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268B1 - 점자유도 블록 - Google Patents

점자유도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268B1
KR100661268B1 KR1020050037366A KR20050037366A KR100661268B1 KR 100661268 B1 KR100661268 B1 KR 100661268B1 KR 1020050037366 A KR1020050037366 A KR 1020050037366A KR 20050037366 A KR20050037366 A KR 20050037366A KR 100661268 B1 KR100661268 B1 KR 100661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rotrusion
inner block
wast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5066A (ko
Inventor
박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임 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임 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임 테크
Priority to KR1020050037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268B1/ko
Publication of KR2006011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8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rubber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비닐이나 폐타이어등 폐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된 내부블록과; 상면에는 원형돌기 또는 선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블록 상단에 마련되며, 쿠션을 구비한 재질로 제조된 돌기판과; 상기 돌기판의 원형돌기 또는 선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상면과, 상기 돌기판이 내부블록 상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블록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는 고정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유도 블록을 개시한다.
점자, 유도, 블록, 고정캡, 돌기판

Description

점자유도 블록{BRAILLE/LEADING BLOCK}
도1은 일반적인 점자유도블록의 외관도이며,
도2(a) 및 도2(b)는 종래의 점자유도블록의 단면도이며,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유도블록의 분리사시도이며,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유도블록의 결합사시도이며,
도5(a)는 도4(a)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5(b)는 도4(b)의 B-B선의 단면도이며,
도6 및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점자유도블록의 변형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내부블럭 120: 돌기판
121a: 원형돌기 121b: 선형돌기
130: 고정캡 131: 상면
132: 측벽 133a, 133b: 삽입공
134: 결합돌기 135: 충진요홈
본 발명은 점자유도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블록을 폐비닐이나 폐타이어등 폐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하여 친환경적 차원에서 폐자원을 활용하고, 내부블록 상면에는 원형돌기나 선형돌기가 형성된 쿠션재질의 돌기판을 마련하여 원형돌기나 선형돌기의 파손 및 보행자의 미끄럼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블록과 돌기판의 이탈/분리를 해소하기 위해 내부블록과 돌기판을 결합시키는 고정캡을 더 형성시킨 점자유도 블록에 관한 것이다.
점자유도 블록(10)이란 시각장애인의 편의시설로서, 횡단보도, 버스, 택시 정류장, 육교부근, 지하도 부근등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안내하기 위한 블록으로서, 도1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점자블록(20)은 상면에 36개의 원형돌기(21)가 형성되어 시각장애인의 보행 동선의 분기점, 시발점, 목적지들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위험물이나 위험지역을 둘러 막는데 사용되는 블록이며, 유도블록(30)은 상면에 4개의 선형돌기(31)가 형성되어 시각장애인의 보행동선의 분기점, 대기점, 시발점에서 목적방향으로 일정한 거리까지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안내하기 위한 블록이다.
하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점자유도블록(10)은 콘크리트로 제조되었기 때문 에, 특히 비길 보행시 미끄러 넘어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으며, 충격에 약해 표면 원형돌기나 선형돌기가 깨지는 경우에는 점자유도블록으로서 더 이상을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였으며, 자외선 또는 기후변화에 따른 표면 유색층의 변색, 탈색으로 인해 도시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실용신안등록 제330837호에서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원형돌기나 선형돌기가 형성된 콘크리드 블록(40)의 상단 표면부를 폴리우레탄으로 코팅(41)하여 상기 문제점의 일부를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기술 역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코팅층이 벗겨져 미관을 해치는 등 상기 문제점이 다시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그리고 폐자원 활용을 통한 친환경적 차원에서,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몸체(50)를 폐비닐이나 폐타이어등 폐합성수지로 제조한 후 그 몸체 상면에 원형돌기나 선형돌기가 형성된 합성고무등의 재질의 표면부(51)를 적층시켜 제조된 점자유도 블록이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 기술에 따른 점자 유도 블록은 표면부와 블록몸체의 결합구조가 별도로 없어 표면부가 블록몸체에서 이탈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일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블록을 폐비닐이나 폐타이어등 폐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하여 친환경적 차원에서 폐자원을 활용하고, 내부블록 상면에는 원형돌기나 선형돌기가 형성된 쿠션재질의 돌기판을 마련하여 원형돌기나 선형돌기의 파손 및 보행자의 미끄럼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블록과 돌기판의 이탈/분리를 해소하기 위해, 내부블록과 돌기판을 결합시키는 고정캡을 더 형성시킨 점자유도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폐비닐이나 폐타이어등 폐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된 내부블록과; 상면에는 원형돌기 또는 선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블록 상단에 마련되며, 쿠션을 구비한 재질로 제조된 돌기판과; 상기 돌기판의 원형돌기 또는 선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상면과, 상기 돌기판이 내부블록 상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블록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는 고정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유도 블록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3(a)은 본 발명에 따른 점자유도 블록 중 점자형 블록의 분리사시도이며, 도3(b)은 본 발명에 따른 점자유도 블록 중 유도형 블록의 분리사시도이며 도4(a)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유도 블록 중 점자형 블록의 결합사시도이며,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유도 블록 중 유도형 블록의 결합사시도이다. 또한, 도5(a)는 도4(a)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5(b)는 도4(b)의 B-B선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3 내지 도5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점자유도 블록은 내부블록(110), 돌기판(120) 및 고정캡(130)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블록(110)은 소정 크기의 육면체 형상으로, 그 재질은 친환경적 측면에서 폐비닐이나 폐타이어등과 같은 폐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판(120)은 상기 내부블록(110) 상면에 마련되며, 그 상면에는 시각장애인의 보행 동선의 분기점, 시발점, 목적지들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위험물이나 위험지역을 둘러 막는데 사용되는 다수개의 원형돌기(121a)가 형성되거나, 시각장애인의 보행동선의 분기점, 대기점, 시발점에서 목적방향으로 일정한 거리까지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개의 선형돌기(121b)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돌기판(120)은 보행시 사람과 접촉하는 부분이라는 점에서 미끄 럼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리에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쿠션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본 발명에서는 그 일례로서 상기 돌기판이 합성고무, 실리콘 또는 PVC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제안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쿠션성을 부여한다면 다른 재질로 제조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원형돌기(121a)나 선형돌기(121b)를 돌기판(120)에 일체로 형성시켰기 때문에 돌기가 파손될 우려가 없으며, 자외선 또는 기후변화에 따라 돌기판에 부여된 색상이 변색되거나 탈색될 우려가 없다는 잇점이 있다.
상기 고정캡(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131)과 측벽(132)을 포함한다. 상기 상면(131)에는 돌기판의 원형돌기(121a) 내지 선형돌기(121b)가 끼워진 후 돌출되는 삽입공(133a, 13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132)은 상기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내부블록의 측면을 감싸 상기 돌기판이 내부블록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고정캡(130)은 마감재로서, 그 재질은 한정되지 않지만 충격에 보호될 수 있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캡(130)의 측벽 내측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34)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결합돌기(134)가 내부블록(110)에 내침하여 고정캡(130)이 내부블록(110)에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캡(130)이 점자유도 블록에서 흔들릴 우려가 없으며, 고정캡(130)이 돌기판(120)을 내부블록(110)에 보다 밀착시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의 형상은 도시된 것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점자유도 블록의 제조방법 및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여기서, 서술될 제조방법은 일례로 제안된 것이지 한정하고자 제안한 것은 아니어서 다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음은 미리 밝혀둔다.
먼저, 폐비닐이나 폐타이어와 같은 폐합성수지를 녹여 내부블록(110)을 압출 성형한 다음 내부블록(110)이 완전히 응고되기 전에, 별도 사출된 돌기판(120)을 적층시키고, 다시 별도 사출된 고정캡(130)을 돌기판(120)과 내부블록(110)을 커버링하게 배치시킨 다음 프레스 가압하면, 돌기판(120)과 고정캡(130)은 내부블록(110)이 응고되면서 접촉면에서 가압 접착되며, 고정캡의 결합돌기(134)도 내부블록(110)의 측면 내부로 침투하여 내부블록 내에 결합되게 되어, 그 제조가 완성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조된 점자유도 블록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내부블록(110)을 폐합성수지로 제조하였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라는 효과가 있으며, 종래에는 돌기판과 내부블록 상호간의 별도의 결합구조가 없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 의해 돌기판이 내부블록에서 이탈될 우려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결합구조 로서, 고정캡(130)이 돌기판(120)을 상면과 측면에 감싸고 있으므로 돌기판(120)이 내부블록(110)에서 이탈될 우려가 없으며, 보행시 사람과 접촉하는 부분인 돌기판을 쿠션재질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미끄럼 현상이 방지될 수 있음과 동시에 충격을 감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캡(130)의 양측 외측벽에는 점자유도블록과 경계되어 타설되는 경계변의 흙 또는 시멘트(140)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충진요홈(13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경계변의 흙 또는 시멘트(140)가 상기 충진요홈에 충진됨으로써 점자유도블록이 경계변 사이에 유동없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점자유도블록은 내부블록을 폐비닐이나 폐타이어등 폐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하여 친환경적 차원에서 폐자원을 활용하고, 내부블록 상면에는 원형돌기나 선형돌기가 형성된 쿠션재질의 돌기판을 마련하여 원형돌기나 선형돌기의 파손 및 보행자의 미끄럼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부블록과 돌기판을 결합시키는 고정캡을 더 형성함으로써 돌기판이 내부블록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청구범위에 의 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폐비닐이나 폐타이어등 폐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된 내부블록과;
    상면에는 원형돌기 또는 선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블록 상단에 마련되며, 쿠션을 구비한 재질로 제조된 돌기판과;
    상기 돌기판의 원형돌기 또는 선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상면과, 상기 돌기판이 내부블록 상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블록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는 고정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유도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판은 합성고무, 실리콘 또는 PVC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유도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의 측벽 내측에는 상기 내부블록에 내침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유도 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의 양측 외측벽에는 점자유도블록과 경계되어 타설되는 경계변의 흙 또는 시멘트가 충진될 수 있는 충진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유도 블록.
KR1020050037366A 2005-05-04 2005-05-04 점자유도 블록 KR100661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366A KR100661268B1 (ko) 2005-05-04 2005-05-04 점자유도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366A KR100661268B1 (ko) 2005-05-04 2005-05-04 점자유도 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536U Division KR200391042Y1 (ko) 2005-05-04 2005-05-04 점자유도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066A KR20060115066A (ko) 2006-11-08
KR100661268B1 true KR100661268B1 (ko) 2006-12-28

Family

ID=3765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366A KR100661268B1 (ko) 2005-05-04 2005-05-04 점자유도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2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727B1 (ko) * 2018-03-07 2019-10-25 주식회사 엔에스피앤피 폐부직포와 폐비닐을 이용한 경계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066A (ko)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268B1 (ko) 점자유도 블록
KR200391042Y1 (ko) 점자유도 블록
KR101260584B1 (ko) 점자블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949647B1 (ko) 시각 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점자블록
US10940896B2 (en) Reinforcing devices
KR100805576B1 (ko) 시각장애인 유도용 블록
JP4238658B2 (ja) 歩行者に情報を提供する歩道設置ブロック
KR200288117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KR200466727Y1 (ko) 지중케이블보호판
KR200381325Y1 (ko) 보도블록
KR200391082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KR940000061A (ko) 구두의 리프트 구조물
KR200442733Y1 (ko)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록
KR200385495Y1 (ko) 합성수지제 보도 블록
KR200403797Y1 (ko) 시각장애인 안내용 유도블록
KR20170053241A (ko) 보도블록
DE60234033D1 (de) Extrudat mit auf einem kern coextrudiertem thermoplastischem elastomer mit zusätzlicher ionomerer schaufläche
KR101456537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KR200453578Y1 (ko)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럭
KR20140055221A (ko)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자블록
KR20090109517A (ko) 계단용 조립식 자전거 블록
KR101033294B1 (ko)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점자블록
KR200185668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JP2008285884A (ja) 橋梁用簡易鋼製縦型伸縮装置
KR100600039B1 (ko) 시각장애인용 유도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