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801A - 사이드미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미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801A
KR20140120801A KR20130080264A KR20130080264A KR20140120801A KR 20140120801 A KR20140120801 A KR 20140120801A KR 20130080264 A KR20130080264 A KR 20130080264A KR 20130080264 A KR20130080264 A KR 20130080264A KR 20140120801 A KR20140120801 A KR 20140120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gear
housing
body drum
moto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0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2860B1 (ko
Inventor
곽래훈
Original Assignee
곽래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래훈 filed Critical 곽래훈
Publication of KR20140120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화되어 경량화 및 제조비용 저감이 가능하고, 나아가 모터의 구동력이 안정적으로 사이드 미러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동력손실을 막을 수 있는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속시켜 상부에 결합되는 사이드 미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증대시키는 감속기; 그리고, 상기 모터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감속기가 결합되는 바디 드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사이드미러 구동장치{DRIVING APPARATUS FOR SIDE MIRROR}
본 발명은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화되어 경량화 및 제조비용 저감이 가능하고, 나아가 모터의 구동력이 안정적으로 사이드 미러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동력손실을 막을 수 있는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의 후방시계의 확보를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차량 도어 양측면의 적정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후방시계 확보에는 사이드 미러의 후사각이 운전자의 신체특성에 맞게 조절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근래에는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사이드 미러의 회전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동식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가 차량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전동식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는 모터의 구동력을 사이드 미러로 전달하기 위한 복잡한 기어구조를 필요로 하므로 제조비용이 높고 중량이 많이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에 의하여 발생된 동력이 최종 출력까지 전달되는 과정이 복잡하므로 동력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속시켜 상부에 결합되는 사이드 미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증대시키는 감속기; 그리고, 상기 모터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감속기가 결합되는 바디 드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를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감속기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는 구동 캠; 상기 구동 캠에 결합되어 구동 캠의 회전력에 의해 편심 회전하는 제1, 2 판 기어; 상기 바디 드럼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 판 기어가 내측면에 치합되는 제1 내접 기어; 그리고, 상기 제2 판 기어가 내측면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1 내접 기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판 기어에 의해 회전하며 상면에 결합되는 사이드 미러를 회전시키는 제2 내접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내접 기어의 하부 둘레면에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 드럼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내접 기어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바디 드럼의 상면 일측에는 제2 내접 기어가 회전할 때 제2 내접 기어의 하면에 접촉하여 제2 내접 기어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볼 베어링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내접 기어의 하면 일측에는 제2 내접 기어의 회전이 완료될 때 상기 볼 베어링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제2 내접 기어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안착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내접 기어의 상면에는 제2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제2 스프링을 가압하여 제2 내접 기어에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캡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바디 드럼은 제1 스프링에 의해 외면이 가압된 상태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프링의 가압력을 초과하는 외력이 사이드 미러에 가해지면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 및 상기 바디 드럼의 외면에는 수직 바 형상의 롤러 키가 삽입되는 제1, 2 키홈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제1 스프링이 감겨지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제1 스프링에 의해 상기 롤러 키의 외면이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키홈과 교차부위에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속기의 상측에는 회전축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부시 플레이트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는 모터, 감속기, 사이드 미러가 직렬로 배치된 단순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품의 경량화 및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나아가 모터의 구동력이 안정적으로 사이드 미러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어 불필요한 동력손실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ㄷ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접 기어와 바디 드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재의 구조를 좀더 자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내접 기어의 구조를 좀더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상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는 하우징(housing)(100)과, 모터(200)와, 감속기(300)와, 바디 드럼(body drum)(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는 부위로서, 차체에 직접 결합되는 고정부(미도시)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나사 홀(111)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중앙에는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하는 회전축(210)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200)의 고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판(120)에 볼트(221) 체결되어 모터(200)의 상부 및 회전축(210)을 지지하는 모터 브라켓(220)과, 상기 모터 브라켓(220)에 결합되어 모터(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트립 밴드(23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모터(200)의 동작은 차량에 구비되는 전자제어유닛(ECU: 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차량의 운행 여부에 따라 송출되는 입력 신호를 전달받아 모터(200)의 구동 및 정지, 정회전, 역회전 등을 제어함으로써 사이드 미러가 접히거나 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운행이 시작되면 전자제어유닛은 해당 신호를 입력받아 사이드 미러가 펴지도록 모터(200)를 구동시키며, 반대로 차량의 운행이 종료되면 사이드 미러가 접혀지도록 모터(200)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에는 모터(200)의 회전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센서나 전류량을 감지하는 전류 센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카운트 센서나 전류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회전수 또는 전류량을 통해 모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300)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210)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210)의 회전을 감속시켜 모터(200)의 구동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부에 결합되는 사이드 미러의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감속기(300)는 사이드 미러를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힘이 얻어질 수 있도록 모터(200)의 구동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감속기(300)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210)에 편심 결합되는 구동 캠(310)과, 상기 구동 캠(310)에 결합되어 구동 캠(310)의 회전력에 의해 편심 회전하는 제1, 2 판 기어(320,330)와, 상기 제1 판 기어(320)가 내측면에 치합되는 제1 내접 기어(340)와, 상기 제2 판 기어(330)가 내측면에 치합되는 제2 내접 기어(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 캠(310)은 모터의 회전축(210)이 회전을 시작하면 편심 회전하도록 모터의 회전축(210)이 삽입되는 홀(311)이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2 판 기어(320,330)는 상기 구동 캠(310)이 중앙에 편심되게 결합되어 구동 캠(310)이 회전을 시작하면 구동 캠(310)과 함께 편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 2 판 기어(320,330)의 둘레면에는 이하 자세히 설명할 제1, 2 내접 기어(340,350)와의 치합을 위한 사이클로이드 치형(321,331)이 각각 형성된다. 사이클로이드 치형은 사이클로이드 곡선을 치면의 단면 윤곽으로 하는 치형으로서 일반적인 평 기어에 형성되는 인벌류트 치형에 비해 제작이 힘들지만 마찰이 적어 쉽게 마모되지 않으며, 높은 감속비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2 판 기어(320,330)는 구동 캠(310)의 회전력에 의해 동일한 속도 및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호 결합되며, 이를 위해 제1 판 기어(320)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3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판 기어(330)에는 상기 결합돌기(322)가 삽입되는 홀(33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접 기어(340)는 내측면에 상기 제1 판 기어(320)의 외면에 형성되는 사이클로이드 치형(321)과 대응되는 사이클로이드 치형(341)이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 캠(310)에 의해 상기 제1 판 기어(320)가 회전을 시작하면 제1 판 기어(320)는 제1 내접 기어(340)에 맞물려 회전함과 동시에 제1 내접 기어(34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제1 내접 기어(340) 내에서 자전운동을 함과 동시에 구동 캠(310) 즉,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하는 공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 내접 기어(340)는 제1 판 기어(320)의 안정적인 자전 및 공전운동을 위해 하우징(100)의 내부, 구체적으로는 바디 드럼(400)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내접 기어(340)는 외측면이 사각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바디 드럼(40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내접 기어(340)와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안착부(410)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판 기어(320)를 통해 구동 캠(310)의 회전력이 제1 내접 기어(340)에 전달되더라도 제1 내접 기어(340)는 제1 판 기어(32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안착부(4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접 기어와 바디 드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물론, 제1 내접 기어(340)의 고정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접 기어(340)는 일측이 절개된 원판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바디 드럼(400)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내접 기어(340)와 대응되는 형상의 안착부(410)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제1 내접 기어(340)를 바디 드럼(400)의 상면에 나사 결합시켜 고정하는 등 제1 내접 기어(340)를 바디 드럼(400)에 고정하는 구조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 제2 내접 기어(350)는 상기 제1 내접 기어(34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판 기어(330)가 치합되는 내측면에는 제2 판 기어(330)의 외면에 형성되는 사이클로이드 치형(331)과 대응되는 사이클로이드 치형(351)이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 캠(310)에 의해 상기 제2 판 기어(330)가 회전을 시작하면 상술한 제1 판 기어(320)와 같이 상기 제2 판 기어(330)는 제2 내접 기어(350) 내에서 자전운동을 함과 동시에 구동 캠(310) 즉,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하는 공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내접 기어(350)는 제1 내접 기어(340)와 달리 바디 드럼(400)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2 내접 기어(350)는 제2 판 기어(3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하우징(100) 내에서 회전하게 되며, 이와 같이 제2 내접 기어(350)가 회전을 시작하면 상기 제2 내접 기어(350)의 상부에 결합되는 사이드 미러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사이드 미러는 상기 제2 내접 기어(350)의 상면에 볼트 체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제2 내접 기어(350)에는 다수개의 나사 체결공(352)이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200)가 동작을 시작하여 회전축(210)이 회전을 시작하면, 회전축(210)의 회전력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감속기(300)를 거치며 증대되어 제2 내접 기어(350)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는 사이드 미러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출력이 약한 소형 모터(200)가 사용될 경우에도 사이드 미러를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힘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감속기(300)를 구성하는 제1, 2 판 기어(320,330) 및 제1, 2 내접 기어(340,350)는 상호 치합되어 모터(200)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사이드 미러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키는 일종의 브레이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하는 강한 바람의 영향을 받아 사이드 미러가 의도치 않게 접혀지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속기(300)의 상측에는 회전축(21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부시 플레이트(500)가 설치된다. 상기 부시 플레이트(500)는 회전축(210)의 상단부를 잡아주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축(210)이 흔들릴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나 소음문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디 드럼(400)은 상기 모터(200)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감속기(300)가 결합된다.
이러한 바디 드럼(400)은 스프링에 의해 외면이 가압된 상태로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프링의 가압력을 초과하는 외력이 사이드 미러에 가해질 경우 하우징(100) 내부에서 회전하여 사이드 미러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바디 드럼(400)의 외면에는 제1 키홈(420)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해 상기 바디 드럼(400)의 외면을 가압하는 원통 형상의 가압부재(160)가 설치되는 체결홀(110)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재의 구조를 좀더 자세히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가압부재(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케이스(161)와, 상기 케이스(161)의 내부에 일측이 고정되는 제1 스프링(162)과, 상기 제1 스프링(162)에 연결된 상태로 케이스(161) 외부로 돌출되어 바디 드럼(400)의 외면에 접촉하는 가압돌기(1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160)를 하우징의 체결홀(110)에 삽입하여 가압돌기(163)가 상기 제1 키홈(420)에 삽입되도록 하면 바디 드럼(400)은 가압돌기(163)에 눌려져 하우징(100)의 내면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때, 사이드 미러에 강한 회전력이 인가되면 회전력은 상술한 감속기(300)를 통해 바디 드럼(400)으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제1 스프링(162)이 압축되면서 가압돌기(163)가 후방으로 밀려 제1 키홈(42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 경우, 가압돌기(163)는 바디 드럼(400)의 외면에 접촉하여 일종의 베어링 역할을 하게 되므로 바디 드럼(400)이 하우징(100) 내에서 원활하게 회전하게 되며, 바디 드럼(40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자연히 감속기(300) 및 감속기(300)에 결합되어 있는 사이드 미러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200)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사이드 미러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상호 치합되는 제1, 2 판 기어(320,330)와 제1, 2 내접 기어(340,350)에 의해 사이드 미러는 해당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일정 이상의 외부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사이드 미러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 자칫 사이드 미러가 차체에서 뜯겨져 나가며 자체가 파손되거나 운전자가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규정된 한계 이상의 힘이 사이드 미러에 인가되면 즉, 가압돌기(163)에 인가되는 제1 스프링(162)의 탄성력 이상의 힘이 사이드 미러에 인가되면 바디 드럼(400)이 하우징(100) 내부에서 회전하여 사이드 미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차체의 파손이나 운전자가 부상을 당하는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미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바디 드럼(400)이 회전하여 사이드 미러가 비정상적인 각도로 꺽여진 상태에서 다시 모터(200)가 동작을 시작하면, 바디 드럼(400)은 모터(200)의 구동력에 의해 하우징 (100)내에서 회전을 시작하고, 이에 따라 바디 드럼(400)의 외면에 형성된 제1 키홈(420)이 가압돌기(163)의 위치로 다시 이동하여 가압돌기(163)는 제1 키홈(420)에 다시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키홈(420)에 가압돌기(163)이 다시 삽입되면 바디 드럼(400)은 하우징(100) 내측에 다시 고정되므로 회전축(210)의 회전력은 감속기(300)를 통해 사이드 미러로 전달되어 사이드 미러가 정상적으로 접혀지게 된다.
결국, 상기 바디 드럼(400)은 제1 키홈(420)에 삽입되는 가압돌기(163)에 눌려져 하우징(100)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하우징(100) 내부에서 회전하여 사이드 미러가 비정상적인 외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모터(200)가 구동을 시작하면 다시 하우징(100) 내부에 고정되어져 모터(200)에 의한 사이드 미러의 정상적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바디 드럼(400)의 회전구조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 드럼(400)의 외면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에는 수직 바 형상의 롤러 키(610)가 삽입되는 제1, 2 키홈(420,130)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제2 스프링(600)이 감겨지는 체결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홈(140)은 상기 제2 키홈(130)과 교차부위에서 연통되도록 하우징(100) 외면에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 키(610)가 제1, 2 키홈(420,130)에 삽입되면 자연히 바디 드럼(400)은 하우징(100)의 내면에 고정되며, 또한 체결홈(140)에 제2 스프링(600)을 끼워넣으면 체결홈(140)과 제2 키홈(130)의 연통부위를 통해 제2 스프링(600)이 롤러 키(610)의 외면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자연히 롤러 키(610)가 바디 드럼(400)을 가압하여 바디 드럼(400)이 하우징(10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바디 드럼(400)이 제2 스프링(600)에 의해 가압되어 하우징(100)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이드 미러에 제2 스프링(600)의 가압력 이상의 힘이 인가되면 롤러 키(610)가 제1 키홈(420)에서 빠져나와 바디 드럼(400)의 외면에 접촉하여 일종의 베어링 역할을 하게 되므로 바디 드럼(400)이 하우징(100) 내에서 회전하게 되며, 바디 드럼(40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자연히 감속기(300) 및 감속기(300)에 결합되어 있는 사이드 미러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사이드 미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바디 드럼(400)이 회전하여 사이드 미러가 비정상적인 각도로 꺽여진 상태에서 다시 모터(200)가 동작을 시작하면, 바디 드럼(400)은 모터(200)의 구동력에 의해 하우징(100) 내에서 회전을 시작하고, 이에 따라 바디 드럼(400)의 외면에 형성된 제1 키홈(420)이 롤러 키(610) 위치로 다시 이동하여 롤러 키(610)가 제1 키홈(420)에 다시 삽입되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내접 기어의 구조를 좀더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제2 내접 기어(350)의 하부 둘레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의 가이드 홈(353)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 드럼(400)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353)에 삽입되는 스토퍼(430)(도 1참조)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430)는 제2 내접 기어(35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할 때 가이드 홈(353)의 좌측 또는 우측 끝단에 걸려 제2 내접 기어(350)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사이드 미러의 회전이 정해진 각도 범위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한다.
사이드 미러의 펴짐 각도는 통상 75°로 고정되므로 상기 가이드 홈(353)은 상기 제2 내접 기어(350)가 0~75°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75°각도의 원호 형태를 이룬다.
다만, 상기 스토퍼(430)에 의해 제2 내접 기어(350)의 회전이 제한된다고 하더라도 스토퍼(430)가 가이드 홈(353)의 양단에 걸린 상태에서 모터(200)가 계속해서 구동되면 모터(200)에 과부하가 걸려 자칫하면 모터(200)가 손상되거나 스토퍼(430)가 파손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제어유닛은 모터(200)에 인가되는 전류가 일정 이상으로 높아지면 제2 내접 기어(350)의 회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모터(20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내접 기어(35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시작하면 사이드 미러가 접히거나 펴지게 되는데, 이때 사이드 미러가 하우징(100)의 상면 등에 접촉하면 사이드 미러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이드 미러가 마찰에 의해 손상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 드럼(400)의 상면 일측에는 제2 내접 기어(350)가 회전할 때 제2 내접 기어(350)의 하면에 접촉하여 제2 내접 기어(35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볼 베어링(440)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제2 내접 기어(350)는 회전시 볼 베어링(440)과 접촉된 상태로 즉, 볼 베어링(440)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올려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 내접 기어(350)에 결합되어 있는 사이드 미러 역시 상측으로 들려진 상태로 회전하게 되므로 사이드 미러와 하우징(100)의 간섭이 방지되어 사이드 미러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사이드 미러가 완전히 펴진 후에도 사이드 미러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로 있게 되면, 차량의 고속주행시 사이드 미러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풍절음이라고 불리는 고주파 소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2 내접 기어(350)의 하면 일측에는 제2 내접 기어(350)의 회전이 완료될 때 상기 볼 베어링(440)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제2 내접 기어(350)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안착홈(35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내접 기어(35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자연히 제2 내접 기어(350)에 결합되어 있는 사이드 미러 역시 하측으로 이동하여 하우징(100)에 밀착되므로 사이드 미러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에서 고주파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내접 기어(350)의 상면에는 제3 스프링(700)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상기 제3 스프링(700)을 가압하는 캡(cap)(800)이 결합된다.
상기 캡(800)은 하우징(100) 상부에 나사 결합되며, 이를 위해 캡(700)의 외면 및 하우징(100)의 상단부 내측면에는 상호 치합되는 나사산(710,15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캡(800)이 하우징(100)의 상부에 나사 결합되어 제3 스프링(700)을 가압하면, 자연히 제3 스프링(700)에 의해 제2 내접 기어(350)의 상면이 가압되며,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미러의 회전이 완료되어 볼 베어링(440)의 상단부가 제2 내접 기어(350)의 하면에 형성된 안착홈(354)에 삽입될 때 제2 내접 기어(350)와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는 사이드 미러가 제3 스프링(700)의 가압력에 의해 하우징(100)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은 그 범위가 전술된 바에 한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함은 물론이고, 그 균등물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하우징 110: 체결홀
120: 고정판 130: 제2 키홈
140: 체결홈 160: 가압부재
161: 케이스 162: 제1 스프링
163: 가압돌기 200: 모터
210: 회전축 220: 모터 브라켓
230: 스트립 밴드 300: 감속기
310: 구동 캠 320: 제1 판 기어
330: 제2 판 기어 340: 제1 내접 기어
350: 제2 내접 기어 400: 바디 드럼
410: 안착부 420: 제1 키홈
430: 스토퍼 440: 볼 베어링
500: 부시 플레이트 600: 제2 스프링
610: 롤러 키 700: 제3 스프링
800: 캡

Claims (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속시켜 상부에 결합되는 사이드 미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증대시키는 감속기; 그리고,
    상기 모터를 감싸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감속기가 결합되는 바디 드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는 구동 캠;
    상기 구동 캠에 결합되어 구동 캠의 회전력에 의해 편심 회전하는 제1, 2 판 기어;
    상기 바디 드럼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 판 기어가 내측면에 치합되는 제1 내접 기어; 그리고,
    상기 제2 판 기어가 내측면에 치합되도록 상기 제1 내접 기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판 기어에 의해 회전하며 상면에 결합되는 사이드 미러를 회전시키는 제2 내접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접 기어의 하부 둘레면에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 드럼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내접 기어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드럼의 상면 일측에는 제2 내접 기어가 회전할 때 제2 내접 기어의 하면에 접촉하여 제2 내접 기어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볼 베어링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내접 기어의 하면 일측에는 제2 내접 기어의 회전이 완료될 때 상기 볼 베어링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제2 내접 기어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접 기어의 상면에는 제2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제2 스프링을 가압하여 제2 내접 기어에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캡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드럼은 제1 스프링에 의해 외면이 가압된 상태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프링의 가압력을 초과하는 외력이 사이드 미러에 가해지면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드럼의 외면에는 제1 키홈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바디 드럼의 외면을 가압하는 원통 형상의 가압부재가 설치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는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일측이 고정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제1 스프링에 연결된 상태로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 드럼의 외면에 접촉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 및 상기 바디 드럼의 외면에는 수직 바 형상의 롤러 키가 삽입되는 제1, 2 키홈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제2 스프링이 감겨지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제2 스프링에 의해 상기 롤러 키의 외면이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키홈과 교차부위에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의 상측에는 회전축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부시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미러 구동장치.
KR20130080264A 2013-04-03 2013-07-09 사이드미러 구동장치 KR101482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453 2013-04-03
KR20130036453 2013-04-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0271A Division KR20140120802A (ko) 2013-04-03 2013-07-09 사이드미러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801A true KR20140120801A (ko) 2014-10-14
KR101482860B1 KR101482860B1 (ko) 2015-01-15

Family

ID=519925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0264A KR101482860B1 (ko) 2013-04-03 2013-07-09 사이드미러 구동장치
KR20130080271A KR20140120802A (ko) 2013-04-03 2013-07-09 사이드미러 구동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0271A KR20140120802A (ko) 2013-04-03 2013-07-09 사이드미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4828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580A (ko) * 2021-03-11 2022-09-21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스프링의 회전의 한계를 규정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리어뷰 미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1249A (ja) * 1986-02-17 1987-08-21 Murakami Kaimeidou:Kk 電動可倒式ドアミラ−
JPH0649207U (ja) * 1992-12-10 1994-07-05 市光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ミラー駆動用の減速歯車機構
NL2002145C (en) 2008-10-28 2010-04-29 Mci Mirror Controls Int Nl Bv Drive unit for mirror adjustment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580A (ko) * 2021-03-11 2022-09-21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스프링의 회전의 한계를 규정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리어뷰 미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860B1 (ko) 2015-01-15
KR20140120802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1418B1 (en) Seat belt retractor with electric motor
US11251680B2 (en) Deceleration device
JP4864582B2 (ja) トルク自動切替装置
KR100363629B1 (ko) 이동액튜에이터
WO2019049402A1 (ja) スライドドア用駆動装置
JP6461809B2 (ja) 自動車の車両ドアを自動的に作動させるためのアクチュエータ装置
KR101185539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용 액추에이터
KR20200078903A (ko)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KR101407256B1 (ko)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JP4487970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モータ
JP4010940B2 (ja) 窓操作装置
JP2007503348A (ja) 2つの引き締め装置を備えたベルトローラ
KR101482860B1 (ko) 사이드미러 구동장치
JP2002174304A (ja) トルクリッミタ機能付遊星歯車減速機
JP4013259B2 (ja) ハイブリッド型車両用動力伝達装置
KR20160054334A (ko) 차량용 사이드미러의 전동식 폴딩장치
US6100624A (en) Ultrasonic motor and seat belt retractor
JPH11513560A (ja) トルクを調節できる駆動ユニット
JPS6382844A (ja) 車両用ミラ−装置
KR101001776B1 (ko) 좌석벨트 리트랙터
US20160332596A1 (en) Reversible Belt Tensioner
JP4279036B2 (ja) 電動ドアミラー装置
JP4184856B2 (ja) 電動ドアミラー装置及び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JP2006342909A (ja) 回転体連結構造及び電動ドアミラー装置
JP2007022215A (ja) 電動ドアミラ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