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703A - 천연 항균솜 부직포 - Google Patents

천연 항균솜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703A
KR20140120703A KR1020130036901A KR20130036901A KR20140120703A KR 20140120703 A KR20140120703 A KR 20140120703A KR 1020130036901 A KR1020130036901 A KR 1020130036901A KR 20130036901 A KR20130036901 A KR 20130036901A KR 20140120703 A KR20140120703 A KR 20140120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cotton
nonwoven fabric
fibers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택
Original Assignee
한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택 filed Critical 한영택
Priority to KR1020130036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0703A/ko
Publication of KR20140120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02Cotton wool; Wad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66Natural fibre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H1/425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콩이나 대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항균솜을 이용하여 제조된 천연 항균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천연 항균솜 부직포는, 콩 또는 대나무에서 추출한 항균 천연솜을 압착하여 형성되는 압착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 천연 항균솜 부직포에 따르면, 천연 소재인 콩 또는 대나무로부터 추출된 항균 천연솜을 추출하여 제작됨으로써, 항균 천연솜이 가지는 항균력과 통기성 등의 특징들로 인해 미용팩이나 기저귀, 마스크, 식품팩 등 인체에 접촉되거나 인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품들의 소재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항균솜 부직포{NONWOVEN FABRIC USING NATURAL ANTIBACTERIAL COTTON}
본 발명은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콩이나 대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항균솜을 이용하여 제조된 천연 항균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직포(nonwoven fabrics)는 직물, 편물의 대체품으로 개발된 직물로서 섬유집합체를 화학적 또는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적당한 수분과 열처리에 의해 섬유상호간을 결합시킨 섬유웹(web)이다. 부직포의 원료로는 레이온, 펄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 다양하다.
이러한 부직포는 단일공정의 섬유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이 높고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카드웹을 형성할 때 니들펀칭식, 스티칭식으로 섬유를 엉키게 하는 건식부직포와 습윤상태의 웹이 형성되게 섬유를 초지공정식이거나 고압수류에 의해 섬유가 엉키게 하는 스펀레이스의 습식부직포로 구분된다. 건식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접착제형과 기계접합형 더몰본딩형 및 방사형이 있는데, 일 예로 더멀본딩법의 원리는 혼면공정, 카드웹공정, 열융착공정, 권취공정으로 되고 접착제본딩법의 원리는 혼면공정, 카드웹공정, 접착제 합침공정, 건조열처리공정, 권취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부직포는 편물이나 직물보다 가격적인 장점이 많아 의류용 안감소재를 비롯하여, 인테리어용, 코팅기재, 벽지, 단열재, 식탁보, 신발, 식품포장재, 기저귀 및 시트의 위생용, 필터 및 산업용 소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레이온, 펄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을 이용하여 생산된 부직포를 이용하여 기저귀나 마스크 등에 사용하는 경우, 부직포 자체에는 아무런 항균이나 소독작용을 할 수 없어 피부에서 발산되는 땀이나 습기 등으로 인해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발생하여 피부를 손상시키고 알러지를 유발시키며, 과일이나 식품용 포장지로 사용할 경우에는 미생물에 의해 과일이나 식품이 쉽게 부폐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은 석유추출 섬유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콩으로부터 추출하는 실 형태의 천연섬유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콩섬유를 이용한 부직포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62683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에 “차량용 내장재”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는 부직포층의 하면에 콩섬유를 적층하여 형성된다. 이처럼, 부직포를 만드는데 콩섬유가 사용되기는 하나, 콩섬유 자체만 가지고는 부직포를 만들기 어려우며, 다른 부직포에 덧붙이는 형태로만 가능하다. 즉, 기존 부직포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석유추출 섬유는 길이가 길기 때문에 섬유들이 서로 엉키면서 응집되는 응집력이 강하여 부직포 제조가 용이하나, 콩섬유와 같은 천연섬유는 길이가 짧기 때문에 섬유들이 서로 엉키면서 응집되는 응집력이 약하여 부직포 제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콩이나 대나무에서 추출한 항균 천연솜을 이용하여 피부나 식품 등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고 오히려 우수한 항균효과와 원적외선 효과 등을 줄 수 있는 천연 항균솜 부직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천연 항균솜 부직포는, 콩 또는 대나무에서 추출한 항균 천연솜을 압착하여 형성되는 압착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 천연 항균솜 부직포는, 콩 또는 대나무에서 추출되며, 항균 천연솜이 압착되는 과정에서 항균 천연솜 위에 배열되어 항균 천연솜에 압착됨으로써 압착솜부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실 형태의 천연섬유를 더 포함한다.
천연섬유의 간격은 5~10mm이다.
본 발명 천연 항균솜 부직포에 따르면, 천연 소재인 콩 또는 대나무로부터 추출된 항균 천연솜을 추출하여 제작됨으로써, 항균 천연솜이 가지는 항균력과 통기성 등의 특징들로 인해 미용팩이나 기저귀, 마스크, 식품팩 등 인체에 접촉되거나 인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품들의 소재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 항균솜 부직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 항균솜 부직포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3은 천연 항균솜 위에 천연섬유를 배열하고 천연 항균솜과 천연섬유를 함께 압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 항균솜 부직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 항균솜 부직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 항균솜 부직포는, 천연 항균솜이 압착 평탄화되어 형성되는 압착솜부(10)와, 항균솜이 압착되는 과정에서 항균솜 위에 배열되어 항균솜과 압착됨으로써 압착솜부(10)의 물리적인 강도를 증대시키는 실형태의 천연섬유(20)를 포함한다.
압착솜부(10)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천연 항균솜은 콩 또는 대나무에서 추출한다. 아울러, 천연섬유(20) 또한 콩 또는 대나무에서 추출한다. 압착솜부(10)와 천연섬유(20)는 동일한 원료로부터 추출된 것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콩에서 추출된 것과 대나무에서 추출된 것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천연섬유(20)는 압착솜부(10)에 일방향으로만 배열될 수도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격자형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천연섬유(20)는 압착솜부(10)가 가지는 물리적인 성질 즉, 인장력 등을 보강해줌으로써, 압착솜부(10)가 찢어질 염려가 없다. 한편, 천연섬유(20)의 간격은 5~10mm가 바람직하다. 천연섬유(20)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을 경우 압착솜부(10)의 물리적 성질을 보강해주는 힘이 약하여 압착솜부(10)가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쉽게 찢어질 염려가 있으며, 천연섬유(20) 사이의 간격이 좁을 경우 압착솜부(10)의 형태를 유지하는데에는 장점이 되나 부직포를 피부에 접촉할 경우 천연섬유(20)로 인해 느낌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천연 항균솜과 천연섬유(20)의 원료인 콩(대두)은 인체노화 원인 중 하나인 산화반응을 막는 토코페롤과 사포닌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콩에는 다량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고, 이러한 원료가 갖고 있는 고유한 특성이 천연 항균솜과 천연섬유(20)에 내포되어 있어 피부노화 예방에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콩으로부터 추출한 천연 항균솜과 천연섬유(20)에는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어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의 손상과 노화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대장간균, 황색포도상구균, 백색열주균에 대한 억제기능이 있으며, 화학섬유와 달리 피부에 트러블이 있는 사람이 착용하더라도 알러지가 발생될 염려가 없다. 뿐만 아니라, 통기성과 편안함뿐만 아니라 인조섬유의 강도를 가진다. 즉, 캐시미어와 같은 느낌, 실크와 같은 광택, 면과 같은 흡습성, 통기성 및 보온성, 폴리에스터와 같은 도습성을 가진다.
천연 항균솜과 천연섬유(20)의 원료인 대나무는 다른 나무와는 달리 성장기에는 하루에도 1m씩 자라나 2-3년을 주기로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등 자원이 풍부한 점 때문에 환경 친화적인 소재이다. 대나무로부터 추출한 천연 항균솜과 천연섬유(20)는 부드럽고, 소취성(99.9%)이 우수하며, 생분해성 제품으로 천연 항균성(99.9%), 항곰팡이 저항성, 일반 면제품의 1.3배의 수분흡수성을 가지고 있고, 실크와 같은 터치와 광택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대나무에서 추출한 솜과 섬유는 의류에 서식하기 쉬운 황색포도상구균, 폐렴증균, 곰팡이류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며, 몸으로부터 분비되는 땀이나 노폐물로 인해 생기는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건조하고 낮은 습도에서 발생하기 쉬운 화섬사의 정전기쇼크로부터 안전하게 피부를 보호해준다. 일반 섬유제품에 비해 뛰어난 소취성을 가지고 있어 땀이나 얼룩에도 냄새가 상대적으로 적어 언제나 청결함을 유지해준다. 뛰어나 흡수력을 가지고 있어 언제나 쾌적함을 유지해준다. 실크처럼 부드러운 촉감으로 민감성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하여 상쾌함을 준다. 면섬유가 지니고 있지 않은 청량감을 가지고 있어 언제나 풍부한 청량감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천연소재 즉, 콩과 대나무가 가지는 특성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천연 항균솜 부직포는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미용팩, 기저귀, 마스크 등에 많이 이용될 수도 있고, 사람이 섭취하는 음식물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지 등으로도 많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 항균솜 부직포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3은 천연 항균솜 위에 천연섬유를 배열하고 천연 항균솜과 천연섬유를 함께 압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천연 항균솜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ⅰ) 천연솜을 일정한 두께와 폭으로 펼치는 단계(S10), ⅱ) 천연솜을 천연접착제에 함침하거나, 천연접착제를 천연솜에 분사하는 단계(S20), ⅲ) 천연솜 위에 천연섬유를 배열한 후 건조시키고 롤러를 이용해 압착시켜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S30), ⅳ) 후가공단계(S40)를 거치게 된다.
천연솜은 콩이나 대나무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일정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부직포 제작에 앞서 일정한 두께와 폭으로 펼쳐주어야 한다.
천연접착제는 천연솜이 압착되어 부직포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아교에 천연성분들을 함유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천연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천연솜이 압착되기 전 천연솜 위에는 실 형태의 천연섬유가 격자형태로 배열된다. 물론, 천연섬유가 일방향으로만 배열될 수도 있으나, 격자 형태로 배열될 때 부직포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줄 수 있다.
천염섬유가 배열된 천연솜은 한 쌍의 롤러(30)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고, 롤러(30)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건조된다. 제작하고자 하는 부직포의 두께에 맞게 롤러(30) 사이의 간격이 조정된다.
완성된 부직포는 필요한 크기로 절단되는 과정을 거칠 수도 있고,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추가적인 성형작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천연 항균솜 부직포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10 : 압착솜부 20 : 천연섬유
30 : 롤러

Claims (3)

  1. 콩 또는 대나무에서 추출한 항균 천연솜을 압착하여 형성되는 압착솜부를 포함하는 천연 항균솜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콩 또는 대나무에서 추출되며, 상기 항균 천연솜이 압착되는 과정에서 항균 천연솜 위에 배열되어 항균 천연솜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압착솜부의 형태를 유지시켜주는 실 형태의 천연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균솜 부직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섬유의 간격은 5~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균솜 부직포.
KR1020130036901A 2013-04-04 2013-04-04 천연 항균솜 부직포 KR20140120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901A KR20140120703A (ko) 2013-04-04 2013-04-04 천연 항균솜 부직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901A KR20140120703A (ko) 2013-04-04 2013-04-04 천연 항균솜 부직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03A true KR20140120703A (ko) 2014-10-14

Family

ID=5199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901A KR20140120703A (ko) 2013-04-04 2013-04-04 천연 항균솜 부직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07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652B1 (ko) * 2020-05-07 2021-04-13 이지원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유해물질 차단용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652B1 (ko) * 2020-05-07 2021-04-13 이지원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유해물질 차단용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1358C2 (ru) Тканевая основа для одноразового текстильного изделия и одноразовое текстильное изделие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KR101976155B1 (ko) 마스크팩용 혼섬부직포
Kakonke et al. Review on the manufacturing and properties of nonwoven superabsorbent core fabrics used in disposable diapers
JP2009292750A (ja) シート状化粧材
CN102704188A (zh) 一种杀菌、抗过敏无纺布
WO2017026018A1 (ja) 使い捨て下半身用衣料の製造方法
CN106637667A (zh) 一种局部含棉无纺布及其生产方法
JP2019063541A (ja) 使い捨て物品
CN106012289B (zh) 一种由竹原纤维制备无纺布的方法
JP2018103483A (ja) 使い捨て繊維製品用生地
JP6945328B2 (ja) 複合繊維シート、複合繊維シートを用いた使い捨て繊維製品、マスク及び手術着
KR20140120703A (ko) 천연 항균솜 부직포
KR101447647B1 (ko) 황토 부직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침구류
CN107012588A (zh) 脱脂棉和超仿棉纤维复合的无纺布生产装置及方法
CN106042539A (zh) Sms复合无纺布
KR20140116598A (ko) 스펀레이스 부직포,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및 그 제조방법
CN219294902U (zh) 一种高吸湿真丝弹力面料
CN212372858U (zh) 一种无纺布及用其制成的面膜
RU2708598C2 (ru) Тканевая основа для одноразового текстильного изделия и одноразовое текстильное изделие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KR102533472B1 (ko) 마섬유를 활용하여 건강 기능성을 제고한 위생용품 제조방법
CN208851812U (zh) 一种弱酸亲肤热风非织造复合材料、纤维复合材料及卫生用品
KR102274953B1 (ko) 터치감이 우수한 혼섬부직포
WO2016181575A1 (ja) 使い捨て製品用の機能性生地素材
CN107119387A (zh) 一种医用透气可降解水刺无纺布
CN207241031U (zh) 复合纤维片、一次性纤维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