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726A -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726A
KR20190033726A KR1020170122228A KR20170122228A KR20190033726A KR 20190033726 A KR20190033726 A KR 20190033726A KR 1020170122228 A KR1020170122228 A KR 1020170122228A KR 20170122228 A KR20170122228 A KR 20170122228A KR 20190033726 A KR20190033726 A KR 20190033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adhesive layer
optical adhesive
cover gla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732B1 (ko
Inventor
박영익
김태훈
박상효
강동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우스
Priority to KR1020170122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732B1/ko
Priority to CN201811102619.8A priority patent/CN109548359B/zh
Publication of KR20190033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51/5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48Temperature monito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involving removal of lid, door, cover

Abstract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는: 디스플레이부가 투입되어 냉각되도록 복수개 설치되는 냉각챔버; 복수의 냉각챔버를 각각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냉각도어; 복수의 냉각챔버에 설치되는 냉각패널부; 및 복수의 냉각챔버에 각각 설치되는 온도조절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DISPLAY COOLING APPARATUS AND DISPLAY SEPARATING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표시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부는 화면표시모듈과 커버 글라스를 포함한다. 화면표시모듈의 외측면에는 광학점착층에 의해 커버 글라스가 부착된다. 화면표시모듈은 박막트랜지스터, 광 다이오드층 및 편광층 이나 액정, 컬러 필터 및 편광층 등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화면표시모듈에서 셀 불량이나 화소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 화면표시모듈과 커버 글라스를 분리하여 화면표시모듈과 커버 글라스를 재활용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화면표시모듈과 커버 글라스를 고온으로 가열한 후 화면표시모듈에서 커버 글라스를 분리하는 경우, 광학점착층이 분리되지 않고 화면표시모듈 내부의 어느 한 접착층이 분리됨에 따라 화면표시모듈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저온 상태에서는 화면표시모듈 내부의 접착층의 강도가 커버 글라스의 광학점착층의 강도보다 상대적으로 약하다. 따라서, 화면표시모듈을 저온 상태에서 분리하는 경우, 분리 나이프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화면표시모듈 내부의 어느 한 접착층이 분리됨에 따라 화면표시모듈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34149호(2010. 10. 28 공개, 발명의 명칭: 터치감지유닛의 재생을 위한 터치감지유닛 분리 및 세정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표시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는: 디스플레이부가 투입되어 냉각되도록 복수개 설치되는 냉각챔버; 복수의 상기 냉각챔버를 각각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냉각도어; 복수의 상기 냉각챔버에 설치되는 냉각패널부; 및 복수의 상기 냉각챔버에 각각 설치되는 온도조절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조절히터는 복수의 상기 냉각챔버에 대응되도록 상기 냉각패널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는 상기 냉각챔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도어의 개방시 상기 냉각챔버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양압을 형성하는 기체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히터의 둘레부에는 상기 온도조절히터의 열기가 상기 냉각패널부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열교환차단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차단부는 상기 온도조절히터의 둘레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열차단부재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차단부는 상기 온도조절히터의 둘레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열차단공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은: 광학접착층의 가열된 부분과 커버 글라스가 국부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디스플레이부가 냉각장치에 투입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냉각장치에서 냉각되는 단계; 및 온도조절히터를 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냉각장치를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장치는 복수의 냉각챔버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냉각챔버는 하나의 냉각패널에 의해 냉각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온도조절히터는 상기 냉각챔버마다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챔버의 냉각도어가 개방될 때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냉각지그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냉각도어와 함께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냉각도어의 개방시 기체 분사부가 상기 냉각챔버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양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각지그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표시모듈이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접착층의 일단부가 가열부에 의해 국부적으로 가열되므로, 광학접착층의 일단부의 경도가 감소됨에 따라 광학접착층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화면표시모듈이 가열부의 열기에 의해 거의 가열되지 않으므로, 화면표시모듈이 가열부의 열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착 스테이지가 공기에 의해 냉각되므로, 디스플레이부가 안착 스테이지의 냉기에 의해 냉각된다. 따라서, 가열부의 열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의 화면표시모듈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가 냉각장치에서 냉각되므로, 광학접착층이 화면표시모듈에 재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가 냉각지그에 안착된 상태로 글라스 분리장치로 이송되므로, 디스플레이부가 냉각지그에 의해 냉각되면서 이송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가 외부 공기와 접촉되더라도 광학접착층이 재점착 가능한 온도로 상승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글라스 분리장치는 분리물질을 분사하여 광학접착층과 커버 글라스를 분리시키므로, 광학접착층과 커버 글라스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전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의 전처리장치에서 국부 분리부가 광학접착층의 일단부를 국부적으로 분리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냉각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냉각장치의 냉각챔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냉각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냉각챔버가 복수의 층으로 설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냉각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냉각지그에 안착되지 않을 경우에 디스플레이부의 온도 상승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냉각지그에 안착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의 온도 상승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분리부가 광학접착층을 분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분리부가 광학접착층을 분리할 때에 분리물질을 분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접착층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이물질 흡입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안착부와 접착층 제거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안착부에 커버 글라스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안착부에 잔류된 광학접착층이 접착층 제거롤러에 의해 제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접착층 제거롤러에 의해 제거된 광학접착층이 접착층 배출통에 배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의 디스플레이부분리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는 전처리장치(110), 냉각장치(120), 글라스 분리장치(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화면표시모듈(11) 및 커버 글라스(15)를 포함한다. 화면표시모듈(11)과 커버 글라스(15)는 광학점착광학접착층(13)에 의해 부착된다. 광학점착광학접착층(13)은 화면표시모듈(11)과 커버 글라스(15)의 둘레부를 부착한다. 광학점착광학접착층(13)은 직사각틀 형태로 형성된다. 화면표시모듈(11)로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가 적용될 수 있다. 물론, 화면표시모듈(11)로는 양자점발광다이오드(QLED: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s),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전처리장치(110)의 일측에는 냉각지그 안착부(103)가 설치되고, 냉각지그 안착부(103)의 일측에는 냉각장치(120)가 설치되며, 냉각장치(120)의 일측에는 글라스 분리장치(130)가 설치되며, 글라스 분리장치(130)의 일측에는 접착층 제거부(141)가 설치된다.
전처리장치(110)에는 디스플레이부(10)와 국부 분리부(117)를 냉각지그(131)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나이프 매거진(105)이 설치된다. 냉각지그 안착부(103)에 냉각지그(131)를 공급하도록 냉각지그(131) 이송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접착층 제거부(141)는 커버 글라스(15)가 분리된 화면표시모듈(11)에서 잔존하는 광학접착층(13)을 제거한다. 또한, 분리된 커버 글라스(15)에 잔존하는 광학접착층(13)을 제거한다. 광학접착층(13)이 완전히 제거된 커버 글라스(15)와 화면표시모듈(11)은 세정장치(107)에서 세정된 후 배출장치(108)에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전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의 전처리장치에서 국부 분리부가 광학접착층의 일단부를 국부적으로 분리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처리장치(110)는 가열부(111), 안착 스테이지(114), 국부 분리부(117)를 포함한다.
가열부(111)는 화면표시모듈(11)과 커버 글라스(15)를 접합하는 광학접착층(13)을 국부적으로 가열한다. 화면표시모듈(11)의 터치전극연결부(미도시) 측 단부에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연결될 전선(미도시)이 연결된다. 터치전극연결부는 카메라(미도시)가 설치될 베젤 영역을 포함한다.
가열부(111)는 광학접착층(13)의 단부를 국부적으로 가열하는 가열히터이다. 가열부(111)는 화면표시모듈(11)의 둘레부의 단부를 국부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화면표시모듈(11)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가열부(111)가 광학접착층(13)의 단부를 국부적으로 가열하므로, 가열부(111)의 열기에 의해 화면표시모듈(11)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표시모듈(11)의 접착층이 가열부(111)의 열기에 의해 연화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화면표시모듈(11)에서 커버 글라스(15)가 분리될 때에 화면표시모듈(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열부(111)는 광학접착층(13)의 단부에서 3-10mm 정도 국부 가열한다. 가열부(111)의 가열 온도는 50-100℃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광학접착층(13)이 가열 온도로 가열됨에 따라 광학접착층(13)의 경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광학접착층(13)이 화면표시모듈(11)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때, 가열부(111)는 광학접착층(13)에서 터치전극연결부 측의 일단부(13a)를 국부적으로 가열한다. 터치전극연결부에는 화면표시모듈(11)의 외곽으로 빛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투과방지 페인트(미도시)가 도포된다.
안착 스테이지(114)에는 디스플레이부(10)의 상기 커버 글라스(15)가 안착되고, 커버 글라스(15)를 냉각시킨다. 안착 스테이지(114)에는 커버 글라스(15)를 냉각시키도록 에어가 유동되는 냉각라인(116)이 설치된다. 안착 스테이지(114)에는 기판을 진공압에 의해 흡착하도록 복수의 흡착포트(139)가 설치된다.
국부 분리부(117)는 광학접착층(13)의 가열된 부분과 커버 글라스(15)를 국부적으로 분리시킨다. 국부 분리부(117)가 광학접착층(13)의 가열된 부분과 커버 글라스(15)를 국부적으로 분리시키므로, 화면표시모듈(11)에는 국부 분리부(117)에 의한 외력이 거의 가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의 국부 분리시 화면표시모듈(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국부 분리부(117)는 광학접착층(13)의 가열된 부분과 커버 글라스(15) 사이에 삽입되는 분리 플레이트일 수 있다. 분리 플레이트는 플랙시블한 얇은 필름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분리 플레이트는 얇은 스테인리스 패널로 제작될 수 있다. 분리 플레이트는 화면표시모듈(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도가 낮은 수지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플레이트는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를 국부적으로 분리시키는 한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국부 분리부(117)는 광학접착층(13)의 가열된 부분과 커버 글라스(15) 사이에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 플레이트일 수 있다. 유체분사 플레이트가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 사이에 유체를 분사하므로, 광학접착층(13)의 가열된 부분이 유체의 분사압력에 의해 국부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국부 분리부(117)에서 분사되는 유체는 에어, 질소 등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냉각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냉각장치의 냉각챔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냉각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냉각챔버가 복수의 층으로 설치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냉각장치(120)는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가 국부적으로 분리된 디스플레이부(10)를 냉각시킨다. 이때, 국부 분리부(117)가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의 분리된 부분에 삽입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10)가 냉각장치(120)에 이동된다. 나이프 매거진(105)이 국부 분리부(117)를 지지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0)를 냉각장치(120)로 이동시킨다. 디스플레이부(10)가 냉각장치(120)에서 냉각되므로, 국부적으로 분리된 광학접착층(13)이 재점착성을 갖도록 점성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장치(120)는 냉각챔버(121), 냉각도어(122), 냉각패널부(124) 및 온도조절히터(125)를 포함한다.
복수의 냉각챔버(121)는 케이스의 내부에 배열된다. 냉각챔버(121)는 일렬로 배열되거나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도 9 참조).
냉각도어(122)는 복수의 냉각챔버(121)를 각각 개폐시키도록 설치된다. 냉각도어(122)는 냉각챔버(121)마다 하나씩 설치된다.
냉각패널부(124)는 복수의 냉각챔버(121)에 설치된다. 이때, 케이스에는 하나의 냉각패널부(124)가 설치되고, 냉각패널부(124)의 상면에 복수의 냉각챔버(121)가 배치된다. 따라서, 하나의 냉각패널부(124)가 냉각됨에 따라 복수의 냉각챔버(121)의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물론, 냉각패널부(124)는 냉각챔버(121)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패널부(124)는 개별적으로 냉각 온도가 제어된다.
온도조절히터(125)는 복수의 냉각챔버(121)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온도조절히터(125)는 복수의 냉각챔버(121)에 대응되도록 냉각패널부(124)에 설치된다. 냉각챔버(121)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지면, 온도조절히터(125)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온도조절히터(125)가 발열되어 냉각챔버(121)의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로 상승시킨다. 따라서, 냉각챔버(121)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냉각챔버(121)의 기 설정된 온도 범위는 -45∼-65℃ 정도로 설정된다. 이러한 기 설정된 온도 범위는 화면표시모듈(11)이 손상되지 않으면서도 광학접착층(13)이 점착성을 갖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온도이다.
온도조절히터(125)의 둘레부에는 온도조절히터(125)의 열기가 냉각패널부(124)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열교환 차단부(126)가 설치된다. 열교환 차단부(126)가 온도조절히터(125)와 냉각패널부(124)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므로, 냉각패널부(124)의 온도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열교환 차단부(126)는 온도조절히터(125)의 둘레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열차단부재일 수 있다. 열차단부재가 온도조절히터(125)와 냉각팬러부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므로, 냉각챔버(121)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 차단부(126)는 온도조절히터(125)의 둘레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열차단공간일 수 있다. 열차단 공간는 별도의 밀봉부재(미도시)에 의해 밀봉되어 냉각챔버(121)의 냉기가 열차단 공간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장치(120)는 냉각챔버(121)의 내부에 배치되고, 냉각도어(122)의 개방시 냉각챔버(121)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양압(positive pressure)을 형성하는 기체 분사부(128)를 더 포함한다. 기체 분사부(128)가 냉각도의 개방시 냉각챔버(121)의 내부에 양압을 형성하므로, 냉각챔버(121)의 내부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체 분사부(128)는 질소를 분사하여 질소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냉각지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냉각지그에 안착되지 않을 경우에 디스플레이부의 온도 상승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가 냉각지그에 안착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의 온도 상승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분리부가 광학접착층을 분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분리부가 광학접착층을 분리할 때에 분리물질을 분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접착층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이물질 흡입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 내지 17을 참조하면, 글라스 분리장치(130)는 냉각장치(120)에서 인출되는 디스플레이부(10)에서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의 벌어진 틈새로 분리물질을 분사하여 커버 글라스(15)를 분리시킨다.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의 벌어진 틈새로 분리물질을 분사하여 커버 글라스(15)를 분리시키므로, 화면표시모듈(11)에는 가수 분사 압력을 제외한 외력이 거의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 글라스(15)를 분리할 때에 화면표시모듈(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글라스 분리장치(130)는 냉각지그(131) 및 글라스 분리부(135)를 포함한다.
냉각지그(131)는 디스플레이부(10)를 냉각시킨다. 디스플레이부(10)가 냉각챔버(121)에서 인출되었을 때에 냉각지그(131)가 디스플레이부(10)를 냉각시키므로, 디스플레이부(10)가 -45℃에 도달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면표시모듈(11)과 커버 글라스(15)가 분리될 때에 광학접착층(13)이 점착성을 갖도록 온도로 상승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화면표시모듈(11)에서 커버 글라스(15)를 분리시키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각지그(131)가 디스플레이부(10)를 냉각시키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가 인출 후 대략 8초 정도 경과되면 광학접착층(13)의 온도가 -45℃ 정도로 상승되어 광학접착층(13)이 점착성을 갖게 된다(도 11 참조).
반면, 냉각지그(131)가 디스플레이부(10)를 냉각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가 인출 후 대략 60초 정도 경과되면 광학접착층(13)의 온도가 -45℃ 정도로 상승되어 광학접착층(13)이 점착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화면표시모듈(11)에서 커버 글라스(15)를 분리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도 12 참조).
글라스 분리부(135)는 디스플레이부(10)에서 광학접착층(13)과 화면표시모듈(11)의 틈새를 벌려주는 분리부재(136)와, 분리부재(136)에 의해 벌려진 틈새에 분리물질을 분사하여 커버 글라스(15)를 분리시키는 분리물질 분사노즐(137)을 구비한다. 분리부재(136)가 광학접착층(13)과 화면표시모듈(11)의 틈새를 벌려주므로, 분리물질 분사노즐(137)에서 분사되는 분리물질이 벌려진 틈새로 집중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글라스(15)가 분리물질의 분사력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글라스 분리장치(130)는 화면표시모듈(11)에서 분리된 커버 글라스(15)를 화면표시모듈(11)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글라스 이동부(138)를 더 포함한다. 이때, 글라스 이동부(138)는 커버 글라스(15)를 흡착한 후 화면표시모듈(11)의 외측으로 반전시킬 수 있다. 글라스 이동부(138)가 커버 글라스(15)를 화면표시모듈(11)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므로, 화면표시모듈(11)에 잔류된 광학접착층(13)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글라스 분리장치(130)는 화면표시모듈(11)에 제거비드와 기체를 분사하여 화면표시모듈(11)에 잔류된 광학접착층(13)을 제거하는 접착층 제거부(141)를 더 포함한다. 접착층 제거부(141)가 제거비드와 기체를 분사하여 화면표시모듈(11)에 잔류된 광학접착층(13)을 제거하므로, 광학접착층(13)이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광학접착층(13) 제거시 화면표시모듈(11)에 스크래치가 생기거나 화면표시모듈(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거비드는 드라이아이스 비드일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아이스 비드가 광학접착층(13)을 제거한 후 대기 중으로 증발되므로, 제거비드를 수거할 필요가 없다.
글라스 분리장치(130)는 접착층 제거부(141)에 의해 분리되는 광학접착층(13)과 기체를 흡입하는 이물질 흡입부(143)를 더 포함한다. 이물질 흡입부(143)가 분리되는 광학접착층(13)과 기체를 흡입하므로, 분리된 광학접착층(13)이 화면표시모듈(11)에 재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글라스 분리장치(130)는 이물질 흡입부(143)에 흡입되는 광학접착층(13)에 액적을 분사하도록 이물질 흡입부(143)에 설치되는 액적 분사부(145)를 더 포함한다. 흡입되는 광학접착층(13)이 액적에 의해 적셔짐에 따라 광학접착층(13)의 점착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안착부와 접착층 제거롤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안착부에 커버 글라스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글라스 안착부에 잔류된 광학접착층이 접착층 제거롤러에 의해 제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에서 접착층 제거롤러에 의해 제거된 광학접착층이 접착층 배출통에 배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는 글라스 안착부(150)와 접착층 제거롤러(155)를 더 포함한다.
글라스 안착부(150)는 커버 글라스(15)가 안착되도록 판형으로 형성된다. 글라스 이동부(138)에 의해 이동된 커버 글라스(15)는 글라스 안착부(150)에 안착된다. 즉, 글라스 이동부(128)는 화면표시모듈(11)과 분리된 커버 글라스(15)를 반전시키고, 반전된 커버 글라스(15)는 픽업 장치(미도시)에 의해 글라스 안착부(150)에 안착된다. 이때, 광학접착층(13)이 상측을 향하도록 커버 글라스(15)가 글라스 안착부(150)에 안착된다.
글라스 안착부(150)에는 커버 글라스(15)가 글라스 안착부(150)에 흡착되도록 진공흡착부(151)가 설치된다. 진공흡착부(151)는 진공압에 의해 커버 글라스(15)를 글라스 안착부(150)에 위치 고정시킨다. 글라스 안착부(150)의 표면은 커버 글라스(15)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이 있은 재질로 형성된다.
접착층 제거롤러(155)는 글라스 안착부(150)의 폭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접착층 제거롤러(155)는 롤러회전장치(미도시)와 롤러이송장치(미도시)에 연결된다. 접착층 제거롤러(155)의 표면에는 마찰층(미도시)이 형성된다. 글라스 안착부(150)에 잔류된 광학접착층(13)을 제거하도록 커버 글라스(15)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이송된다. 접착층 제거롤러(155)가 회전되면서 이송되므로, 커버 글라스(15)에 잔존하는 광학접착층(13)이 접착층 제거롤러(155)에 의해 롤형태로 말리면서 제거된다.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는 글라스 안착부(15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접착층 제거롤러(155)에 의해 제거된 광학접착층(13)이 재점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재점착 방지판(153)을 더 포함한다. 재점착 방지판(153)은 커버 글라스(15)에서 제거된 광학접착층(13)이 점차되지 않는 실리콘재질이나 테프론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분리장치는 재점착 방지판(153)의 일측에 배치되는 접착층 배출통(157)과, 커버 글라스(15)에서 제거된 광학접착층(13)에 에어를 분사하여 광학접착층(13)을 접착층 배출통(157)으로 배출시키는 접착층 배출노즐(156)을 더 포함한다. 접착층 배출노즐(156)이 접착층 배출통(157)에 광학접착층(13)을 배출시키므로, 광학접착층(13)이 글라스 안착부(150)나 재점착 방지판(153)에 다시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의 디스플레이부분리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안착 스테이지(114)에 디스플레이부(10)가 안착된다. 이때, 화면표시모듈(11)과 커버 글라스(15)를 접합하는 광학접착층(13)의 단부에 가열부(111)가 대응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의 커버 글라스(15)가 안착 스테이지(114)의 상면에 접촉된다.
안착 스테이지(114)의 진공 흡착포트(115)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가 안착 스테이지(114)의 상면이 흡착된다. 안착 스테이지(114)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됨에 따라 안착 스테이지(114)가 냉각된다.
가열부(111)가 구동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에서 화면표시모듈(11)과 커버 글라스(15)를 접합하는 광학접착층(13)이 국부적으로 가열된다(S11). 광학접착층(13)의 일단부(13a)가 가열부(111)의 열기에 의해 국부적으로 가열되므로, 광학접착층(13)의 일단부(13a)의 경도가 감소됨에 따라 광학접착층(13)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화면표시모듈(11)이 가열부(111)의 열기에 의해 거의 가열되지 않으므로, 화면표시모듈(11)이 가열부(111)의 열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 스테이지(114)가 공기에 의해 냉각되므로, 디스플레이부(10)가 안착 스테이지(114)의 냉기에 의해 냉각된다. 따라서, 가열부(111)의 열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의 화면표시모듈(11)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학접착층(13)의 가열된 부분과 커버 글라스(15)를 국부적으로 분리시킨다(S12). 이때, 국부 분리부(117)가 분리 플레이트인 경우, 국부 분리부(117)가 광학접착층(13)의 가열된 부분과 커버 글라스(15) 사이로 삽입됨에 따라 광학접착층(13)을 국부적으로 분리시킨다. 또한, 국부 분리부(117)가 유체분사 플레이트인 경우, 광학접착층(13)의 가열된 부분과 커버 글라스(15) 사이에 유체가 분사됨에 따라 광학접착층(13)을 국부적으로 분리시킨다.
광학접착층(13)의 가열된 부분과 커버 글라스(15)가 국부적으로 분리된 후 디스플레이부(10)와 국부 분리부(117)는 나이프 매거진(105)에 의해 냉각장치(120)로 이송된다.
디스플레이부(10)를 냉각장치(120)에 투입하여 냉각시킨다(S13). 이때, 냉각지그(131)는 냉각지그 안착부(103)에 대기되고, 광학접착층(13)이 국부 분리된 디스플레이부(10)가 안착 스테이지(114)에서 냉각지그(131)로 나이프 매거진(105)에 의해 이송된다. 디스플레이부(10)가 냉각지그(131)에 안착되면, 냉각도어(122)가 개방된 후 냉각챔버(121)의 내부에 디스플레이부(10)가 안착된 냉각지그(131)가 투입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0)의 화면표시모듈(11)이 냉각지그(131)의 상면에 접촉된다. 냉각도어(122)가 닫힘에 따라 냉각챔버(121)의 내부에서 디스플레이부(10)가 냉각된다. 디스플레이부(10)가 냉각챔버(121)에서 냉각되므로, 광학접착층(13)이 화면표시모듈(11)에 재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패널부(124)가 구동됨에 따라 냉각챔버(121)의 내부는 기 설정된 온도, 예를 들면 -55℃ 정도의 온도로 유지된다. 또한, 각 냉각챔버(121)에는 냉각챔버(12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가 설치된다. 냉각챔버(121)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되면, 온도조절히터(125)를 구동시켜 냉각챔버(121)의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로 증가시킨다. 냉각챔버(121)가 다시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되면, 온도조절히터(12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따라서, 냉각챔버(121)는 온도조절히터(125)의 온오프 제어에 의해 기 설정된 온도 범위로 유지될 수 있다.
온도조절히터(125)는 냉각패널부(124)에 복수개 설치되고, 온도조절히터(125)의 둘레에는 냉각패널부(124)와 열교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열교환 차단부(126)가 설치된다. 열교환 차단부(126)는 온도조절히터(125)의 열기가 냉각패널부(124)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냉각장치(120)의 냉각챔버(121)에서 디스플레이부(10)를 인출한다(S14). 이때, 냉각도어(122)가 개방되면, 디스플레이부(10)가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냉각챔버(121)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0)는 냉각지그(131)에 안착된 상태로 인출된다. 디스플레이부(10)의 화면표시모듈(11)이 냉각지그(131)의 상면에 접촉되고, 커버 글라스(15)는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냉각도어(122)가 개방될 때에 기체 분사부(128)는 냉각챔버(121)의 내부에 기체를 분사하여 기체커튼과 양압을 형성한다(S15). 이때, 기체로는 질소가스가 적용될 수 있다. 기체커튼은 외부 공기가 냉각챔버(1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냉각챔버(121)의 내측면에 습기나 성애가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가 안착된 냉각지그(131)는 지그 이송장치(미도시)에 의해 글라스 분리장치(130)로 이송된다. 글라스 분리장치(130)는 냉각지그(131), 글라스 분리부(135) 및 글라스 이동부(138)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가 냉각지그(131)에 안착된 상태로 글라스 분리장치(130)로 이송되므로, 디스플레이부(10)가 냉각지그(131)에 의해 냉각되면서 이송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가 외부 공기와 접촉되더라도 광학접착층(13)이 재점착 가능한 온도로 상승될 때까지는 대략 60초 정도 걸리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가 냉각챔버(121)에서 배출된 후 광학접착층(13)이 재점착 온도에 도달되기 이전에 커버 글라스(15)를 분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가 냉각챔버(121)에서 배출된 후 커버 글라스(15)의 분리 완료시까지는 60초보다 현저히 짧은 시간이 소요된다.
글라스 분리장치(130)에서는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의 분리된 틈새로 분리물질을 분사하여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를 분리시킨다(S16). 분리물질을 분사하여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를 분리시키므로,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분리물질로는 에어를 제시한다.
이때,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의 분리된 틈새에 분리부재(136)를 삽입하여 틈새 간격을 벌려주고,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의 벌려진 틈새에 분리물질 분사노즐(137)이 분리물질을 분사하여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를 분리시킨다. 분리부재(136)가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의 틈새를 벌려주므로, 분리물질 분사노즐(137)에서 분사되는 분리물질이 틈새에 집중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가 보다 용이하게 분리되고, 화면표시모듈(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의 분리 속도가 빨라지므로, 광학접착층(13)이 분사되는 분리물질과 마찰됨에 따라 재점착 온도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된 광학접착층(13)에 화면표시모듈(11)에 재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가 분리될 때에 화면표시모듈(11)은 냉각지그(131)의 진공라인(133)에 의해 흡착되므로, 화면표시모듈(11)과 커버 글라스(15)가 분리부재(136)의 가압력과 분리물질의 분사압력에 의해 냉각지그(131)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가 화면표시모듈(11)에서 완전히 분리된 후 글라스 이동부(138)가 커버 글라스(15)를 화면표시모듈(11)의 외측으로 이동시킨다(S17). 글라스 이동부(138)는 커버 글라스(15)를 흡착한 후 화면표시모듈(11)의 외측으로 반전시킨다. 글라스 이동부(138)에는 커버 글라스(15)를 흡착하도록 흡착포트(115)가 형성된다.
화면표시모듈(11)에 잔류된 광학접착층(13)이 제거된다(S18). 이때, 접착층 제거부(141)가 화면표시모듈(11)에 제거비드와 기체를 분사하여 화면표시모듈(11)에서 광학접착층(13)을 제거한다. 제거비드는 드라이아이스 비드이므로, 제거비드가 광학접착층(13)을 제거한 후에는 공기 중으로 증발된다. 따라서, 화면표시모듈(11)에서 제거비드를 회수하거나 청소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거비드와 기체의 분사력을 제외하고 화면표시모듈(11)에 물리적인 압력이 거의 가해지지 않으므로, 화면표시모듈(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거비드가 광학접착층(13)을 타격하여 제거하므로, 화면표시모듈(11)에서 광학접착층(13)이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물질 흡입부(143)가 화면표시모듈(11)에서 제거되는 광학접착층(13)을 흡입한다(S19). 이물질 흡입부(143)는 화면표시모듈(11)에서 접착층 제거부(141)에 분사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물질 흡입부(143)는 접착층 제거부(141)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접착층 제거부(141)와 함께 이동되면서 제거되는 광학접착층(13)과 기체를 흡입한다. 이물질 흡입부(143)가 제거되는 광학접착층(13)을 흡입하므로, 제거되는 광학접착층(13)이 온도 상승되어 화면표시모듈(11)이나 주변 구조물에 재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액적 분사부(145)에서는 이물질 흡입부(143)에 흡입되는 광학접착층(13)에 액적을 분사한다(S20). 흡입되는 광학접착층(13)에 액적을 분사하므로, 액적에 의해 광학접착층(13)의 재점착성이 제거된다. 따라사, 흡입되는 광학접착층(13)이 액적 분사부(145)의 내부에서 재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분리된 화면표시모듈(11)과 커버 글라스(15)는 세정장치(107)로 이송된 후 세정되고, 배출장치(108)로 배출된다.
또한, 글라스 분리장치(130)에서 화면표시모듈(11)과 커버 글라스(15)가 이송되면, 글라스 분리장치(130)에 위치된 냉각지그(131)는 냉각지그 이송부(미도시)에 의해 다시 냉각지그 안착부(103)로 복귀된다. 복수의 냉각지그(131)가 냉각지그 안착부(103)와 글라스 분리장치(130) 사이의 구간을 순환 이동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의 분리 공정이 계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글라스 이동부(128)에 의해 반전된 커버 글라스(15)를 픽업장치(미도시)로 픽업한 후 글라스 안착부(150)에 안착시킨다. 이때, 커버 글라스(15)는 광합접착층(13)이 형성된 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글라스 안착부(150)에 안착된다.
진공흡착부(151)가 구동되면, 진공흡착부(151)의 진공압에 의해 커버 글라스(15)가 글라스 안착부(150)에서 안착된다. 또한, 커버 글라스(15)는 글라스 안착부(150)에 마찰됨에 따라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커버 글라스(15)에 잔류된 광학접착층(13)을 제거한다(S21). 이때, 접착층 제거롤러(155)가 하강하여 커버 글라스(15)의 상면에 밀착된다. 이어, 접착층 제거롤러(155)가 회전되면서 재점착 방지판(153) 측으로 이동되어 커버 글라스(15)에 잔류된 광학접착층(13)을 제거한다(S21). 이때, 광학접착층(13)은 접착층 제거롤러(155)에 밀림에 의해 롤형태로 말리면서 제거된다. 제거된 광학접착층(13)은 접착층 제거롤러(155)에 밀려 재점착 방지판(13)으로 이동된다.
제거된 광학접착층(13)을 접착층 배출통(157)에 배출한다(S22). 이때, 접착층 배출노즐(156)에서 제거된 광학접착층(13)에 에어를 분사하여 접착층 배출통(157)에 광학접착층(13)이 배출되게 한다. 접착층 배출통(157)에 광학접착층(13)이 배출되므로, 광학접착층(13)이 재점착 방지판(153)이나 글라스 안착부(150)에 재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광학접착층(13)의 일단부(13a)가 가열부(111)의 열기에 의해 국부적으로 가열되므로, 광학접착층(13)의 일단부(13a)의 경도가 감소됨에 따라 광학접착층(13)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화면표시모듈(11)이 가열부(111)의 열기에 의해 거의 가열되지 않으므로, 화면표시모듈(11)이 가열부(111)의 열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 스테이지(114)가 공기에 의해 냉각되므로, 디스플레이부(10)가 안착 스테이지(114)의 냉기에 의해 냉각된다. 따라서, 가열부(111)의 열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의 화면표시모듈(11)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가 냉각장치(120)에서 냉각되므로, 광학접착층(13)이 화면표시모듈(11)에 재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가 냉각지그(131)에 안착된 상태로 글라스 분리장치(130)로 이송되므로, 디스플레이부(10)가 냉각지그(131)에 의해 냉각되면서 이송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0)가 외부 공기와 접촉되더라도 광학접착층(13)이 재점착 가능한 온도로 상승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글라스 분리장치(130)는 분리물질을 분사하여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를 분리시키므로, 광학접착층(13)과 커버 글라스(15)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디스플레이부 11: 화면표시모듈
13: 광학접착층 13a: 일단부
15: 커버 글라스 103: 냉각지그 안착부
105: 나이프 매거진 107: 세정장치
108: 배출장치 110: 전처리장치
111: 가열부 112: 단열부재
114: 안착 스테이지 115: 흡착포트
116: 냉각라인 117: 국부 분리부
120: 냉각장치 121: 냉각챔버
122: 냉각도어 124: 냉각패널부
125: 온도조절히터 126: 열교환 차단부
128: 기체 분사부 130: 글라스 분리장치
131: 냉각지그 132: 지그바디
133: 진공라인 135: 글라스 분리부
136: 분리부재 137: 분리물질 분사노즐
138: 글라스 이동부 139: 진공포트
141: 접착층 제거부 143: 이물질 흡입부
145: 액적 분사부 150: 글라스 안착부
151: 진공흡착부 153: 재점착 방지판
155: 접착층 제거롤러 156: 접착층 배출노즐
157: 접착층 배출통

Claims (11)

  1. 디스플레이부가 투입되어 냉각되도록 복수개 설치되는 냉각챔버;
    복수의 상기 냉각챔버를 각각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냉각도어;
    복수의 상기 냉각챔버에 설치되는 냉각패널부; 및
    복수의 상기 냉각챔버에 각각 설치되는 온도조절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히터는 복수의 상기 냉각챔버에 대응되도록 상기 냉각패널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챔버의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도어의 개방시 상기 냉각챔버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양압을 형성하는 기체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히터의 둘레부에는 상기 온도조절히터의 열기가 상기 냉각패널부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열교환차단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차단부는 상기 온도조절히터의 둘레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열차단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차단부는 상기 온도조절히터의 둘레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열차단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7. 광학접착층의 가열된 부분과 커버 글라스가 국부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디스플레이부가 냉각장치에 투입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냉각장치에서 냉각되는 단계; 및
    온도조절히터를 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냉각장치를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복수의 냉각챔버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냉각챔버는 하나의 냉각패널에 의해 냉각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온도조절히터는 상기 냉각챔버마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챔버의 냉각도어가 개방될 때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냉각지그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냉각도어와 함께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도어의 개방시 기체 분사부가 상기 냉각챔버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양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지그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표시모듈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
KR1020170122228A 2017-09-22 2017-09-22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 KR102307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28A KR102307732B1 (ko) 2017-09-22 2017-09-22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
CN201811102619.8A CN109548359B (zh) 2017-09-22 2018-09-20 显示器部用冷却装置以及显示器部的再粘附防止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28A KR102307732B1 (ko) 2017-09-22 2017-09-22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726A true KR20190033726A (ko) 2019-04-01
KR102307732B1 KR102307732B1 (ko) 2021-10-06

Family

ID=6584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228A KR102307732B1 (ko) 2017-09-22 2017-09-22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7732B1 (ko)
CN (1) CN1095483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4195B (zh) * 2020-05-30 2022-06-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978A (ko) * 2004-12-14 2006-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 설비 및 그의 이용 방법
JP2009036894A (ja) * 2007-07-31 2009-02-19 Optrex Corp 表示パネルのフレキシブル基板剥離装置
KR20140122933A (ko) * 2013-04-11 2014-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
CN104742489A (zh) * 2013-12-30 2015-07-01 浙江金徕镀膜有限公司 一种面板装置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8930B2 (ja) * 2001-10-31 2007-07-25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薄膜形成装置および薄膜形成方法
JP2005227647A (ja) * 2004-02-16 2005-08-25 Sharp Corp 光学的フィルムの分離方法
US9409383B2 (en) * 2008-12-22 2016-08-09 Apple Inc. Layer-specific energy distribution delamination
CN104760400B (zh) * 2015-04-03 2017-01-18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拆解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978A (ko) * 2004-12-14 2006-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제조 설비 및 그의 이용 방법
JP2009036894A (ja) * 2007-07-31 2009-02-19 Optrex Corp 表示パネルのフレキシブル基板剥離装置
KR20140122933A (ko) * 2013-04-11 2014-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접착층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패널 분리 방법
CN104742489A (zh) * 2013-12-30 2015-07-01 浙江金徕镀膜有限公司 一种面板装置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732B1 (ko) 2021-10-06
CN109548359B (zh) 2020-08-28
CN109548359A (zh)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3724A (ko) 디스플레이부 분리방법 및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TWI394210B (zh) 液體處理裝置及液體處理方法
JP4334758B2 (ja) 膜形成装置
US20090223536A1 (en) Cleaning apparatus, cleaning tank, cleaning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cle
JP2008212862A (ja) パネルの洗浄方法及び洗浄装置、並びに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US8408220B2 (en)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glue
KR20190033726A (ko) 디스플레이부용 냉각장치 및 디스플레이부의 재점착 방지방법
KR20190033725A (ko) 디스플레이부의 전처리방법 및 디스플레이부용 전처리장치
KR20190066752A (ko) 디스플레이부 분리방법 및 디스플레이부 분리장치
WO2016169372A1 (zh) 一种喷头清洗装置
KR101999406B1 (ko) 래비린스 씰, 세정유닛 및 방법, 용액제막방법
KR101792470B1 (ko) 부착물 제거 장치와, 상기 부착물 제거 장치를 이용한 증착 시스템
CN104550157A (zh) 清洗装置
CN101024331A (zh) 液滴喷出装置、液滴喷头恢复方法、薄膜形成法、液晶显示装置
JP2005238109A (ja) 基板洗浄装置、基板洗浄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102089247B1 (ko)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 방법
JP2004337709A (ja) 液滴吐出装置、カラーフィルター製造装置、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液晶装置、電子機器
CN103028582A (zh) 薄膜状工件的除水系统
JPH07308642A (ja) 基板表面乾燥装置
KR20180042884A (ko) LLO(Laser Lift-Off) 공정 전 OLED 캐리어 글라스 기판 후면 세정 장치
KR101184063B1 (ko) 액정표시패널의 제조장치
JP5491108B2 (ja) 溶液の塗布装置
KR20190004451A (ko) 펄스신호를 이용하는 유체 분사 장치
JP2001314827A (ja) 基板の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KR20220138505A (ko) 잉크 액적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잉크 액적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