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733Y1 -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록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733Y1
KR200442733Y1 KR2020080008310U KR20080008310U KR200442733Y1 KR 200442733 Y1 KR200442733 Y1 KR 200442733Y1 KR 2020080008310 U KR2020080008310 U KR 2020080008310U KR 20080008310 U KR20080008310 U KR 20080008310U KR 200442733 Y1 KR200442733 Y1 KR 200442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case
reinforcing member
guide block
brail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Priority to KR2020080008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7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7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01C5/22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or prefabricated foundation uni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자 유도블록의 케이스 내부에 보강부재를 삽입할 경우, 상기 보강부재의 보강 단턱에 형성되는 보강 돌기부가 케이스의 내면과 밀착 고정되어, 보강부재가 케이스의 내부에 뒤틀림 없이 정확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점자 유도블록의 케이스 각 모서리부의 빈번한 하중에 의해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시키며, 상기 보강부재의 보강 단턱 사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일자형 리브 및 보강부재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십자형 리브에 의해,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의 경화에 따른 보강부재의 편심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한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점자 유도블록(100)의 케이스(110) 내부에 충진물(120)을 개재하여 삽입되는 보강부재(140)는, 각 모서리부에 보강단턱(150)이 길이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보강단턱(150)의 외면에는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밀착 고정되는 다수의 보강 돌기부(16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140)의 보강 단턱(150) 사이에는 일자형 리브(170)가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보강부재(140)의 표면 중앙에는 십자형 리브(180)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점자 유도블록, 케이스, 보강부재, 보강단턱, 보강 돌기부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록{A Raised Letters Block For Blind Man}
본 고안은 점자 유도블록의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부재의 각 모서리부에 보강 단턱이 길이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이때 상기 보강단턱의 외면에는 케이스의 내측면과 밀착 고정되는 다수의 보강 돌기부가 형성되어, 점자 유도블록의 케이스 내부에 보강부재를 삽입할 경우, 상기 보강부재의 보강 단턱에 형성되는 보강 돌기부가 케이스의 내면과 밀착 고정되어, 보강부재가 케이스의 내부에 뒤틀림 없이 정확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점자 유도블록의 케이스 각 모서리부의 빈번한 하중에 의해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시키며, 상기 보강부재의 보강 단턱 사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일자형 리브 및 보강부재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십자형 리브에 의해,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의 경화에 따른 보강부재의 편심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한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에 있어서는, 점자 유도 로를 인식할 수 있도록한 점자 요철과, 상기 점자 요철이 형성되는 블록 전체를 콘크리트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점자 요철이 콘크리트로 인하여 딱딱하여 감각에만 의존하는 시각 장애인들이 지팡이로 점자 요철을 감지했을때 강한 반응을 일으키게 됨은 물론, 상기 점자 요철부위의 마모로 인하여 점자 유도블록의 기능이 쉽게 상실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같은 콘크리트 바닥재의 상측에 시각 장애인 인식용 점자 요철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고무재질의 상판을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같은 점자 요철블록의 경우, 고무재질의 점자요철에 의하여 쿠션이 있기 때문에, 바닥의 상황을 쉽게 구별할 수 있지는 장점은 있으나, 고무재질의 상판 모서리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상기와같은 단점 및 문제점을 개선하여, 점자블록의 내부에 보강부재를 삽입하고, 그 주연부에는 충진물을 충진하여 경화 시킴으로서, 보강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며, 점자블록 케이스 표면에 나타나는 싱크마크 표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이 알려져 있다.
즉,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점자 유도블록의 케이스(10)의 표면으로 점자요철(2)이 다수개 일체로 돌출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는 다수의 협착홀(3)이 형성되는 보강부재(2)가 삽입되고, 이때 상기 보강부재(2)가 케이스(10)내부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보강부재(2)의 주연부를 따라 충진물(4)이 충진되어 경화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의 경우, 사각형 케이 스(10)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4)의 경화속도 차이로 인하여, 케이스(10) 내부 한쪽의 충진물(4) 두께(d)가 이와 대향하는 한쪽면의 두께(d') 보다 얇아지게 되어, 보강부재(2)가 한쪽면으로 뒤틀려 쏠리게 되는 편심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케이스(10)의 한쪽면이 함몰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커다란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점자 유도블록의 케이스(10) 주연 모서리부는 빈번한 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점자 유도블록의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부재의 각 모서리부에 보강 단턱이 길이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이때 상기 보강단턱의 외면에는 케이스의 내측면과 밀착 고정되는 다수의 보강 돌기부가 형성되어, 점자 유도블록의 케이스 내부에 보강부재를 삽입할 경우, 상기 보강부재의 보강 단턱에 형성되는 보강 돌기부가 케이스의 내면과 밀착 고정되어, 보강부재가 케이스의 내부에 뒤틀림 없이 정확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점자 유도블록의 케이스 각 모서리부의 빈번한 하중에 의해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시키며, 상기 보강부재의 보강 단턱 사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일자형 리브 및 보강부재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십자형 리브에 의해,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의 경화 에 따른 보강부재의 편심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점자 유도블록의 케이스 내부에 충진물을 개재하여 협착홀이 다수개 형성되는 보강부재가 삽입되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점자 유도블록의 케이스 내부에 충진물을 개재하여 삽입되는 보강부재의 각 모서리부에 보강 단턱이 길이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보강단턱의 외면에는 케이스의 내측면과 밀착 고정되는 다수의 보강 돌기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의 보강 단턱 사이에는 일자형 리브가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을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강부재의 표면 중앙에는 십자형 리브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에 의하면, 점자 요철이 표면에 다수개 형성되는 점자 유도블록의 케이스 내부에 보강부재를 삽입할 경우, 상기 보강부재의 보강 단턱에 형성되는 보강 돌기부가 케이스의 내면과 밀착 고정되어, 보강부 재가 케이스의 내부에 뒤틀림 없이 정확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점자 유도블록의 케이스 각 모서리부의 빈번한 하중에 의해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시키며, 상기 보강부재의 보강 단턱 사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일자형 리브 및 보강부재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십자형 리브에 의해,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의 경화에 따른 보강부재의 편심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의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부재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의 결합상태 배면 사시도로서, 점자 요철(111)이 표면에 다수개 형성되는 점자 유도블록(100)의 케이스(110) 내부에 충진물(120)을 개재하여 협착홀(130)이 다수개 형성되는 보강 부재(140)가 삽입된다.
상기 점자 유도블록(100)의 케이스(110) 내부에 충진물(120)을 개재하여 삽입되는 보강부재(140)는, 각 모서리부에 보강단턱(150)이 길이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보강단턱(150)의 외면에는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밀착 고정되는 다수의 보강 돌기부(16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140)의 보강 단턱(150) 사이에는 일자형 리브(170)가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140)의 표면 중앙에는 십자형 리브(180)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점자 요철(111)이 표면에 다수개 형성되는 점자 유도블록(100)의 케이스(110) 내부에 충진물(120)을 개재하여 협착홀(130)이 다수개 형성되는 보강부재(140)가 삽입 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140)는 그 주연부 및 협착홀(130)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120)에 의해 케이스(110)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점자 유도블록(100)의 케이스(110) 내부에 충진물(120)을 개재하여 삽입되는 보강부재(140)는, 각 모서리부에 보강단턱(150)이 길이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보강단턱(150)의 외면에는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밀착 고정되는 다수의 보강 돌기부(16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 됨으로써, 상기 보강부 재(140)의 보강 단턱(150)에 형성되는 보강 돌기부(160)가 케이스(110)의 내면과 밀착 고정되어, 상기 보강부재(140)가 케이스(110)의 내부에 뒤틀림 없이 정확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점자 유도블록(100)의 케이스(110) 각 모서리부가 빈번한 하중에 의해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보강부재(140)의 보강 단턱(150) 사이에는 일자형 리브(170)가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이때 상기 보강부재(140)의 표면 중앙에는 십자형 리브(180)가 일체로 돌출 설치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140)의 고정을 위하여 케이스(110)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120)은, 상기 보강단턱(150)에 일체로 형성되는 보강 돌기부(160)와, 일자형 리브(170) 및 십자형 리브(180)에 의하여, 충진물의 경화에 따른 보강부재(140)의 편심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정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의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부재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의 결합상태 배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점자 유도블록 110...케이스
120...충진물 130...협착홀
140...보강부재 150...보강단턱
160...보강 돌기부 170...일자형 리브
180...십자형 리브

Claims (2)

  1. 점자 요철(111)이 표면에 다수개 형성되는 점자 유도블록(100)의 케이스(110) 내부에 충진물(120)을 개재하여 협착홀(130)이 다수개 형성되는 보강부재(140)가 삽입되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점자 유도블록(100)의 케이스(110) 내부에 충진물(120)을 개재하여 삽입되는 보강부재(140)는, 각 모서리부에 보강단턱(150)이 길이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보강단턱(150)의 외면에는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밀착 고정되는 다수의 보강 돌기부(16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140)의 보강 단턱(150) 사이에는 일자형 리브(170)가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140)의 표면 중앙에는 십자형 리브(180)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 유도블록.
KR2020080008310U 2008-06-20 2008-06-20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록 KR200442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310U KR200442733Y1 (ko) 2008-06-20 2008-06-20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310U KR200442733Y1 (ko) 2008-06-20 2008-06-20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733Y1 true KR200442733Y1 (ko) 2008-12-05

Family

ID=4164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310U KR200442733Y1 (ko) 2008-06-20 2008-06-20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7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809B1 (ko) * 2019-09-09 2020-11-10 신도산업 주식회사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809B1 (ko) * 2019-09-09 2020-11-10 신도산업 주식회사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733Y1 (ko)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록
KR100539481B1 (ko) 계단용 조립식 논슬립패드
KR102054727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KR100703237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4334B1 (ko)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JP3897927B2 (ja) パレット用滑り止め部材
KR200170759Y1 (ko) 계단용 논슬립
KR100805576B1 (ko) 시각장애인 유도용 블록
KR101103076B1 (ko) 그레이팅 어셈블리
KR200391082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KR101002289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KR200391042Y1 (ko) 점자유도 블록
KR100877786B1 (ko) 보도블록
KR100661268B1 (ko) 점자유도 블록
KR200297349Y1 (ko) 타일 부착형 보도블록 조립체
KR200190076Y1 (ko) 보도블럭
JP7170352B1 (ja) 床下用排水部材
KR200288117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KR101812477B1 (ko)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데크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0384056Y1 (ko) 계단 논 슬립
KR200291927Y1 (ko) 도로경계석
KR101038545B1 (ko) 수지 그레이팅
KR20090109517A (ko) 계단용 조립식 자전거 블록
JP2007186902A (ja) 溝蓋
KR102393797B1 (ko) 안전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