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250A - 전기적으로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 - Google Patents

전기적으로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250A
KR20140122250A KR1020147023214A KR20147023214A KR20140122250A KR 20140122250 A KR20140122250 A KR 20140122250A KR 1020147023214 A KR1020147023214 A KR 1020147023214A KR 20147023214 A KR20147023214 A KR 20147023214A KR 20140122250 A KR20140122250 A KR 20140122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der
housing
selectively
coll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666B1 (ko
Inventor
제프 브래드쇼
스티브 텔란도
Original Assignee
쿠퍼-스탠다드 오토모티브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퍼-스탠다드 오토모티브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쿠퍼-스탠다드 오토모티브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22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use when the vehicle is stationary, e.g. during loading, engine start-up or switch-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8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and characterised by damping force adjust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F16F7/09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in dampers of the cylinder-and-piston type

Abstract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 조립체 및 관련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지지대 조립체는 관련 내연기관(ICE)의 시동 및/또는 운전정지 중에 고비율의 탄성중합 저항성과 공회전 및/또는 구동 이벤트 중에 저비율의 탄성중합 저항성을 제공하기 위해 관련 차량 새시와 관련 차량 동력 전달 장치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지지대 조립체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한 선택적인 상대 이동을 위해 작동식으로 설치된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ICE의 시동 및/또는 운전정지에 반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지지대를 선택적으로 로킹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로킹 조립체가 개재된다.

Description

전기적으로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ELECTRICALLY SWITCHABLE LOCKING TORQUE STRUT}
본원은 2012년 1월 23일자 출원된 미국 가출원 61/589,621호의 우선권 유익을 청구한다.
차량을 더욱 연료 효율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많은 제조업자들은 "스타트/스톱(Start/Stop)" 기술을 실행하고, 여기서 엔진은 차량이 정지될 때 차단(shut off)되고 가속이 필요할 때 재가동된다. 엔진의 시동 및 정지가 빈번한 상태에서, 이러한 일들이 절정 상태인 동안에 탑승자의 진동들을 감소시킨다.
본원에서 해결하려는 문제점은 ICE 엔진의 시동 및 운전정지 중에 발생된 고변위 진동들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는 가스, 디젤 또는 하이브리드(비록 일부 하이브리드들은 이러한 진동들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는 발전기/모터를 갖지만)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내연기관에서의 문제이다.
시동은 점화 사이클이 동력 전달 장치가 크게 변위되도록 유발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2가지 문제들중에서 더 크다. 이러한 일로부터의 큰 변위 진동들은 탑승실에 소음과 원하지 않는 자극을 유발한다. 비록 운전정지는 탑승실에 소음과 원하지 않는 자극을 유발할 수 있지만, (운전정지는 연소 사이클에 의해서 추진되지 않기 때문에) 운전정지는 통상적으로 큰 자극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점화가 차단될 때, 엔진은 느려지고 RPM은 하강하며, 이는 동력 전달 장치 및 새시 모두에서 자체 발생된 주파수들 또는 엔진 요동 저주파수 강성 본체 모드들을 유발한다. 이는 탑승실에 침투하여 탑승자들을 어지럽게 할 수 있는 자연 주파수 진동들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진동들을 처리하기 위한 저렴하면서, 신뢰성있는 해결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관련 내연기관(ICE)의 시동 및/또는 운전정지 중에 고비율의 탄성중합 저항성(high elastomeric rate resistance)과 공회전 및/또는 구동 이벤트 중에 저비율의 탄성중합 저항성을 제공하는, 관련 차량 새시와 관련 차량 동력 전달 장치 사이에 개재된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 조립체가 개재된다. 상기 지지대 조립체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한 선택적인 상대 이동을 위해 작동식으로 설치된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ICE의 시동 및/또는 운전정지에 반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샤프트를 선택적으로 로킹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로킹 조립체가 개재된다.
상기 로킹 조립체는 확장기와 상기 확장기에 의하여 치수가 선택적으로 증가되는 일반적인 환형 콜릿을 포함한다.
상기 확장기와 상기 콜릿은 상기 확장기와 상기 콜릿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할 때 상기 콜릿의 직경을 선택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키는 협력 표면들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로킹 조립체는 상기 콜릿에 대하여 상기 확장기를 전진 및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콜릿을 전진 및 후퇴시키는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나사 조립체 중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중합 부재를 확장시켜서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하우징 사이로 결합시키는 탄성중합 부재와 상기 확장기는 상기 관련 차량 및 상기 샤프트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킹 조립체는 모터 및 구동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나사는 상기 탄성중합 부재를 확장시켜서 상기 하우징과 작동 결합시키는 상기 확장기를 상기 탄성중합 부재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전진시키고 상기 확장기를 상기 탄성중합 부재에 대하여 후퇴시키기 위하여 상기 모터 및 상기 확장기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로킹 조립체는 상기 확장기를 직접적으로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하여 상기 확장기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중합 부재는 상기 콜릿의 적어도 일부 상의 고무 코팅물이다.
편향 부재가 상기 확장기와 상기 콜릿을 개별적으로 압박한다.
새시와 동력 전달 장치 사이에서 고비율의 탄성중합 저항성과 저비율의 탄성중합 저항성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새시와 상기 동력 전달 장치 사이에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구비한 지지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지지대의 제 1 단부가 상기 제 2 단부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로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제 1 단부가 상기 제 2 단부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선택적으로 로킹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탄성중합 부재를 상기 지지대의 일부로서 추가로 구성하여, 상기 탄성중합 부재는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단부를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로킹시킨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단부를 방사상으로 로킹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중합 부재를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적으로 로킹시키는 단계는 관련 내연기관(ICE)의 시동 및/또는 운전정지 중에 상기 탄성중합 부재를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적으로 로킹해제하는 단계는 공회전 및/또는 구동 이벤트 중에 발생된다.
본원의 한 장점은 기존의 동력 전달 장치 설치 시스템에 대한 보조사항으로서, 시동 및 운전정지 이벤트 중에 내연기관(ICE)의 동작을 제어하는 능력이다.
다른 장점은 동력 전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에 의해서 시동/정지 이벤트 중에 탑승자에 대한 진동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시동 및 운전정지 중에 고비율의 탄성중합 저항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장점은 개선된 동력 전달 장치의 격리를 위하여 공회전 및 구동 이벤트 중에 저비율의 탄성중합 상태로 전환시키는 능력이다.
또다른 장점은 단순한 구성과 작동 방법이다.
다른 이점 및 장점은 당업자가 하기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할 때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지지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지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된 지지대 조립체의 길이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대안 지지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대안 조립된 지지대 조립체의 길이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대안 지지대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대안 조립된 지지대 조립체의 길이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대안 지지대 조립체의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이 지지대는 매우 단순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일 단부는 진동방지기를 통하여 새시[또는 크래들(cradle)]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진동방지기를 통하여 동력 전달 장치에 고정된다. 지지대는 시동 및 운전정지 사이클 중에 로킹되어서, 단지 고무 진동방지기만이 이동하게 허용하여, 지지대의 축을 따라 고비율의 탄성중합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한다. 엔진의 가장 큰 자극의 방향으로 배치될 때, 이는 동력 전달 장치의 변위를 감소시키고, 그에 의해서 차량 탑승자가 받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킨다. 일단 시동 또는 운전정지가 완료되면, 지지대는 로킹해제되고, 샤프트는 외부 하우징에서 그리고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고, 이 동작에 대한 작은 저항성을 제공하며 하우징에 대한 샤프트의 위치에 무관하게 임의의 진동 유입을 차단한다.
이 지지대는 시동 및 운전정지 중에 고비율의 탄성중합 저항성을 제공하여 동력 전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시동/정지 이벤트 중에 탑승자에 대한 진동 자극을 감소시키고, 개선된 동력 전달 장치의 격리를 위해 공회전 및 구동 이벤트 중에 저비율의 탄성중합 저항성으로 전환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대 조립체(100)는 지지대 조립체의 제 2 단부를 형성하는 제 2 부분 또는 샤프트(10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지지대 조립체의 제 1 단부에 있는 제 1 부분 또는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지지대 조립체의 각 단부는 구멍(1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2)은 구멍(110)을 포함하고 샤프트는 구멍(112)을 포함한다. 각각의 구멍(110,112)은 중심 금속 샤프트(122)를 포함하는 고무 진동방지기 또는 부싱(120)을 수용한다. 고무 부싱(120)이 내부에 수용된 구멍(110,112)은 새시 또는 크래들(도시생략) 및 동력 전달 장치(도시생략)에 대한 부착부(attachment)를 제공한다. 확장기(130)는 구동 나사(140)의 나사산 외경과 맞물리는 나사산 내경을 가진다. 모터(150)는 (예를 들어, 기본 DC 모터 또는 스텝퍼 모터일 수 있음) 구동 나사(140)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돌려서 확장기(130)를 구동 나사의 축을 따라 이동시킨다. 확장기(130)가 모터(150)를 향하여 당겨질 때, 확장기의 테이퍼진 외경은 샤프트(104)의 일 단부에 수용된 콜릿(160)의 테이퍼진 내경을 향하여 가압된다. 확장기(130)를 콜릿(160) 안으로 당기는 것은 콜릿을 하우징(102)의 내경 표면을 향하여 방사상 외향으로 확장시킨다. 이는 콜릿(160)을 하우징(102)의 내부에 묶어서, 샤프트(104)가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지지대 조립체의 로킹 상태이다. 즉, 지지대 조립체(100)의 제 1 단부[하우징(102)]와 제 2 단부[샤프트(104)]는 확장기(130)가 콜릿(160) 내에 수용되고 콜릿을 방사상 외향으로 확장시켜서 하우징(102)과 결합시킬 때 서로에 대한 상대 이동에 대하여 로킹된다.
모터(150)가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거나 또는 운영될 때, 확장기(130)는 모터로부터 멀리 압송되고 그에 의해서 콜릿(160)을 접혀지게 한다. 이는 샤프트(104)가 하우징(102) 내에서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지지대 조립체(100)의 로킹해제 상태이다.
제 2 예시적인 실시예(도 4 및 도 5)에서, 유사 요소들은 "200" 시리즈 유사 도면부호로 지정되고(예를 들어, 하우징(102)은 하우징(202)으로 지정된다), 신규 구성요소들은 신규 도면부호로 지정된다. 따라서, 지지대 조립체(200)는 제 2 부분 또는 샤프트(20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제 1 부분 또는 하우징(202)을 포함한다. 각각의 하우징(202) 및 샤프트(204)는 내경을 따라서 금속 샤프트(222)를 포함하는 고무 진동방지기 또는 부싱(220)을 수용하는 구멍(210,212)을 각각 포함한다. 이는 지지대 조립체(200)의 대향 단부들이 새시/크래들 및 동력 전달 장치에 각각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확장기(230)는 구동 나사(240)의 나사산 외경과 맞물리는 나사산 내경을 가진다. 모터(250)는 (예를 들어, 기본 DC 모터 또는 스테퍼 모터일 수 있음) 구동 나사(240)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돌려서 구동 나사의 축을 따라서 확장기(230)를 이동시킨다. 확장기(230)가 모터(250)를 향하여 당겨질 때, 상기 확장기는 고무 그로밋(rubber grommet;270)과 같은 고무 부재 또는 압축가능한 그로밋을 눌러서, 그로밋이 하우징(202)의 내경 표면에 대하여 팽창하게 강제실행한다. 더욱 특히, 고무 그로밋(270)은 모터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확장기(230)가 모터(250)를 향하여 당겨질 때 확장기(230)와 샤프트 단부캡(272) 사이에서 눌려진다. 이는 확장기(230)와 샤프트 단부캡(272) 사이에서 그로밋(270)을 축방향으로 누르고, 상기 그로밋을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확장시켜서, 샤프트(204)가 하우징(202)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지지대의 로킹 상태이다.
모터(250)가 반대 방향으로 작동될 때, 확장기(230)는 모터로부터 멀리 압송되어서 압축된 고무 그로밋(270)이 하우징(202)의 내경 표면으로부터 후퇴할 수 있게 하고, 샤프트(204)가 하우징 내에서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로킹해제 상태이다.
아직 다른 실시예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다시,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그리고 간결한 목적을 위하여, 유사 요소들은 "300" 시리즈 유사 도면부호로 지정되고(예를 들어, 각각 도 2 및 도 4의 제 1 및 제 2 실시예로부터 하우징(102 또는 202)은 하우징(302)으로 지정된다), 신규 구성요소들은 신규 도면부호로 지정된다. 이 변형예의 전기적으로 전환가능한 토크 지지대 조립체(300)는 구동 나사를 작동시키고 확장기를 당기기 위하여 스테퍼 모터 또는 DC 모터의 사용을 생략한다. 대신에, 지지대 조립체(300)는 한 단부에서 확장기(330)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350)를 사용한다. 확장기(330)는 콜릿(360)에 선택적으로 수용된다. 양호하게는, 콜릿(360)은 로킹 상태에서 콜릿과 하우징(302)의 내면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탄성중합체 또는 고무로 코팅되어 있다. 증가된 마찰은 결과적으로 충분한 힘이 그 위에 부여되는 경우에 잠재적으로 활주할 수 있는 고무 코팅이 없는 로킹 콜릿과 비교할 때 로킹 상태에 있는 토크 지지대(300)의 강직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콜릿(360) 상의 고무는 활주력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솔레노이드(350)는 확장기(330)를 로킹 위치로 직접 당기고 콜릿(360)을 확장시켜서 하우징(302)과 마찰 결합시킨다. 지지대(300)가 전기적으로 전환될 때, 복귀 스프링(380)은 확장기(332)를 로킹해제 위치로 (도 6 내지 도 8의 왼손 방향으로) 복귀시켜서 콜릿(360)은 하우징(302)에서 방사상 치수가 감소하고, 그에 의해서 하우징 및 샤프트(304)는 로킹해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하여 이동한다.
배선이 전자 제어 유닛(ECU)(도시생략)으로부터 배선이 솔레노이드(350)와 접속되는 지지대 조립체의 샤프트 또는 제 2 부분(304)으로 안내될 때 전기 배선(390)은 배선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덮개(392)를 통하여 연장된다. 도 6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초기 실시예들 사이의 다른 차이는 지지대 조립체(300)의 대향 단부들에 있는 구멍(310,312)이 서로에 대하여 90°로 배치된다는 것이다.
본원은 -40℃ 내지 125℃의 온도 범위에서 작용하도록 설계된다. 지지대 하우징은 플라스틱(나일론 강화 유리와 같음) 또는 금속(대부분 알루미늄)일 수 있다. 양 단부에 있는 진동방지기는 고무일 수 있다. 약 200g 내지 300g으로 제시된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체 질량부는 그 공칭 위치에서 약 240mm의 길이와 약 46mm의 직경을 가진다. 지지대는 양호한 실시예에서 +/-30mm 만큼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이들 수치값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질량, 크기 및 이동거리는 다른 적용 요구조건을 충족하도록 모두 변화되고 비율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 지지대는 시동 및 운전정지 중에 제어를 필요로 하는 모든 동력 전달 장치(가스, 디젤 또는 하이브리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유체 충전된 지지대들과는 달리, 본원의 지지대는 로킹해제 상태일 때 바람직하지 않은 유체 공진을 발생시키지 않고 완충 또는 비율 저항성을 거의 생성하지 않는다. 지지대는 로킹 상태 및 로킹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동력만을 필요로 하므로, 에너지를 보존한다.
지지대의 로킹 및 로킹해제 형태는 2 상태들 사이의 탄성중합 비율의 상당한 변화를 허용한다. 지지대는 로킹될 수 있고, 동력이 제거될 수 있으며, 지지대는 로킹 위치를 유지할 것이다. 이는 이러한 형태가 로킹 상태에서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으므로 지지대는 운전정지 중에 로킹될 수 있고 동력이 인가되고 지지대가 공회전 및 구동 조건들에 대하여 로킹해제되는 다음 시동 이후까지, 동력 전달 장치가 꺼져 있는 동안 로킹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한 단부는 진동방지기를 통하여 새시(또는 크래들)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진동방지기를 통하여 동력 전달 장치에 고정된다. 지지대 조립체는 시동 및 운전정지 사이클 중에 로킹되어서, 단지 고무 진동방지기만이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지지대의 축을 따라 고비율의 탄성 중합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한다. 엔진의 가장 큰 자극 방향으로 배치되면, 이는 동력 전달 장치의 변위를 감소시킴으로써, 차량 탑승자가 인식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킨다. 일단 시동 또는 운전정지가 완료되면, 지지대는 로킹해제되고, 샤프트는 외부 하우징의 내외로 이동하게 허용되어서, 이 동작에 대한 저항성을 거의 제공하지 않고, 하우징에 대한 샤프트의 위치와 무관하게 유입 진동을 차단한다.
이 지지대는 시동 및 운전정지 중에 고비율의 탄성중합 저항성을 제공하여 동력 전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시동/정지 이벤트 중에 탑승자에 대한 진동 자극을 감소시키고, 개선된 동력 전달 장치의 격리를 위해 공회전 및 구동 이벤트 중에 저비율의 탄성중합 상태로 전환한다.

Claims (15)

  1. 관련 내연기관(ICE)의 시동 및/또는 운전정지 중에 고비율의 탄성중합 저항성(high elastomeric rate resistance)과 공회전 및/또는 구동 이벤트 중에 저비율의 탄성중합 저항성을 제공하는, 관련 차량 새시와 관련 차량 동력 전달 장치 사이에 개재된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 조립체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한 선택적인 상대 이동을 위해 작동식으로 설치된 샤프트; 및
    상기 ICE의 시동 및/또는 운전정지에 반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샤프트를 선택적으로 로킹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 로킹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조립체는 확장기와 상기 확장기에 의하여 치수가 선택적으로 증가되는 일반적인 환형 콜릿을 포함하는,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기와 상기 콜릿은 상기 확장기와 상기 콜릿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할 때 상기 콜릿의 직경을 선택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키는 협력 표면들을 각각 포함하는,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조립체는 상기 콜릿에 대하여 상기 확장기를 전진 및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콜릿을 전진 및 후퇴시키는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나사 조립체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조립체는 탄성중합 부재와 상기 탄성중합 부재를 확장시켜서 상기 샤프트 및 상기 하우징 사이로 결합시키는 확장기를 작동식으로 포함하는,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조립체는 모터 및 구동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나사는 상기 탄성중합 부재를 확장시켜서 상기 하우징과 작동 결합시키는 상기 확장기를 상기 탄성중합 부재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전진시키고 상기 확장기를 상기 탄성중합 부재에 대하여 후퇴시키기 위하여 상기 모터 및 상기 확장기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조립체는 상기 확장기를 직접적으로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하여 상기 확장기에 작동식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중합 부재는 상기 콜릿의 적어도 일부 상의 고무 코팅물인,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기와 상기 콜릿을 개별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편향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 조립체.
  9. 새시와 동력 전달 장치 사이에서 고비율의 탄성중합 저항성과 저비율의 탄성중합 저항성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새시와 상기 동력 전달 장치 사이에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구비한 지지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의 제 1 단부가 상기 제 2 단부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로킹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지지대의 제 1 단부가 상기 제 2 단부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선택적으로 로킹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탄성중합 부재를 상기 지지대의 일부로서 추가로 구성하여, 상기 탄성중합 부재는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단부를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로킹시키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부 및 상기 제 2 단부를 방사상으로 로킹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중합 부재를 확장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로킹시키는 단계는 관련 내연기관(ICE)의 시동 및/또는 운전정지 중에 상기 탄성중합 부재를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로킹해제하는 단계는 공회전 및/또는 구동 이벤트 중에 발생되는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로킹시키는 단계는 관련 내연기관(ICE)의 시동 및/또는 운전정지 중에 발생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로킹해제하는 단계는 공회전 및/또는 구동 이벤트 중에 발생되는 방법.

KR1020147023214A 2012-01-23 2013-01-23 전기적으로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 KR102029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89621P 2012-01-23 2012-01-23
US61/589,621 2012-01-23
PCT/US2013/022796 WO2013112621A1 (en) 2012-01-23 2013-01-23 Electrically switchable locking torque str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250A true KR20140122250A (ko) 2014-10-17
KR102029666B1 KR102029666B1 (ko) 2019-10-08

Family

ID=48873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214A KR102029666B1 (ko) 2012-01-23 2013-01-23 전기적으로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45832B2 (ko)
EP (1) EP2807043A4 (ko)
JP (1) JP6363510B2 (ko)
KR (1) KR102029666B1 (ko)
CA (1) CA2862324C (ko)
MX (1) MX353316B (ko)
WO (1) WO20131126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0001A1 (de) * 2014-05-26 2015-11-26 Stabilus Gmbh Bewegungsdämpfungseinheit und Federeinheit mit einer derartigen Bewegungsdämpfungseinheit
US10354440B2 (en) 2017-07-14 2019-07-16 Lyft, Inc. Providing a virtual reality transportation experience
CN109356954B (zh) * 2018-12-07 2020-06-05 南京理工大学 弹簧串联可变刚度摩擦力可调式双向缓冲器
US11841059B2 (en) 2021-11-04 2023-12-12 Fca Us Llc Hydraulic powertrain component mount with variable stiffnes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6114A (en) * 1983-07-01 1985-08-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Variable length strut with longitudinal compliance and locking capability
US5213315A (en) * 1990-10-12 1993-05-25 Metzeler Gimetall Ag Method for varying the spring rigidity of an elastomer mount, and a corresponding mount
US5257680A (en) * 1991-12-20 1993-11-02 Lord Corporation Surface effect dampers having both hysteresis and a frictional component
JP2008164152A (ja) * 2007-01-05 2008-07-17 Toyota Motor Corp 防振マウント装置
JP2008256198A (ja) * 2007-03-13 2008-10-23 Honda Motor Co Ltd 車両の減衰力可変式ダンパ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30178A1 (de) 1962-02-27 1970-01-15 Maschf Augsburg Nuernberg Ag Reibungsschwingungsdaempfer
US3807678A (en) * 1972-09-19 1974-04-30 Lord Corp System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energy between spaced members
US4185720A (en) * 1976-06-11 1980-01-29 Pacific Scientific Company Adjustable locking strut
DE2851366A1 (de) * 1978-11-28 1980-06-12 Stabilus Gmbh Gasfeder mit festgehaltener kolbenstange in eingefahrener stellung
FR2500898A1 (fr) * 1981-02-27 1982-09-03 Allinquant J G Perfectionnements aux ressorts pneumatiques ou appareils telescopiques analogues
JPS59117931A (ja) * 1982-12-25 1984-07-07 Toyoda Gosei Co Ltd 液封入防振装置
US4957279A (en) * 1989-07-18 1990-09-18 Lord Corporation Fluidless multi-directional motion-damping mount
US5190392A (en) * 1991-11-26 1993-03-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Robot-friendly connector
DE4311625A1 (de) * 1993-04-08 1994-10-13 Stabilus Gmbh Pneumatische, hydraulische oder hydropneumatische Verstelleinrichtung
US5486056A (en) * 1993-06-30 1996-01-23 Lord Corporation Adjustable, lockable damper
DE19532510C2 (de) 1995-09-02 2001-10-18 Mannesmann Sachs Ag Teleskopschwingungsdämpf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19812387C1 (de) * 1998-03-20 1999-08-12 Btr Avs Technical Centre Gmbh Elastisches Lager, insbesondere Motorlager für Kraftfahrzeuge
US6378671B1 (en) * 2000-03-29 2002-04-30 Lord Corporation Magnetically actuated motion control device
JP2004150546A (ja) * 2002-10-31 2004-05-27 Tokai Rubber Ind Ltd エンジンマウント
ES2262038T3 (es) * 2003-03-06 2006-11-16 Lg Electronics Inc. Amortiguador de tipo combinacion y maquina lavadora con el mismo.
US7354363B2 (en) * 2004-05-18 2008-04-08 Dayco Products, Llc Magnetorheological fluid V-ribbed belt tensioner with through shaft
DE102005032499B4 (de) 2004-07-13 2009-10-22 Lg Electronics Inc. Dämpfer zur Vibrationsdämpfung und damit ausgerüstete Waschmaschine
US7717239B2 (en) * 2005-11-14 2010-05-18 Illinois Tool Works Inc. Linear damper
US7888901B2 (en) * 2006-11-15 2011-02-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ctive human-machine interface system including an electrically controllable damper
US20090194920A1 (en) * 2008-01-31 2009-08-06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Integrated Suspension Control Device
DE102008061814B4 (de) * 2008-03-20 2018-12-20 Stabilus Gmbh Gasfeder
JP5304227B2 (ja) * 2008-12-25 2013-10-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トルクロッド
WO2013081004A1 (ja) * 2011-11-30 2013-06-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US8844910B2 (en) * 2012-05-17 2014-09-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Gas strut assembly with an internal detent modu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6114A (en) * 1983-07-01 1985-08-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Variable length strut with longitudinal compliance and locking capability
US5213315A (en) * 1990-10-12 1993-05-25 Metzeler Gimetall Ag Method for varying the spring rigidity of an elastomer mount, and a corresponding mount
US5257680A (en) * 1991-12-20 1993-11-02 Lord Corporation Surface effect dampers having both hysteresis and a frictional component
JP2008164152A (ja) * 2007-01-05 2008-07-17 Toyota Motor Corp 防振マウント装置
JP2008256198A (ja) * 2007-03-13 2008-10-23 Honda Motor Co Ltd 車両の減衰力可変式ダン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353316B (es) 2018-01-05
JP6363510B2 (ja) 2018-07-25
US9545832B2 (en) 2017-01-17
JP2015506309A (ja) 2015-03-02
CA2862324C (en) 2020-03-24
MX2014008939A (es) 2015-06-02
KR102029666B1 (ko) 2019-10-08
US20140346722A1 (en) 2014-11-27
WO2013112621A1 (en) 2013-08-01
CA2862324A1 (en) 2013-08-01
EP2807043A1 (en) 2014-12-03
EP2807043A4 (en)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0502B2 (en) Isolator for use with engine that is assisted or started by an MGU or a motor through an endless drive member
KR20140122250A (ko) 전기적으로 전환가능한 로킹 토크 지지대
KR101558121B1 (ko) 토크 리미터를 갖춘 아이솔레이터 디커플러
US20150285312A1 (en) Isolator for use with mgu that is used to assist or start engine through and endless drive member
WO2010070850A1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US9409551B2 (en) Parking lock device
CN101360931A (zh) 汽车附件驱动系统
WO2010113977A1 (ja) 能動型防振支持装置
US20160108806A1 (en) Two speed belt drive system
KR20170055504A (ko) 크랭크 격리 풀리
US9193052B2 (en) Mounting system for a gas gun
CN113227602B (zh) 马达支架用筒型防振装置
US20200132173A1 (en) Tensioner
JP2008240884A (ja) 防振支持部材及び自動車用部品ユニット支持装置
KR101390684B1 (ko) 트랜스미션마운트의 구조
CN111486203B (zh) 皮带张紧机构
KR100501361B1 (ko) 차량의 반 능동 마운트 장치
JP2006313015A (ja) ラバーマウント装置
JP3423757B2 (ja) 防振装置
KR960023907A (ko) 전기유동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s)와 압전작동기(Piezoelectric actuators)를 이용한 엔진마운트(Engine mount)시스템 및 진동절연기구와 그의 제어기법
CN113124096A (zh) 固定结构以及带有固定结构的凹槽
JP2007216945A (ja) 自動車制振装置
CN101580010A (zh) 具有消除机械振动噪声耦合的车用发电机连接结构
KR20070034719A (ko) 액봉입형 마운트
KR19980033646U (ko) 자동차의 능동 엔진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