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327A -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327A
KR20220108327A KR1020210011196A KR20210011196A KR20220108327A KR 20220108327 A KR20220108327 A KR 20220108327A KR 1020210011196 A KR1020210011196 A KR 1020210011196A KR 20210011196 A KR20210011196 A KR 20210011196A KR 20220108327 A KR20220108327 A KR 20220108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proof
proof lamp
shape
reduc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621B1 (ko
Inventor
유민욱
서유리
이인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11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62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12Flameproof or explosion-proof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는 바 타입의 방폭등에서 발생하는 높은 폭발압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바 타입의 방폭등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의 내부공간을 2개의 구역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분리된 2개의 구역을 연통하는 다수의 세이프티 갭이 관통 형성되는 엘리먼트를 포함하여, 방폭등 내부에서 폭발 시 발생하는 폭발 화염이 상기 세이프티 갭을 통과하면서 소염되도록 구성되어 폭발압력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Explosion pressure reduction device for explosion-proof light}
본 발명은 방폭등 폭발 압력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 타입의 방폭등에서 발생하는 높은 폭발압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폭등 폭발 압력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폭등은 내부에 폭발이 발생해도 등기구가 그 폭발에 견디고, 외부 가스 환경에 폭발 전이가 없도록 하는 등기구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4138호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방폭등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종류의 방폭등 중에서 형광등, 튜브 라이트(Tube Lights), 엘이디 바(LED Bar), 리니어 라이트(Linear Lights) 등 배관처럼 기다란 형태의 방폭등은 폭굉(Detocation)의 원인으로 내부 폭발압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방폭등 설계, 제작, 인증 취득에 어려우며, 얇고 길수록 더욱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수요가 가장 많은 600mm, 1,200mm 형광등, 형광등 대체조명 제품은 위 문제로 제품 구현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반면, 폭발성 가스에 의한 화염은 좁은 틈을 지나면서 소염(Quenching)되는 특성이 있고, 이 특성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가스 취급 산업에서는 배관용 프레임 어레스트(Flame Arrester), 가스통 역화방지기 등에 기술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기술들의 소염 기능 구현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엘리먼트(Elements) 구현 방법이 있으며, 최대실험안전틈새(Maximum experimental safe gap, MESG) 구현을 위한 엘리먼트 기술로는 대형 가스관 등에 적용되는 Press & Rolling, 중소형 방폭 제품인 Multi Layer Mesh, Wire Pressing, 소형 방폭 제품인 Sinted Material 등이 있다.
이러한, 엘리먼트 기술들은 금속만을 사용한 방법으로, 불꽃 화염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방폭등에 적용 시, 빛의 투과 방해 등 조명 성능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4138호 (2018.05.29.)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폭등에서 발생하는 폭발 화염을 제거하는 것뿐만 아니라, 방폭등에서 발생하는 높은 폭발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여 광학 성능에 저해 없이 폭발압력을 낮출 수 있는 방폭등에 적합한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는 내부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바 타입의 방폭등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의 내부공간을 2개의 구역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분리된 2개의 구역을 연통하는 다수의 세이프티 갭이 관통 형성되는 엘리먼트를 포함하여, 방폭등 내부에서 폭발 시 발생하는 폭발 화염이 상기 세이프티 갭을 통과하면서 소염되도록 구성되어 폭발압력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엘리먼트는 상기 몸체 내의 내부공간의 모양에 대응하는 모양을 지니도록 밑면부와 옆면부를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옆면부는 바 타입의 방폭등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폭등의 내부공간에 억지끼움으로 삽입하여 상기 방폭등과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이프티 갭은 세모와 네모를 포함하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으로 상기 엘리먼트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이프티 갭은 상기 엘리먼트 내부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엘리먼트는 투광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는 방폭등에서 발생하는 폭발 화염이 좁은 틈을 지나면서 소염되도록 하여 폭발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에 배관 형태의 방폭등이 폭굉의 원인으로 내부 폭발압력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으로 방폭등 설계, 제작, 인증 취득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투광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조명의 광학 기능에 방해 없이 폭발압력 저감이 가능하여 방폭등의 투광부 및 기구부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광효율 개선 및 에너지 절감과 제품의 경량화 및 부품 단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가 바 타입의 방폭등 내부에 마련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내부를 구성하는 세이프티 갭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내부를 구성하는 세이프티 갭의 관통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가 바 타입의 방폭등 내부에 마련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는, 다수의 세이프티 갭(230a)이 관통 형성되는 엘리먼트(200)가 바 타입의 방폭등 몸체(100) 내의 내부공간(110)을 2개의 구역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내부공간(110)에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바 타입의 방폭등은 형광등, 튜브 라이트(Tube Lights), 엘이디 바(LED Bar), 리니어 라이트(Linear Lights) 등을 포함하는 배관처럼 기다란 형태의 방폭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폭등 몸체(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지 않으며, 사각통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폭등 몸체(100) 내의 내부공간(110) 또한, 상기 방폭등 몸체(100)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엘리먼트(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타입의 방폭등 몸체(100) 내 마련된다. 이는, 상기 방폭등 몸체 내 내부공간(110)을 2개의 구역으로 분리되도록 바 타입의 방폭등 내부에 마련된다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엘리먼트(200)는 상기 엘리먼트(200)가 설치되는 바 타입의 방폭등의 내부공간(110)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엘리먼트(200)는 내부공간(110)의 모양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엘리먼트(200)는 원기둥을 포함하는 입체도형 또는, 사각기둥, 사각뿔대를 포함하는 다면체 형상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엘리먼트(200)는 밑면부(210)와 옆면부(220)를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밑면부(210)는 서로 평행하고 합동인 두면을 의미하고, 상기 옆면부(220)는 두 밑면부와 만나는 면을 의미한다.
상기 옆면부(220)는 바 타입의 방폭등 몸체(10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폭등의 내부공간(110)에 억지끼움으로 삽입하여 상기 방폭등 몸체(100)와 끼움결합된다.
또한, 상기 엘리먼트(20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를 포함하는 투광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엘리먼트(200)가 투광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등기구의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엘리먼트(200)가 방폭등 내에 마련되더라도 플라스틱 재질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경량화가 가능하며, 기구 부품 원가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상기 엘리먼트(200)는 바 타입의 방폭등의 내부공간(110)에 마련되되, 마련되는 공간부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내부공간(110)에 기판 및 방열부 등을 포함하는 내부 구성부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구성부품들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를 들어서, 방열부(조명부)가 삽입통과될 수 있는 통과홀, 또는 기판이 삽입 또는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한 일례일뿐, 엘리먼트(200)가 상기 구성부품들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 상기 세이프티 갭(230a)은 상기 분리된 2개의 구역을 연통하도록 상기 엘리먼트(200) 일단과 타단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두 밑면부(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세이프티 갭(230a)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이프티 갭(230a)은 상기 분리된 2개의 구역을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이프티 갭(230a)은 상기 엘리먼트(200)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도 2 또는 도 3와 같이 상기 세이프티 캡(230a)이 상기 엘리먼트(200)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례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서 밑면부(110) 상부에 좌우측으로 다수개의 세이프티 갭(230a)이 형성되고, 하부 중심에 다수개의 세이프티 갭(230a)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분리된 2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 화염이 발생한 경우, 화염이 다수개의 세이프티 갭(230a)을 지나면서, 즉, 화염이 다수개의 좁은 틈을 지나면서 소염(Quenching)되는 특성에 의해 폭발압력을 낮출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내부를 구성하는 세이프티 갭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네모 형태의 세이프티 갭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b)는 동그라미 형태의 세이프티 캡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c)는 세모 형태의 세이프티 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기 세이프티 갭(230a)은 정면에서 밑면부(110)를 바라보았을 때, 네모 세이프티 갭(230a), 동그라미 세이프티 갭(230b), 세모 세이프티 갭(230c)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별 모양, 국기 모양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다양한 형상에 따라 표면적이 달라지므로, 그에 따른 소염 성능과 폭발압력 저감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내부를 구성하는 세이프티 갭의 관통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세이프티 갭(230d)은 도 3과 달리, 관통홀이 직선으로 형성되지 않고,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대각선을 비롯하여, 구불구불한 형태와 같이 직선에 비해 그 길이가 길어질 수 있는 형태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세이프티 갭(230d)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경우, 그 길이(Length)가 직선 타입에 비해 길어져, 폭발 화염이 이동하는 길이도 길어져 압력 저감 효과가 증대된다.
또한, 같은 두께의 엘리먼트(200)에 직선 형태의 관통홀과 지그재그 형태의 관통홀이 형성될 경우, 지그재그 형태의 관통홀의 길이가 직선 타입의 관통홀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같은 길이의 관통홀을 형성할 때, 지그재그 타입으로 형성하면 엘리먼트(20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바 타입의 방폭등 몸체
200: 엘리먼트
210: 밑면부
220: 옆면부
230a, 230b, 230c, 230d: 세이프티 갭

Claims (5)

  1. 내부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바 타입의 방폭등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의 내부공간을 2개의 구역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분리된 2개의 구역을 연통하는 다수의 세이프티 갭이 관통 형성되는 엘리먼트;를 포함하여,
    방폭등 내부에서 폭발 시 발생하는 폭발 화염이 상기 세이프티 갭을 통과하면서 소염되도록 구성되어, 폭발압력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는,
    상기 몸체 내의 내부공간의 모양에 대응하는 모양을 지니도록, 밑면부와 옆면부를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옆면부는 바 타입의 방폭등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폭등의 내부공간에 억지끼움으로 삽입하여 상기 방폭등과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갭은,
    세모와 네모를 포함하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으로 상기 엘리먼트에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갭은,
    상기 엘리먼트 내부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는,
    투광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KR1020210011196A 2021-01-27 2021-01-27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KR102494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196A KR102494621B1 (ko) 2021-01-27 2021-01-27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196A KR102494621B1 (ko) 2021-01-27 2021-01-27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327A true KR20220108327A (ko) 2022-08-03
KR102494621B1 KR102494621B1 (ko) 2023-01-31

Family

ID=82847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196A KR102494621B1 (ko) 2021-01-27 2021-01-27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62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4269A (ko) * 1995-12-28 1997-07-26 이우복 이중밸브로 구성된 차량용 배압가변 소음기
KR20110004952A (ko) * 2009-07-09 2011-01-1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역화방지기용 소염소자
JP2011171167A (ja) * 2010-02-19 2011-09-01 Iwasaki Electric Co Ltd 光源装置
KR20120121437A (ko) * 2011-04-27 2012-11-06 김영선 내연기관용 소음기(배기관) 구조
KR20140120040A (ko) * 2013-04-02 2014-10-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배기식 방폭형 챔버
KR101864138B1 (ko) 2018-01-29 2018-06-04 (주)큐라이트 내압 방폭 엘이디 조명등
KR101907667B1 (ko) * 2017-02-16 2018-10-15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방폭 led 등기구
KR101962274B1 (ko) * 2018-10-29 2019-03-26 (주)큐라이트 내압 방폭 엘이디 조명등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4269A (ko) * 1995-12-28 1997-07-26 이우복 이중밸브로 구성된 차량용 배압가변 소음기
KR20110004952A (ko) * 2009-07-09 2011-01-17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역화방지기용 소염소자
JP2011171167A (ja) * 2010-02-19 2011-09-01 Iwasaki Electric Co Ltd 光源装置
KR20120121437A (ko) * 2011-04-27 2012-11-06 김영선 내연기관용 소음기(배기관) 구조
KR20140120040A (ko) * 2013-04-02 2014-10-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배기식 방폭형 챔버
KR101907667B1 (ko) * 2017-02-16 2018-10-15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방폭 led 등기구
KR101864138B1 (ko) 2018-01-29 2018-06-04 (주)큐라이트 내압 방폭 엘이디 조명등
KR101962274B1 (ko) * 2018-10-29 2019-03-26 (주)큐라이트 내압 방폭 엘이디 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4621B1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3316B1 (en) Led light tube with dual sided light distribution
US8029162B2 (en) Embedded LED light source
US9423097B2 (en) Light-emitting module with a curved prism sheet
EP2986901B1 (en) Flexible substrate lighting fixtures
CN202733486U (zh) 照明器具
AU2015333473B2 (en) Omnidirectional light emission led lamp
US20130182407A1 (en) Tube type led lighting assembly
EP2918908B1 (en) Led-technology lighting system with explosion-proof characteristics, for use in explosion-risk areas
TW201504577A (zh) 發光二極體燈管
EP2979023B1 (en) Lighting device and luminaire
KR20220108327A (ko) 방폭등 폭발압력 저감장치
US20130003374A1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complex lens thereof
KR20140054892A (ko) 개량형 led 방폭등 렌즈 및 이를 이용한 방폭등
JP6129575B2 (ja) 照明ランプ
CN104515064A (zh) 一种透镜和包括该透镜的照明装置
CN219433204U (zh) 一种iic级防爆光源模组
RU2706799C1 (ru) Плоский светодиодный осветитель с широким диапазоном мощностей света и внутренней подсветкой
CN111578244A (zh) 散热壳体及灯具
IT201800005921A1 (it) Segnalatore luminoso
KR20160034545A (ko) 속이 비고 그리고 윗부분이 잘린 사각뿔 형태의 외 측면에 방열기를 부착한 led 조명등
CN209839721U (zh) 防爆防腐指示灯
EP3229569B1 (en) Sealing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220186908A1 (en) Harsh and hazardous location light emitting diode (led) luminaire assembly and method with uplight and sidelight lens
EP3217077B1 (en) Led lighting device
DK9400318U3 (da) Adapter til el-sparepæ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