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659A - 방폭용 종단접속함 - Google Patents

방폭용 종단접속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659A
KR20160027659A KR1020140115980A KR20140115980A KR20160027659A KR 20160027659 A KR20160027659 A KR 20160027659A KR 1020140115980 A KR1020140115980 A KR 1020140115980A KR 20140115980 A KR20140115980 A KR 20140115980A KR 20160027659 A KR20160027659 A KR 20160027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pressure
discharge means
hole
referenc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959B1 (ko
Inventor
김봉석
이준근
오동윤
전종석
박설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5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9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64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폭용 종단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폭용 종단접속함은 도체인출봉이 관통하여 소정거리 노출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내측에 연결된 상부금구플레이트, 상부에 지지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도체인출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애관, 상기 애관의 내부압력이 제1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애관의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애관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배출수단, 상기 애관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어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스트레스콘, 상기 애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하부금구 및 상기 하부금구를 지지하는 지지애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폭용 종단접속함 {Explosion proof type termination connection box}
본 발명은 방폭용 종단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블의 종단접속함의 내부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종단접속함 내부의 압력을 신속히 배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종단접속함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종단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은 전력을 공급하는 도체를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절연하고, 지중 또는 지상을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되는 전선이다. 이러한 전력케이블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중간접속함(Joint)과 종단접속함(Termination)을 구비할 수 있다. 종단접속함은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 단부가 연결되는 상태에 따라 기중 종단접속함, 가스중(Gas) 종단접속함 및 유중(Oil) 종단접속함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단접속함은 주로 자기 애관과 고분자 애관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자기 애관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고분자 애관의 사용비중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상기 고분자 애관은 자기 애관에 비해 발수성 및 내오손성이 우수하며, 나아가 소형화 및 저중량화로 인한 수송/조립/유지/보수의 용이성을 갖는다. 또한, 고분자 애관은 외부충격에 강하며, 특히 재료 특성상 기존의 자기 애관에 비해 방폭성능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최근에는 전력케이블을 통한 전력 용량이 급속히 증대되어 비정상적인 동작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폭발압력이 현저히 커져 단순히 종단접속함의 재료 특성에 기인한 방폭성능 만으로는 폭발 시 안전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한 내부 압력의 급격한 상승 시에 신속히 압력을 배출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단접속함의 애관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하여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애관의 내부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기 전에 상기 내부압력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종단접속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단접속함 상부의 상부커버의 내부압력이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하여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기 전에 상기 내부 압력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종단접속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도체인출봉이 관통하여 소정거리 노출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내측에 연결된 상부금구플레이트, 상부에 지지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도체인출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애관, 상기 애관의 내부압력이 제1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애관의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애관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배출수단, 상기 애관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어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스트레스콘, 상기 애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하부금구 및 상기 하부금구를 지지하는 지지애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배출수단은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가 상기 애관 내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애관의 내부압력이 제1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제1 탄성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 탄성지지부는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향해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에 가하는 탄성력은 상기 애관의 내부압력의 제1 기준압력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와 상부금구플레이트 사이의 내부압력이 제2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상부커버와 상부금구플레이트 사이의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추가배출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상부커버를 향해 연장 형성된 결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추가배출수단은 상기 결합부에 대해 상기 상부커버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상부커버와 상부금구플레이트 사이의 내부압력이 제2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와 맞닿은 상기 상부커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부와 이격되어 상기 상부커버와 상부금구플레이트 사이의 내부압력을 배출시키는 제2 탄성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탄성지지부는 상기 상부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를 향해 상기 상부커버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가배출수단은 상기 상부커버에 구비되어 노치에 의해 서로 구획된 복수의 구획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구획부는 비산방지를 위해 고정수단에 의해 적어도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애관의 내부압력이 제3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애관의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애관의 하부에 하부배출수단을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기준압력은 상기 상부배출수단의 제1 기준압력과, 상기 추가배출수단의 제2 기준압력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배출수단은 상기 하부금구의 절연유를 주입하는 절연유주입구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배출수단은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된 둘 이상의 노치를 구비되고, 상기 둘 이상의 노치는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배출수단은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된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밀폐부 및 상기 밀폐부를 지지하며 상기 내부압력이 상기 제3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밀폐부가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변형되는 지지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배출수단은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된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밀폐부 및 상기 밀폐부가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밀폐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내부압력이 상기 제3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밀폐부가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하는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종단접속함의 애관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하여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 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기 전에 상기 내부 압력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단접속함 상부의 상부커버의 내부압력이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하여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 압력이 소정의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기 전에 상기 내부 압력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용 종단접속함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배출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배출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배출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배출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단접속함의 하부를 바라본 하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배출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배출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배출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상부 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은 도체인출봉(19)이 관통하여 소정거리 노출되도록 구비된 상부커버(20), 상기 상부커버(20)의 내측에 연결된 상부금구플레이트(24), 상부에 지지부(22)를 구비하고, 내부에 도체인출봉(19)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10)이 수용되는 애관(30), 상기 애관(30)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10)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어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스트레스콘(60), 상기 애관(30)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블(10)이 관통하는 하부금구(40) 및 상기 하부금구(40)를 지지하는 지지애자(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상부는 도체인출봉(19)이 소정길이로 노출되며, 상기 도체인출봉(19)은 상부커버(20)를 관통하여 상기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도체인출봉(19)은 상기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내측에서 케이블(10)의 도체(14)와 융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체인출봉(19)은 상부커버(20)로 삽입되고 상부금구플레이트(24)를 통해 케이블(10)의 도체(14)와 연결된다.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와 연결되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2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는 상기 애관(30)의 상부에 구비된 지지부(2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는 상기 지지부(22)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와 지지부(22)의 연결관계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살펴본다.
한편, 상기 지지부(22)의 하부로는 애관(30)이 구비된다. 상기 애관(30)은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외벽을 형성한다. 상기 애관(30)의 내측에는 절연유(32)가 충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절연유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관(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케이블(10)이 위치한다.
상기 애관(30)은 자기 애관 또는 고분자 애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애관에 비해 발수성 및 내오손성이 우수하며, 나아가 소형화 및 저중량화로 인한 수송/조립/유지/보수의 용이성을 가지며 외부충격에 강하고, 특히 재료 특성상 기존의 자기 애관에 비해 방폭성능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는 고분자 애관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애관(30)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10)이 소정 길이로 삽입되어 관통된다. 애관(30)은 케이블을 절연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애관(30)은 외부 표면적의 넓이를 늘려 절연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표면을 따라 다수개의 스커트부(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애관(30)의 하부는 하부금구(4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하부금구(40)는 복수개의 지지애자(50)에 의해 다시 지지된다.
이 경우, 케이블(10)은 상기 하부금구(40)를 관통하여 상기 애관(30)의 내부로 삽입된다. 케이블(10)은 애관(3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애관(30)의 내부에서 외부반도전층(16)이 제거되어 절연층(12)이 노출되며, 단부에서 도체(14)가 노출되어 도체인출봉(19)과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 외부반도전층(16)이 제거된 단부는 상기 외부반도전층(16)과, 절연층(12) 및 절연유(32)(절연유를 구비하는 경우)가 만나는 소위 '3중점'에 해당하여, 도체(14)의 전계가 집중될 수 있어서 취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10)의 절연층(12)의 외주를 따라 스트레스콘(60)을 구비하여 국부적인 전계집중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10)이 방폭용 종단접속함(80)에 연결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반도전층(16)과, 절연층(12) 및 절연유(32)(절연유를 구비하는 경우)가 만나는 '3중점' 영역이 취약지점이 될 수 있으며, 케이블(10)의 비정상적인 구동 시에 상기 3중점 영역을 시발점으로 하여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내부 압력이 비정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상부커버(20), 애관(30) 및 하부금구(40)는 소정의 압력을 지탱하도록 설계되지만,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내부 압력이 비정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내부 압력을 버티지 못하고 파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블(10)의 3중점 영역을 시발점으로 하여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3중점에서 상기 애관(30)의 내벽을 향해 압력파가 진행함에 따라 내부 압력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3중점에서 시발된 압력파가 상기 애관(30)의 내벽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애관(30) 내벽에 작용하는 압력은 상기 3중점의 최초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된다. 이와 같이 높은 압력이 상기 애관(30)의 내벽에 작용하게 되면 애관(30)의 파손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애관(30)의 파손에 따라 파편 등이 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은 상기 상부커버(20), 애관(30) 및 하부금구(40)로 형성되는 종단접속함(80) 내부공간의 내부압력이 소정의 제1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애관(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배출수단(40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배출수단(400)의 구조가 상세히 도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배출수단(400)은 상기 애관(30)의 내부압력이 제1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애관(30)의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애관(30)의 상부에 구비된다. 즉, 상기 종단접속함의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하여 상기 애관(30) 내부의 정상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애관(30) 내부의 압력을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배출수단(400)은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가 상기 애관(30) 내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지지부(22)에 대해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애관(30)의 내부압력이 제1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를 상기 지지부(22)에 대해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제1 탄성지지부(410)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1 탄성지지부(410)는 상기 애관(30)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1 기준압력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가 상기 지지부(22)에 밀착하여 상기 애관(30) 내부를 밀폐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한편, 상기 애관(30)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1 기준압력에 도달하는 경우에 상기 애관(30) 내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이 상기 제1 탄성지지부(410)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가 상기 지지지부(2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의 이동에 의해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와 상기 지지부(22)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공간을 통해 상기 애관(30) 내부의 압력이 배출된다.
전술한 동작을 위하여 상기 제1 탄성지지부(410)는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22)에 연결되는 복수의 체결부재(420)와, 상기 체결부재(420)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22)를 향해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430)를 구비할 수 있다.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420)에 의해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와 지지부(22)를 연결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커버(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가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상부커버(2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420)의 나사산(422)은 상기 지지부(22)에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부재(420)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는 상기 체결부재(420)의 나사산이 없는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애관(3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는 상기 체결부재(42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420)를 따라 스프링, 고무 등과 같은 탄성부재(430)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430)는 소정의 탄성력으로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를 상기 지지부(22)를 향해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430)가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에 가하는 탄성력은 상기 애관(30)의 내부압력의 제1 기준압력에 대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준압력이 정해지는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430)의 강성과 체결부재(420)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부재(430)의 압축량을 조절하여 탄성력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430)는 상기 애관(30)의 제1 기준압력에 대응하는 탄성력으로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를 가압하며, 상기 애관(30)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1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애관(30)의 내부 압력이 상기 탄성부재(430)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되어 상기 탄성부재(430)가 변형되며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가 이동하여 상기 애관(30) 내부의 압력을 배출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상부배출수단은 상기 애관(30)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애관(30) 내부의 압력을 배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애관(30)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커버(20)의 내부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 상기 상부커버(20)와 상부금구플레이트(24)로 형성된 내부 공간은 상기 도체인출봉(19)이 지나가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체인출봉(19)이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를 관통하는 관통공은 밀폐되도록 구성되지만, 상기 밀폐구조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 상기 애관(30) 내부의 압력이 상기 결함 등을 통해 상기 상부커버(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상부커버(20)의 내부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커버(20)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부커버(20)의 내부압력을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하, 상기 상부커버(20)와 상부금구플레이트(24)로 형성된 내부 공간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이를 배출하기 위한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부커버(20)와 상부금구플레이트(24)로 형성된 내부 공간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이를 배출하기 위한 추가배출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추가배출수단(500)은 상기 상부커버(20)와 상부금구플레이트(24) 사이의 내부압력이 제2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상부커버(20)와 상부금구플레이트(24) 사이의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상부커버(20)를 향해 연장 형성된 결합부(25)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추가배출수단(500)은 상기 결합부(25)에 대해 상기 상부커버(20)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상부커버(20)와 상부금구플레이트(24) 사이의 내부압력이 제2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25)와 맞닿은 상기 상부커버(2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부(25)와 이격되어 상기 상부커버(20)와 상부금구플레이트(24) 사이의 내부압력을 배출시키는 제2 탄성지지부(5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5)는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상부커버(20)를 향해 상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20)의 내측을 통해 연장 형성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상부커버(20)의 외측을 통해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결합부(25)를 감싸면서 상기 결합부(25) 및 상부금구플레이트(24)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커버(20)와 상기 결합부(25)는 제2 탄성지지부(51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2 탄성지지부(510)는 상기 상부커버(20)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25)에 연결되는 복수의 체결부재(520)와, 상기 체결부재(520)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25)를 향해 상기 상부커버(20)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530)를 구비한다. 상기 제2 탄성지지부(51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제1 탄성지지부(410)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2 탄성지지부(510)에서 상기 체결부재(520)는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의 가장자리에서 소정거리(d)만큼 이격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 체결부재(520)는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거리(d)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재(520)가 만약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의 가장자리에서 이격되지 않고 인접하여 구비된다면 상기 상부커버(20)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는 경우에도 상기 상부커버(20)가 상기 결합부(25)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기 힘들 것이다. 왜냐하면, 상기 체결부재(520)가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은 상기 체결부재(520)가 상기 상부커버(2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커버(20)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커버(20)를 상기 결합부(25)에 대해 밀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상부커버(20)의 내부 압력이 소정의 제2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상부커버(20)의 변형(즉,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상기 체결부재(520)가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24)의 가장자리에서 소정거리(d)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체결부재(520)가 상기 상부커버(20)의 하단부에서 소정거리(d)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배출수단(50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추가배출수단(500')은 상기 상부커버(20)에 구비되어 노치(21)에 의해 서로 구획된 복수의 구획부(26A ~ 26H)를 구비하고, 상기 각 구획부(26A ~ 26H)는 비산방지를 위해 고정수단에 의해 적어도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20)는 대략 반구형태, 또는 돔(dome) 형태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의 지지부(22)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커버(20)의 내벽을 따라 노치(2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노치(21)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20)의 내벽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치(21)는 상기 상부커버(20)를 복수개의 구획부(26A ~ 26H)로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치(21)가 상기 구획부(26A ~ 26H)의 경계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노치(21)는 상기 구획부(26A ~ 26H)가 상기 상부커버(20)의 내부압력에 의해 서로 분리 및 파열되어 개방되는 경우에 개방이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상부커버(20)의 경우에 상기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노치(21)를 따라 상기 상부커버(20)가 파열되어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획부(26A ~ 26H)가 파열에 의해 비산하게 되면 주변에 위치한 시설들에 대한 2차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획부(26A ~ 26H)의 비산방지를 위해 상기 구획부(26A ~ 26H)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가배출수단(500')의 개방수단이 개방되는 제2 기준압력은 상기 추가배출수단(5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의 고정압력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추가배출수단(500')의 제2 기준압력이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압력에 비해 높게 설정된다면, 상기 추가배출수단(500')이 개방되어 압력이 배출되기 이전에 상기 고정수단이 파손되어 파편의 비산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커버(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커버(20)의 관통홀(72)과 상기 관통홀(72)을 관통하는 도체인출봉(19)을 밀봉시키는 압착부(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70)는 상기 상부커버(20)의 관통홀(72)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70)는 상기 상부커버(20)의 관통홀(72)과 상기 도체인출봉(19)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도체인출봉(19)에 압착되므로, 상기 상부커버(20)의 상부를 고정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커버(20)는 상부가 상기 압착부(70)에 의해 고정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결국, 상기 상부커버(20)의 내측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상부커버(20)의 노치(21)를 따라 구획된 각 구획부(26A ~ 26H)가 이웃된 구획부와 분리되어 상기 압착부(70)를 중심으로 상부를 향해 이동하게 되어 내부 압력을 배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노치(21)가 상기 상부커버(20)의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 모두 이어지게 된다면, 상기 압착부(70)에 의해 상기 상부커버(20)를 압착하는 경우에도 상기 구획부(26A ~ 26H)가 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치(21)는 상기 상부커버(20)의 하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경우에 상기 상부커버(20)의 상단부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치(21)는 상기 상부커버(20)의 하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상부커버(20)의 상단부에 이르지 않고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상부커버(20)가 파열되는 경우에도 상기 각 구획부(26A ~ 26H)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가배출수단(500')의 제2 기준압력은 상기 구획부(26A ~ 26H)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즉 압착부(70)의 고정압력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배출수단(5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커버(20)의 노치(21)에 의해 구획되는 구획부(26A ~ 26H)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4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획부(26A ~ 26H)의 비산방지를 위해 상기 구획부(26A ~ 26H)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커버(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획부(26A ~ 26H)의 일측에 체결부(28)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28)를 관통하는 볼트(29) 및 너트(27) 등에 의해 상기 구획부(26A ~ 26H)를 지지부(22)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28)는 상기 복수개의 각 구획부(26A ~ 26H)에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8)에 의해 상기 구획부(26A ~ 26H)를 고정하게 되므로 상기 체결부(28)는 상기 각 구획부(26A ~ 26H)에 1개 이상 구비된다. 도 4에서는 상부커버(20)의 내부 도시를 위하여 상부금구플레이트(24)를 생략하였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추가배출수단(500")의 제2 기준압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부(26A ~ 26H)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의 고정압력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가배출수단(500")의 제2 기준압력은 상기 도 5에 따른 구성에서 상기 구획부(26A ~ 26H)를 고정하는 볼트(29)에 의한 체결력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종단접속함(80)에 있어서 '3중점' 영역이 취약지점이 될 수 있으며, 케이블(10)의 비정상적인 구동 시에 상기 3중점 영역을 시발점으로 하여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내부 압력이 비정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종단접속함 내부에서 상기 3중점 영역을 살펴보면 대략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결국, 상기 케이블(10)의 3중점 영역을 시발점으로 하여 방폭용 종단접속함(8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종단접속함의 하부에 위치한 애관(30)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상부배출수단과 더불어 상기 종단접속함의 하부에 하부배출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종단접속함에 있어서 취약점으로 작용하는 3중점 영역이 종단접속함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종단접속함의 하부에 하부배출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종단접속함 내부의 압력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부배출수단(400)과 상기 하부배출수단(100)은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압력을 배출시키는 기준압력이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배출수단(400)과 상기 하부배출수단(100) 중에 적어도 하나는 내부압력 배출 시에 비산방지를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배출수단(100)이 상기 종단접속함(8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하부배출수단(100)의 제3 기준압력은 상기 애관(30)의 내벽에 작용하는 압력에 비해서 작게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3중점 영역에서 압력파가 시작되는 경우에 상기 3중점 영역의 최초 압력이 기준압력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배출수단(100)의 기준압력이 상기 애관(30)의 내벽에 작용하는 압력과 유사할 경우, 상기 하부배출수단(100)에 의한 압력배출이 시작될 시기에 상기 애관(30)에도 상대적으로 고압이 작용하여 상기 애관(30)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종단접속함(8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배출수단(400)의 제1 기준압력과, 상기 추가배출수단(500)의 제2 기준압력과 상기 하부배출수단(100) 제3 기준압력은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은 종단접속함(80)의 하부를 바라본 하부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금구(40)의 개구부(44)를 통해 케이블(10)이 종단접속함(80)의 내부로 삽입된다. 한편, 종단접속함(80) 내부에 절연유가 충진되는 경우에 상기 하부금구(40)에는 종단접속함(80)의 내부로 절연유를 공급하기 위한 절연유주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종단접속함(80)의 내부에는 절연유가 충진는 경우에 상기 절연유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주입구를 필요로 하며, 상기 절연유주입구는 상기 하부금구(40)에 구비될 수 있다. 결국, 상기 하부금구(40)에는 케이블(10)이 삽입되는 개구부(44) 이외에 상기 절연유주입구가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하부배출수단(100)을 형성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개방부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추가적인 개방부는 종단접속함 내부의 밀폐구조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배출수단(100)을 애관(30)에 구비하는 것은 애관의 재질 및 스커트부(31) 등의 구조를 보아 적용하기 곤란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종단접속함(80)에서 상기 하부배출수단(100)은 상기 하부금구(40)의 상기 절연유를 주입하는 절연유주입구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배출수단(100)은 상기 케이블(10)과 상기 애관(30) 사이의 상기 하부금구(4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배출수단(100)을 상기 하부금구(40)에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케이블(10)과 애관(30)과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하부배출수단(100)이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하부배출수단(100)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배출수단(100)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배출수단(100)은 상기 하부금구(4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배출수단(100)은 상기 하부금구(40)의 구조상 케이블(10)이 관통하는 개구부(44)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종단접속함 내부의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한 압력 상승 위치를 특정할 수 없으므로, 상기 하부배출수단(100)은 상기 하부금구(40)에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종단접속함 내부의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한 압력상승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배출수단(100)은 상기 하부금구(40)에 구비된 관통홀(42), 상기 관통홀(42)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42)을 폐쇄하는 밀폐부(110) 및 상기 밀폐부(110)를 지지하며 상기 내부압력이 소정의 제2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밀폐부(110)가 상기 관통홀(42)을 개방하도록 변형되는 지지바(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금구(4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4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42)은 바람직하게 전술한 절연유주입구에 해당하지만, 상기 절연유주입구와 별개의 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홀(42)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홀(4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42)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밀폐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110)는 적절한 질량을 가진 질량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평상 시에는 상기 관통홀(42)을 폐쇄하여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밀폐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밀폐부(110)와 상기 관통홀(42) 사이에는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절연유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금구(40)의 하부에는 상기 밀폐부(1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120)는 일단이 상기 하부금구(40)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30)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밀폐부(1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120)는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이 상기 하부배출수단(100)의 제3 기준압력에 도달하기 전에는 상기 밀폐부(110)를 견고히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이 상기 하부배출수단(100)의 제3 기준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지지바(120)는 상기 밀폐부(110)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을 버티지 못하고 변형된다. 상기 지지바(120)가 변형되기 시작하는 강도가 상기 하부배출수단(100)의 제3 기준압력에 의해 작용하는 외력에 해당하는 것이다.
상기 밀폐부(110)가 종단접속함(80)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바(120)를 밀게 되면, 상기 지지바(120)는 상기 밀폐부(110)에 의해 작용하는 힘을 버티지 못하고 변형하게 된다. 상기 지지바(120)가 변형되는 경우에 상기 밀폐부(110)는 상기 지지바(120)의 고정상태를 풀고 상기 관통홀(42)의 하부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관통홀(42)이 개방되어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이 배출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배출수단(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배출수단(200)은 상기 하부금구(40)에 구비된 관통홀(42), 상기 관통홀(42)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42)을 폐쇄하는 밀폐부(210) 및 상기 밀폐부(210)가 상기 관통홀(42)을 폐쇄하도록 상기 밀폐부(2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내부압력이 소정 기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밀폐부(210)가 상기 관통홀(42)을 개방하도록 하는 제3 탄성지지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2) 및 실링부(240)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7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밀폐부(210)는 상기 관통홀(4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250)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3 탄성지지부(250)는 상기 밀폐부(210)를 향해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밀폐부(210)가 상기 관통홀(42)을 폐쇄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탄성지지부(250)는 상기 하부금구(40)에 연결되어 상기 밀폐부(210)의 연결부(212)를 관통하는 체결부재(252)와 상기 체결부재(252)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밀폐부(21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60)는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이 상기 하부배출수단(200)의 제3 기준압력에 도달하기 전에는 상기 밀폐부(210)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밀폐부(210)가 상기 관통홀(42)을 폐쇄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이 상기 하부배출수단(200)의 제3 기준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밀폐부(210)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이 상기 탄성부재(260)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어 상기 탄성부재(260)가 변형되기 시작한다. 즉, 상기 밀폐부(210)가 종단접속함(80)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260)를 밀게 되며, 상기 밀폐부(210)는 상기 탄성부재(260)의 탄성력 이상의 압력으로 상기 탄성부재(260)를 밀어 상기 관통홀(42)의 하부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관통홀(42)이 개방되어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의 압력이 배출된다.
한편,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배출수단(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배출수단(300)은 상기 하부금구(4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치(320, 3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노치(320, 330)는 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둘 이상의 노치(320, 330)는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배출수단(300)은 상기 하부금구(40)의 내측에 오목부(310)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310)의 안쪽에 노치(320, 3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노치(320, 3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노치(320, 330)가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310)에 의해 일차적으로 하부금구(40)의 두께가 얇아지며, 나아가 상기 노치에 의해 이차적으로 하부금구(40)의 두께가 추가적으로 얇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단접속함(80) 내부 압력이 상기 하부배출수단(300)의 제3 기준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노치(320, 330) 영역이 파열되면서 상기 종단접속함 내부의 압력이 배출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케이블
12..절연층
14..도체
16..외부반도전층
20..상부커버
22..지지부
24..상부금구플레이트
30..외관
40..하부금구
50..지지애자
100..하부배출수단
400..상부배출수단
500..추가배출수단

Claims (16)

  1. 도체인출봉이 관통하여 소정거리 노출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내측에 연결된 상부금구플레이트;
    상부에 지지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도체인출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용되는 애관;
    상기 애관의 내부압력이 제1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애관의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애관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배출수단;
    상기 애관 내부에서 상기 케이블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어 전계 집중을 완화시키는 스트레스콘;
    상기 애관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하부금구; 및
    상기 하부금구를 지지하는 지지애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배출수단은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가 상기 애관 내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애관의 내부압력이 제1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제1 탄성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지지부는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향해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에 가하는 탄성력은 상기 애관의 내부압력의 제1 기준압력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와 상부금구플레이트 사이의 내부압력이 제2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상부커버와 상부금구플레이트 사이의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추가배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상부커버를 향해 연장 형성된 결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추가배출수단은
    상기 결합부에 대해 상기 상부커버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며, 상기 상부커버와 상부금구플레이트 사이의 내부압력이 제2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와 맞닿은 상기 상부커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합부와 이격되어 상기 상부커버와 상부금구플레이트 사이의 내부압력을 배출시키는 제2 탄성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지지부는
    상기 상부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를 향해 상기 상부커버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부금구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배출수단은
    상기 상부커버에 구비되어 노치에 의해 서로 구획된 복수의 구획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구획부는 비산방지를 위해 고정수단에 의해 적어도 일측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11.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애관의 내부압력이 제3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애관의 내부압력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애관의 하부에 하부배출수단을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준압력은 상기 상부배출수단의 제1 기준압력과, 상기 추가배출수단의 제2 기준압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출수단은 상기 하부금구의 절연유를 주입하는 절연유주입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출수단은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된 둘 이상의 노치를 구비되고, 상기 둘 이상의 노치는 서로 교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출수단은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된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밀폐부; 및
    상기 밀폐부를 지지하며 상기 내부압력이 상기 제3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밀폐부가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변형되는 지지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출수단은
    상기 하부금구에 구비된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는 밀폐부; 및
    상기 밀폐부가 상기 관통홀을 폐쇄하도록 상기 밀폐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내부압력이 상기 제3 기준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상기 밀폐부가 상기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용 종단접속함.

KR1020140115980A 2014-09-02 2014-09-02 방폭용 종단접속함 KR102238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980A KR102238959B1 (ko) 2014-09-02 2014-09-02 방폭용 종단접속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980A KR102238959B1 (ko) 2014-09-02 2014-09-02 방폭용 종단접속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659A true KR20160027659A (ko) 2016-03-10
KR102238959B1 KR102238959B1 (ko) 2021-04-09

Family

ID=5553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980A KR102238959B1 (ko) 2014-09-02 2014-09-02 방폭용 종단접속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9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0854A (zh) * 2020-11-25 2021-03-30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10kV电缆中间接头防爆盒内爆炸应力优化方法
WO2022112728A1 (fr) * 2020-11-30 2022-06-02 Nexans Borne anti-deflagration pour terminaison exterieure a haute tension
WO2022112729A1 (fr) 2020-11-30 2022-06-02 Nexans Borne anti-deflagration pour terminaison exterieure a haute ten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329Y1 (ko) * 2001-10-25 2002-02-19 태광농자재주식회사 점적호스의 에어밸브
KR20040046856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전선 주식회사 초고압용 건식 가스중 종단 접속함
KR20120035258A (ko) * 2010-10-05 2012-04-16 대한전선 주식회사 슬립-온 타입의 케이블 단말 조인트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329Y1 (ko) * 2001-10-25 2002-02-19 태광농자재주식회사 점적호스의 에어밸브
KR20040046856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전선 주식회사 초고압용 건식 가스중 종단 접속함
KR20120035258A (ko) * 2010-10-05 2012-04-16 대한전선 주식회사 슬립-온 타입의 케이블 단말 조인트박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0854A (zh) * 2020-11-25 2021-03-30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10kV电缆中间接头防爆盒内爆炸应力优化方法
WO2022112728A1 (fr) * 2020-11-30 2022-06-02 Nexans Borne anti-deflagration pour terminaison exterieure a haute tension
WO2022112729A1 (fr) 2020-11-30 2022-06-02 Nexans Borne anti-deflagration pour terminaison exterieure a haute tension
FR3116958A1 (fr) * 2020-11-30 2022-06-03 Nexans Borne anti-deflagration pour terminaison exterieure a haute tension
FR3116957A1 (fr) * 2020-11-30 2022-06-03 Nexans Borne anti-deflagration pour terminaison exterieure a haute t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959B1 (ko)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0770B2 (en) Vacuum circuit breaker of tank type
CN207264848U (zh) 高压绝缘套管和高压设备
KR102091825B1 (ko)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20160027659A (ko) 방폭용 종단접속함
RU242220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динамической фрагментации образцов
CN104716280A (zh) 柱形锂离子电池盖板、柱形锂离子电池及生产方法
KR100668877B1 (ko) Sf6 gas 절연 주상 변압기
US10141685B2 (en) Power cable terminal
KR101214604B1 (ko) 콘덴서 안전장치
KR101513212B1 (ko) 가공용 부하개폐기의 절연구조
KR20150106608A (ko) 방폭용 종단접속함
KR101543782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CN209544041U (zh) 一种高压套管类设备机械式防爆结构
CN102163817A (zh) 气体绝缘传感器模块
KR10094527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절연 스페이서
CN209545119U (zh) 电缆终端
WO2013019118A2 (en) Moulded electrotechnical protection component
JPS6020251Y2 (ja) ガス絶縁ブツシング
KR101029294B1 (ko) 소형 고전압 발생용 변압기
CN109801764A (zh) 一种高压套管类设备机械式防爆结构
RU218802U1 (ru) Кабельный колодец
KR102667759B1 (ko) 원통형 이차전지
KR102122320B1 (ko) 전력 기기 내부 압력 센싱 장치
KR200271385Y1 (ko)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
CN113130191B (zh) 防击穿装置及其电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