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385Y1 -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 - Google Patents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385Y1
KR200271385Y1 KR2020010040147U KR20010040147U KR200271385Y1 KR 200271385 Y1 KR200271385 Y1 KR 200271385Y1 KR 2020010040147 U KR2020010040147 U KR 2020010040147U KR 20010040147 U KR20010040147 U KR 20010040147U KR 200271385 Y1 KR200271385 Y1 KR 200271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cking
transformer
conductive rod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길
Original Assignee
(주)우강산업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강산업전기 filed Critical (주)우강산업전기
Priority to KR2020010040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3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385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심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두꺼워지도록 형성된 패킹과, 이 패킹에 끼워지며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져 형성된 도전봉을 제공함으로써, 터미널 세트의 설치작업시 애자의 손상을 막을 수 있으며, 절연유의 누유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고압의 전선이 접속되는 터미널(10)과, 이 터미널(10)에 나사결합되어 변압기 내부의 단자에 고압의 전원이 인입되도록 하는 도전봉(12)과, 그 내부의 관통공(15)에 상기 도전봉(12)을 수용하여 도전봉(12)과 변압기 외함 사이를 절연시키는 애자(14)와, 그 중심부에 상기 도전봉(12)이 지나는 관통공(17)을 형성하여 터미널(10)과 애자(14) 사이를 가압밀폐하는 패킹(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10)에는 패킹(16)에 접촉되는 저면에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8)가 구비되고, 상기 애자(14)에는 패킹(16)과 접촉되는 상면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20)이 구비되며, 상기 패킹(16)은 상기 애자(14)의 안착홈(20)과 터미널(10)의 오목부(18)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그 중심부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Terminal set of transformer}
본 고안은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작업시 패킹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터미널 혹은 터미널과 애자 사이의 틈으로 절연유가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 상측에는 외부에서 인입되는 고압의 전선이 내부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시켜주는 터미널 세트가 구비된다. 도 1은 상기 터미널 세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터미널 세트는 고압의 전선이 접속되는 터미널(50)과, 이 터미널(50)에 나사결합되어 변압기 내부의 단자에 고압의 전원이 인입되도록 하는 도전봉(52)과, 이 도전봉(52)과 변압기 외함 사이를 절연시키는 애자(54)와, 상기 터미널(50)과 애자(54) 사이를 가압밀폐하여 변압기 내부의 절연유가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5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애자(54)와 패킹(56)은 그 중심부에 관통공(55,57)이 구비되어, 이 관통공(55,57)에 끼워지는 도전봉(52)이 터미널(50)과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패킹(56)이 애자(54)의 상면과 터미널(50)의 저면을 가압밀폐함으로써, 관통공(55,57)을 통하여 올라온 절연유가 변압기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패킹(54)은 얇은 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터미널(50)을 회전시키면서 도전봉(52)에 나사결합할 때, 애자(54) 상면에 가압된 패킹(56)의 저면은 정지하려고 하고, 터미널(50) 저면에 가압된 패킹(56)의 상면은 회전하려고 하면서 패킹(56)에 변형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패킹(56)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찌그러진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는 갑작스런 기온상승이나 변압기의 과부하로 절연유의 온도가 상승될 때, 절연유의 팽창압력에 의하여 패킹(56)이 파열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이로 인해 패킹(56)이 파열된 틈으로 절연유가 누유되는 문제점이 야기되며, 파손된 패킹(56)을 교체하기 위하여 전력을 차단시키고 많은 작업인원이 동원되야 하는 등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된다.
한편, 패킹(56)이 절연유의 팽창압력에 견딘다고 해도, 패킹(56)의 내주면과 도전봉(52) 사이의 갭을 통해 올라온 절연유가 여전히 터미널(50)의 저면을 가압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터미널(50)은 주물제작되면서 발생되는 기포로 인하여 그 내부 조직이 치밀하지 못므로, 팽창된 절연유가 터미널(50)의 저면을 가압하다보면 터미널(50)의 조직 틈으로 절연유가 스며들게 되고, 결국 절연유가 터미널(50) 외부로 방울방울 누유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작업시 패킹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터미널 혹은 터미널과 애자 사이의 틈으로 절연유가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터미널 12. 도전봉
14. 애자 16. 패킹
15,17. 관통공 18. 오목부
20. 안착홈
본 고안에 따르면, 고압의 전선이 접속되는 터미널(10)과, 이 터미널(10)에 나사결합되어 변압기 내부의 단자에 고압의 전원이 인입되도록 하는 도전봉(12)과, 그 내부의 관통공(15)에 상기 도전봉(12)을 수용하여 도전봉(12)과 변압기 외함 사이를 절연시키는 애자(14)와, 그 중심부에 상기 도전봉(12)이 지나는 관통공(17)을 형성하여 터미널(10)과 애자(14) 사이를 가압밀폐하는 패킹(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10)에는 패킹(16)에 접촉되는 저면에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8)가 구비되고, 상기 애자(14)에는 패킹(16)과 접촉되는 상면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20)이 구비되며, 상기 패킹(16)은 상기 애자(14)의 안착홈(20)과 터미널(10)의 오목부(18)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그 중심부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전봉(12)은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도록 테이펴져 형성되어, 이 도전봉(12)이 터미널(10)에 조여질수록 패킹(16) 중앙의 관통공(17)에 억지끼움되어, 이 도전봉(12)과 패킹(16)의 관통공(17) 사이가 밀폐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는 고압전선이 접속되는 터미널(10)과, 터미널(10)에 접속되어 고전압을 변압기 내부로 인입하는 도전봉(12)과, 이 도전봉(12)과 변압기 외함을 절연시키는 애자(14)와, 상기 터미널(10)과 애자(14)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16)으로 이루어진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터미널(10)에는 패킹(16)에 의해 가압되는 저면에 오목부(18)가 구비되고, 상기 애자(14)에는 상면에 안착홈(20)이 구비되며, 상기 패킹(16)은 터미널(10)의 오목부(18)와 애자(14)의 안착홈(20) 사이를 가압밀폐시키도록 비행접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터미널(10)은 변압기 외부에서 고압전선과 접속되며, 변압기 내부의 1차측 단자에 연결된 도전봉(12)과 결합되어 고전압이 변압기 1차측에 인가되도록 한다. 이 터미널(10)의 저면에는 상기 비행접시 형상의 패킹(16)을 완전히 가압시키기 위하여, 패킹(16)의 상부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도록, 상측방향으로 곡면을 이루는 오목부(18)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측으로 곡면을 이루는 오목부(18)로 인해, 변압기 내부에서 팽창되어 패킹(16)의 관통공(17)을 통해 올라오는 절연유는 오목부(18)의 내측면을 타고 패킹(16)의 둘레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때, 도 2의 확대도에서처럼, 오목부(18)의 둘레부와 터미널(10)의 저면 둘레부가 차단홈(22)으로 구획된다. 따라서, 오목부(18)를 타고 흘러내리는 절연유가 오목부(18)의 끝에서 하방으로 떨어지게 되며, 차단홈(22)의 공간에 절연유가 임시 저장되기도 한다. 한편, 터미널(10)의 상부, 고압 전선이 접속되는 부분에는 변압기 1차측의 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측이 돌출된 돌출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애자(14)는 중심부에 구비된 관통공(15)으로 도전봉(12)을 수용하여, 변압기 외함을 고압의 전원으로부터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애자(14)에는 상기 패킹(16)의 저면이 온전히 안착되게 하기 위하여, 패킹(16)의 저부 곡면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도록, 하측방향으로 곡면을 이루는 안착홈(20)이 구비된다. 이때, 안착홈(20)의 반경을 패킹(16)의 반경보다 소정 간격 넓게 함으로써, 상기 터미널(10)의 오목부(18)를 타고 흘러내리는 절연유가 안착홈(20)에 떨어져서, 안착홈(20)을 타고 다시 관통공(15)으로 흘러내리도록 한다.
상기 패킹(16)은 터미널(10)과 애자(14) 사이에 개재되어, 터미널(10)의 저면 오목부(18)와 애자(14)의 상면 안착홈(20) 사이를 가압밀폐시킴으로써, 절연유가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패킹(16)은 비행접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중심부가 상대적으로 두껍고, 터미널(10)의 저면과 접촉되는 부분이 곡면을 이루고 있어서, 터미널 세트를 설치하는 과정에서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패킹(16)의 관통공(17)이 도전봉(12)의 상당한 부분을 감싸게 된다. 따라서, 절연유가 도전봉(12)과 패킹(16)의 내주면 사이의 갭을 통해 상측으로 올라오면서, 터미널(10)의 저면에 이르러서는 그 팽창압력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터미널(10)의 조직으로 절연유가 스며드는 일이 없어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패킹(16)은 둘레부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들어서 터미널(10)이 도전봉(12)에 완전히 결합되고 나면, 패킹(16)이 외부로 드러나는 일이 없어진다.
도 3은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 중 확대도를 살펴보면 도전봉(12)이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도록 테이펴져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테이퍼진 도전봉(12)에 상기 패킹(16)이 끼워지면, 터미널(10)이 도전봉(12)에 조여져 패킹(16)이 도전봉(12)의 하부방향으로 억지끼움됨으로써, 패킹(16)의 내주면이 도전봉(12)의 둘레를 더욱 확실하게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갑작스런 기온의 상승이나 변압기의 과부하로 인해 절연유가 팽창되어 올라오더라도, 절연유가 터미널(10)까지 미치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패킹(16)의 내주면 역시, 도전봉(12)에 대응되도록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게 테이퍼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패킹(16)이 비행접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럭비공 형상이나 계란 형상처럼 그 중심부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이루어지는 다른 모양으로도 변형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비행접시 형상으로 이루어진 패킹을 제공하며, 이 패킹에 대응되도록 터미널의 저면에 오목부를 구비하고, 애자의 상면에 안착홈을 구비함으로써, 터미널 세트의 설치작업시 패킹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터미널 혹은 터미널과 애자 사이의 틈으로 절연유가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고압의 전선이 접속되는 터미널(10)과, 이 터미널(10)에 나사결합되어 변압기 내부의 단자에 고압의 전원이 인입되도록 하는 도전봉(12)과, 그 내부의 관통공(15)에 상기 도전봉(12)을 수용하여 도전봉(12)과 변압기 외함 사이를 절연시키는 애자(14)와, 그 중심부에 상기 도전봉(12)이 지나는 관통공(17)을 형성하여 터미널(10)과 애자(14) 사이를 가압밀폐하는 패킹(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10)에는 패킹(16)에 접촉되는 저면에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8)가 구비되고, 상기 애자(14)에는 패킹(16)과 접촉되는 상면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20)이 구비되며, 상기 패킹(16)은 상기 애자(14)의 안착홈(20)과 터미널(10)의 오목부(18)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그 중심부로 갈수록 두꺼워지도록 볼록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봉(12)은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도록 테이펴져 형성되어, 이 도전봉(12)이 터미널(10)에 조여질수록 패킹(16) 중앙의 관통공(17)에 억지끼움되어, 이 도전봉(12)과 패킹(16)의 관통공(17) 사이가 밀폐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
KR2020010040147U 2001-12-26 2001-12-26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 KR200271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147U KR200271385Y1 (ko) 2001-12-26 2001-12-26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147U KR200271385Y1 (ko) 2001-12-26 2001-12-26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385Y1 true KR200271385Y1 (ko) 2002-04-10

Family

ID=7307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147U KR200271385Y1 (ko) 2001-12-26 2001-12-26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3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507B1 (ko) * 2016-08-04 2017-01-20 남도전기공업 (주) 오조립 편심 방지와 파손방지 및 센터링 확보 구조를 갖는 부싱용 패킹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507B1 (ko) * 2016-08-04 2017-01-20 남도전기공업 (주) 오조립 편심 방지와 파손방지 및 센터링 확보 구조를 갖는 부싱용 패킹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16727B2 (ja) ブッシ組立体及びブッシを含む電気装置
US4398782A (en) Interrupter for multisection AC capacitors
KR100632247B1 (ko) 변압기용 부싱
JP2781278B2 (ja) 蓄電池の電極接続装置
US10074496B2 (en) Circuit interrupting device
US4235347A (en) Air-tight molded resin enclosure with a safety membrane for electric devices
KR200271385Y1 (ko) 변압기용 터미널 세트
US2550112A (en) Sealed terminal bushing
US4494811A (en)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with internal oil expansion chamber
US4012708A (en) Oil immersible current limiting fuse assembly
EP3379667B1 (en) Insulator for installation in a high-voltage switching system
CA1221752A (en) Current leadthrough
KR102238959B1 (ko) 방폭용 종단접속함
EP1614127B1 (en) Bushing for transformers
US3155770A (en) Entrance seal for electrical conductors extending through the wall of a pressure vessel
KR100281461B1 (ko) 리튬이온 전지의 안전 밸브장치
US2308022A (en) Insulating bushing
KR20090073792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절연 스페이서
US2310201A (en) Cable terminal
KR200267343Y1 (ko) 변압기 부싱용 패킹
KR100274937B1 (ko) 리튬 이온전지의 케이스
KR100284031B1 (ko) 리튬이온 전지의 안전캡
CN215567959U (zh) 一种自封阀芯和接头自密封结构
US2303435A (en) Electrical apparatus
RU218303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граничения перенапряж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