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040A - 배기식 방폭형 챔버 - Google Patents

배기식 방폭형 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040A
KR20140120040A KR1020130035556A KR20130035556A KR20140120040A KR 20140120040 A KR20140120040 A KR 20140120040A KR 1020130035556 A KR1020130035556 A KR 1020130035556A KR 20130035556 A KR20130035556 A KR 20130035556A KR 20140120040 A KR20140120040 A KR 20140120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ressure
thickness
explosion
ru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453B1 (ko
Inventor
김봉석
이준근
최은정
박설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5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453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Landscapes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식 방폭형 챔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배기식 방폭형 챔버는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어 접지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 및 커버의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소정치 이상의 내부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을 배기하도록 파열되는 파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기식 방폭형 챔버 {Explosion-proof and exhaust type chamber }
본 발명은 배기식 방폭형 챔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성 및 조립성이 향상되며 유지보수가 필요없는 반영구적 방폭형 챔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폭형 챔버는 높은 내부식성과 함께 수밀/기밀 성능이 우수한 일체형 타입으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실내 및 실외에 설치되는 케이블들은 접지를 필요로 하며, 케이블이 연결되어 접지되는 장치는 소위 '링크박스(link box)'라 하여 배기식 방폭형 챔버에 해당한다. 그런데, 케이블을 비롯한 전기장치는 예기치 않은 요인으로 인해 내부 압력이 상승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배기식 방폭형 챔버는 예기치 않은 요인으로 챔버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소정 압력까지는 밀폐구조로 압력을 견디도록 설계되며, 내부 압력이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내부 압력을 배기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배기식 방폭형 챔버는 내부 압력이 예기치 않은 요인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내부의 높은 압력으로 인해 주변 장치에 2차 피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배기식 방폭형 챔버는 소정의 밀폐구조를 가지면서도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압력을 배기할 수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한다.
종래 배기식 방폭형 챔버는 소정치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내부의 압력을 배기할 수 있도록 스프링타입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스프링타입은 배기식 방폭형 챔버의 개구부를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에 체결되는 도어 등으로 폐쇄하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을 초과하는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압력을 배기하는 구조를 채용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스프링타입은 스프링의 탄성계수에 의해 압력을 배기하는 시점이 결정되므로 상기 스프링의 탄성계수를 일정하게 조절해야 하며, 다수의 스프링에 의해 밀폐를 하게 되므로 시공효율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오랜 기간이 지나는 경우에 스프링의 노후에 따른 유지보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시공성 및 조립성이 향상된 배기식 방폭형 챔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일단 설치 후에는 추가적인 유지보수가 필요없는 구성을 가지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어 접지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 및 커버의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소정치 이상의 내부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을 배기하도록 파열되는 파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의 측벽 및 베이스 중에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열부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파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 및 외벽 중에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파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노치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치는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둘 이상의 노치는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열부는 오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둘 이상의 노치는 상기 오목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열부의 두께는 상기 하우징의 두께의 1/2 이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파열부의 두께는 상기 하우징의 두께의 1/4 이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치의 깊이는 상기 파열부의 두께의 절반 이상이고 상기 파열부의 두께 미만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치의 깊이는 상기 파열부의 두께의 2/3 이상이고 상기 파열부의 두께 미만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열부가 파열되는 파열압력은 상기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가 20 kA 내지 60 kA 인 경우에 상기 파열압력은 4 내지 5 bar에 해당하며, 상기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가 60 kA 내지 100 kA 인 경우에 상기 파열압력은 10 내지 11 bar에 해당하며, 상기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가 100 kA 내지 140 kA 인 경우에 상기 파열압력은 19 내지 20 bar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 시에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의 내부를 밀폐하여 외부환경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며,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소정치에 이르게 되면 상기 파열부의 파열에 의해 내부 압력을 배기하여 2차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기식 방폭형 챔버에서 파열부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를 이루는 하우징 또는 커버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배기식 방폭형 챔버를 조립하는 경우에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파열부는 하우징 또는 커버에 함께 구비되어 제공됨으로써 추후 유지보수를 위한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상기 파열부는 정기적으로 유지보수가 필요한 일반 상용 파열판과 달리 하우징에 직접 가공하거나 용접으로 부착되는 일체형 파열부로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방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일체형 파열부는 어떠한 설치 외부환경에도 안전한 내부식성을 가지고 있어 챔버의 필수 기능인 수밀/기밀특성이 보장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식 방폭형 챔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배기식 방폭형 챔버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상기 배기식 방폭형 챔버의 파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파열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른 파열부의 파열압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식 방폭형 챔버(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및 실외에 설치되는 케이블들은 접지를 필요로 하며, 케이블이 연결되어 접지되는 장치가 배기식 방폭형 챔버(100)에 해당한다. 그런데, 케이블을 비롯한 전기장치는 예기치 않은 요인으로 인해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압력을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 소정의 밀폐수단을 필요로 하게 되며, 상기 배기식 방폭형 챔버(100)가 이러한 역할을 하게 된다. 배기식 방폭형 챔버(100)는 내부 압력이 예기치 않은 요인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내부의 높은 압력으로 인해 주변 장치에 2차 피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배기식 방폭형 챔버는 소정의 밀폐구조를 가지면서도 소정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압력을 배기할 수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한다.
종래 배기식 방폭형 챔버는 소정치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내부의 압력을 배기할 수 있도록 스프링타입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스프링타입은 배기식 방폭형 챔버의 개구부를 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에 체결되는 도어 등으로 폐쇄하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을 초과하는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압력을 배기하는 구조를 채용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스프링타입은 스프링의 탄성계수에 의해 압력을 배기하는 시점이 결정되므로 상기 스프링의 탄성계수를 일정하게 조절해야 하며, 다수의 스프링에 의해 밀폐를 하게 되므로 시공효율이 매우 떨어지게 되며, 오랜 기간이 지나는 경우에 스프링의 노후에 따른 유지보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스프링타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배기식 방폭형 챔버의 구조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식 방폭형 챔버(100)는 복수의 케이블(12, 14, 16)이 연결되어 접지되는 소정의 공간(120, 도 2 참조)을 제공하며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130), 상기 하우징(110)과 커버(130) 중에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소정치 이상의 내부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을 배기하도록 파열되는 파열부(200, 도 3 참조)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배기식 방폭형 챔버(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상부가 개구된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는 커버(130)에 의해 개폐된다. 하우징(110)의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136, 도 2 참조) 및 플랜지(136)에 구비된 관통홀(134)을 구비하고 다수의 볼트(132)에 의해 커버(130)가 하우징(110)의 상부에 연결된다. 한편, 커버(130)에는 손잡이(134)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배기식 방폭형 챔버(1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110)의 일측면을 통해서는 복수의 케이블(12, 14, 16)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각 케이블(12, 14, 16)을 접지시키는 접지라인(20)이 하우징(110)에서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케이블(12, 14, 16)은 예를 들어, 삼상전원 케이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커버(130)를 제거하여 하우징(11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110)과 절연되도록 구성된 제1 터미널블록(30A, 30B, 30C)과 제2 터미널블록(40A, 40B, 40C)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12, 14, 16)의 접지단자는 제1 링크부(50A, 50B, 50C)에 의해 제1 터미널블록(30A, 30B, 30C)과 제2 터미널블록(40A, 40B, 40C)에 엇갈리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2 터미널블록(40A, 40B, 40C)은 제2 링크부(80A, 80B, 80C)에 의해 어레스터(60)에 연결되며, 상기 어레스터(60)는 어레스터판(62)과 연결된다. 상기 어레스터판(62)의 일측에는 접지단지지대(70)가 연결되고, 접지단지지대(70)는 접지라인(20)과 연결되어 케이블(12, 14, 16)을 접지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배기식 방폭형 챔버(100)는 소위 '크로스 본딩(cross bonding)'에 의한 접지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제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배기식 방폭형 챔버(100)의 내부 압력이 소정치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고압에 의해 내부의 각종 구성요소가 손상을 받을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치 이상의 압력(이하, '파열압력'이라고 함)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을 배기하도록 파열되는 파열부(200, 도 3 참조)를 구비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식 방폭형 챔버(100)는 평상 시에는 내부 구성요소를 밀폐하도록 구성되며, 내부 압력이 상기 파열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만 내부 압력을 배기하도록 파열되는 파열부를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평상 시에는 밀폐구조를 유지하여 온도 및/또는 습도와 같은 외부환경에 의해 내부 구성요소가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열부는 하우징 및 커버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파열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파열되는 구조를 채택하여 밀폐를 위한 별도의 공정 또는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아 조립이 편리하여 추후 유지보수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파열부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파열부(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파열부(200)는 전술한 하우징(110) 및 커버(130) 중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파열부(200)가 하우징(110)의 일측에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파열부(200)가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경우에 하우징(110)의 측벽과 베이스 중에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배기식 방폭형 챔버(100)의 내부에서 작용하는 압력 방향, 2차 피해의 최소화 및 챔버 구조 내의 전파 경로 특성을 고려할 때 상기 파열부(200)는 하우징(110)의 측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하우징(110)의 양측벽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열부(200)는 하우징(110)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열부(200)는 하우징(110)의 일부를 직접 가공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하우징(11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되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열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치(210, 220)를 구비할 수 있다. 노치(210, 220)는 하우징(110)의 측벽을 소정의 깊이로 'V'자 형태로 컷팅(cutttin) 하여 형성된다. 즉, 노치(210, 220)는 하우징(110)의 측벽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하여 파열압력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노치(210, 220) 영역이 파열되도록 하여 내부 압력을 배기하게 된다.
전술한 노치를 두 개 구비하는 경우, 상기 노치(210, 2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치(210)와 제2 노치(2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노치(210)와 제2 노치(220)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노치(210)와 제2 노치(220)가 서로 교차하는 영역에서는 보다 낮은 압력에서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의 요구, 제조사의 규격 등에 따라 파열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열부(200)는 오목부(23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둘 이상의 노치(210, 220)는 상기 오목부(230)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노치(210, 220)는 하우징(110)의 측벽에 직접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하우징(110)은 소정의 내부 압력을 견디도록 구성되어야 하므로 견고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의 측벽 등에 직접 노치(210, 220)를 구비하게 되면 두꺼운 하우징(110)의 측벽 두께로 인해 파열이 발생하는 압력에 도달하여도 파열이 되지 않아 내부 압력이 배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파열부(200)를 구비하는 경우에 먼저 소정 깊이로 오목부(230)를 먼저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230)에 노치(210, 220)를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오목부(230)에 의해 1차적으로 하우징(110)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노치(210, 220)에 의해 2차적으로 하우징(110)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요구되는 파열압력에 도달하는 경우에 파열부(200)가 용이하게 파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목부(230)가 형성된 영역의 두께(T)는 대략 1mm 내지 2mm 정도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식 방폭형 챔버(100)는 내부압력이 요구되는 파열압력에 도달하는 경우에 파열부(200)가 파열되어 내부 압력이 배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열압력은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파열압력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살펴본다. 따라서, 상기 파열압력에 도달하는 경우에 파열부(200)가 파열되도록 하는 구조를 필요로 하게 되며, 상기 파열부(200)의 파열을 결정하는 주된 인자로는 노치(210, 200)의 깊이 및 노치(210, 220)의 개수를 들 수 있다. 노치(210, 220)의 깊이가 얇을수록 파열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노치(210, 220)의 깊이가 깊을수록 파열압력이 낮아지게 될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자의 실험에 따르면, 내부 압력이 상기 파열압력에 도달하는 경우에 파열부(200)가 용이하게 파열되기 위해서 파열부(200)의 두께(t1)는 하우징(110) 측벽의 두께(T)의 1/2 이하로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파열부(200)의 두께(t1)는 하우징(110) 측벽의 두께(T)의 1/4 이하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열부(200)는 두께(t1)는 하우징(110) 내부의 압력을 어느 정도 견디도록 구성되어야 하므로 대략 1 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치(210, 220)의 깊이(t2)는 파열부(200)의 측벽의 두께(t1)의 절반 이상 및 파열부(200)의 측벽의 두께(t1) 미만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노치(210, 220)의 깊이(t2)는 파열부(200)의 측벽의 두께(t1)의 2/3 이상이고 상기 파열부(200)의 측벽의 두께(t1) 미만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노치(210, 220)의 깊이(t2)가 적어도 파열부(200)의 측벽의 두께(t1)의 절반 이상이 되어야 파열압력에 도달하는 경우에 파열이 즉각적으로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노치(210, 220)의 깊이(t2)가 파열부(200)의 측벽의 두께(t1)의 절반 이상에 해당한다는 것은 노치(210, 220)의 깊이(t2)와 노치를 제외한 파열부(200)의 측벽의 두께(t1-t2)의 비가 1:1 이상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노치(210, 220)의 깊이(t2)가 파열부(200)의 측벽의 두께(t1)의 2/3 이상에 해당한다는 것은 노치(210, 220)의 깊이(t2)와 노치를 제외한 파열부(200)의 측벽의 두께(t1-t2)의 비가 2:1 이상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파열부(20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벽 및 외벽 중에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외벽에도 파열부의 구성이 가능하지만, 노치를 구비하는 경우에 부식 등의 우려가 있으므로 파열부는 하우징(110)의 내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파열부에서 노치의 개수, 노치의 배치 및 오목부의 형상은 전술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다양한 형태의 오목부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오목부(300)를 구비하거나,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 형태의 오목부(40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각 오목부(300, 4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노치(310, 320)(410, 420)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노치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구성은 전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오목부의 형태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원형, 직사각형, 마름모를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6은 서로 교차하는 셋 이상의 노치, 구체적으로 네 개의 노치(510, 520, 530, 540)를 구비한 파열부(500)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는 둘 이상, 네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노치(510, 520, 530, 540)는 서로 교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구되는 파열압력에 따라 넷 이상의 노치를 구비하는 경우도 물론 가능하다.
도 7은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른 파열부의 파열압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에서 가로축은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kA)를 도시하며, 세로축은 상기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배기식 방폭형 챔버 내부의 압력분포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가 20 kA 이하인 경우('A' 영역),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가 20 kA 이상 및 60kA 이하인 경우('B' 영역),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가 60 kA 이상 및 100kA 이하인 경우('C' 영역) 및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가 100 kA 이상 및 140kA 이하인 경우('D' 영역)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A' 영역을 살펴보면 배기식 방폭형 챔버 내부의 압력은 대략 4 bar 이하의 압력분포를 나타내며, 상대적으로 후술하는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압력분포를 나타내므로 별도의 방폭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편,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가 20 kA 이상인 경우('B','C','D' 영역)에 배기식 방폭형 챔버 내부의 압력분포는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승하게 된다. 상기 'B' 영역에서 배기식 방폭형 챔버 내부의 압력은 대략 4 내지 11 bar 정도에 해당하며, 상기 'C' 영역에서 배기식 방폭형 챔버 내부의 압력은 대략 11 내지 20 bar 정도에 해당하며, 상기 'D' 영역에서 배기식 방폭형 챔버 내부의 압력은 대략 20 내지 30 bar 정도에 해당한다. 상기 'B' 영역, 'C' 영역 및 'D' 영역에서는 전술한 'A' 영역에 비해 압력분포가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방폭구조를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배기식 방폭형 챔버를 구성하는 경우에 완전 밀폐구조를 채용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높은 내부 압력으로 인해 하우징의 두께가 현저히 증가하며, 이에 따라 결합구조도 복잡해져서 시공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현저히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배기식 방폭형 챔버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B' 영역, 'C' 영역 및 'D' 영역, 즉 케이블에 20 kA 내지 140 kA 이하의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열부를 구비한 배기식 방폭형 챔버를 적용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B' 영역(케이블에 20 kA 내지 60 kA 이하의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파열부의 파열압력이 대략 4 내지 5 bar 정도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C' 영역(케이블에 60 kA 내지 100 kA 이하의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파열부의 파열압력이 대략 10 내지 11 bar 정도로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D' 영역(케이블에 100 kA 내지 140 kA 이하의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파열부의 파열압력이 대략 19 내지 20 bar 정도로 결정된다. 결국,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가 커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파열부의 파열압력도 증가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배기식 방폭형 챔버 110...하우징
130...커버 200...파열부
210, 220...노치 230...오목부

Claims (13)

  1.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어 접지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 및 커버의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소정치 이상의 내부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을 배기하도록 파열되는 파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 및 베이스 중에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 및 외벽 중에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노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둘 이상의 노치는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부는 오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노치는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부의 두께는 상기 하우징의 두께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부의 두께는 상기 하우징의 두께의 1/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깊이는 상기 파열부의 두께의 절반 이상이고 상기 파열부의 두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의 깊이는 상기 파열부의 두께의 2/3 이상이고 상기 파열부의 두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부가 파열되는 파열압력은 상기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가 20 kA 내지 60 kA 인 경우에 상기 파열압력은 4 내지 5 bar에 해당하며, 상기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가 60 kA 내지 100 kA 인 경우에 상기 파열압력은 10 내지 11 bar에 해당하며, 상기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류가 100 kA 내지 140 kA 인 경우에 상기 파열압력은 19 내지 20 bar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방폭형 챔버.
KR1020130035556A 2013-04-02 2013-04-02 배기식 방폭형 챔버 KR10205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556A KR102055453B1 (ko) 2013-04-02 2013-04-02 배기식 방폭형 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556A KR102055453B1 (ko) 2013-04-02 2013-04-02 배기식 방폭형 챔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040A true KR20140120040A (ko) 2014-10-13
KR102055453B1 KR102055453B1 (ko) 2019-12-12

Family

ID=51992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556A KR102055453B1 (ko) 2013-04-02 2013-04-02 배기식 방폭형 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327A (ko) * 2021-01-27 2022-08-03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641Y1 (ko) * 2002-09-03 2002-11-29 동아전기 주식회사 저손실형 패드 변압기
KR20110055085A (ko) * 2009-11-19 2011-05-25 (주)송원그룹 발효가스 배출조절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마개
KR20140055591A (ko) * 2012-10-31 2014-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방폭형 케이블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641Y1 (ko) * 2002-09-03 2002-11-29 동아전기 주식회사 저손실형 패드 변압기
KR20110055085A (ko) * 2009-11-19 2011-05-25 (주)송원그룹 발효가스 배출조절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마개
KR20140055591A (ko) * 2012-10-31 2014-05-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방폭형 케이블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327A (ko) * 2021-01-27 2022-08-03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453B1 (ko)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3990B1 (ja) ガス絶縁開閉装置
US4245010A (en) Explosion protection for storage batteries
RU2394298C2 (ru) Дугогасительная камера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имеющая вытяжной канал для дугового газа
ES2433390T3 (es) Dispositivo de limitación de la sobrepresión en el interior de un compartimento perteneciente a un aparato eléctrico
US4235347A (en) Air-tight molded resin enclosure with a safety membrane for electric devices
US4001651A (en) Station lightning arrester with dual rupture diaphragms for gas pressure release
JP6018143B2 (ja) 配線用遮断器
KR20140120040A (ko) 배기식 방폭형 챔버
KR200475876Y1 (ko) 주상변압기용 밀폐장치
JPH08321244A (ja) 回路遮断器のアークガス排出装置
KR20160027659A (ko) 방폭용 종단접속함
RU2580101C1 (ru) Корпус генератора импульсных напряжений
KR20170051037A (ko)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한 밀폐형 납축전지
TW201437667A (zh) 內建至外殼設計之封閉壓力釋放機構
JPH09275609A (ja) ガス封入容器の放圧ダクト
KR102164799B1 (ko) 다단 배전반의 열 배출 및 방진 시스템
KR200487300Y1 (ko) 과부하 차단기의 작동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휴대용 과부하 테스터
EP3575599A1 (en) Cooling compressor comprising protection arrangement for electrical connections
HU222705B1 (hu) Terheléskapcsoló
JP2017063581A (ja) スイッチギヤ及びスイッチギヤのガス封入方法
WO2020208737A1 (ja) 放圧装置及びガス絶縁開閉装置
JP5277796B2 (ja) ハーネス接続用コネクタ
KR102474485B1 (ko) 압력 해제 장치 및 압력 해제 장치 작동 방법
KR200345668Y1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소호부 구조
JP6818943B1 (ja) スイッチギ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