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240A -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240A
KR20140118240A KR1020130033797A KR20130033797A KR20140118240A KR 20140118240 A KR20140118240 A KR 20140118240A KR 1020130033797 A KR1020130033797 A KR 1020130033797A KR 20130033797 A KR20130033797 A KR 20130033797A KR 20140118240 A KR20140118240 A KR 20140118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marking
protrusion
visually impair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537B1 (ko
Inventor
심남구
Original Assignee
(주)한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나산업 filed Critical (주)한나산업
Priority to KR1020130033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53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8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트릴 고무(NBR) 75 내지 85 중량%,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및 마스터배치(Master batch) 5%로 형성되는 고무조성물로 블록몸체와 표식돌기를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함으로써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표식돌기 내부의 공간부에 탄성부 및 진동판을 설치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표식돌기를 가압할 때 표식돌기의 보행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Braile block for the blin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니트릴 고무(NBR) 75 내지 85 중량%,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및 마스터배치(Master batch) 5 내지 10 중량%로 형성되는 고무조성물로 블록몸체와 표식돌기를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함으로써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표식돌기 내부의 공간부에 탄성부 및 진동판을 설치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표식돌기를 가압할 때 표식돌기의 보행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관한 것이다.
점자블록은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유도하도록 보행로에 설치되는 특수블록으로서, 통상적으로 식별이 용이한 노란색으로 도색되며, 보행위치, 보행방향 및 위험물 등의 보행정보를 나타내는 표식돌기가 전면에 돌출 형성되는 콘크리트 몸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이 보행할 때 표식돌기가 시각장애인의 지팡이 또는 발바닥에 접촉되어 시각장애인이 감촉을 통해 표식돌기에서 나타나는 보행정보를 인지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점자블록은 콘크리트 몸체 및 표식돌기의 재질이 모두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고, 표식돌기가 콘크리트 몸체의 전면에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노란색으로 도색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보행자의 신발이나 외부 물체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표식돌기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러한 표식돌기의 파손은 점자블록의 본래의 기능인 보행정보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파손된 조각들이 하나의 장애물이 되어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된다.
도 1은 콘크리트 재질의 표식돌기가 노란색으로 도색된 종래의 점자블록의 파손된 상태를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점자블록(100)은 몸체(101) 및 표식돌기(103)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되 표식돌기(103)가 노란색으로 도포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보행자 및 보행물체 등으로 인한 외부충격과, 물, 오존 등으로 인한 외부 환경에 의해 몸체(101)가 파손되거나 또는 표식돌기(103)가 몸체(101)로부터 떨어져나가거나 파손되는(P)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점자블록은 표식돌기가 단순히 콘크리트 몸체에 돌출 고정된 것이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착용한 신발의 쿠션층이 두꺼울 경우 시각장애인이 표식돌기를 촉감만으로 감지하지 못하거나 또는 표식돌기가 나타내는 보행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표식돌기를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하여 외부 충격으로 인한 표식돌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합성수지 본연의 성질인 인장력에 의해 외부에 의해 가압될 때 하향으로 수축되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정확하게 표식돌기를 인지하도록 하는 점자블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점자블록은 표식돌기가 콘크리트 재질의 몸체의 상부면에 덮여 씌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보행자 및 보행물체의 충격으로 인해 표식돌기가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표식돌기는 물, 오존 등의 외부 환경으로 인해 쉽게 마모 및 변질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2는 표식돌기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재질의 몸체에 덮어 씌워 결합된 점자블록의 파손상태를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점자블록을 살펴보면 합성수지 재질의 표식돌기가 외부 충격 및 환경요인으로 인해 쉽게 뜯어져 나가 도시 미관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에게 전달하여야 할 보행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여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도 3은 국내등록특허 제10-0949647호(발명의 명칭 :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점자블록)에 개시된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3의 점자블록(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하기로 함)(200)은 케이스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부(210)가 구비되는 몸체(201)와, 몸체(201)의 상면에 형성되는 감지돌기(203), 내부 공간부(210)에 충진되는 충진재(205)로 이루어진다. 이때 충진재(205)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감지돌기(203)는 몸체(20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부(211)에 설치된다.
또한 홀부(211)에는 순차적으로 탄성스프링(231)과, 걸림턱(213)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233)가 형성되는 감지돌기(203)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기술(100)은 감지돌기(203)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231)에 의해 가압될 때 가 감지돌기(203)가 상하로 신축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감지돌기(203)와의 접촉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감지돌기(203)가 나타내는 보행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20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몸체(201)가 충재(205)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며 몸체(201)가 충진재(205)로부터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 발생할 때 몸체(201)와 충진재(205)의 결합이 해제되어 몸체(201)가 충진재(205)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감지돌기(203) 또한 몸체(201)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홀부(211)의 걸림턱(231)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 발생할 때 감지돌기(203)가 홀부(211)로부터 이탈하여 시각장애인에게 본래의 안내하고자 하는 보행정보와 전혀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점자블록(100)은 감지돌기(203)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감지돌기(203) 내부 공간(211) 에 탄성스프링(213)이 설치되어 외부 압력에 의해 감지돌기(203)가 가압될 때 감지돌기(203)가 상하로 신축됨으로써 감지돌기(203)가 도 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될 때에 비교하여 시각장애인이 감지돌기(203)와의 접촉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감지돌기(203)는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비교적 작은 높이로 돌출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하향 신축되더라도 시각장애인이 실질적으로 이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또한 시각장애인이 감지돌기(203)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것은 시각장애인의 불안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신호등, 교차로 등과 같이 위험지역이라는 보행정보를 알리는 감지돌기(205)가 설치될 때 시각장애인이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사고로 이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점자블록은 일반적으로 지면에 설치되고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습기, 물 및 오존 등의 외부 환경에 강한 성질을 가져야 하나, 종래기술(100)은 외부 환경에 대한 내구성, 수용성 및 내오존성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수단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명이 짧은 단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시각장애인이 표식돌기를 가압할 때 표식돌기와의 접촉을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표식돌기가 외부 충격에 의해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습기, 물 및 오존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점자블록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고무조성물을 용융하여 몸체와 표식돌기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조방법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고무조성물이 니트릴 고무(NBR) 75 내지 85 중량%,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및 마스터배치(Master batch) 5 내지 10 중량%로 형성되어 수용성이 증가됨으로써 물이나 습기에 의해 변질되지 않고, 수명이 연장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몸체 및 표식돌기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표식돌기가 몸체로부터 이탈하거나 또는 표식돌기가 파손되는 일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내충격성을 높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표식돌기의 내부 공간에 탄성부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탄성부의 압축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판이 설치됨으로써 시각장애인에 의해 표식돌기가 가압될 때 진동판이 진동되고,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진동으로 인해 표식돌기와의 접촉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시각장애인에게 보행방향 및 위험정보를 포함하는 보행정보를 안내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하향된 바닥면을 갖는 홈들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면보다 상향으로 융기되어 상기 홈들을 덮는 표식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 및 상기 표식돌기들은 합성수지인 고무조성물에 의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무조성물은 니트릴 고무(NBR) 75 내지 85 중량%,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및 마스터배치(Master batch) 5 내지 10 중량%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식돌기들은 상기 홈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일측면이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홈의 바닥면의 상부에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표식돌기를 탄발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표식돌기가 가압될 때 압축되어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탄성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부는 중앙부가 상향으로 만곡되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양 단부가 상기 홈의 대향되는 측벽에 결합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한 쌍의 연장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판은 중앙에 양면을 관통하는 통과공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고, 상기 표식돌기가 가압되어 상기 만곡부의 중앙부가 하강할 때 상기 연장부가 상기 통과공의 둘레를 형성하는 상부면의 일측을 가압하면서 상기 통과공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표식돌기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과, 탄성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되 상면에 상기 스프링의 하부가 결합되며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판은 중앙에 양면을 관통하는 통과공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고, 상기 표식돌기가 가압되어 상기 만곡부의 중앙부가 하강할 때 상기 연장부가 상기 통과공의 둘레를 형성하는 상부면의 일측을 가압하면서 상기 통과공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통과공을 향할수록 두께가 좁아지는 경사부가 상기 통과공의 둘레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진동판과 결합된 상기 홈의 측벽을 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연장부가 하강할 때 상기 돌출부의 단부가 일측 경사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일측부에 인접한 경사부가 상기 돌출부의 단부의 직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 및 표식돌기가 고무조성물에 의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제조방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증가하여 외부 충격으로 인한 몸체 및 표식돌기의 파손을 현저히 점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무조성물이 니트릴 고무(NBR) 75 내지 85 중량%,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및 마스터배치(Master batch) 5 내지 10 중량%로 형성되어 수용성, 내오존성 및 내구성이 증가하여 외부 환경에 의한 파손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식돌기의 내부 공간에 탄성부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탄성부의 압축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판이 설치됨으로써 시각장애인에 의해 표식돌기가 가압될 때 진동판이 진동되어 시각장애인이 표식돌기와의 접촉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콘크리트 재질의 표식돌기가 노란색으로 도색된 종래의 점자블록의 파손된 상태를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다.
도 2는 표식돌기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재질의 몸체에 덮어 씌워 결합된 점자블록의 파손상태를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다.
도 3은 국내등록특허 제10-0949647호(발명의 명칭 :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점자블록)에 개시된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형성하는 고무조성물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표식돌기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탄성부 및 진동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돌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진동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진동판이 진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표식돌기가 가압될 때를 나타내는 표식돌기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형성하는 고무조성물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의 고무조성물(100)은 니트릴 고무(NBR)(101) 75 내지 85 중량%,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103) 10 내지 15 중량% 및 마스터배치(Master batch)(105) 5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진다.
또한 고무조성물(100)의 혼합이 완료되면 고무조성물(100)은 용융공정을 통해 용융된 후 후술되는 도 5의 몸체(3) 및 표식돌기(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된다.
니트릴고무(NBR)(101)는 부타디엔(Butadiene)과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이 에멀션화중합법(Emulsion Polymerization)에 의하여 합성된 고무이며, 탄화수소에 대한 내유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내열성, 내오존성, 수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아크릴로니트릴 1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함으로써 외부 환경요인에 의하여 파손이 쉽게 이루어지는 종래 점자블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니트릴고무(101)는 고무조성물(100)의 75 내지 85 중량%로 함유된다. 이때 니트릴고무(101)가 고무조성물(100)의 75 중량% 미만이면 내유성 및 수용성이 높은 아크릴로니트릴의 함유량이 너무 낮아져 내유성 및 수용성이 떨어지게 되고, 85 중량% 이상이면 아크릴로니트릴의 함유량이 높아 마찰계수가 증가하여 항장력, 내충격성, 인장강도 등이 떨어짐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하여 파손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고무조성물(100)은 탄산칼슘(103) 10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고, 만약 탄산칼슘(103)의 함유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탄산칼슘의 함유량이 너무 낮아져 내마모성 및 저항성이 떨어지게 되고, 탄산칼슘(103)의 함유량이 15 중량% 이상이면 탄산칼슘의 함유량이 높아 내유성 및 수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고무조성물(100)은 마스터배치(105)가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만약 마스터배치(105)의 함유량이 5 중량% 미만이면 분산성이 과도하게 떨어지게 되고, 마스터배치(105)의 함유량이 10 중량% 이상이면 마스터배치의 함유량이 너무 높아 내유성 및 수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1)은 도 4의 고무조성물(100)에 의해 몸체(3) 및 표식돌기(5)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하여 표식돌기(5)가 몸체(3)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니트릴고무(101)의 특성에 따라 수용성, 내열성, 내마모성 및 내오존성이 높아 외부 환경에 의한 몸체(3) 및 표식돌기(5)의 마모 및 변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1)은 표식돌기(5)가 신축성을 갖는 고무조성물(100)로 형성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에 의해 표식돌기가(5)가 가압되는 경우 표식돌기(5)가 하방으로 압축됨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1)은 두께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면에 상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파이는 복수개의 설치홈(33)들이 형성되는 몸체(3)와, 몸체(3)의 설치홈(33)들 각각에 몸체(3)의 상부면보다 융기되되 장방형으로 돌출되는 방향유도용 표식돌기(51) 또는 원 형상으로 돌출되는 위치표시용 표식돌기(53)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식돌기(5)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점자블록(1)의 몸체(3)의 상부면에 방향유도용 표식돌기(51) 및 위치표시용 표식돌기(53)들이 함께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1)은 공지된 바와 같이 몸체(3)의 상부면에 방향유도용 표식돌기(51) 및 위치표시용 표식돌기(53)들 중 어느 하나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몸체(3)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세하게로는 한국표준협회(KS)에 명시된 300 × 300 × 60 (mm)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3)는 도 4의 고무조성물(100)에 의해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 및 설치작업 없이 일반 보도블록 사이에 끼움결합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시간 및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다.
방향유도용 표식돌기(51)는 몸체(3)의 설치홈(33)에 설치되되 장방형으로 몸체(3)의 상부면보다 융기되도록 설치되며, 길이방향이 시각장애인이 보행할 진행방향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보행방향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방향유도용 표식돌기(5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의 상부면보다 상향으로 융기되어 설치홈(33)의 바닥면과 이격됨으로써 내부에 공간(513)이 형성된다.
즉 방향유도용 표식돌기(5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신축성이 높은 고무조성물(100)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의 신발 및 지팡이에 의해 가압될 때 융기된 돌출면이 내부 공간(513)을 향하여 하방으로 압축되게 된다.
위치표시용 표식돌기(53)는 방향 전환지점, 횡단보도, 승강장, 신호등 및 위험지역 등에 설치됨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보행위치 및 위험여부 정보를 제공하며, 몸체(3)의 설치홈(33)에 설치되되 몸체(3)의 상부면보다 외측으로 원 형상으로 융기된다.
또한 위치표시용 표식돌기(53)는 방향유도용 표식돌기(51)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공간(533)이 형성된다.
도 8은 도 7의 표식돌기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탄성부 및 진동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돌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과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유도용 표식돌기(51)는 몸체(3)의 설치홈(33)에 설치되되 몸체(3)의 상부면보다 상향으로 융기되어 내부에 공간(513)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513)에는 표식돌기(51)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91) 및 진동판(93). (93')이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탄성부(91)가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탄성부(91)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다양한 종류 및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탄성부(91)는 양측부가 몸체(3)에 고정되되 중앙부가 상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압력을 받을 때 하방으로 압축되며 압력이 해제될 때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갖는 만곡부(911)와, 만곡부(911)의 저면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931), (931')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만곡부(911)는 최상방으로 만곡된 영역인 중앙부가 표식돌기(51)의 상부 내면에 대접됨으로써 시각장애인에 의해 표식돌기(51)가 압력을 받아 하방으로 이동할 때 만곡부(911)도 하방으로 압축되고, 표식돌기(51)의 가압이 해제될 때 표식돌기(51)의 돌출면 및 만곡부(911)는 초기형상으로 복구된다.
또한 연장부(931), (931')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만곡부(911)의 저면 일측 및 타측 각각에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다.
또한 연장부(93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93)에 인접한 하부 일측면에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933)가 형성된다. 이때 탄성부(9)는 설치 시 돌출부(933)가 만곡부(91) 및 진동판(93)이 결합된 설치홈(33)의 측벽을 향하도록 표식돌기(5)의 내부 공간(513)에 설치된다.
또한 연장부(931)는 후술되는 도 10의 진동판(93)의 통과공(955)의 직상부에 위치하되 돌출부(933)의 하부면 중 진동판(93)의 일측부가 결합된 설치홈(33)의 측벽에 인접한 영역이, 진동판의 경사부(953)들 중 상기 일측부에 인접한 경사부(953)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연장부(931)가 하향 이동할 때 돌출부(933)의 하부면 단부가 경사부(953)에 걸리게 된다. 이때 연장부(931) 및 돌출부(933)는 하부면의 단면적이 진동판(93)의 통과공(955)의 면적보다 작은 넓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만곡부(911)가 가압될 때 통과공(955)을 관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부(91)의 돌출부(933)에 의해 진동판(93)이 진동하는 동작 및 과정은 후술되는 도 11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8의 진동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진동판이 진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진동판(9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통과공(955)을 갖는 판재(951)로 형성되며, 표식돌기(51)의 내부 공간(513)에 설치된다. 이때 통과공(955)은 탄성부(91)의 연장부(931) 및 돌출부(933)의 하부면 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연장부(931) 및 돌출부(933)가 관통되도록 한다.
또한 진동판(93)은 판재(951)의 일측부가 몸체(3)의 일측에 고정된다.
또한 진동판(93)은 통과공(955)을 형성하는 둘레에 통과공(955)을 향할수록 두께가 줄어들도록 경사지는 경사부(953)가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압력에 따라 돌출부(933)가 통과공(955)으로 원활하게 관통되도록 한다. 이때 경사부(953)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91)는 연장부(931) 및 돌출부(933)가 진동판(93)의 통과공(955)의 직상부에, 상세하게로는 돌출부(933)의 하부면 중 진동판(93)이 결합된 설치홈(33)의 측벽에 인접한 영역이 상기 측벽에 인접한 경사부(953)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게 되면, 외부 압력은 표식돌기(5) -> 탄성부(91)의 만곡부(911) -> 연장부(931) -> 돌출부(933)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933)의 하부면의 일측 단부가 경사부(953)에 걸리게 되고, 경사부(953)가 돌출부(933)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되어 진동판(93)이 기울어지게 된다.
이때 만약 외부 압력이 한계치 이상을 초과하면 진동판(93)이 더욱 경사짐에 따라 경사부(953)에 대접되는 돌출부(933)의 단부는 경사부(953)를 따라 하향 이동하여 통과공(955)을 통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진동판(93)은 순간적으로 압력이 해제되어 진동하게 된다.
도 12는 표식돌기가 가압될 때를 나타내는 표식돌기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1)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식돌기(5)가 시각장애인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때 만곡부(91)의 만곡진 중앙부는 표식돌기(5)의 상부 내면에 대접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돌출부(9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부가 진동판(93)의 경사부(953)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각장애인에 의해 표식돌기(5)가 가압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식돌기(5)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표식돌기(5)의 하방 이동에 따라 탄성부(91)의 만곡부(911) 및 연장부(931) 또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돌출부(933)는 연장부(931)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진동판(93)의 경사부(953)에 걸려 경사부(953)를 하방으로 밀어내어 진동판(93)의 몸체(3)에 고정되지 않은 타측부가 하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연장부(931) 및 돌출부(933)에 힘이 가해지면 돌출부(933)의 단부는 경사부(953)의 경사면을 따라 통과공(955)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진동판(93)은 하방으로 힘을 받은 상태에서 돌출부(933)가 순간적으로 통과공(955)을 통과함에 따라 순간적으로 가압이 해제되어 진동하게 된다.
이때 진동판(93)은 통과공(955) 둘레에 경사부(953)가 형성됨에 따라 돌출부(933)에 의해 진동판(93)이 한계치 이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돌출부(933)가 경사부(953)를 따라 통과공(955)을 원활하게 통과하게 되고, 반대로 가압이 해제되어 표식돌기(5) 및 탄성부(91)의 만곡부(911)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때 통과공(955)의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933)는 경사부(953)를 따라 원활하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1)은 표식돌기(5)의 내부 공간에 탄성부(91) 및 진동판(93)이 설치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점자블록(1)의 표식돌기(5)를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망의 보행정보를 시각장애인에게 정확하게 전달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200)은 도 5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1)과 동일한 구성의 몸체(3), 도 10의 진동판(93)이 설치되는 표식돌기(5)로 구성되고, 표식돌기(5) 내부에 탄성부(201)가 설치된다.
탄성부(201)는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갖는 코일스프링(211)과, 판재로 형성되어 상부면이 코일스프링(21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판(213) 및 제2 지지판(21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지지판(213)은 일측부가 몸체()의 내측벽에 결합되며, 제2 지지판(213')은 대향되는 타측부가 상기 제1 지지판(213)이 결합된 몸체()의 내측벽에 대향되는 내측벽에 결합된다.
제1 지지판(213) 및 제2 지지판(213')은 하부면 중앙으로부터 수직 절곡되는 연장부(231)가 형성되고, 연장부(231)의 일측면에는 돌출부(233)가 형성된다.
이때 연장부(231) 및 돌출부(23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점자블록(1)의 연장부(231) 및 돌출부(233)와 같이 진동판(93)의 직상부에 위치하되 돌출부(233) 단부가 진동판(93)의 경사부(933)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201)에 의해 진동판(93)이 진동하는 원리 및 과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탄성부(9)와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1)은 표식돌기(5) 내부에 탄성부(9), (201) 및 진동판(93)이 설치됨으로써 시각장애인에 의해 표식돌기(5)가 가압될 때 하방으로 신축되고, 진동판(93)에 의해 진동되어 시각장애인이 표식돌기(5)와의 접촉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식돌기(5)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보행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몸체 및 표식돌기가 고무조성물에 의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제조방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증가하여 외부 충격으로 인한 몸체 및 표식돌기의 파손을 현저히 점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조성물이 니트릴 고무(NBR) 75 내지 85 중량%,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및 마스터배치(Master batch) 5%로 형성되어 수용성, 내오존성 및 내구성이 증가하여 외부 환경에 의한 파손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1: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3:몸체
5:표식돌기 9:탄성부
51:방향유도형 표식돌기 53:위치표시용 표식돌기
93:진동판 911:만곡부
931:연장부 933:돌출부

Claims (7)

  1. 시각장애인에게 보행방향 및 위험정보를 포함하는 보행정보를 안내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하향된 바닥면을 갖는 홈들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면보다 상향으로 융기되어 상기 홈들을 덮는 표식돌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 및 상기 표식돌기들은 합성수지인 고무조성물에 의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무조성물은 니트릴 고무(NBR) 75 내지 85 중량%,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및 마스터배치(Master batch) 5 내지 10 중량%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식돌기들은 상기 홈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탄성력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홈의 바닥면의 상부에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표식돌기를 탄발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표식돌기가 가압될 때 압축되어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탄성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중앙부가 상향으로 만곡되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양 단부가 상기 홈의 대향되는 측벽에 결합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한 쌍의 연장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판은 중앙에 양면을 관통하는 통과공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고,
    상기 표식돌기가 가압되어 상기 만곡부의 중앙부가 하강할 때 상기 연장부가 상기 통과공의 둘레를 형성하는 상부면의 일측을 가압하면서 상기 통과공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표식돌기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과, 탄성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되 상면에 상기 스프링의 하부가 결합되며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판은 중앙에 양면을 관통하는 통과공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고,
    상기 표식돌기가 가압되어 상기 만곡부의 중앙부가 하강할 때 상기 연장부가 상기 통과공의 둘레를 형성하는 상부면의 일측을 가압하면서 상기 통과공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통과공을 향할수록 두께가 좁아지는 경사부가 상기 통과공의 둘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진동판과 결합된 상기 홈의 측벽을 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연장부가 하강할 때 상기 돌출부의 단부가 일측 경사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일측부에 인접한 경사부가 상기 돌출부의 단부의 직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KR1020130033797A 2013-03-28 2013-03-28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KR101456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797A KR101456537B1 (ko) 2013-03-28 2013-03-28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797A KR101456537B1 (ko) 2013-03-28 2013-03-28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240A true KR20140118240A (ko) 2014-10-08
KR101456537B1 KR101456537B1 (ko) 2014-10-31

Family

ID=5199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797A KR101456537B1 (ko) 2013-03-28 2013-03-28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010A (ko) * 2017-11-16 2019-05-2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647B1 (ko) * 2008-01-21 2010-03-26 정계숙 시각 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점자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010A (ko) * 2017-11-16 2019-05-2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537B1 (ko)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2872B2 (en) Detectable guidance markers for tactile navigation, including indicia of obstacle presence, type, dimensions, direction, and/or proximity
US6978551B2 (en) Picture hanging device
KR101456537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KR102054727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JP4153008B2 (ja) 路面ブロックの製造方法
TW50207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rning individuals of unsafe zones
KR100949647B1 (ko) 시각 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점자블록
KR100794334B1 (ko)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KR20110100033A (ko)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KR200324258Y1 (ko) 유도 블록 및 타일
KR100462203B1 (ko) 마모한계시점을 표시하는 공기입 타이어
KR200171376Y1 (ko) 시각장애인용점자유도블럭
JP2015129379A (ja) 床用シート材及び表示用床構造
KR102469670B1 (ko)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
KR20130037598A (ko)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및 그의 시공 방법
CN216428076U (zh) 一种工地边界触感警示地盒及警示带
CN219719871U (zh) 一种基于盲道的新型导盲鞋
KR20090015529A (ko)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KR200442733Y1 (ko)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록
KR20060115066A (ko) 점자유도 블록
JP6587151B2 (ja) フロアプレート
KR200188037Y1 (ko) 시각장애인용 접착형 선형 점자 블록
KR20110091355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도블럭
KR200366542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JP2015194016A (ja) 視覚障害者誘導用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