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434A - 게임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게임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434A
KR20140120434A KR1020130036065A KR20130036065A KR20140120434A KR 20140120434 A KR20140120434 A KR 20140120434A KR 1020130036065 A KR1020130036065 A KR 1020130036065A KR 20130036065 A KR20130036065 A KR 20130036065A KR 20140120434 A KR20140120434 A KR 20140120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game
driving
cylinder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7984B1 (ko
Inventor
이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와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와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와이디
Priority to KR20130036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98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17Driving on land or water; Fl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임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게임시뮬레이터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하좌우 또는 상하좌우 조합으로 움직이는 시트; 상기 시트가 상하좌우 또는 상하좌우 조합으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시트에 일체로 결합되며, 게임의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표시부; 상기 화면표시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게임제어부; 및 상기 게임제어부로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조작부;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구동부가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포스트;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시트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키는 X회전축과 상기 시트를 좌우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키는 Y회전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게임시뮬레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채로운 게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게임시뮬레이터{GAME SIMULATOR}
본 발명은 게임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는 게임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게임 산업의 발전으로 게임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과 장비의 성능개선이 대폭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게임 시스템과 장비의 고성능화에 의해 더욱 고급화된 게임 프로그램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게임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개발로 인해, 스포츠, RPG(Role Playing Game), 어드벤처,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액션, FPS(First Person Shooter) 등 다양한 분야의 게임이 시장에 유통되면서, 시각적으로 매우 높은 수준의 게임들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게임 개발의 초점은 더욱 사실적이고 실제적인 감각을 느낄 수 있는 시스템의 구현으로 발전하고 있으나, 게임 산업의 빠른 발전만큼 게임 시스템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게임장치인 모니터와 본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의 기능적 한계도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한편, 게임사용자가 모니터를 통해 시각적인 감각만으로 게임을 이용하는 것이 아닌, 게임 속 환경에 동화되어 제3의 감각을 통해 게임의 상황을 실제적으로 느끼게 되는 게임시뮬레이터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게임시뮬레이터는 특허문헌(한국공개특허 제2010-0045397호)에 개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게임시뮬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게임시뮬레이터(1)는 받침프레임(10)이 구비되고, 받침프레임(10)의 정중앙에는 선단에 제1회전공(12)이 형성된 중심프레임(11)이 입설되며, 상기 제1회전공(12)이 형성된 중심프레임(11)이 입설되며, 상기 제1회전공(12)에는 좌우회전프레임(20)이 설치됨과 동시에 사람이 착석하는 시트(50)가 설치된다.
또한, 좌우회전프레임(20)의 저면에 형성된 제1연결공(23)이 제1회전공(12)에 제1힌지(24)를 매개로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좌우회전프레임(20)의 양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선단에 제2회전공(22)을 갖는 한쌍의 시트프레임장착대(21)가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받침프레임(10)과 좌우회전프레임(20) 사이에는 좌우회전프레임(20)을 제1힌지(24)를 중심으로 좌우 회전시키기 위한 좌우조절실린더(13)가 장착되고, 상기 시트프레임장착대(21)의 제2회전공(22)에는 시트프레임(30)에 입설된 한쌍의 시트프레임연결대(31)가 선단에 형성된 제2연결공(32)을 통해 제2한지(33)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시트프레임(30)의 전방에는 만곡형상의 모니터프레임(40)이 설치되고, 이 모니터프레임(40)의 사이에는 발받침(42)이 형성되며, 발받침(42)의 상부에는 모니터(51)를 장착하기 위한 모니터장착대(41)가 장착되고, 상기 좌우회전프레임(20)과 모니터프레임(40) 사이에는 상기 시트프레임(30)을 제2힌지(33)를 중심으로 전후 회전시키기 위한 전후조절실린더(25)가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 게임시뮬레이터(1)는 구조적 특성에 의해 구동이 부자연스러운 문제점이 있고, 내구성에 있어서 취약한 단점이 있으며, 각파이프재를 용접방식으로 엮은 프레임은 쉽게 파손될 수 있으므로 장비의 유지보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장비 파손 시 사용자의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결함이 있다.
상기 게임시뮬레이터(1)를 구동시키는 실린더가 공압실린더로 구비됨으로서, 공압의 특성에 의해 슬립이 발생하는 등의 손실이 발생하며, 덩치가 크거나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용자를 수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압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콤프레서를 구비해야하므로 공간 활용에 있어서 비효율적이고, 소음 문제가 야기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게임시뮬레이터(1)는 X축과 Y축으로만 구동되는 단순한 구조로 다채로운 게임의 환경을 완전하게 구현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상기 회전공 등에 베어링을 수용하기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져 게임시뮬레이터의 구동이 부자연스러우며, 게임시뮬레이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5397호(2010.05.0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채로운 게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게임시뮬레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게임시뮬레이터는, 상기 게임시뮬레이터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하좌우 또는 상하좌우 조합으로 움직이는 시트; 상기 시트가 상하좌우 또는 상하좌우 조합으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시트에 일체로 결합되며, 게임의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표시부; 상기 화면표시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게임제어부; 및 상기 게임제어부로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구동부가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포스트;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시트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키는 X회전축과 상기 시트를 좌우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키는 Y회전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는 X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와 Y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는 상기 시트의 저면에 연결되어 시트를 상하로 회전시키며, 상기 제2실린더는 상기 구동부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구동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와 상기 시트 사이에는 Z회전축과 구동모터가 구비된 시트회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Z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시트가 양방향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시트의 내부에는 게임 상의 작용에 따른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시트에는 안전벨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시뮬레이터에 따르면, 구동부가 볼트로 체결되어 용접에 비해 더욱 견고한 프레임을 구비하고, 종래의 게임시뮬레이터보다 부피와 무게를 줄임으로서, 내구성 증가와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게임시뮬레이터를 구동시키는 실린더를 전기실린더로 구비함으로서, 움직임의 정확성은 물론 고체중의 사용자도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게임시뮬레이터에 구비된 실린더를 모두 베이스에 연결하여 보조적으로 지지함으로서, 사용 중 구동부와 포스트에 작용되는 하중이 분산되어, 이에 따라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며, 또한 포스트에 집중되는 하중을 상기 실린더로 분산시켜 내구성이 증가함에 따라 장비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Z회전축을 적용함으로서 보다 다채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게임시스템과 높은 수준의 연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의 내부에 진동모듈이 구비되므로 더욱 실제적이고 사실적인 구현이 가능하며, 시트에 안전벨트를 구비하므로 유사시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게임시뮬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시뮬레이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시뮬레이터의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X회전축에 따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Y회전축에 따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Z회전축에 따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시뮬레이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X회전축에 따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Y회전축에 따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Z회전축에 따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임시뮬레이터(A)는, 상기 게임시뮬레이터를 지지하는 베이스(100)와, 상하좌우 또는 상하좌우 조합으로 움직이는 시트(200)와, 상기 시트(200)가 상하좌우 또는 상하좌우 조합으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300)와, 상기 시트(200)에 일체로 결합되며, 게임의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표시부(400)와 상기 화면표시부(400)와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하는 게임제어부(500) 및 상기 게임제어부(500)로 입력신호를 보내는 조작부(6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200)의 저면에는 시트장착부(230)가 구비되며, 시트장착부(230)에는 상기 화면표시부(400)가 거치되는 모니터장착프레임(24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에는 상기 구동부(300)가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포스트(110)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300)는 제1플레이트(301)와 제2플레이트(302)가 마주보는 한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301,302)의 사이에 제1브릿지(303)와 제2브릿지(304), 제3브릿지(305) 및 제4브릿지(306)가 개재되어 볼트로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100)에는 상기 시트(200)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키는 X회전축(310)이 상기 제1플레이트(301)와 제2플레이트(302)의 일측에 관통되게 구비되며, 상기 시트(200)를 좌우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키는 Y회전축(330)이 상기 제1브릿지(303)와 상기 제2브릿지(304)의 중심을 관통되게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구동부(300) 사이에는 X회전축(310)을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320)와 Y회전축(330)을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34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320)는 상기 시트(200)의 저면에 구비된 시트장착부(230)에 연결되어 시트(200)를 상하로 회전시키며, 상기 제2실린더(340)는 상기 제2플레이트(302)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360)에 연결되어 구동부(300)를 좌우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실린더(320)와 제2실린더(340)는 각각 상기 시트(200)의 저면과 상기 연결부재(360)에 링크로 연결된다.
상기 X회전축(310)의 양 끝단에는 상기 시트장착부(230)가 결합되는 풀리(31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시트장착부(230)에는 Z회전축(351)과 구동모터(352)가 구비된 시트회전부재(3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Z회전축(351)에는 상기 시트(200)와 상기 모니터장착프레임(240)이 축결합되고, 이에 따라, 상기 시트(200)와 모니터장착프레임(240)이 Z회전축(351)을 중심으로 예를 들어, 15도 범위내에서 양방향 회전하게 된다.
상기 Z회전축(351)과 상기 구동모터(352)의 연결은 모터의 구동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기어, 체인벨트 등의 공지된 기계, 기구의 구성이 적용된다.
상기 시트(200)의 내부에는 게임 상의 작용에 따른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모듈(210)이 더 포함되며, 상기 진동모듈(210)은 게임제어부(500)와 연동되어 게임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상기 시트(200)에는 사용자를 시트(2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안전벨트(22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게임시뮬레이터(A)는 게임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시트(200)에 탑승하여 상기 시트(200)에 구비된 안전벨트(220)를 착용한 후, 상기 조작부(600)를 조작하여 게임을 실행하면, 상기 게임제어부(500)는 화면표시부(4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게임 영상을 화면으로 표시한다.
이후, 상기 게임제어부(500)는 실행되고 있는 게임 프로그램의 제어신호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시트(200)를 상하좌우 또는 상하좌우 조합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구동부(300)를 제어한다.
즉, 상기 게임제어부(500)는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구동부(300) 사이에 구비된 X회전축(310)을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320)를 제어하여 상기 시트(200)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제1브릿지(303)와 상기 제2브릿지(304)의 중심을 관통되게 구비된 Y회전축(330)을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340)를 제어하여 상기 시트(200)를 좌우로 움직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게임제어부(500)는 상기 시트장착부(230)에 구비된 시트회전부재(350)의 Z회전축(35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52)를 제어하여, 상기 시트(200)와 모니터장착프레임(240)이 Z회전축(351)을 중심으로 예를 들어, 15도 ~ 25도 범위 이내에서 양방향 회전하게 된다.
상기 시트(200)의 내부에는 진동모듈(210)이 설치되어 게임 상의 작용에 따른 진동을 발생하며, 상기 진동모듈(210)은 게임제어부(500)와 연동되어 게임 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게임시뮬레이터는 내구성이 높고 무게가 가벼워진 향상된 구조로 제1실린더(320)와 제2실린더(340)를 전기실린더로 구비하여 움직임의 정확성과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320)와 제2실린더(340)의 결합구조 개선을 통해 구동부(300)와 포스트(110)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안정적인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증가함에 따라 장비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베어링이 수용되기 용이한 구조를 통해 구동부(300)의 움직임이 부드럽고 정확하며 긴 수명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시트회전부재(350)를 통해 상기 시트(200)와 모니터장착프레임(240)을 회전함으로서, 보다 다채로운 움직임이 가능한 게임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200)의 내부에 진동모듈(210)이 구비되므로, 더욱 실제적이고 사실적인 구현이 가능하며, 상기 시트(200)에 안전벨트(220)가 구비됨에 따라 유사시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600)는 다수의 키 버튼과 마우스 볼, 조이스틱 등이 사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채로운 게임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 : 게임시뮬레이터 100 : 베이스
110 : 포스트 200 : 시트
210 : 진동모듈 220 : 안전벨트
230 : 시트장착부 240 : 모니터장착프레임
300 : 구동부 301 : 제1플레이트
302 : 제2플레이트 303 : 제1브릿지
304 : 제2브릿지 305 : 제3브릿지
306 : 제4브릿지 310 : X회전축
311 : 풀리 320 : 제1실린더
330 : Y회전축 340 : 제2실린더
350 : 시트회전부재 351 : Z회전축
352 : 구동모터 360 : 연결부재
400 : 화면표시부 500 : 게임제어부
600 : 조작부

Claims (6)

  1. 게임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게임시뮬레이터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하좌우 또는 상하좌우 조합으로 움직이는 시트;
    상기 시트가 상하좌우 또는 상하좌우 조합으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시트에 일체로 결합되며, 게임의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표시부;
    상기 화면표시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게임제어부; 및
    상기 게임제어부로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게임시뮬레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구동부가 바닥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포스트;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시트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키는 X회전축과 상기 시트를 좌우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키는 Y회전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시뮬레이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는 X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실린더와 Y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는 상기 시트의 저면에 연결되어 시트를 상하로 회전시키며, 상기 제2실린더는 상기 구동부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구동부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시뮬레이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시트 사이에는 Z회전축과 구동모터가 구비된 시트회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가 Z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시뮬레이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내부에는 게임 상의 작용에 따른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모듈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시뮬레이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는 안전벨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시뮬레이터.
KR20130036065A 2013-04-02 2013-04-02 게임시뮬레이터 KR101487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6065A KR101487984B1 (ko) 2013-04-02 2013-04-02 게임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6065A KR101487984B1 (ko) 2013-04-02 2013-04-02 게임시뮬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434A true KR20140120434A (ko) 2014-10-14
KR101487984B1 KR101487984B1 (ko) 2015-02-09

Family

ID=51992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6065A KR101487984B1 (ko) 2013-04-02 2013-04-02 게임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9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708A (ko) * 2019-03-11 2020-09-21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417Y1 (ko) * 2017-12-29 2018-09-13 (주)디모 4축 제어에 기반한 지진 체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790Y1 (ko) * 2005-05-04 2005-09-07 신동호 3차원 체감용 시뮬레이터
KR100982214B1 (ko) * 2010-02-18 2010-09-14 조현호 입체구동방식 체감형 게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708A (ko) * 2019-03-11 2020-09-21 아주자동차대학 산학협력단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984B1 (ko) 201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6485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US20160209653A1 (en) Large projection screen image device with seesaw structure for virtual reality
JP4726768B2 (ja) 遊戯装置
JP3223318U (ja) 振動フィットネス器具
KR101487984B1 (ko) 게임시뮬레이터
CN101543674B (zh) 冲浪式平衡训练系统
US6256397B1 (en) Body-sensible swinging and vibrating apparatus
KR20130035967A (ko) 가상현실 체감용 의자의 지지구조
KR101943643B1 (ko) 가상현실 걷기체험장치
JP2004521706A (ja) モーションシミュレーションパッド
KR20180093765A (ko) 왕복 진동형 운동장치
KR102187541B1 (ko) 다중체험이 가능한 가상현실 인터랙션 모듈시스템
CN101856550B (zh) 具主被动功能的平衡训练机
KR20180047466A (ko) 모터사이클 시뮬레이션 게임시스템
EP3804826A1 (en) Virtual simulation device
JP2002169459A (ja) 免震構造体験装置
KR102022723B1 (ko) 가상 시뮬레이션 장치
KR20180002530U (ko) 왕복 진동형 운동장치
KR102552652B1 (ko) 가상현실 체험용 의자
CN116710179A (zh) 具有可移动支撑元件的跑步机组件
KR102024693B1 (ko) 가상 시뮬레이션 장치
TWI796669B (zh) 搖擺裝置
JP2020174903A (ja) 身体運動用振動機
CN204050936U (zh) 振动旋转控制器
JP2007047419A (ja) 起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