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353B1 - 배압실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배압실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353B1
KR102004353B1 KR1020140084484A KR20140084484A KR102004353B1 KR 102004353 B1 KR102004353 B1 KR 102004353B1 KR 1020140084484 A KR1020140084484 A KR 1020140084484A KR 20140084484 A KR20140084484 A KR 20140084484A KR 102004353 B1 KR102004353 B1 KR 102004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portion
scroll
discharge passage
back pressure
orbiting sc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497A (ko
Inventor
박일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4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35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고정 스크롤;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해서 선회운동하고, 저면에 보스부를 포함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선회 스크롤을 지지하며, 상기 케이싱 내부를 고압공간과 저압공간으로 구획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보스부와 결합되어, 상기 선회 스크롤을 편심회전시키는 중공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주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압축된 작동유체를 상기 고압공간으로 토출시키는 토출유로가 상기 보스부 및 상기 회전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의 저면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배압실과 상기 보스부에 형성된 토출유로를 연통시키는 배압유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압실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 WITH A BACK PRESSURE CHAMBER}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회 스크롤을 고정 스크롤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배압실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나선형의 랩을 갖는 고정 스크롤과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해서 선회 운동하는 선회 스크롤을 이용한 압축기로서,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이 맞물려 돌면서 그 사이에서 형성된 압축실의 용적이 선회 스크롤의 선회 운동에 따라 감소되며, 이에따라 유체의 압력이 상승되어 고정 스크롤 중심부에 뚫려있는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형태의 압축기이다.
이러한 스크롤 압축기는 선회 스크롤이 선회하는 동안 흡입, 압축 및 토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고 있고, 이에 따라 원칙적으로 토출밸브 및 흡입밸브가 필요없고, 부품의 수가 적어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고속회전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압축에 필요한 토크의 변동이 적고, 연속적으로 흡입 및 압축이 일어나기 때문에 소음 및 진동이 작은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정 스크롤(10) 및 상기 고정 스크롤(10)의 하부에서 선회 운동하도록 맞물리는 선회 스크롤(12)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스크롤(10)의 대략 중앙부에 토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4)에는 토출된 압축냉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토출밸브 어셈블리(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의 상부에 위치한 공간은 압축된 고압의 가스가 일시적으로 머무는 고압공간을 이루게 되는데, 토출 가스로 인한 맥동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고압공간에는 격벽(1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형태의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는 작동과정에서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에 구비된 고정랩 및 선회랩 사이에서의 누설을 방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누설 방지를 위해서는 고정랩과 선회랩이 서로 강하게 접하여야 하지만, 이로 인해 마찰이 증가하면서 마모로 인한 손상 및 효율저하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선회 스크롤의 배면에 배압실을 형성하고, 상기 배압실 내에 압축 중인 작동유체의 일부를 공급하여, 압력 균형에 의해 선회 스크롤 및 고정 스크롤 사이에서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하여 왔다. 이를 위해서는, 압축실 내부의 작동유체 일부가 상기 배압실까지 연통하도록 하는 유로를 별도로 형성하여야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배압유로가 길고 복잡하여,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초기 시동시에 신속하게 배압이 공급되지 않아 소음 발생 및 효율 저하의 원인이 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에 비해 단순화된 배압유로를 갖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고정 스크롤;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해서 선회운동하고, 저면에 보스부를 포함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선회 스크롤을 지지하며, 상기 케이싱 내부를 고압공간과 저압공간으로 구획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보스부와 결합되어, 상기 선회 스크롤을 편심회전시키는 중공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주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압축된 작동유체를 상기 고압공간으로 토출시키는 토출유로가 상기 보스부 및 상기 회전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의 저면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배압실과 상기 보스부에 형성된 토출유로를 연통시키는 배압유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토출유로 및 상기 보스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토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압유로는 상기 제2 토출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압유로는 상기 보스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압유로는 상기 선회스크롤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부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보스부는 상기 부시의 내부에 편심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압유로는 상기 보스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압유로는 상기 부시와 상기 선회 스크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고정 스크롤이 일체로 형성되고, 흡입구가 형성되는 고정 스크롤 헤드; 상기 고정 스크롤 헤드에 수납되고,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해서 선회운동하며 저면에 보스부가 형성되는 선회 스크롤; 상기 고정 스크롤 헤드와 함께 저압공간을 형성하는 센터 헤드; 상기 센터 헤드와 함께 고압공간을 형성하며, 토출구가 형성되는 모터 헤드; 상기 모터 헤드의 내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자; 및 일단은 상기 보스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모터 헤드에 지지되며, 상기 회전자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선회 스크롤을 선회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압축된 작동유체를 상기 고압공간으로 토출시키는 토출유로가 상기 보스부 및 상기 회전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의 저면과 상기 센터 헤드 사이에 구비된 배압실과 상기 보스부에 형성된 토출유로를 연통시키는 배압유로가 구비되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스크롤 헤드, 센터 헤드 및 모터 헤드를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보스부를 관통하는 토출유로와 배압실을 연통시키는 배압유로를 구비하여, 종래에 비해서 배압유로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배압유로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어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스크롤 압축기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100)는 모터 헤드(110), 센터 헤드(120) 및 고정 스크롤 헤드(130)가 볼트(102)에 의해 체결된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모터 헤드(110)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에 스테이터(112)가 열박음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 헤드(110)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터(112)는 중공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내측에는 후술할 로터 및 회전축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112)는 외주부 전체가 상기 모터 헤드(110)의 내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외주부의 일부만이 모터 헤드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때, 모터 헤드와 접하지 않는 부분은 모터 헤드의 내벽과 이격되어, 작동유체가 통과하는 유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만일, 스테이터의 외주부 전체가 모터 헤드와 접하는 경우에는, 스테이터에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관통공을 형성하여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모터 헤드(110)의 내부에는 또한 지지 프레임(11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14)는 상기 모터 헤드(1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모터 헤드(110)의 내벽면과의 사이에서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 프레임(114)에는 상기 공간과 상기 모터 헤드(110)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내부 유로(114a)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유로는 후술할 토출 유로의 일부를 이루게 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14)에는 또한 베어링(116)이 장착된다. 상기 베어링(116)은 회전축의 일측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볼 베어링이 사용되고 있지만, 그외의 임의의 형태의 베어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모터 헤드(110)는 상기 센터 헤더(120)와의 경계부에 토출구(118)를 갖는다. 상기 토출구(118)는 압축된 작동유체가 압축기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모터 헤드(11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 2에서는 센터 헤드의 일측면이 토출구(118)의 일측면을 정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만, 상기 토출구(118)는 상기 센터 헤드와 무관하게, 모터 헤드(110)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어링(116)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140)은 외주부에 상기 로터(113)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140)은 상기 로터와 결합되는 축부(142)와 후술할 부쉬가 결합되는 체결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144)는 상기 축부에 비해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부(142)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압축된 작동유체가 상기 회전축을 통해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제공되는 유로를 제1 토출유로(146)로 칭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140)의 타측, 즉 상기 체결부(144)는 상기 센터헤드(120)에 지지된다. 상기 센터헤드(120)는 대략 원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중앙부는 가장자리에 비해서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터헤드(120)의 중앙부에는 제1 및 제2 베어링(121, 122)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베어링(121)은 상기 회전축의 타측 단부, 즉 상기 체결부(14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베어링(122)은 상기 체결부(144)와 구동핀(133)을 통해 체결되는 부시(12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부시(124)는 후술할 선회 스크롤의 보스부가 편심되게 삽입되며, 상기 체결부(144)의 내측 바닥면과는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체결부(144)와 상기 부시(124)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를 완충공간(124a)으로 칭한다.
상기 센터 헤드(120)는 상기 고정 스크롤 헤드(130)와의 대향면에 링 형태의 평판형 부재(126) 및 가스켓(128)을 구비한다. 상기 가스켓(128)은 상기 센터 헤드와 고정 스크롤 헤드 사이에 위치하여, 작동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고정 스크롤 헤드(130)는 경판(131)과 상기 경판(131)과 일체로 형성되는 나선형의 고정랩(132)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경판(131)의 배면에는 수납공간(133)이 구비되며, 상기 수납공간(133)은 커버(134)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133)은 상기 로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5)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활용되며, 상기 제어부(135)는 상기 로터의 회전에 필요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2에서는 수납공간이 고정 스크롤 헤드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모터 헤드측에 구비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을 압축기와 분리된 별도의 구조물에 구비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스크롤 헤드(130)에는 압축될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흡입구(136)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36)를 통해 유입된 작동유체는 고정 스크롤 및 선회 스크롤(150)에 의해 압축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선회 스크롤(150)은 원판 형태의 경판부(151) 및 상기 고정 스크롤의 고정랩(132)과 맞물리는 선회랩(152)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랩 사이에서 압축실이 정의되고, 선회 스크롤의 선회 운동에 따라 상기 압축실은 경판부의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그 부피가 점차적으로 축소된다. 상기 경판(151)의 배면에는 상술한 부시(124)와 체결되는 보스부(15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보스부(153)는 짧은 원통 형태를 가지며, 그 내부에는 상기 경판을 관통하도록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 토출 유로(153a)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토출 유로(153)는 상술한 제1 토출 유로(146)와 함께 압축된 작동유체가 토출되는 토출 유로를 형성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상기 부시(124)의 내부에 선회 스크롤의 보스가 삽입되어 양자간의 체결이 이루어지지만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보스의 내부에 부시가 삽입되는 형태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회 스크롤이 회전축의 구동력을 받아 선회 운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자전방지홈(154) 및 자전방지핀(155)이 구비된다. 상기 자전방지홈(154)은 상기 경판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자전방지핀(155)은 일단은 상기 센터 헤드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자전방지홈(154)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자전방지홈 및 자전방지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서 선회 스크롤이 자전하지 않고 선회하도록 구속되는데, 이러한 자전방지기구로는 핀 외에도 올담링 등의 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의 작동시에, 즉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경우에 상기 선회 스크롤의 경판과 상기 센터 헤드의 표면은 서로 이격되어 배압실(156)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배압실(156)은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의 접촉면을 통한 작동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한편, 과도한 마찰로 인한 마모 및 동력 손실을 저감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스부(153)에 상기 배압실(156)과 연통되는 배압유로(153b)가 형성되며, 이로 인해서 토출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상기 배압유로(153b)를 통해 배압실로 유입되어, 상기 선회 스크롤을 고정 스크롤 측으로 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압실의 압력과 상기 선회 스크롤 및 고정 스크롤 사이의 압력이 대략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작동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면서도 과도한 마찰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압유로는 상기 보스부를 관통하도록 천공된 홀의 형태를 갖지만,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스부 대신에 상기 배압실(156)과 상기 압축실을 직접 연결하도록 선회 스크롤의 경판을 관통하도록 배압유로(153b')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배압유로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위치는 경판의 외주부 및 중심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배압유로가 경판의 외주부에 가깝게 위치할 수록 배압실에 인가되는 배압이 낮아지며,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할 수록 배압이 높아진다. 따라서, 설계사양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적절한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배압유로가 보스부를 관통할 정도로 짧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압축실 내부의 고압의 작동유체가 신속하게 배압실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서, 초기 시동 시와 같은 경우에 배압실 내부에 신속하게 배압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배압유로를 가공하기 위한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배압실(156)은 밀봉실(157)에 의해 배압실 내부의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봉실(157)의 성능이 불충분하여 누설이 발생될 경우, 배압실의 압력이 낮아져서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 사이에서의 누설이 발생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서 상기 밀봉실(157)은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고, 일측면이 배압실 내부의 작동유체의 압력을 받으면서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누설 방지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밀봉실의 저면(157a)과 센터 헤드의 표면 사이의 접촉면 사이에서의 접촉압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즉, 상기 밀봉실의 저면(157a)이 센터 헤드의 표면을 보다 강하게 누르게 되면, 실링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실(157)의 상부에 경사면(157b)을 둘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밀봉실(157)이 삽입되는 실 삽입홈(158)이 상기 경사면(157b)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서, 상기 배압실 내부의 압력은 상기 밀봉실의 측면 및 경사면(157b)에 모두 적용된다. 측면으로 작용하는 압력은 상기 밀봉실(157)을 도 5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누르게 되어 밀봉실과 선회 스크롤 사이에서의 누설을 방지하게 되고, 경사면에 작용하는 압력 중 수직 분력은 상기 밀봉실의 저면(157a)을 센터 헤드측으로 누르게 되므로, 밀봉실과 센터 헤드 사이에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직사각형의 밀봉실에 비해서 누설 차단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 삽입홈(158)과 밀봉실 사이의 간격은 이해를 돕기 위해 실제보다 과장되게 도시된 상태이며, 배압실 내부의 압력이 경사면에 작용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임의의 간격을 두고 양자가 이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누설 차단 성능을 더욱 배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밀봉실은 도 6에 도시된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경사면(157b)과 인접한 밀봉실의 상부면(157c)을 실 삽입홈(158)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밀봉실의 저면에 작용하는 압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제,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서 흡입구(136)를 통해 유입된 작동유체는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상기 선회 스크롤의 중심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된 압축 유체는 상기 제2 토출유로(153a)를 통해 압축실 외부로 토출되고, 그 후 상기 부시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형성된 완충공간(124a)을 거쳐 제1 토출유로(146)로 유입된다.
상기 제1 토출유로와 제2 토출유로 사이에 완충공간을 둠으로써, 두 개의 유로가 서로 어긋나 있더라도 압축된 작동유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완충공간은 일종의 버퍼로서 기능하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완충공간을 생략한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유로(146)를 따라 이동한 압축 유체는 지지 프레임(114) 내부에 구비된 공간으로 토출된 후, 내부 유로(114a)를 거쳐 상기 모터 헤드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실시예의 내부 공간은 상기 센터 헤드를 기준으로 고압의 압축 유체가 존재하는 고압공간 및 흡입이 이루어지는 저압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고압공간에 존재하는 압축 유체는 그 후 상기 토출구(118)를 거쳐 압축기 외부로 토출된다.
압축된 작동유체가 외부로 바로 토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고압공간에 머문 후에 토출되므로, 종래와 같이 맥동 저감을 위한 격벽 구조가 불필요해진다. 아울러, 기 존재하는 고압공간을 맥동 저감을 위한 공간으로서 활용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서 압축기의 부피 및 중량을 저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터 헤드, 센터 헤드 및 고정 스크롤 헤드가 서로 결합되어 외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체를 하나의 케이싱으로 구성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제2 실시예(200)를 도시한 도 2 상당도로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그 내부 구조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토출유로를 통해 토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내부 유로가 아닌 베어링을 통해서 토출되도록 유로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유체에 의해서 베어링의 냉각 및 윤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베어링 성능 및 수명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체가 하나의 케이싱(210)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210)은 제1 실시예에서의 모터 헤드, 센터 헤드 및 고정 스크롤 헤드를 일체화한 형태를 가지며, 일측단부에는 상술한 제어부를 위한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공간은 커버(134)에 의해 덮혀 있다.

Claims (12)

  1.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고정 스크롤;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해서 선회운동하고, 저면에 보스부를 포함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선회 스크롤을 지지하며, 상기 케이싱 내부를 고압공간과 저압공간으로 구획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보스부와 결합되어, 상기 선회 스크롤을 편심회전시키는 중공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주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압축된 작동유체를 상기 고압공간으로 토출시키는 토출유로가 상기 보스부 및 상기 회전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의 저면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배압실과 상기 보스부에 형성된 토출유로를 연통시키는 배압유로가 구비되되,
    상기 배압유로는 상기 보스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토출유로 및 상기 보스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토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압유로는 상기 제2 토출유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부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보스부는 상기 부시의 내부에 편심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5. 삭제
  6. 삭제
  7.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고정 스크롤;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해서 선회운동하고, 저면에 보스부를 포함하는 선회 스크롤;
    상기 선회 스크롤을 지지하며, 상기 케이싱 내부를 고압공간과 저압공간으로 구획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보스부와 결합되어, 상기 선회 스크롤을 편심회전시키는 중공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주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압축된 작동유체를 상기 고압공간으로 토출시키는 토출유로가 상기 보스부 및 상기 회전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의 저면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구비된 배압실과 상기 보스부에 형성된 토출유로를 연통시키는 배압유로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부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배압유로는 상기 부시와 상기 선회 스크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8. 고정 스크롤이 일체로 형성되고, 흡입구가 형성되는 고정 스크롤 헤드;
    상기 고정 스크롤 헤드에 수납되고, 상기 고정 스크롤에 대해서 선회운동하며 저면에 보스부가 형성되는 선회 스크롤;
    상기 고정 스크롤 헤드와 함께 저압공간을 형성하는 센터 헤드;
    상기 센터 헤드와 함께 고압공간을 형성하며, 토출구가 형성되는 모터 헤드;
    상기 모터 헤드의 내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자; 및
    일단은 상기 보스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모터 헤드에 지지되며, 상기 회전자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선회 스크롤을 선회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압축된 작동유체를 상기 고압공간으로 토출시키는 토출유로가 상기 보스부 및 상기 회전축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의 저면과 상기 센터 헤드 사이에 구비된 배압실과 상기 보스부에 형성된 토출유로를 연통시키는 배압유로가 구비되되,
    상기 배압유로는 상기 보스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크롤 헤드, 센터 헤드 및 모터 헤드를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토출유로 및 상기 보스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토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압유로는 상기 제2 토출유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084484A 2014-07-07 2014-07-07 배압실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KR102004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484A KR102004353B1 (ko) 2014-07-07 2014-07-07 배압실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484A KR102004353B1 (ko) 2014-07-07 2014-07-07 배압실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497A KR20160005497A (ko) 2016-01-15
KR102004353B1 true KR102004353B1 (ko) 2019-07-29

Family

ID=5517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484A KR102004353B1 (ko) 2014-07-07 2014-07-07 배압실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486B1 (ko) 2017-12-29 2021-11-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및 스크롤 압축기 제조방법
KR102163912B1 (ko) * 2018-10-18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식 압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7228B2 (ja) * 1990-04-27 1999-11-15 株式会社東芝 キャンド型冷媒ポンプ
JP4116830B2 (ja) 2002-06-27 2008-07-09 アネスト岩田株式会社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2013238179A (ja) * 2012-05-16 2013-11-28 Panasonic Corp 電動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3999B2 (ja) * 1991-07-26 2001-02-13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スクロール式圧縮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7228B2 (ja) * 1990-04-27 1999-11-15 株式会社東芝 キャンド型冷媒ポンプ
JP4116830B2 (ja) 2002-06-27 2008-07-09 アネスト岩田株式会社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2013238179A (ja) * 2012-05-16 2013-11-28 Panasonic Corp 電動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497A (ko) 2016-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1086B2 (ja) バイパス手段を有するスクロール圧縮機
US9243636B2 (en) Scroll compressor with differential pressure hole and communication hole
KR101673739B1 (ko) 전동 압축기
KR101364025B1 (ko) 축방향 지지부재를 갖는 스크롤 압축기
US20120148434A1 (en) Scroll Fluid Machine
KR101300261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0547376B1 (ko) 고저압 돔형 압축기
US20140023538A1 (en) Vane rotary compressor
JP2017166366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2004353B1 (ko) 배압실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JP5178612B2 (ja) スクリュー圧縮機
KR20160005499A (ko) 배압실 밀봉용 밀봉실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KR20190095020A (ko) 전동식 압축기
KR102038540B1 (ko) 토출유로가 구비된 회전축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
JP5334659B2 (ja) スクリュー圧縮機
JP4961178B2 (ja) 密閉型スクロール圧縮機
KR102608742B1 (ko) 로터리 압축기
JP2020007933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WO2019043741A1 (ja) 圧縮機
JP5097369B2 (ja) 密閉型スクロール圧縮機
KR102002123B1 (ko) 전동식 압축기
EP3744980B1 (en) Rotary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KR20060065320A (ko)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 실링 장치
US20190316587A1 (en) Motor-operated compressor
JP5683120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