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855A -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 - Google Patents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855A
KR20140118855A KR1020140035271A KR20140035271A KR20140118855A KR 20140118855 A KR20140118855 A KR 20140118855A KR 1020140035271 A KR1020140035271 A KR 1020140035271A KR 20140035271 A KR20140035271 A KR 20140035271A KR 20140118855 A KR20140118855 A KR 20140118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croll
scroll body
fixed
end plat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모츠 후지오카
준이치 아사미
Original Assignee
아네스토 이와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네스토 이와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네스토 이와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53Details concerning the base
    • F04C18/0261Details of the ports, e.g. location, number, geomet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50/00Geometry
    • F04C2250/10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250/102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of the outlet

Abstract

고정 스크롤의 단부판 중심부의 토출 포트를 포함하는 압축 공간부의 용적을 조정함으로써 개선한,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가 제공된다.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 스크롤체와, 상기 고정 스크롤체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맞물림으로써, 압축 공간을 이동 가능하게 형성하는 선회 스크롤체와, 상기 압축 공간 중, 상기 고정 스크롤체의 중심에 대응하는 고정 스크롤체의 단부판에 설치되는 토출 포트를 갖는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크롤체의 단부판 중심부의 상기 토출 포트의 근방에, 상기 고정 스크롤체의 중심에 대응하는 압축 공간의 용적을 확대하는 오목부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 {FIXED SCROLL MEMBER AND SCROLL FLUID MACHINE}
본 발명은,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환경에 의해 소정의 압축률을 얻을 수 없게 되거나, 과압축으로 되는 문제를 개선한,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에 관한 것이다.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는, 흡입 마감시의 압축 공간 용적과 압축 종료시의 압축 공간 용적의 비에 의해 정해지는 설계 압축비가 일정한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특정한 흡입 압력 및 토출 압력으로 되는 하나의 운전 조건에 대해서는, 최적의 설계 압축비를 설정하여, 고효율로 운전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저압차가 작아지는 운전 조건이나 인버터에 의한 고 Hz 운전 조건하에서는, 이른바 과압축 현상이 발생해 버려, 압축 동력의 증가에 의해 압축 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운전 조건에서 서로 다른 회전수, 압력 등 서로 다른 부하의 사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랩(소용돌이)의 높이를 변경하거나, 스크롤의 소용돌이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대응해 왔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5-172067호 공보(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선회 스크롤의 랩 높이를 변경하거나, 소용돌이 길이를 변경하면, 변경 전에 대해 언밸런스하게 되어, 진동이나 소음의 요인으로 된다. 개별적으로 밸런스량을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양산성이 저하된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86095호 공보(특허문헌 2)에서는, 고정 스크롤의 단부판 중심부의 토출 포트에 더하여 릴리프 포트를 설치하고, 필요한 릴리프 포트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릴리프 포트를 소용돌이 형상 랩의 소용돌이 방향을 따라 천공한 복수 구멍군의 포트에 의해 구성함과 함께, 그 복수 구멍군의 릴리프 포트를 1개로 집약하고, 그것에 대해 공통의 릴리프 밸브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5-17206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86095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릴리프 포트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 위치에 릴리프 밸브를 설치해야 해, 그만큼, 부품 개수가 증가한다. 또한, 릴리프 밸브의 설치 위치가 릴리프 포트 위치에 따라 제약되므로, 릴리프 밸브의 배치에 자유도가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며, 스크롤 유체 기계에 있어서, 사용 환경에 의해 소정의 압축률을 얻을 수 없게 되거나, 과압축으로 되는 문제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 스크롤의 단부판 중심부의 토출 포트를 포함하는 압축 공간부의 용적을 조정함으로써 개선한,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고정 스크롤체는, 단부판과, 단부판에 설치되는 소용돌이 형상의 고정 랩과, 고정 랩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며, 단부판의 중심부에 있어서의 영역에 설치된 토출 포트를 갖고, 토출 포트의 근방에, 고정 스크롤체의 중심에 대응하는 압축 공간의 용적을 확대하는 오목부를 구비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스크롤 유체 기계는,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 스크롤체와, 상기 고정 스크롤체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맞물림으로써, 압축 공간을 이동 가능하게 형성하는 선회 스크롤체와, 압축 공간 중, 고정 스크롤체의 중심을 포함하는 고정 스크롤체의 단부판에 설치되는 토출 포트를 갖고, 고정 스크롤체의 단부판 중심부의 토출 포트의 근방에, 고정 스크롤체의 중심에 대응하는 압축 공간의 용적을 확대하는 오목부를 구비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스크롤 유체 기계 전체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스크롤 유체 기계에 있어서의 고정 스크롤체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고정 스크롤체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고정 스크롤체의 IV-IV선의 절단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에 대한 실시 형태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에 관한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1)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단면적으로 나타낸다.
이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1)는, 크랭크축의 선회 스크롤체를 구동시키는 측의 편심축부측이, 베어링 부재를 통해 외팔보식으로 지지하는, 이른바 외팔보식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1)에 대해 개략 설명하면,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1)는 도면 중, X축 방향 좌측 단부측을 개구한 제1 하우징(2)과, 제1 하우징(2)에 X축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고, 제1 하우징(2)에 비교하여 Y방향의 치수를 크게 한 제2 하우징(3)을 갖는다. 제1 하우징(2) 내에는, 제1 하우징의 X축 방향 좌측 단부측의 개구의 중심을 지나고, 또한 X축 방향을 따르는 중심축 X1에 동심적으로 배치한 제3 하우징(4)을 갖는다.
제3 하우징(4) 내에는, 중심축 X1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팬(5)이 배치된다.
또한, 제2 하우징(3) 내에는, 선회 스크롤체(6)과 고정 스크롤체(7)가 배치된다. 고정 스크롤체(7)는 제2 하우징(3) 및 제3 하우징(4)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 스크롤체(7)는, 후술하지만 선회 스크롤체(6)와 고정 스크롤체(7)를 연결하는 핀 크랭크 기구에 있어서의 베어링 압박 부재(13)를 통해 제2 하우징(3)에 고정된다.
또한, 제2 하우징(3)에는 냉각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복수의 도입구(3in)(후술), 제1 하우징(2)과 제3 하우징(4)에는 냉각 통로가 설치된다.
선회 스크롤체(6)와 고정 스크롤체(7)는, 단부판(6a, 7a)과, 단부판(6a, 7a)에 설치한 소용돌이 형상의 선회 랩(6r), 고정 랩(7r)을 갖는다.
선회 스크롤체(6)의 선회 랩(6r)은 단부판(6a) 상에 돌출되고, 고정 스크롤체(7)측의 고정 랩(7r)은 단부판(7a)이 선회 랩(6r)의 높이만큼, 소용돌이 홈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에 의해, 선회 스크롤체(6)와 고정 스크롤체(7)는, 선회 스크롤체(6)의 단부판(6a) 상의 선회 랩(6r)이, 고정 스크롤체(7)의 단부판(7a)에 형성된 소용돌이 홈[고정 랩(7r)]에 결합되어, 선회 랩(6r)과 고정 랩(7r)이 서로 맞물리는 상태에서, 각각의 단부판(6a, 7a)의 미끄럼 이동면이 Y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선회 랩(6r)과 고정 랩(7r)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초승달 형상의 압축 공간 S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선회 랩(6r)과 고정 랩(7r)은, 대향하는 단부판(6a, 7a)과 접촉하는 선단에 팁 시일(6rs, 7rs)이 끼움 장착되어 있다. 압축 공간 S에는, 외측의 개소로부터 압축 유체가 도입되도록 도입구(도시 생략)가 연통되고, 중앙의 압축 공간 S에는, 소정압의 압축 유체로서 토출되도록 토출구(8)가 연통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선회 스크롤체(6)는, 제3 하우징(4) 및 팬(5)을 관통하여 X1축을 따라 삽입 관통된 구동축(9)의 선단 편심축(9a)에, 베어링 부재(10)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편심축(9a)은, 축심 X2가, X1축에 대해 거리 L만큼 편심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9)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접속된다.
그리고, 선회 스크롤체(6)와 고정 스크롤체(7)는 단부판(6a, 7a)의 외주 근방의 복수 개소(여기서는 3개소)에, 핀 크랭크 기구(11)가 배치되어 있다.
핀 크랭크 기구(11)는 고정 스크롤체(7)측의 단부판(7a)에 롤러 베어링(12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축(11a)과, 선회 스크롤체(6)측의 단부판(6a)에 롤러 베어링(12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축(11a)의 축심에 대해 축심을 거리 L만큼 편심시킨 제2축(11b)을 구비한다. 또한, 핀 크랭크 기구(11)는 제2 하우징(3)에 베어링 압박 부재(13)를 통해 고정된다.
또한, 고정 스크롤체(7)에는, 단부판(7a)의 배면측에는, 냉각용 핀(f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회 스크롤체(6)측에도, 냉각 핀(f6)이 설치되어 있다.
스크롤 유체 기계(1)는 개략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며, 다음으로 고정 스크롤체(7)에 대해, 도 2,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정 스크롤체(7)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료에 의해 성형되고, 단부판(7a)이 대략 원반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단부판(7a)의 선회 스크롤(6)과의 미끄럼 이동면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용돌이 홈이 형성되도록 고정 랩(7r)이 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고정 랩(7r)의 권취 개시부는, 단부판(7a)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권취 종료부는 단부판(7a)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소용돌이 형상의 고정 랩(7r)에 의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아, 단부판(7a)의 직경 방향으로 압축 공간 S0∼S4가 배열되게 된다.
여기서, 중앙의 압축 공간 S0이, 설정된 가장 높은 압력의 압축 공간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압축 공간 S0에는, 토출구(8)가 천공되어 있다.
압축 공간 S0의 설계 압축비는, 흡입 마감시의 압축 공간 용적과 압축 종료시의 압축 공간 용적의 비에 의해 정해지지만, 다양한 조건에 의해, 예를 들어 고저압차가 작아지는 운전 조건이나 인버터에 의한 고 Hz 운전 조건하에서 과압축으로 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러한 것을 피하기 위해, 가장 높은 압력으로 되는 중앙의 압축 공간 S0의 용적을 확대하여 과압축 상태를 해소하면 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의 압축 공간 S0의 단부판(7a)에는, 소정 공구로 파내려감 가공한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0)는 최대 압력의 강하율을 조정할 수 있도록, 부채형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오목부(20)의 파내려감 깊이를 일정값으로 정하면, 형상 중심을 따르는 길이를 조정하면, 확대 용적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출구(8)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스크롤 유체 기계(1)는 이상과 같으므로, 고정 스크롤체(7)에 있어서, 선회 스크롤(6)과의 미끄럼 이동 동작에 의해, 선회 랩(6r)과 고정 랩(7r)이 서로 맞물리면서, 초승달 형상의 압축 공간 S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초승달 형상의 압축 공간 S가 S4로부터 중앙의 S0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용적이 작아지고, 이에 의해, 중앙의 압축 공간 S0에 있어서, 설정된 압력의 압축 유체로서 토출구(8)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설정된 압력의 압축 유체는, 사용되는 환경에 의해 혹은 다양한 조건이나 불가항력에 의해 과압축으로 되거나 해도, 미리 최대로 몇 %인가를 설정압으로부터 강하시켜 압축 유체를 토출시킴으로써, 과압축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의 압축 공간 S0의 단부판(7a)에는, 소정 공구로 파내려감 가공한 오목부(20)는 그 파내려감 용적을 조정 가능하므로, 스크롤 유체 기계(1)를 능력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과압축 상태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미리, 요구되는 토출압의 압축 유체를 자유롭게 얻을 수 있어, 다양한 사용 요구에 대응한 스크롤 유체 기계(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스크롤 유체 기계(1)에 대해 일 실시 형태를 들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의 압축 공간 S0의 단부판(7a)에 형성된 오목부(20)는 부채형 홈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오목부(20)는 토출구(8)와 반드시 연통되어 있지는 않아도 된다. 요컨대, 용적을 확대하는 오목부이면 무엇이든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압축 유체의 압력이 가장 높아지는 단부판의 중심부에 있어서의 영역의 압축 공간의 용적이, 토출 포트 근방의 오목부에 의해 확대되므로, 그만큼, 과압축 상태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오목부는, 토출 포트에 연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압축된 압축 유체는, 필요 이상의 압축률을 원활하게 저하시켜, 적절한 압축률의 압축 유체로서 토출구가 토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오목부는, 용적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크롤 유체 기계를 능력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과압축 상태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미리, 요구되는 토출압의 압축 유체를 자유롭게 얻을 수 있어, 다양한 사용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오목부는, 고정 스크롤의 랩을 따라 연장된다. 이 경우, 랩을 따르는 오목부의 길이를 조정하면, 확대 용적(오목부의 용적)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오목부는, 부채형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부채형의 형상 중심을 따르는 길이(호의 길이)를 조정하면, 확대 용적(오목부의 용적)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 환경에 의해 소정의 압축률을 얻을 수 없게 되거나, 과압축으로 되는 문제를, 고정 스크롤의 단부판 중심부의 토출 포트를 포함하는 압축 공간부의 용적을 조정함으로써 개선한,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릴리프 포트와, 릴리프 포트에 대응하여 릴리프 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모든 형태의 스크롤 유체 기계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만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신규의 교시나 이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는 일 없이, 예시의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의도한다.
본원은, 2013년 3월 29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072385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2013년 3월 29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072385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모든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전체적으로 포함된다.
일본 특허 공개 평5-172067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86095호 공보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모든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전체적으로 포함된다.
1 : 스크롤 유체 기계
2 : 제1 하우징
3 : 제2 하우징
3in : 도입구
4 : 제3 하우징
5 : 팬
6 : 선회 스크롤체
6r : 선회 랩
7 : 고정 스크롤체
7r : 고정 랩
6rs, 7rs : 팁 시일
8 : 토출구
9 : 구동축
9a : 편심축
10 : 베어링 부재
11 : 핀 크랭크 기구
11a : 제1축
11b : 제2축
12a, 12b : 롤러 베어링
13 : 베어링 압박 부재
20 : 오목부
S0∼S4 : 압축 공간
f6, f7 : 핀

Claims (10)

  1. 고정 스크롤체이며,
    단부판과,
    상기 단부판에 설치되는 소용돌이 형상의 고정 랩과,
    상기 고정 랩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며, 상기 단부판의 중심부에 있어서의 영역에 설치된 토출 포트를 갖고,
    상기 토출 포트의 근방에, 상기 고정 스크롤체의 중심에 대응하는 압축 공간의 용적을 확대하는 오목부를 구비한, 고정 스크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토출 포트에 연통되어 있는, 고정 스크롤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용적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고정 스크롤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고정 랩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 스크롤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부채형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 스크롤체.
  6. 스크롤 유체 기계이며,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 스크롤체와,
    상기 고정 스크롤체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맞물림으로써, 압축 공간을 이동 가능하게 형성하는 선회 스크롤체와,
    상기 압축 공간 중, 상기 고정 스크롤체의 중심에 대응하는 고정 스크롤체의 단부판에 설치되는 토출 포트를 갖고,
    상기 고정 스크롤체의 단부판 중심부의 상기 토출 포트의 근방에, 상기 고정 스크롤체의 중심에 대응하는 압축 공간의 용적을 확대하는 오목부를 구비한, 스크롤 유체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토출 포트에 연통되어 있는, 스크롤 유체 기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용적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스크롤 유체 기계.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고정 스크롤체에 설치된 고정 랩을 따라 연장되는, 스크롤 유체 기계.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부채형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크롤 유체 기계.
KR1020140035271A 2013-03-29 2014-03-26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 KR201401188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72385A JP2014196692A (ja) 2013-03-29 2013-03-29 固定スクロール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JP-P-2013-072385 2013-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855A true KR20140118855A (ko) 2014-10-08

Family

ID=50877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271A KR20140118855A (ko) 2013-03-29 2014-03-26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4196692A (ko)
KR (1) KR20140118855A (ko)
CN (1) CN104074755A (ko)
BE (1) BE1023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8625A (zh) * 2021-05-31 2021-08-03 江西理工大学 一种高效多锥体旋流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5184A (zh) * 2014-12-06 2015-05-06 无锡高卓流体设备有限公司 涡旋式流体设备
JP6485500B2 (ja) * 2017-07-07 2019-03-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FR3070446B1 (fr) 2017-08-29 2020-02-07 Danfoss Commercial Compressors Un compresseur a spirales ayant un orifice de refoulement principal central et un orifice de refoulement auxiliaire
TWI680234B (zh) * 2018-10-03 2019-12-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壓縮機的渦卷結構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9777B2 (ja) * 1991-10-01 1999-11-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形流体機械
GB2325705B (en) * 1995-03-22 1999-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Scroll compressor
JP3774964B2 (ja) * 1996-12-10 2006-05-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クロール圧縮機
US6113372A (en) * 1998-08-18 2000-09-05 Carrier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with discharge chamber groove
JP2000161261A (ja) * 1998-11-20 2000-06-13 Fujitsu General Ltd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2003328965A (ja) * 2002-05-15 2003-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5273453A (ja) * 2004-03-22 2005-10-06 Aisin Seiki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JP4848202B2 (ja) * 2006-04-14 2011-12-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11038480A (ja) * 2009-08-12 2011-02-24 Sanden Corp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98625A (zh) * 2021-05-31 2021-08-03 江西理工大学 一种高效多锥体旋流器
CN113198625B (zh) * 2021-05-31 2022-05-27 江西理工大学 一种高效多锥体旋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96692A (ja) 2014-10-16
BE1023306B1 (fr) 2017-01-30
CN104074755A (zh)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8855A (ko) 고정 스크롤체 및 그것을 사용한 스크롤 유체 기계
JP6187123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WO2014191282A1 (en) Scroll compressor
JPH07324689A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6738170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20120177523A1 (en) Scroll compressor with split type orbitting scroll
WO2018021245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130003961A (ko) 스크롤 압축기
JP5865056B2 (ja) スクリュー圧縮機
EP3828415B1 (en) Internal gear pump
KR102004353B1 (ko) 배압실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WO2012144489A1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WO2017002967A1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EP2669523B1 (en) Scroll compressor
WO2020021707A1 (ja) スクリュー圧縮機
JP6139938B2 (ja) 固定スクロール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クロール流体機械
CN114867941B (zh) 涡旋式流体机械
KR20150047688A (ko) 스크롤 압축기
KR102002123B1 (ko) 전동식 압축기
EP3798448B1 (en) Screw compressor
JP2008248823A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5278228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6249930A (ja) 密閉型スクロール圧縮機
JP3976070B2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KR20120081489A (ko) 분리식 선회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