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933A -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933A
KR20140122933A KR20130040006A KR20130040006A KR20140122933A KR 20140122933 A KR20140122933 A KR 20140122933A KR 20130040006 A KR20130040006 A KR 20130040006A KR 20130040006 A KR20130040006 A KR 20130040006A KR 20140122933 A KR20140122933 A KR 20140122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nel
window
adhesive lay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0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5486B1 (ko
Inventor
조종환
황현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0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486B1/ko
Priority to CN201310336990.1A priority patent/CN104097382B/zh
Publication of KR20140122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81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는 표시패널, 윈도우 및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가 배치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 및 상기 플레이트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Cooler for adhesive layer of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panel from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진 표시장치를 분리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패널과의 합지 시 UV 경화액 또는 OCA 테이프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트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 및 기타 화면표시장치를 포함하며, 윈도우는 유리(Glass) 또는 PC, PMMA 등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와 패널이 합지되어 있는 모듈 완제품 단계에서 불량이 발생하거나 기존 공정에서의 불량이 완제품 단계에서 인지된 경우 발생한 불량을 제거하기 위한 윈도우 해체 작업이 불가피하다. 다만, 접착되어 있는 패널과 윈도우를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분리하는 경우 패널이나 윈도우가 파손되는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분리 작업 시 패널이나 윈도우가 파손되면 이의 재사용이 어려워져 그에 따른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윈도우,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냉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표시 장치의 접착층을 냉각시켜 윈도우와 패널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표시 장치 접착층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표시장치의 접착층을 냉각시켜 표시장치의 윈도우와 패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는 표시패널, 윈도우 및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가 배치되는 플레이트, 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 및 상기 플레이트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는 표시 패널, 윈도우 및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가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제1 플레이트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제1 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제1 냉각 유닛, 제2 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제2 냉각 유닛 및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패널 분리 방법은 표시패널,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을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패널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표시장치의 접착층을 냉각시킴으로써 접착층의 접착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 접착층의 접착 성능을 감소시킴으로써 윈도우와 패널 분리 시 윈도우와 패널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윈도우와 패널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와 패널을 용이하게 분리함으로써 윈도우와 패널의 재사용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접착층냉각 장치를 a-a' 방향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윈도우 분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에 관한 예시적인 실험예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에" 또는 "~위에" 라는 표현은 발명 구성간 위치 관계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각 구성들의 배치 또는 보는 각도에 따라 "~하에" 또는 "~아래에" 로 해석될 수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100)는 표시패널, 윈도우 및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가 배치되는 플레이트(10), 플레이트(10)를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20) 및 상기 플레이트(1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0)를 포함한다.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윈도우 및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예시적인 구조는 도 3 참조)
표시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 및 기타 화면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랫(flat)한 패널뿐만 아니라 곡면을 갖는 패널 또는 벤딩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는 예컨대, 투명한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윈도우는 PC, PMMA 등의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윈도우는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표시 패널과 합지될 수 있다. 접착층은 다양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접착층의 재질로서, 열경화성 접착제 나 UV 경화성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광학투명양면테이프(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용 접착제(Optically clear resin, OCR) 테이프도 사용이 가능하다.
표시장치가 표시패널, 윈도우 및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표시장치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윈도우(503)와 중첩되는 제1 패널(501) 및 제1 패널(501)과 중첩되는 제2 패널(5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패널(502)은 상술한 표시 패널일 수 있으며, 제1 패널(501)은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일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층(510)은 제1 패널(501)과 윈도우(503) 사이 및 제1 패널(501)과 제2 패널(50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표시장치(50)는 플레이트(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0)는 냉각 유닛(20)에 의해 냉각되며, 냉각 유닛(20)에 의해 냉각된 플레이트(10)는 플레이트(10) 상에 배치된 표시장치(5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표시장치(50)의 접착층(51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접착층(510)의 온도가 내려가면, 접착층(510)의 접착 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접착층(510)의 접착 성능이 1N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착층(510)의 온도가 특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접착층(510)이 갖는 접착 성능이 완전히 상실될 수도 있다. 온도에 따른 접착 성능 감소 정도는 접착층(510)에 사용되는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의 종류, 두께 등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열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레이트(10)는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10)는 금속판일 수 있으며,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유닛(20)은 플레이트(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냉각 유닛(20)은 발열부(202)와 흡열부(201)를 갖는 열전소자(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100)는 플레이트(1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냉각 유닛(20)을 제어함으로써 플레이트(1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장치(30)는 플레이트(10)의 온도를 0도 내지 영하 60도 사이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 기 입력한 특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온도 범위는 예시적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제어장치(30)의 설정 및 냉매의 종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변수에 따라 제어장치(30)가 조절할 수 있는 온도 범위는 달라질 수 있다.
제어장치(30)는 플레이트(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30)가 플레이트(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온도센서는 플레이트(1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0)가 특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장치(30)를 설정해 놓은 경우, 설정 온도와 온도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된 온도의 차이를 계산하여 플레이트(10)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접착층냉각 장치를 a-a' 방향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100)에서 열은 표시장치(50)에서 플레이트(10)로, 플레이트(10)에서 냉각 유닛(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20)은 플레이트(1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 유닛(20)에 의해 플레이트(10)의 온도가 낮아지면, 플레이트(10)에 접하는 표시장치(50)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즉, 열은 도면에서 도시한 화살표 방향에 따라 표시장치(50)에서 플레이트(10)로, 플레이트(10)에서 다시 냉각 유닛(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0)는 윈도우, 제1 패널(501), 제2 패널(502) 및 제1 패널(501)과 윈도우(503) 사이 와 제1 패널(501)과 제2 패널(502)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5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제1 기판(미도시),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미도시), 및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은 복수개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일 수 있다. 제2 기판은 컬러필터층을 포함하는 대향기판일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표시 패널은 제1 기판 상에 형성되고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및 제1 기판에 부착되고 구동 회로가 실장된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패널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표시 장치(50)의 구조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50)는 윈도우(503), 제1 패널(501) 및 제2 패널(502) 외에 다른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접착층(51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층을 가진 표시 장치(50)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0)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은 발열부(202)와 흡열부(201)를 갖는 복수의 열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소자(210)는 예시적으로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 형 반도체에서 P 형 반도체로 전류를 인가하면, 열전소자(210)의 일 측은 열을 흡수하고 타 측은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는 서로 다른 종류의 도체(금속 또는 반도체)를 접합하여 전류를 흐르게 할 때 접합부에 줄열(Joule? heat) 외에 발열(發熱) 또는 흡열(吸熱)이 일어나는 현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현상을 펠티에 현상(Peltier effect)이라고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열을 흡수하는 측을 흡열부(201), 열을 방출하는 측을 발열부(202)로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100)에서는 플레이트(10)가 상술한 열전소자의 흡열부(201)에 접할 수 있다. 플레이트(10)가 흡열부(201)에 접하는 경우, 플레이트(10)의 열이 흡열부(201)를 지나 발열부(202)로 이동하여 플레이트(10)의 온도가 하강할 수 있다. 플레이트(10)의 온도가 하강하면, 열이 표시장치(50)에서 플레이트(10)로 이동하여 표시장치(50)의 온도가 하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장치(50)의 접착층(510)의 온도가 하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접착층(510)의 온도는 영하 60도까지 하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접착층(510)의 접착 성능이 1N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착층(510)의 온도가 특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접착층(510)이 갖는 접착 성능이 완전히 상실될 수도 있다. 온도에 따른 접착 성능 감소 정도는 접착층(510)에 사용되는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의 종류, 두께 등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20)은 발열부(202)의 열을 방출시키는 방열조(211)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100)에서 열은 표시장치(50)에서 플레이트(10)로, 플레이트(10)에서 흡열부(201)로, 흡열부(201)에서 발열부(202)로 이동할 수 있다.
발열부(202)로 이동한 열을 방출하기 위해 발열부(202)가 수납되는 방열조(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조(211)는 발열부(202)의 열을 방출시키기 위해 방열수가 순환하는 방열수 순환관(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수 순환관(미도시)은 발열부(202)와 접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방열수 순환관 내부에 물이 흐르도록 함으로써 발열부(202)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즉, 수냉식으로 발열부(202)의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다만, 냉각 방식은 이제 한정되지 않으며 방열조(211)는 공기를 이용하는 공냉식으로 발열부(202)의 열을 방출할 수 도 있다.
도면에서는 열전소자(210)가 방열조(211)에 수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방열조(211)의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발열부(202)만을 수납하거나 발열부(202)에 접하여 발열부(202)로부터 발생한 열을 방출할 수 도 있다.
발열부(202)의 열이 상기한 방법을 통해 강제로 방출됨으로써 열전소자(210)의 흡열부(201)로부터 더 많은 열이 발열부(202)로 전달되어, 흡열부(201)의 온도는 더 낮아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서 지칭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10)는 평탄부와 곡면부를 포함하는 점이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표시 장치(50)는 플랫(flat)한 패널뿐만 아니라 곡면을 갖는 패널 또는 벤딩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이 플렉서블 패널일 경우 표시 장치(50)는 완만하게 굽어지는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50)가 벤딩부를 포함하는 경우, 플레이트(11)의 곡면부가 표시 장치(50)의 벤딩부에 접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50)가 플레이트(11) 상면의 형상에 따라 굽어져 플레이트(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11) 상면에 접하는 표시 장치(50) 하면의 전 영역을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12)의 상면은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일 수 있다.
플레이트(12) 상면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5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곡면부와 평탄부를 포함하는 플레이트(11) 및 곡면을 갖는 플레이트(12)는 예시적인 것으로 표시장치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플레이트가 적용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101)는 표시 패널, 윈도우 및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가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10), 제1 플레이트(1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70), 제1 플레이트(10)를 냉각시키는 제1 냉각 유닛(20), 제2 플레이트(70)를 냉각시키는 제2 냉각 유닛(80) 및 제1 플레이트(10)와 제2 플레이트(70)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장치(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플레이트(10)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70)와 제2 플레이트(70)를 냉각시키는 제2 냉각 유닛(80)을 더 포함하는 점이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즉,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플레이트(10) 및 냉각 유닛(20)은 도 7의 실시예에서의 제1 플레이트(10) 및 제1 냉각 유닛(20)과 동일하며, 다만, 도 7의 실시예에서 제2 플레이트(70) 및 제2 냉각 유닛(80)과 구별하기 위하여 "제1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음을 밝혀둔다.
제2 플레이트(70)의 구조는 제1 플레이트(10)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열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 플레이트(70)는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플레이트(70)는 금속판일 수 있으며,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각 유닛(80)의 구조는 제1 냉각 유닛(2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2 냉각 유닛(80)은 제2 플레이트(70)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냉각 유닛(80)은 발열부와 흡열부를 갖는 열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소자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자세히 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101)는 제1 플레이트(10) 및/또는 제2 플레이트(7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제1 냉각 유닛(20) 및/또는 제2 냉각 유닛(80)을 제어함으로써 제1 플레이트(10) 및/또는 제2 플레이트(7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장치(30)는 제1 플레이트(10) 및/또는 제2 플레이트(70)의 온도를 0도 내지 영하 60도 사이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 기 입력한 특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온도 범위는 예시적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제어장치(30)의 설정 및 냉매의 종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변수에 따라 제어장치(30)가 조절할 수 있는 온도 범위는 달라질 수 있다.
제어장치(30)는 제1 플레이트(10) 및/또는 제2 플레이트(7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30)가 제1 플레이트(10) 및/또는 제2 플레이트(7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온도센서는 제1 플레이트(10) 및/또는 제2 플레이트(7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10) 및/또는 제2 플레이트(70)가 특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장치(30)를 설정해 놓은 경우, 설정 온도와 온도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된 온도의 차이를 계산하여 제1 플레이트(10) 및/또는 제2 플레이트(70)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101)는 제1 플레이트(10)와 제2 플레이트(70) 사이에 표시 장치(5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플레이트(70)는 제1 플레이트(10)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표시 장치(5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50)의 하면에는 제1 플레이트(10)가 접하고 표시 장치(50)의 상면에는 제2 플레이트(70)가 접하는 경우, 표시 장치(50)의 양면을 통해 열이 이동하게 되므로, 도 1의 실시예에 비해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표시 장치(5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101)는 제2 플레이트(70)를 상하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101)가 제2 플레이트(70)를 상하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구동부가 제1 플레이트(10)와 제2 플레이트(7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두께를 가진 표시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표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101)는 오목부를 갖는 제2 플레이트(71)를 더 포함하는 점이 도 6의 실시예와 다른 점이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플랫(flat)한 패널뿐만 아니라 곡면을 갖는 패널 또는 벤딩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이 플렉서블 패널일 경우 표시 장치는 완만하게 굽어지는 벤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벤딩부를 포함하는 경우, 제1 플레이트(11)의 곡면부가 표시 장치(51)의 벤딩부에 접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51)가 제1 플레이트(11) 상면의 형상에 따라 굽어져 제1 플레이트(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플레이트(11) 상면에 접하는 표시 장치(51) 하면의 전 영역을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플레이트(71)는 제2 플레이트(71) 내측으로 일정 간격 함몰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71)가 오목부를 포함하는 경우, 제2 플레이트(71)는 제1 플레이트(11) 및 제1 플레이트(11)와 중첩되는 표시장치(51)를 완전하게 덮을 수 있다. 즉, 표시 장치(51) 상면의 형상과 제2 플레이트(71) 하면의 형상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플레이트(71)는 제2 플레이트(71) 하면에 접하는 표시 장치(51) 상면의 전 영역을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51)의 하면에는 제1 플레이트(11)가 접하고 표시 장치(51)의 상면에는 제2 플레이트(71)가 접하는 경우, 표시 장치의 양면을 통해 열이 빠져나가게 되므로, 도 1의 실시예에 비해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표시 장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윈도우 분리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윈도우 분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윈도우 분리 방법은 표시패널,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접착층을 냉각시키는 단계(s2)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패널을 분리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윈도우 및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 및 기타 화면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랫(flat)한 패널뿐만 아니라 곡면을 갖는 패널 또는 벤딩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는 예컨대, 투명한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윈도우는 PC, PMMA 등의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윈도우는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표시 패널과 합지될 수 있다. 접착층은 다양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접착층의 재질로서, 열경화성 접착제 나 UV 경화성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광학투명양면테이프(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용 접착제(Optically clear resin, OCR) 테이프도 사용이 가능하다.
표시장치가 표시패널, 윈도우 및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표시장치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윈도우(503)와 중첩되는 제1 패널(501) 및 제1 패널(501)과 중첩되는 제2 패널(5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패널(502)은 상술한 표시 패널일 수 있으며, 제1 패널은 터치스크린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일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층(510)은 제1 패널(501)과 윈도우(502) 사이 및 제1 패널과 제2 패널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윈도우 분리 방법은 접착층(510)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접착층(510)의 온도가 내려가면, 접착층(510)의 접착 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접착층(510)의 접착 성능이 1N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특정 온도 이하에서 접착층(510)의 접착 성능을 완전히 상실할 수도 있다. 온도에 따른 접착 성능 감소의 정도는 접착층(510)에 사용되는 접착제 및/또는 점착제의 종류, 두께 등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접착층(510)을 냉각하는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100, 101)가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표시 장치(50, 51) 하면에 제1 플레이트(10, 11)를 접하게 하고, 표시 장치(50, 51) 상면에 제2 플레이트(70, 71)를 접하게 한 후, 제1 냉각 유닛(20) 및 제2 냉각 유닛(80)을 이용하여 제1 플레이트(10, 11) 및 제2 플레이트(70, 71)를 냉각시킴으로써, 표시 장치(50, 51)의 접착층을 냉각시킬 수 있다. 열의 이동방향 및 제1 냉각 유닛(20) 및 제2 냉각 유닛(80)의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즉,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100, 101)가 접착층(510)을 냉각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거나 향후 기술발전에 따라 구현 가능한 모든 냉각 방법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을 냉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윈도우 분리 방법은 윈도우와 표시 패널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층이 냉각되면, 접착 성능이 상실되거나 저하될 수 있다. 이 경우, 물리적인 방법으로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분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나이프, 와이어 또는 블레이드를 표시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개재시켜 표시 패널과 윈도우를 분리할 수 있으나 분리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착력이 있는 롤러를 이용하는 방법, 진공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 기타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패널을 분리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성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분리하는 경우, 표시 패널이나 윈도우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표시패널과 윈도우를 분리할 수 있어 표시 패널과 윈도우의 재사용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은 순차적 또는 연속적임을 명시하거나 다른 특별한 언급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하나의 제조 방법을 구성하는 하나의 단계와 다른 단계가 명세서 상에 기술된 순서로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제조 방법의 구성 단계의 순서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그에 부수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화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에 관한 예시적인 실험예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른 플레이트의 온도 변화를 볼 수 있다.
다만, 이 실험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11, 70, 71: 플레이트
20: 냉각 유닛
30: 제어부
50, 51: 표시 장치
510: 접착층
501: 제1 패널
502: 제2 패널
503: 윈도우
201: 흡열부
202: 발열부
210: 열전소자

Claims (19)

  1. 표시패널,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가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냉각 유닛; 및
    상기 플레이트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접착층을 냉각시키는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 "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흡열부와 발열부를 갖는 복수의 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흡열부에 접하는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를 냉각시키는 방열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열부는 상기 발열조에 수납되는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조는 방열수가 순환되도록 하는 방열수 순환관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와 중첩되는 제1 패널;
    및 상기 제1 패널과 중첩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은 윈도우와 제1 패널 사이 및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은 터치 스크린 패널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광학투명양면테이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평탄부와 곡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9. 표시패널,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가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제1 냉각 유닛;
    상기 제2 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제2 냉각 유닛;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유닛 및 상기 제2 냉각 유닛은 흡열부와 발열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냉각유닛의 흡열부에 접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냉각 유닛의 흡열부에 접하는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를 냉각시키는 방열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열부는 상기 발열조에 수납되는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조는 방열수가 순환되도록 하는 방열수 순환관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윈도우;
    상기 윈도우와 중첩되는 제1 패널;
    및 상기 제1 패널과 중첩되는 제2 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은 윈도우와 제1 패널 사이 및 제1 패널 및 제2 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은 터치 스크린 패널인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광학투명양면테이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16.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평탄부와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중첩되는 상기 표시장치를 완전히 덮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장치.
  17. 표시 패널,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을 냉각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을 냉각시키는 단계는 상기 표시장치의 하부에 접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표시장치의 상부에 접하는 제2 플레이트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터치스크랜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윈도우와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사이 및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
KR1020130040006A 2013-04-11 2013-04-11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 KR102075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006A KR102075486B1 (ko) 2013-04-11 2013-04-11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
CN201310336990.1A CN104097382B (zh) 2013-04-11 2013-08-05 冷却显示设备的粘合层的装置及分离面板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006A KR102075486B1 (ko) 2013-04-11 2013-04-11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933A true KR20140122933A (ko) 2014-10-21
KR102075486B1 KR102075486B1 (ko) 2020-02-11

Family

ID=51666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006A KR102075486B1 (ko) 2013-04-11 2013-04-11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5486B1 (ko)
CN (1) CN104097382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009B1 (ko) * 2015-08-10 2016-12-21 아이원스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US9905794B2 (en) 2015-10-13 2018-02-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KR20190033726A (ko) *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제우스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
KR102031692B1 (ko) * 2018-05-04 2019-10-14 (주)안마이크론시스템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패널을 분리하는 장치
KR20200053066A (ko) * 2018-11-07 2020-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방법 및 재제조 방법
US10836151B2 (en) 2018-01-05 2020-11-17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separating a window and method for separating a window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0400B (zh) * 2015-04-03 2017-01-18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拆解装置
US10052859B2 (en) * 2015-05-01 2018-08-21 Euna Park Apparatus and method for reclaiming curved and bendable display screens
CN107225840A (zh) * 2017-04-21 2017-10-03 深圳市立德通讯器材有限公司 全贴合显示屏的拆解分离方法
CN110741427B (zh) * 2017-11-10 2021-10-22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面板的制作方法、柔性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8131U (ko) * 1994-03-14 1995-10-20 수냉식 냉각장치
JP2002177938A (ja) * 2000-12-14 2002-06-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パネルからガラス板を分離するガラス板分離方法、およびガラス板分離装置
JP2005077426A (ja) * 2003-08-29 2005-03-24 Shibaura Mechatronics Corp 基板貼り合わせ装置および基板貼り合わせ方法
JP2005227647A (ja) * 2004-02-16 2005-08-25 Sharp Corp 光学的フィルムの分離方法
KR20080110147A (ko) * 2007-06-14 2008-12-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플렉서블 기판 접합 및 탈착장치
KR20100060756A (ko) * 2008-11-28 2010-06-07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액냉식 열전 냉각장치
KR20100079838A (ko) * 2008-12-31 2010-07-08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기판 합착장치
KR20110088772A (ko) * 2010-01-29 2011-08-04 (주) 에스티에스 터치스크린패널의 디스플레이 모듈 재생을 위한 광학투명접착제 분리제거 장치 및 그 방법
JP2012193264A (ja) * 2011-03-16 2012-10-11 Daio Paper Corp 粘着シートおよび該粘着シートの剥離方法
KR20130015230A (ko) * 2011-08-02 2013-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922A (ja) * 1998-05-08 1999-11-30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冷却装置および基板冷却方法
JP2000246845A (ja) * 1999-03-03 2000-09-12 Sumitomo Chem Co Ltd アクリル系樹脂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構造体
EP1341028A4 (en) * 2000-12-08 2006-05-10 Son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liquid crystal projector
CN202196771U (zh) * 2011-08-22 2012-04-18 四川软测技术检测中心有限公司 用于电动汽车半导体的新型双面冷却器
CN102385186A (zh) * 2011-11-18 2012-03-2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面板、液晶面板的制作方法及制作设备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8131U (ko) * 1994-03-14 1995-10-20 수냉식 냉각장치
JP2002177938A (ja) * 2000-12-14 2002-06-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パネルからガラス板を分離するガラス板分離方法、およびガラス板分離装置
JP2005077426A (ja) * 2003-08-29 2005-03-24 Shibaura Mechatronics Corp 基板貼り合わせ装置および基板貼り合わせ方法
JP2005227647A (ja) * 2004-02-16 2005-08-25 Sharp Corp 光学的フィルムの分離方法
KR20080110147A (ko) * 2007-06-14 2008-12-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플렉서블 기판 접합 및 탈착장치
KR20100060756A (ko) * 2008-11-28 2010-06-07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액냉식 열전 냉각장치
KR20100079838A (ko) * 2008-12-31 2010-07-08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기판 합착장치
KR20110088772A (ko) * 2010-01-29 2011-08-04 (주) 에스티에스 터치스크린패널의 디스플레이 모듈 재생을 위한 광학투명접착제 분리제거 장치 및 그 방법
JP2012193264A (ja) * 2011-03-16 2012-10-11 Daio Paper Corp 粘着シートおよび該粘着シートの剥離方法
KR20130015230A (ko) * 2011-08-02 2013-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009B1 (ko) * 2015-08-10 2016-12-21 아이원스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US9905794B2 (en) 2015-10-13 2018-02-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US10199595B2 (en) 2015-10-13 2019-02-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KR20190033726A (ko) * 2017-09-22 2019-04-01 주식회사 제우스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
US10836151B2 (en) 2018-01-05 2020-11-17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separating a window and method for separating a window using the same
US11458721B2 (en) 2018-01-05 2022-10-04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separating a window and method for separating a window using the same
KR102031692B1 (ko) * 2018-05-04 2019-10-14 (주)안마이크론시스템 Oca 필름에 의하여 패널이 접착된 윈도우에서 패널을 분리하는 장치
KR20200053066A (ko) * 2018-11-07 2020-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방법 및 재제조 방법
US11292239B2 (en) 2018-11-07 2022-04-05 Samsung Display Co., Ltd. Disassembling method of display module and remanufacturing method of disassembled displa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486B1 (ko) 2020-02-11
CN104097382A (zh) 2014-10-15
CN104097382B (zh) 2018-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2933A (ko)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
US81493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grounded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tape
EP2887135B1 (en) Display device
US20140176867A1 (en) Edge type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for preventing light leakage
EP3485712B1 (en) Outdoor display apparatus
US20070031997A1 (en) Jig and vacuum equipment for surface adhesion and adhesion method using the vacuum operative adhesion
US20200019017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1560058B1 (ko) 온도 제어형 적층 롤러를 구비한 적층 시스템
KR20140079822A (ko) 이중 에지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를 갖는 디스플레이
JP2013073184A5 (ko)
WO2013115084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7198090A1 (zh) 显示装置
US20140097417A1 (en)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525370B (zh) 液晶顯示裝置
CN102692747B (zh) 电光装置及电子设备
JP5608545B2 (ja) 熱圧着ヘッド、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JP5530778B2 (ja) 液晶表示装置
US20160037655A1 (en) Display device
US9753332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50370120A1 (en) Display device with heat dissipating chassis
KR20170071824A (ko) 플렉서블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354912B1 (ko) 백라이트용 광원 유닛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US10893619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60320542A1 (en) Backlight unit with heat dissipating memb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927912B2 (en) Sealant cu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