(예를 들어, 표지(indicia))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36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60)는 음악 장치(350)와 통신(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기 위한 트랜스시버(trans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장치(350)를 연주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60)상에 디스플레이된 음악 구성 요소를 읽고 따라갈 수 있다.
또한, 시스템(300)은 헤드업(head-up)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397)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97)는, 예를 들어, 음악 장치(100)에 무선으로 연결된 무선 트랜스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음악 장치(350)(예를 들어, 음악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는 전기 회로(365)를 도시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365)는 개인 정보 및 음악 구성 요소와 같은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장치(370)와 음악 장치(3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메모리 장치(370)를 액세스할 수 있는 마이크로컨트롤러(예를 들어, 프로그래머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365)는 제2 입력부(170), 음악 신호 생성기(130) 및 출력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컨트롤러(371)는 수용부(150a, 150b, 150c)(그리고, 이에 따라 제2 입력부), 전원(115), 선택기(116) 및 청각적 특징 설정 선택기(1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컨트롤러(371)는, 마이크로컨트롤러(371)가 음악 장치(350)와 시스템(300) 내의 다른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트랜스시버(118)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a를 다시 참조하면, 시스템(300)은 음악 장치(350)와 통신(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트랜스시버르 포함하는 발 페달(foot pedal) 모듈(39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390)은 음악 신호 생성기(130)에 의해 생성된 음악 신호를 무선으로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391)(예를 들어, 발 페달)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391)는, 음악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부(140)(예를 들어, 음향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음향의 키, 음, 코드, 음조 또는 음조류, 음계 및 옥타브의 음악적인 파라미터(음색 또는 음향)를 변경하기 위하여 음악 신호를 바꿀 수 있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음악 신호 생성기(130)는 모듈(390)로부터의 입력 신호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음악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시스템(300)은 현악기 입력 모듈(160c)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때 음악 장치(350)를 연주하기 위한 활(bow)(392)(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활)을 포함할 수 있다. 활(392)도 음악 장치(350)와 통신(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기 위한 트랜스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300)은, 예를 들어, 음악 신호 생성기(130)에 의해 생성된 음악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앰프를 포함할 수 있는 외부 음향 생성기(39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음향 생성기(393)도 음악 장치(350)와 통신(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기 위한 트랜스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300)은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394) 또는 컴퓨터 시스템(예를 들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394)는, 예를 들어, 음악 장치(350)의 마이크로컨트롤러(371)를 프로그래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음악 장치(350)는 컴퓨터(394)를 통해 온라인으로 음악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온라인 음악 라이브러리)와 같은 정보를 액세스하여 메모리 장치(370) 내의 이러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394)도 음악 장치(350)와 통신(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기 위한 트랜스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300)의 요소들은, 전통적인 악기, 시스템 및 음향을 에뮬레이트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악기에서는 가능하지 않은 입력 및 출력을 허용하도록, 입력, 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운영체계, 처리, 스토리지, 메모리, 소프트웨어, 펌웨어, 상호 연결부, 표준 및 사설 프로토콜, 전원 및 배터리 컴포넌트, 무선 및 유선 연결부와, 업데이트 가능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와, 업그레이드 가능한 능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을 획득하는 것은 다음의 요소들을 필요로 한다:
시스템(300)의 컴포넌트들은 고정되거나 제거 가능한 입력, 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운영체계, 처리, 스토리지, 메모리, 소프트웨어, 펌웨어, 상호 연결부, 표준 및 사설 프로토콜, 전원 및 배터리 컴포넌트, 무선 및 유선 연결부와, 업데이트 가능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와, 업그레이드 가능한 능력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 내지 3b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도 1a에서의 제2 입력부(170)에서의 복수의 제1 버튼(135)은, 예를 들어, 21개의 버튼(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부분은 사용자에 의해 완전하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2 입력부(170)의 처음 7개의 서브 부분(로고 출력부(140)에 가장 가까운 것들)은 주요(음조, 음악 장치(100)를 위한 곡조의 주음(tonic) 키) 또는 보조(음악 장치(100)에 의해 연주되는 음향이나 음악의 키 또는 주요 코드) 키 A 내지 G 입력이다. 다음 2개의 버튼(출력부(1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처음 7개 버튼 이후)은 코드, 음조 및 옥타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변형에 대하여 프로그램가능할 수 있다. 다음의 12개 버튼은 선택 키, 반음계 또는 12개의 옥타브 반음 등에서 독주 음 연주를 위하여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또한, 도 1e에서의 목부(175)는 12개의 버튼(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적은 버튼이 변형 및 가장 가능하게는 변화의 속도와 숙련도를 감소시키지만, 12개의 버튼은 사용자에게 3개의 입력과 관련하여 21개 버튼의 모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12개 미만의 버튼을 갖는 실시예가 고려되지만, 입력 및 출력 변형 및 연주 능력에 관하여 손실을 가질 것이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발 페달 모듈(390)은 3개의 페달(391)(예를 들어, 입/출력 스위치)을 포함하지만, 모듈(390)은 임의의 개수의 페달(391)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모듈(390)은 제1 및 제2 입력부(160, 170)의 임의의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 입력을 (예를 들어, 발 또는 발들을 통해) 잠재적인 사용자(예를 들어, 동시의) 입력 변형에 추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 및 이의 다양한 입/출력부(예를 들어, 제1 입력부(160), 제2 입력부(170), 발 페달 모듈(390))는 사용자가 부정확한 음악적 음향 또는 변형을 절대로 연주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실상 완벽한 음색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C 코드를 선택하면, 이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전념한 시간, C 코드 섹션 내의 배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힘, 사용자가 버튼(예를 들어, 건반 등)을 누른 지속 시간, 또는 사용자가 C 코드를 연주해본 횟수에 관계없이 항상 완벽한 C 코드일 것이다.
사용자가 C 코드로부터 Am7 코드로 전환하고 입력 시컨스가 정확하다면, 이것도 완벽한 Am7 코드일 것이다. 사용자가 독주 음표 섹션으로 이동한다면, 반음계의 12개 변형은 사용자가 현재 연주하고 있는 키에 완벽하게 기초할 것이다. 음, 코드 등의 시컨스 또는 변화가 사용자에 의해 연주되려고 의도되지 않았더라도, 각각의 변형은 음색적으로 그리고 음악적으로 완벽할 것이다.
또한, 음악 장치(100, 350)의 컴포넌트와 시스템(300)의 다른 컴포넌트는 디지털 전자 장치 컴포넌트일 수 있으며, 운영체계 및 운영체계를 지원하는 지원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악 장치(100, 350)와 시스템의 다른 특징부 사이에서 디지털 및 아날로그 입/출력을 모두 고려한다. 또한, 도 3a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시스템(300)은 앰프, 사운드 보드, 디지털 및 아날로그 녹음 설비, 컴퓨터 타입 키보드, 인터넷 프로토콜, 블루투스 또는 다른 무선 프로토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예를 들어, 아이폰), 다른 음악 프로토콜 장치(예를 들어, MIDI가 가능한 장치), USB 장치, 파이어와이어(Firewire), 헤드폰, 플러그인 스피커 출력 모듈, SSD(solid state drive) 저장 장치 및 다른 음악 장치(100, 350)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른 장치 및 대응하는 상호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장치(350)에서의 트랜스시버(118)(예를 들어, 무선 트랜스시버)는 복수의 음악 장치(100, 350) 사이의 무선 통신을 허용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 1는 음악 장치(100)를 연주할 수 있어 상이한 음악 장치(100)를 연주하고 있는 사용자 2와 자신의 연주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1 및 사용자 2는 자신들의 각각의 트랜스시버(118)를 통해 음악 장치(100)에서 리듬, 화음, 코드, 작품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음악 생성 방법(400)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4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입력부로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410),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음악 신호 생성기로 음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420),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입력부로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430)를 포함하고, 제2 신호를 음악 신호 생성기를 제어하고, 제2 입력부는 키, 음 및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버튼과, 범위 내의 음 및 음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양태는, 음악 장치(100)의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예를 들어, 도 1i의 연결부(191) 또는 도 1d의 연결부(152))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주로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동작 가능한 목부(예를 들어, 목부(175))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양태는, 음악 장치(100)의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예를 들어, 도 1i의 연결부(191) 또는 도 1d의 연결부(152))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주로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동작 가능한 입력 모듈(예를 들어, 입력 모듈(160a 내지 160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양태는, 음악 장치(100)의 목부(175)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및 호환성 검증부(예를 들어, 도 1i의 연결부(191) 또는 도 1d의 연결부(152))를 포함하는 전자 로고에 관한 것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시스템(500)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전형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한다(예를 들어, 음악 장치(100), 음악 장치(350), 시스템(300) 및 방법(400)). 구성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중앙 처리 장치(CPU)(511)를 가진다. CPU(511)는 시스템 버스(512)를 통해 RAM(random access memory)(514), ROM(read only memory)(516), (디스크 유닛(521) 및 테이프 드라이브(540)를 버스(512)에 연결하기 위한) 입출력(I/O) 어댑터(518), (키보드(524), 마우스(528), 스피커(528), 마이크(532), 포인트 스틱(527) 및/또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버스(512)에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어댑터(522), 정보 처리 시스템을 데이터 처리 네트워크, 인터넷, 인트라넷,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에 연결하기 위한 통신 어댑터(534), 및 버스(512)를 디스플레이 장치(538) 및/또는 프린터(539)에 연결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어댑터(536)에 상호 연결된다. 또한, 자동화된 리더(reader)/스캐너(541)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리더/스캐너는 많은 공급원으로부터 사용으로 입수 가능하다.
전술한 시스템에 더하여, 본 발명의 상이한 양태는 전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구현 가능한 방법을 포함한다. 일례로, 본 방법은 전술한 특정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어 시컨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구체화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컴퓨터를 동작시켜 구현될 수 있다. 이 명령어는 다양한 종류의 비일시적인 신호 보유 매체 내에 상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태는, 전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데이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어 프로그램을 유형적으로 구체화하는 신호 보유 매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어 시컨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CPU(511)를 동작시켜 구현될 수 있다. 이 명령어는 다양한 종류의 신호 보유 매체 내에 상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태는, 전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술한 CPU(511) 및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어 프로그램을 유형적으로 구체화하는 비일시적 신호 보유 매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신호 보유 매체는, 예를 들어, 고속 액세스 스토리지로 대표되는, 예를 들어, CPU 내에 포함된 RAM(5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대신에, 명령어는, CPU(511)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으로 액세스 가능한 자기 데이터 저장 디스켓(600) 또는 컴팩트 디스크(602)(도 6)와 같은 다른 신호 보유 매체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컴퓨터 서버/CPU(511) 내에 또는 다른 데 포함되더라도, 명령어는, DSAD 스토리지(예를 들어, 종래의 "하드 드라이브" 또는 RAID 어레이), 자기 테이프, 전자적 리드 온리 메모리(예를 들어, ROM, EPROM 또는 EEPROM), 광학 저장 장치(예를 들어, CD-ROM, WORM, DVD, 디지털 광학 데이프 등), 종이 "펀치" 카드 또는 다른 적합한 비일시적 신호 보유 매체와 같은 다양한 기계 판독 가능한 데이터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계 판독 가능한 명령어는 C, C++ 등과 같은 언어로부터 컴파일된 소프트웨어 객체(object)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내지 22f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음악 장치를 도시한다.
설계, 속성 및 방법에 기인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악기는, 인간의 손 크기, 손가락 세기, 팔 길이, 폐활량 및 신체적 특성에 대한 더 큰 차이를 가지면서 개인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연주되고, 육체적으로 덜 힘들며, 더욱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악기는 전통적인 악기보다 음악의 더 쉬운 학습, 연주, 작곡 및 공연을 용이하게 하며, 이는 더 넓은 연령대, 신체적 차이 및 경험 수준의 더 많은 장래 음악가 또는 작곡가를 허락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는 선택된 코드, 음, 음조 또는 다른 변형을 부적절하게 연주하는 것을 완전히 제거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는 음악가 및 작곡가가 쉽고 훨씬 더 짧은 기간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의 하이브리드 악기에 능숙하게 되게 하며, 따라서, 본 하이브리드 악기의 사용자가 음악을 창작하고, 작곡하고, 연주하고, 공연하고 그리고/또는 공유하는데 집중할 수 있게 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음악을 생성하는, 더욱 구체적으로는, 키, 음, 코드, 음조 또는 음조류, 음계 및 옥타브의 음악적 파라미터(음색 또는 음향)를 변경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활을 갖는 현악기, 목관 악기, 금관 악기, 건반 악기 및 기타(guitar) 악기의 전통적인 카테고리에서 전자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기계 지능형(machine intelligent)" 하이브리드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악기의 시리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정되거나 제거 가능한 목부상의 키, 음, 코드, 음조 또는 음조류, 음계 및 옥타브의 음악적 파라미터(음색 또는 음향)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 컴포넌트, 키, 스위치, 버튼, 스트링 또는 터치 민감형 구역의 상이한 조합 또는 변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는 활을 갖는 현악기, 목관 악기, 금관 악기, 건반 악기 및 기타 악기의 전통적인 악기 카테고리를 에뮬레이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특징은 전통적인 악기 또는 현재의 신디사이즈 악기에 의해 가능하지 않은 변형을 허락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하이브리드 악기는 완전히 새로운 종류의 악기를 형성하도록, 상이한 입력 섹션 및 출력 섹션을 포함하는 본체, 고정되거나 선택적인 스위칭 가능한 스트링, "피아노" 키, 마우스피스 입력 또는 다양한 스위칭 가능한 모듈을 갖는 터치 민감형 패드나 터치 민감형 바 및/또는 "목부"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는, 주된 왼손형 또는 오른손형 악기로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의 사용자에 의해 구성되도록, 단일 유닛으로서 제조되거나 또는 모듈 내에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악기의 본체는, 코어 전자 장치 모듈, 처리 모듈 및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는 음악가를 위한 다양한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는 음색 키들, 음들, 옥타브들, 음조들 또는 음색 키, 음 또는 임의의 음향 변형 및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변경하고, 종료하는 공통의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로, 음악가(또는 초보자)는 이러한 상이한 악기를 악기들 사이의 공통성 및 방법을 이용하여 더욱 쉽고 빠르게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는,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신호 모두를 출력할 수 있어, 앰프, 컴퓨터, 녹음 설비 및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의 특정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출력을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에 대한 상이한 출력 인터페이스를 허락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를 더욱 상세히 참조하면, 도 7a에서, "기타/키보드" 타입의 하이브리드 악기 형식의 손가락 악기(701)가 도시되고, 도 7b에서, "활을 켜는(bowing)" 타입의 하이브리드 형식의 활 악기(702)가 도시되고, 도 7c에서, "부는(blowing)" 타입의 하이브리드 형식의 관악기(703)가 도시되고, 도 7d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의 손가락 악기(701), 활 악기(702) 및 관악기(73)를 위한 발 페달(704) 인터페이스가 도시되고, 도 7e에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손가락 악기(701), 활 악기(702) 및 관악기(73)를 위한 목부(705)(예를 들어, 다른 개수의 입력 "목부" 구성)가 도시되고, 도 7f에서, 활 악기(702)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특수 하이브리드 활인 x보우(xbow)(706)가 도시된다.
도 7a 및 도 8a 내지 11에서, 손가락 악기(701)의 주요 요소가 도시된다. 손가락 악기(701)는 입력 요소와 출력 요소를 가진다,
도 8a 및 8e 내지 8g에서, 섹션 본체(800), 제1 입출력 구역(801) 및 대응하는 모듈 스트링(810), 터치 패드(811) 또는 건반(812), 입출력 구역 및 대응하는 모듈(802), 제1 탈착식 목부 연결 구역(CZ(connection zone))(803) 및 대응하는 입출력 구역 2, 입출력 2 목부, 및 오른손 모드 터치 민감형 목부(8051)인 목부(8051)(도 8a)가 도시된다.
왼손 모드 터치 민감형 목부(8052)인 목부(8052)(도 8c), 오른손 모드 스위치 목부(8061)인 목부(8061)(도 8b) 또는 왼손 모드 스우;치 목부(8062)인 목부(8062), 제4 입출력 구역 및 대응하는 모듈(807), 제1 "프렛 에뮬레이터" 또는 터치 및 압력 민감형 목부 입출력 서브 부분(NIS(neck input output subdivision))(808), 스위치, 제2 키 또는 버튼형 목부 입출력 서브 부분(NIS)(809), 제2 핸들 연결 구역(CZ)(804) 및 대응하는 핸들(8041), 제3 로고 연결 구역(CZ)(813) 및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며, 교환 가능하고, 전자식 또는 비전자식의, 전화가능한(electrifiable)(조명 또는 다른 전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개인화된 식별자, 표준 또는 커스터마이즈된 로고 또는 형상인 로고(814)(도 8h)를 포함한다.
도 9에서, 손가락 악기(701)의 뒷쪽이 도시되며, 액세스 패널(901)은 본체(800) 내부의 전자 장치, 보드, 시스템 및 주변 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제거 가능한 패널을 나타내며, 목부 연결 구역(803) 및 목부 표시(8051, 8052, 8061, 8062)가 참조로 도시된다.
도 10에서, 손가락 악기(701)의 제3 입출력 구역 및 대응하는 모듈(1001), 입출력 구역 6 및 대응하는 모듈(1002)에 대한 제1 측면도가 도시되고, 본체(800) 및 목부 표시(8051, 8052, 8061, 8062)가 참조로 도시된다.
도 11에서, 손가락 악기(701)의 다른 측면도가 도시되고, 본체(800), 입출력 5(1002) 및 목부 표시(8051, 8052, 8061, 8062)가 참조로 도시된다.
도 12a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도 1b에 도시된 활 악기(702)의 주요 요소가 도시된다.
활 악기(702)는 입력 및 출력 요소를 가진다. 도 12a에서, 입출력 구역(I/O)(1201) 및 대응하는 모듈 스트링(1210)(도 12c) 또는 터치 바(1211)(도 12d), 입출력 구역 및 대응하는 모듈(I/O)(1202), 제거 가능한 목부 연결 구역(CZ)(1203) 및 오른손 모드 터치 민감형 목부(1251)인 목부(1251)와 왼손 모드 터치 민감형 목부(1252)인 목부(1252)(도 12f)를 포함하는 대응하는 2개의 입출력 구역(I/O) 목부를 포함하는 본체(1200)의 섹션들이 도시된다.
또한, 오른손 모드 터치 민감형 목부(1261)인 목부(1261)(도 12b)와 왼손 모드 터치 민감형 목부(1262)인 목부(1262)(도 12e), 입출력 구역 및 대응하는 모듈(I/O)(1207), "프렛 에뮬레이터" 또는 터치 및 압력 민감형 목부 입력 서브 부분(NIS)(1208), 스위치, 키 또는 버튼 목부 입력 서브 부분(NIS)(1209), 2개의 핸들 연결 구역(CZ)(1204) 및 대응하는 턱받침(1241), 로고 연결 구역(CZ)(1212) 및 도 12g에서의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며, 교환 가능하고, 전자 또는 비전자식의, 전화가능한(electrifiable)(조명 또는 다른 전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개인화된 식별자, 표준 또는 커스터마이즈된 로고 또는 형상인 로고(1213)를 포함한다.
도 13에서, 활 악기(702)의 뒷쪽이 도시되며, 액세스 패널(1301)은 본체(1200) 내부의 전자 장치, 보드, 시스템 및 주변 장치로의 액세스를 위한 제거 가능한 패널을 나타내며, 목부 연결 구역(1203) 및 목부 표시(1251, 1252, 1261, 1262)가 참조로서 도시된다.
도 14에서, 활 악기(702)의 입출력 구역 및 대응하는 모듈(1401), 입출력 구역 및 대응하는 모듈(1402)에 대한 측면도가 도시되고, 본체(1200) 및 목부 표시(1251, 1252, 1261, 1262)가 참조로서 도시된다.
도 15에서, 활 악기(702)의 다른 측면도가 도시되고, 본체(1200), I/O(1402) 및 목부 표시(1251, 1252, 1261, 1262)가 참조로서 도시된다.
도 16에서, 활 악기(702)을 위한 특수한 활 x보우(706)의 측면도가 도시되고, 선택적인 입출력 모듈 성능이 활 악기(702)를 위한 스트링 활 입출력 구역(I/O)(1601)에 기대된다.
관악기(703)를 참조하면, 도 17a 내지 도 21에서, 관악기(703)의 주요 요소가 도시된다. 관악기(103)는 입력 요소와 출력 요소를 가진다.
도 17a에서, 입출력 구역(I/O)(1701) 및 대응하는 모듈 마우스피스(1710)(도 17c), 입출력 구역 및 대응하는 모듈(I/O)(1702), 제거 가능한 목부 연결 구역(CZ)(1703) 및 왼손 모드 터치 민감형 목부(1704)에 도시된 목부(1704)와 오른손 모드의 쌍을 이룬 스위치 목부(1705)에 도시된 목부(1704)를 포함하는 대응하는 입출력 구역(I/O) 목부, 입출력 구역 및 대응하는 모듈(I/O)(1706), "프렛 에뮬레이터" 또는 터치 및 압력 민감형 목부 입력 서브 부분(NIS)(1707), 스위치, 키, 버튼 또는 터치 패드 목부 입력 서브 부분 쌍(NIS)(1708), 로고 연결 구역(CZ)(1710) 및 도 17d에서의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며, 교환 가능하고, 전자 또는 비전자식의, 전화가능한(electrifiable)(조명 또는 다른 전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개인화된 식별자, 표준 또는 커스터마이즈된 로고 또는 형상(1711)을 포함하는 본체(1700)의 섹션들이 도시된다.
도 18에서, 관악기(703)의 뒷쪽이 도시되며, 액세스 패널(1801)은 본체(1700) 내부의 전자 장치, 보드, 시스템 및 주변 장치로의 액세스를 위한 제거 가능한 패널을 나타내며, 목부 표시(1704 또는 1705)가 참조로서 도시된다.
도 19에서, 입출력 구역 및 대응하는 모듈(1901), 입출력 구역 및 대응하는 모듈(들)(I/O)(1902)를 포함하는 관악기(703)의 측면도가 도시되고, 본체(1700) 및 목부 표시(1704 또는 1705)가 참조로서 도시된다.
도 20에서, 관악기(703)의 다른 측면도가 도시되고, 본체(1700) 및 목부 표시(1704 또는 1705)와 모듈(I/O)(1902) 가 참조로서 도시된다.
도 21에서, 관악기(703)의 다른 측면도가 도시되고, 목부(1704 또는 1705)는 사용자를 향하여 아래로 90도(90°)까지 꺾이거나 회전될 수 있고(회전의 정도는 도면 부호 2001로 도시된다), 본체(1700)가 참조로서 도시된다.
도 22a에서, 손가락 악기(701), 활 악기(702) 또는 관악기(703)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주변 장치인 입출력 장치 지정 구역 I/O 페달(74)이 도시되며, 전자 장치와 다른 기능부 및 시스템이 본체(220) 내에 수용되고, 지정된 스위치(2201)는 하나 이상의 구역 및 대응하는 버튼, 스위치, 키, 모듈 또는 다른 입력 방법 또는 출력 장치이다.
2202(도 22b 참조)에서, 본체(2200)의 하부측이 도시된다. 패널 내부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제거 가능한 패널(2203)이 패널(2202) 내에 도시된다.
도 22c 내지 22f에는, 각각, 측부(2204)의 제1 측면도, 측부(2205)의 제2 측면도, 측부(2206)의 제3 측면도 및 측부(2207)의 제4 측면도를 포함하는 페달(704)에 대한 4개의 측면도가 도시된다. 각각의 측부(2204, 2205, 2206, 2207)는 입출력 모듈(I/O)(2208)을 가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손가락 악기(701), 활 악기(702), 관악기(703) 및 페달(704)은 음악적 파라미터(음색 또는 음향)를 변경하기 위한 입력 및 출력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손가락 악기(701), 활 악기(702), 관악기(703) 및 페달(704)은, 전통적인 악기, 시스템 및 음향을 에뮬레이트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악기에서는 가능하지 않은 입력 및 출력을 허용하도록, 입력, 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운영체계, 처리, 스토리지, 메모리, 소프트웨어, 펌웨어, 상호 연결부, 표준 및 사설 프로토콜, 전원 및 배터리 컴포넌트, 무선 및 유선 연결부와, 업데이트 가능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와, 업그레이드 가능한 능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능력을 획득하는 것은 다음의 요소들을 필요로 한다:
도 7a 내지 7f에서, 손가락 악기(701), 활 악기(702), 관악기(703) 및 페달(704)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는 공통의 요소를 가진다.
도 8a 내지 8h, 12a 내지 12h, 17a 내지 17d 및 22a 내지 22f는 각각 본 발명의 손가락 악기(701), 활 악기(702), 관악기(703) 및 페달(704)의 주요 시스템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 본체(800, 1200, 1700, 2200)를 도시한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입력, 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운영체계, 처리, 스토리지, 메모리, 소프트웨어, 펌웨어, 상호 연결부, 표준 및 사설 프로토콜, 전원 및 배터리 컴포넌트, 무선 및 유선 연결부와, 업데이트 가능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와, 업그레이드 가능한 능력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도 8a 내지 21의 도면 및 설명에서 상세된 컴포넌트로 이루어진 시스템으로서 제조될 때, 손가락 악기(701), 활 악기(702) 및 관악기(703)는 모든 컴포넌트가 왼손 사용이나 오른손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 구성 및 조립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제조된다.
도 7a 내지 7f에서, 손가락 악기(701), 활 악기(702), 관악기(703) 및 페달(704) 입력 및 출력은, 각각 입출력 구역(I/O)(801, 1201, 1701) 및 입출력 구역(I/O)(2201)을 포함한다(도 22a 내지 22f). 이러한 섹션들은, I/O(801)에 대하여 손가락을 이용하는 주요 입력 방법으로 지정된 건반(812), I/O(1201)에 대하여 도 16의 전용 활을 활용하는 주요 입력 방법으로 지정된 I/O(1201), 스트링(1210), 터치 바(1211), I/O(1701)에 대하여 입 또는 부는 것(blowing)을 활용하는 주요 입력 방법으로 지정된 마우스피스(1709), 및 발 또는 발들을 활용하는 주요 입력 방법으로서 지정된 I/O(2201)를 활용한다.
제거 가능한 모듈로서 설계될 때, 스트링(810), 터치 패드(811), 건반(812), 스트링(1210), 터치 바(1211) 및 마우스피스(1709)는, 본체(800, 1200, 1700) 내의 시스템이 왼손 또는 오른손 지정 및 종래의 악기 에뮬레이션의 종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모듈의 파라미터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모듈 내에 임베디드된 시스템 또는 지능부를 가진다.
또한, 본체(800, 1200, 1700, 2200)의 전면 또는 상부는 전용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입력 또는 출력을 가질 수 있는 입출력 구역(802, 1202, 1702, 2201)을 각각 포함한다. 입력 또는 출력의 기능, 크기, 개수에 관한 많은 실시예가 고려되며, I/O 구역(802, 1202, 1702, 2201)은 손가락을 활용하는 주요 입력 방법으로서 지정된다.
또한, 본체(800, 1200)의 전면은 핸들(8041) 또는 턱받침(1241)과 관련된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위하여 사용되는 연결 구역(804, 1204)을 각각 포함한다.
본체(800, 1200, 1700, 2200)의 후면(예를 들어, 도 9, 13, 18 및 22 참조)은 각각 도 8, 12, 17 및 22에 도시된 본체(800, 1200, 1700, 2200) 내부에 임베디드되고 제거 가능한 시스템 및 컴포넌트 패널(901, 1301, 1801, 2201)을 액세스하기 위한 능력을 가진다.
도 8a 내지 8h, 12a 내지 12h, 17a 내지 17d 및 22a 내지 22f에서, 본체(800, 1200, 1700, 2200)가 각각 도시된다. 도 10, 11, 14, 15, 19, 22 및 22c 내지 22f에서, 전용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입력 또는 출력을 가질 수 있는 입출력 구역(1002, 1402, 1902, 2208)이 각각 도시된다. 기능, 크기, 입력 또는 출력의 개수 등에 관한 많은 실시예가 고려되며, 입출력 구역(1002, 1402, 1902, 2208)은 손가락을 활용하는 주요 입력 방법으로서 지정된다.
본체(800, 1200)의 전면에 각각 연결 구역(CZ)(804, 1204)이 도시된다. 연결 구역은 핸들(8041)이 손가락 악기(701)에서 손과 손가락을 활용하는 주요 입력 방법으로서 지정되거나 턱받침(1241)이 활 악기(702)에서 턱끝, 볼 또는 아래턱을 이용하는 주요 입력 방법으로 지정될 때 피치 벤드를 위한 입력을 제공하는 주요 과제를 가질 수 있다. 연결 구역은 예상되는 일련의 입력 및 출력을 갖는 추가 기능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1에서, 관악기(703)에 대하여, 본체(1700), CZ(1703), 목부(1703, 1705), 사용자를 향하여 아래로 90도(90°)까지 꺽이거나 돌출하고 그리고/또는 목부(1704, 1705) 위치에 대한 사용자 선택의 용이한 커스터마이징을 위하여 회전(2001)하는 능력이 도시된다.
도 8a 내지 8h, 12a 내지 12h 및 17a 내지 17d에서, I/O 목부로서, 목부(8051, 8052, 8061, 8062; 1251, 1252, 1261, 1262; 1704, 1705)가 손가락 악기(701)를 위한 연결 구역(CZ)(803), 활 악기(702)를 위한 CZ(1203), 관악기(703)를 위한 CZ(1703)에 대응하는 것으로 지정된다. I/O 목부는 손가락을 활용하는 주요 입력 방법으로서 지정된다.
제거 가능한 I/O 목부로서 설계되고 지정될 때, 목부(8051, 8052, 8061, 8062; 1251, 1252, 1261, 1262; 1704, 1705)는 본체(800, 1200, 1700) 내의 시스템이 왼손 또는 오른손 지정, 종래의 악기 에뮬레이션의 종류, 전화(electrification) 또는 비전화(non-electrification), 조명(lighted) 또는 비조명(non-lighted), 전통적인 악기 에뮬레이션 종류, I/O 목부 입력 시스템(NIS)의 종류, 제1 NIS(808, 1208, 1707); 제2 NIS(809, 1209, 1708), 입출력 구역(807, 1207, 1706)에 대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모듈의 여러 파라미터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목부(800, 1200, 1700) 내에 임베디드된 시스템 또는 지능부를 가진다.
제거 가능하지 않은 I/O 목부로서 설계되고 지정될 때, 목부(8051, 8052, 8061, 8062; 1251, 1252, 1261, 1262; 1704, 1705)는, 목부(8051, 8052, 8061, 8062; 1251, 1252, 1261, 1262; 1704, 1705) 내에 임베디드된 동일한 기능부, 시스템 및 컴포넌트를 가질 수 있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도 10, 14 및 19에서, 제3 입출력 구역(1001, 1401, 1901)에 대한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사설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하고, 고정되거나 제거 가능한 입력 또는 출력을 가질 수 있다. 입력 또는 출력의 기능, 크기, 개수 등에 관한 많은 실시예가 고려되며, 제3 I/O(1001, 1401, 1901) 섹션은 손가락을 이용하는 주요 입력 방법으로서 지정된다.
도 8a 내지 8h, 12a 내지 12h 및 17a 내지 17d에서, 목부(8051, 8052, 8061, 8062; 1251, 1252, 1261, 1262; 1704, 1705)를 포함하는 제2 I/O 목부가 도시된다. 참조된 목부는 본체(800, 1200, 1700)에 고정되거나 또는 제거 가능한 모듈로서 지정되어 제조될 수 있다. 고정된 목부 또는 제거 가능한 목부(8051, 8052, 8061, 8062; 1251, 1252, 1261, 1262; 1704, 1705)의 양 단부의 경우에, 본체(800 또는 1700) 및 연결 구역(CZ) 1(803, 1203 또는 1703)로부터 먼 단부에서, 왼손 또는 오른손 지정, 종래의 악기 에뮬레이션의 종류, 전화(electrification) 또는 비전화(non-electrification), 전통적인 악기 에뮬레이션 종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입력 또는 출력 기능부나 로고(813, 1213 또는 1710)를 포함하는 로고를 위한 연결 인터페이스가 도시된다. 로고(813, 1213 또는 1703)에 도시된 기능을 채용하는 단부는 제1 CZ(803, 1203 또는 1703)에 연결되지 않거나 연결된 단부이다.
도 7a 내지 22f를 더욱 상세하게 참조하면, 음악 또는 음향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기술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고유하다. 손가락 악기(701), 활 악기(702) 및 관악기(703)(예를 들어, 도 7a 내지 7c 참조)는 입출력 섹션 1에서 차이점 및 고유성을 유지한다.
도 8a에 도시된 스트링(810)에서, "스트링 기반" 모듈이 제1 I/O(801)에서의 배치를 위하여 도시되고, 다양한 "스트링" 구성을 예상한다. 변형례는 스트링의 개수, 게이지 및 간격 변동, 4개 이상의 스트링으로부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스트링에 대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작동 식별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례는, 만돌린, 밴조, 기타 및 베이스 기타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전통적인 악기에 대한 에뮬레이션과, 더블베이스, 첼로, 하프 또는 바이올린과 같은 전통적인 현악기에 대한 손가락 입력 기반의 에뮬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패드(811)는 다양한 입력 연주 모드를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터치 민감형" 패드이다. 건반(812)은 "피아노" 타입의 건반 구성을 도시하며, 전통적인 "피아노" 건반 레이아웃을 구체화하거나, 또는 건반(812)에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의 "피아노" 타입의 건반 레이아웃을 구체화한다.
스트링(810), 터치 패드(811), 건반(812) 및 다른 장래 실시예의 모듈은 입력 모듈의 종류, 에뮬레이션될 악기의 종류, 왼손 또는 오른손 모드 선택 및 다른 장래 고려되는 변형례를 식별하기 위하여 제1 I/O(801)와 인터페이스하는 임베디드된 처리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도 12a 내지 12f에서, 제1 I/O(1201)에서의 배치를 위한 "스트링 기반" 모듈을 포함하는 스트링(1210)이 도시되고, 다양한 "스트링" 구성을 예상한다. 변형례는 스트링의 개수, 게이지 및 간격 변동, 4개 이상의 스트링으로부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스트링에 대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작동 식별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례는, 바이올린, 피들(fiddle),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전통적인 악기에 대한 에뮬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바(1211)는 다양한 입력 연주 모드를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터치 민감형" 바이다. 스트링(1210), 터치 바(1211) 및 다른 장래 실시예의 모듈은 입력 모듈의 종류, 에뮬레이션될 악기의 종류, 왼손 또는 오른손 모드 선택 및 다른 장래 고려되는 변형례를 식별하기 위하여 제1 I/O(1201)와 인터페이스하는 임베디드된 처리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도 17a 내지 17d에서, 제1 I/O(1701)에서의 배치를 위하여 관악기 모듈을 위한 마우스피스(1709)가 도시되고, 다양한 관악기 구성을 예상한다. 변형례는 프렌치 호른, 트럼펫, 트롬본 밑 튜바, 바순, 클라리넷, 플루트, 오보에 및 색소폰, 하모니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전통 악기에 대한 목관 악기 에뮬레이션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1709) 및 다른 장래 실시예의 모듈은 입력 모듈의 종류, 에뮬레이션될 악기의 종류 및 다른 장래 고려되는 변형례를 식별하기 위하여 제1 I/O(1201)와 인터페이스하는 임베디드된 처리 또는 지능형 전자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도 8a 내지 8i에서의 스트링(810), 터치 패드(811) 및 건반(812), 도 12a 내지 12h에서의 스트링(1210) 및 터치 바(1211), 도 17a 내지 17d에서의 마우스피스(1709)에서, 본 발명의 제1 입출력 섹션은 음향 변형을 생성하기 위한 입력 파라미터 및 방법에서 종래의 악기와 가장 큰 유사성을 갖는다.
도 8a 내지 8i, 12a 내지 12h 및 17a 내지 17d의 핑거(810), 터치 패드(9811), 건반(812), 스트링(1210), 터치 바(1211) 및 마우스피스(1709)가, 라우드니스(loudness), 지속 시간, 위치 변동, 속도, 압력, 리듬, 퉁기는 패턴-건반을 치는 패턴-활을 켜는 패턴-부는 패턴, 피치 벤드, 비브라토, 트레몰로, 소리를 줄이는 것, 현을 뜯는 것, 철썩 치는 것 및 윙윙거리는 것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음향 생성 입력 파라미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1 I/O 입력부로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2 입출력 섹션은 목부(2051, 2052, 2061, 2062; 6051, 6052, 6061, 6062; 1104, 1105)를 포함하는 목부를 아우른다(도 2a 내지 2i, 6a 내지 6h 및 11a 내지 11d). 이 섹션에서의 음향 파라미터에 대한 변형 방법은 임의의 종래 또는 종래의 신디사이즈 악기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종래의 악기와 다르게, 도 7a 및 7b의 손가락 악기(701) 및 활 악기(702)에 대한 본 발명의 제2 I/O 섹션의 입출력 방법 시스템은 사실상 동일할 수 있다. 도 7c의 관악기(703)는, 마우스피스(1709)를 이용하는 관악기(703)의 제1 입력 구역에 의해서, 손가락 악기(701) 및 활 악기(702)와 동일한 입출력 시스템 방법을 가지지만, 도 17a 내지 17d의 목부(1704, 1705)에 양손을 이용하는 것을 허락하여, 목부(1704, 1705)에서 2개의 대칭하는 NIS(1707, 1708) 세트를 허용한다.
방법 시스템 파라미터는 예시적인 실시예이며, 따라서 다른 실시예가 고려된다. 음향 또는 음악 파라미터는 제1 섹션 NIS(808, 1208, 1707) 제2 NIS(809, 1209, 1708), 4개의 I/O(807, 1207, 1706) 및 도 10, 14, 19의 제3 I/O(1001, 1401, 1901)를 구비하는 목부(8051, 8052, 8061, 8062; 8051, 8052, 8061, 8062; 1704, 1705)를 포함하는 도 8a 내지 8i, 12a 내지 12h 및 17a 내지 17d)의 제2 입출력 섹션 목부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파라미터는, 키 A 내지 G(배음 중심(harmonic center) 또는 으뜸음(tonic) 포함), 코드(장조, 단조, 샵(sharp), 플랫(flat), 감음(diminished), 증음(augemented), 슬래시(slash), 파워(power), 딸림음(diminant)을 포함), 음조(고조파(hrmonics), 주파수 포함), 옥타브(12개 반음), 음계(반음계(chromatic), 온음계(whole tonic), 5음 음계(pentatonic), 감음계(diminished), 전음계(diatonic), 임시음(accidental)을 포함), 음(note), 효과(악센트(accent), 서스테인(sustain), 왜곡(distortion), 강약법(dynamics), 필터, 변조, 시간 의존(time-based), 반향(reverb), 피드백을 포함)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라미터의 부분적인 리스트가, 정확한 입력 시컨스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한 신속하게 실시간으로 모든 음향 파라미드를 가상적으로 변경하는 사용자의 능력에 기초하여 임의의 종래 악기를 뛰어 넘는 차이를 가지면서 실행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i, 12a 내지 12h 및 17a 내지 17d에서, 제1 NIS(808, 1208, 1707) 및 제2 NIS(809, 1209, 1708)을 포함하는 제2 입출력 섹션에서 이전에 약술된 파라미터(들)를 변경하기 위한 시스템이 도시된다. 도면들은 21개 입출력 서브 부분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서브 부분들은 사용자에 의해 완전히 프로그래밍 가능하다.
그러나, 예시적은 버전의 프로그램은 주요(음조, 악기 곡조의 키) 또는 보조(연주되는 음악 또는 음향의 키 또는 메이저 코드) 키 A 내지 G 입력인 제1의 7개 서브 부분(로고(814, 1213, 1711)에 가장 가까운 것)이다.
제3 I/O(1001, 1401, 1901)와 관련된 다음의 2개의 입력 서브 부분은, 코드,음조 및 옥타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변형에 대하여 프로그래밍 가능하다. 다음의 12개 입출력 서브 구역은 선택 키, 음계, 반음계 또는 12개의 옥타브 반음으로의 독주 음 연주에 대하여 프로그래밍된다.
도 7e에서, 최소의 예시적인 실시예인 목부(705)가 도시된다. 목부(705)에서, 12개의 입출력 서브 부분이 제공된다. 12개의 입출력 서브 부분은, 더 적은 입출력 서브 부분이 변형 및 가장 가능성 있게는 변경의 속도 및 숙련도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3개의 I/O(1001, 1401, 1901) 입력과 관련하여 21개의 입출력 서브 부분의 모든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12개 미만의 입출력 서브 부분을 갖는 실시예가 고려되지만, 입력 및 출력 변동과 연주 가능성에 관하여 손실을 가질 것이다.
도 7d에서, 본 발명의 제3 입출력 섹션인 페달(704)이 도시된다. 페달(704)의 예시적인 실시예에는 I/O 스위치(2201)로서 도 22a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 3개의 분리되고 프로그래밍 가능한 입출력 스위치를 도시한다. 제3 입출력 섹션은 제1 및 제2 입출력 섹션의 임의의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 있지만, 다른 사용자 입력(발 또는 발들)을 잠재적인 사용자 동시 입력 변형에 추가한다.
본 발명 및 3개의 입출력 구역은 사용자가 정확하지 않은 음향 또는 변형을 절대로 연주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실상 완벽한 음색을 획득하거나, 사용자는 음악 변형을 선택함에 따라 음색 변형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C 코드를 선택하면, 이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전념한 시간, C 코드 섹션 내의 배치, 사용된 힘, 지속 시간 또는 사용자가 C 코드를 연주한 횟수에 관계없이 완벽한 C 코드일 것이다. 사용자가 C 코드로부터 Am7 코드로 전환하고 입력 시컨스가 정확하다면, 이는 영시 완벽한 Am7 코드일 것이다. 사용자가 독주 음 섹션으로 이동한다면, 반음계의 12개 변형은 사용자가 현재 연주하고 있는 키에 완벽하게 기초할 것이다. 사용자가 선택된 시컨스 또는 변형을 좋아하지 않을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로, 각각의 변형은 음색적으로 그리고 음악적으로 완벽할 것이다.
도 7a 내지 7d 및 7f에서, 운영체계와 지원 소프트웨어를 갖는 디지털 전자 장치 기반인 손가락 악기(701), 활 악기(702), 관악기(703), 페달(704) 및 x보우인 활(706)이 도시된다. 본 발명은 앰프, 사운드 보드, 디지털 및 아날로그 녹음 설비, 컴퓨터, 컴퓨터 타입의 키보드, 인터넷 프로토콜, 블루투스 또는 다른 무선 프로토콜, PDA, 스마트폰, 다른 음악 프로토콜 장치(예를 들어, MIDI 이네이블 장치), USD 장치, 파이어와이어, 헤드폰, 본 발명 전용의 플러그인 스피커 출력 모듈, SSD 저장 장치, 그리고 다른 손가락 악기(701), 활 악기(702), 관악기(703) 및 페달(704)과 x보우(706)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른 장치 및 대응하는 상호 연결부에 대한 본 발명의 디지털 출력 및 아날로그 출력을 모두 고려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7a 내지 22f에 도시된 손가락 악기(701), 활 악기(702), 관악기(703), 페달(704) 및 x보우(706)를 계속 참조하면, 치수, 형상, 재료 및 변형은 사실상 무한하다. 본 발명 및 발명자들은 변형의 수준을 고려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그 최상의 형태가 되는 것으로 현재 고려되는 것을 실시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지만,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의 특정 실시예, 방법 및 예시에 대한 변형, 조합 및 균등물의 존재를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방법 및 예시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및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모든 실시예 및 방법에 의해 한정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는 음조 키, 음, 코드, 음계, 음조, 옥타브 및 음향 변형을 생성하고, 변경하며 종료하는 전자 하이브리드 또는 완전한 디지털 악기를 제공할 수 있다.
고유의 신규한 특징으로, 본 발명은 음악가 및 작곡가가 종래의 악기에 비하여 훨씬 짧은 시간에 음악을 연주하는 것에 능숙하게 되게 할 수 있는 음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측면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및 기술적 사상 내에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의 도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의미되며, 본 발명의 어셈블리의 설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인의 의도는 모든 특허청구범위 요소의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이며, 본 출원의 특허청구범위에 대한 어떠한 보정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임의의 요소 또는 특징에 대한 균등물에서의 임의의 이익 또는 그에 대한 임의의 권리의 포기로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5)

  1. 음악을 생성하기 위한 음악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입력부;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음악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악 신호 생성기;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입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음악 신호 생성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입력부는, 키(key), 음(note) 및 코드(cho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버튼과, 상기 범위 내에서 음표 및 음계(musical scale)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버튼을 포함하는,
    음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버튼의 범위 또는 음악적 변수(musical variable)의 변형을 정의하기 위한 복수의 제3 버튼; 및
    코드, 음조(pitch) 및 옥타브나 다른 주파수, 음색(tonal) 또는 음악적 변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4 버튼
    을 더 포함하는,
    음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부는, 복수의 청각적 특징(aural feature) 설정 중에서 상기 제2 입력부에 대한 청각적 특징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청각적 특징 설정 선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청각적 특징 설정 선택기는 음악적 파라미터 또는 변수의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현악기, 목관 악기, 금관 악기 및 건반 악기 중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음악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기를 더 포함하는,
    음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악 신호 생성기는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는,
    음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음악 신호에 기초하여 현악기, 목관 악기, 금관 악기 및 건반 악기 중 하나에 대응하는 음향을 생성하기 위한 음향 생성기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연결된 프로그래밍 가능하고 전화 가능한(electrifiable) 목부(neck)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목부를 수용하기 위한 대칭적인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부는, 상기 수용부에 상기 목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주된 왼손 또는 오른손 동작을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목부가 부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음악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본체 및 상기 목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음악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입력부는 상기 목부에 형성되는,
    음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입력부를 수용하기 위한 대칭적인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부는, 상기 수용부에 상기 제1 입력부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주된 왼손 또는 오른손 동작을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제1 입력부가 부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부는,
    현악기, 목관 악기, 금관 악기 및 건반 악기 중 하나에 대응하는 구조 요소를 포함하는 제1 입력 모듈; 및
    현악기, 목관 악기, 금관 악기 및 건반 악기 중 하나에 대응하는 구조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터치 민감형 표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모듈은 현악기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현악기 입력 모듈은,
    복수의 스트링;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또는 상기 복수의 스트링의 진동을 감지하고 상기 진동을 나타내는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픽업(pickup); 및
    상기 전류를 상기 제1 입력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처리 회로
    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모듈은 금관 악기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금관 악기 입력 모듈은,
    금관 악기 타입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 내의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압력을 나타내는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트랜스듀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또는 다른 감지 컴포넌트; 및
    상기 전류를 상기 제1 입력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처리 회로
    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모듈은 목관 악기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목관 악기 입력 모듈은,
    목관 악기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 내의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압력을 나타내는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트랜스듀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또는 다른 감지 컴포넌트; 및
    상기 전류를 상기 제1 입력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처리 회로
    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모듈은 건반 악기 입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건반 악기 입력 모듈은,
    복수의 건반을 포함하는 키보드;
    상기 복수의 건반의 건반에 인가된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압력을 나타내는 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전류를 상기 제1 입력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처리 회로
    를 포함하는,
    음악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민감형 표면은 현악기의 복수의 스트링, 목관 악기의 복수의 키, 금관 악기의 복수의 밸브 및 건반 악기의 복수의 건반 중 하나에 대응하거나, 또는 완전히 새로운 음악 또는 음색 파라미터 제어 악기 또는 음악 또는 음색 입출력 시스템을 형성하도록 완전하게 프로그래밍 가능한,
    음악 장치.
  1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목부 중 하나에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연결된 전자(electronic) 또는 비전자(non-electronic) 로고로서, 상기 전자 로고를 상기 수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또는 비전자 로고
    를 더 포함하는,
    음악 장치.
  18. 음악을 생성하기 위한 음악 장치에 있어서,
    본체;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1 입력부;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음악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된 음악 신호 생성기;
    상기 본체에 연결된 목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입력부; 및
    상기 음악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음악 신호 생성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입력부는, 키(key), 음(note) 및 코드(cho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버튼과, 상기 범위 내에서 음표 및 음계(musical scale)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버튼을 포함하는,
    음악 장치.
  19. 프로그래밍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음악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그래밍 신호에 의해 프로그래밍 가능한 음악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음악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입력부;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음악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악 신호 생성기;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입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음악 신호 생성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입력부는, 키(key), 음(note) 및 코드(cho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버튼과, 상기 범위 내에서 음표 및 음계(musical scale)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버튼을 포함하는,
    음악 생성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버튼 및 상기 복수의 제2 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음악적 표시 또는 다른 파라미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음악 장치에 연결된 무선 또는 유선 트랜스시버를 포함하는 헤드업(head-up)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음악 생성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장치의 상기 음악 신호 생성기와 통신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신호로 상기 음악 신호 생성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발 페달(foot pedal)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음악 생성 시스템.
  22.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입력부로 제1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음악 신호 생성기로 음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입력부로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음악 신호 생성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입력부는, 키(key), 음(note) 및 코드(chor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버튼과, 상기 범위 내에서 음표 및 음계(musical scale)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버튼을 포함하는,
    음악 생성 방법.
  23. 제5항의 음악 장치의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게 주로 왼손으로 동작 가능하거나 또는 주로 오른손으로 동작 가능한 목부.
  24. 제5항의 음악 장치의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게 주로 왼손으로 동작 가능하거나 또는 주로 오른손으로 동작 가능한 입력 모듈.
  25. 제6항의 음악 장치의 목부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및 호환성 검증부를 포함하는,
    전자 로고.
KR1020147004526A 2011-07-23 2012-07-23 음악 생성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234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11041P 2011-07-23 2011-07-23
US61/511,041 2011-07-23
PCT/US2012/047896 WO2013016304A1 (en) 2011-07-23 2012-07-23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mus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471A true KR20140123471A (ko) 2014-10-22

Family

ID=4760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526A KR20140123471A (ko) 2011-07-23 2012-07-23 음악 생성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2756273A4 (ko)
JP (1) JP2014526062A (ko)
KR (1) KR20140123471A (ko)
CN (1) CN104094090A (ko)
AU (1) AU2012287031B2 (ko)
BR (1) BR112014001557A2 (ko)
CA (1) CA2842520A1 (ko)
EA (1) EA201400150A1 (ko)
HK (1) HK1202617A1 (ko)
MX (1) MX2014000912A (ko)
NO (1) NO20140070A1 (ko)
WO (1) WO20130163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201A (ko) * 2015-08-11 201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음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
KR20230062975A (ko) * 2021-11-01 2023-05-09 박상윤 이동 단말기용 악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2657B (zh) * 2013-12-04 2016-05-11 李宋 一种一指弹交响乐系统
CN105303926A (zh) * 2015-11-02 2016-02-03 上海应用技术学院 一种智能竖笛及控制方法
JP5954604B1 (ja) * 2015-12-14 2016-07-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診断装置、診断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786291B (zh) * 2016-08-24 2024-04-05 特酷电子设备(上海)有限公司 蓝牙收音机测试装置
WO2018053675A1 (zh) * 2016-09-24 2018-03-29 彭新华 数码乐队弹奏法
IL259059A (en) * 2018-04-30 2018-06-28 Arcana Instr Ltd A musical instrument with a joystick with variable voltage and a variable range of motion and a method of using it
CA3081894A1 (en) * 2020-06-03 2021-12-03 Scott Christie Drumstick
CN112150995B (zh) * 2020-09-25 2022-12-02 天津中德应用技术大学 一种具有弹奏指导功能的数码钢琴
WO2024159289A1 (pt) * 2023-01-31 2024-08-08 Schramm Rodrigo Sistemas para controle sonoro usando comandos e métodos para produção de sons
KR102745761B1 (ko) * 2023-12-28 2024-12-23 김태우 넥 분리형 기타줄 없는 기타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1912A (en) * 1968-07-24 1970-11-24 John C Radke Manual and chord button bank portablenecked body for an electric organ
JPS52117118A (en) * 1976-03-26 1977-10-01 Shiyouzou Sugiyama Dfaft keyboard for electronic instrument
US4038895A (en) * 1976-07-02 1977-08-02 Clement Laboratories Breath pressure actuate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RE37422E1 (en) * 1990-11-20 2001-10-30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3309687B2 (ja) * 1995-12-07 2002-07-29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US6610917B2 (en) * 1998-05-15 2003-08-26 Lester F. Ludwig Activity indication, external source, and processing loop provisions for driven vibrating-element environments
US5945614A (en) * 1998-08-06 1999-08-31 White; Timothy P. Modular guitar system
US6479741B1 (en) * 2001-05-17 2002-11-12 Mattel, Inc. Musical device having multiple configura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6653543B2 (en) * 2002-03-07 2003-11-25 Charles J. Kulas Musical instrument tuner with configurable display
JP2006267611A (ja) * 2005-03-24 2006-10-05 Yamaha Corp 弦楽器型の電子楽器
GB2430302B (en) * 2005-09-19 2010-11-03 Michael Stewart Rainbow Musical instrument
US9117427B2 (en) * 2009-07-30 2015-08-25 Gregory A. Piccionelli Drumstick controller
JP5162963B2 (ja) * 2007-05-24 2013-03-13 ヤマハ株式会社 即興演奏支援機能付き電子鍵盤楽器及び即興演奏支援プログラム
JP2011514986A (ja) * 2008-03-11 2011-05-12 ミーサ デジタル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デジタル楽器
US20100064883A1 (en) * 2008-06-10 2010-03-18 Deshko Gynes Compact modular wireless control devices
CN101551996A (zh) * 2009-05-11 2009-10-07 曾平蔚 电子弹拨乐器及其发音控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201A (ko) * 2015-08-11 201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음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
KR20230062975A (ko) * 2021-11-01 2023-05-09 박상윤 이동 단말기용 악기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94090A (zh) 2014-10-08
JP2014526062A (ja) 2014-10-02
NO20140070A1 (no) 2014-03-21
EP2756273A4 (en) 2015-10-07
EA201400150A1 (ru) 2014-11-28
AU2012287031A1 (en) 2014-02-13
EP2756273A1 (en) 2014-07-23
AU2012287031B2 (en) 2016-02-18
MX2014000912A (es) 2014-11-21
BR112014001557A2 (pt) 2017-06-27
WO2013016304A1 (en) 2013-01-31
CA2842520A1 (en) 2013-01-31
HK1202617A1 (en)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87031B2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music
US10783865B2 (en) Ergonomic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pseudo-strings
US8796529B2 (en) Ergonomic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pseudo-strings
US20150206521A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music
JP2014526062A5 (ko)
US9082384B1 (en) Musical instrument with keyboard and strummer
US11011145B2 (en) Input device with a variable tensioned joystick with travel distance for operating a musical instrument, and a method of use thereof
US9679542B2 (en) Circular piano keyboard
JP2002536690A (ja) 電子弦楽器
CN107146598B (zh) 一种多音色混合的智能演奏系统和方法
US8669458B2 (en) Stringed instrument with keyboard
US10140967B2 (en) Musical instrument with intelligent interface
US20080173163A1 (en) Musical instrument input device
Chudy Discriminating music performers by timbre: On the relation between instrumental gesture, tone quality and perception in classical cello performance
US82993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simplified musical instrument
McGuire et al. The instruments
Vogels Harmonica-inspired digital musical instrument design based on an existing gestural performance repertoire
JP6587396B2 (ja) ギターカラオケ採点機能を備えるカラオケ装置
JP4144459B2 (ja) 楽器
WO2022222240A1 (zh) 一种电子拨弦乐器音阶排列的装置及方法
JPH0863166A (ja) キーボード式電子弦楽器
Bruhns et al. VARIABLE SOUND
Casselman An Electric Upright Bass
SG188696A1 (en) Invention of musical instrument – the conve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