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294B1 -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점자블록 - Google Patents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점자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294B1
KR101033294B1 KR1020100115215A KR20100115215A KR101033294B1 KR 101033294 B1 KR101033294 B1 KR 101033294B1 KR 1020100115215 A KR1020100115215 A KR 1020100115215A KR 20100115215 A KR20100115215 A KR 20100115215A KR 101033294 B1 KR101033294 B1 KR 101033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raille block
braille
manufactu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복
손천근
Original Assignee
손천근
이용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천근, 이용복 filed Critical 손천근
Priority to KR102010011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assembled from preform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56Means for inserting the elements into the mould or supporting them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점자블록은, 블록 구조물을 성형할 때 인서트 방식으로 돌출 구조물을 삽입하여 성형하여 제작하므로,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완충력이 우수하여 시각장애인을 포함한 보행자에게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보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은 높아지도록 하여, 보다 우수한 품질을 구현함과 아울러 경제성도 높아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점자블록{Braille blo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의 보행을 안내하는 점자블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자블록은 시각 장애인 등의 보행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블록 구조물의 상부에 점자 구조를 갖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된다.
이러한 점자블록은 통상 블록 구조물 상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커버를 결합시켜 구성하거나, 각각의 돌출부를 블록 구조물 상부에 고정시켜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점자블록은 돌출부가 딱딱한 구조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완충력이 떨어져서 시각 장애인은 물론 일반 보행자에게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보행로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딱딱한 돌출부로 인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보다 쾌적한 보행 환경을 제공하지 못함은 물론, 시각 장애인 및 일반 보행자가 보행 중 넘어졌을 때 안전사고의 위험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 보행시에 상당한 피로를 줄뿐만 아니라 지팡이 등이 접촉할 때 소음 발생이 커지는 문제도 있다.
한편, 블록 구조물 상부에 구비되는 돌출부를 고무재와 같은 연성의 재질로 구성한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점자블록의 경우에 돌출부가 쉽게 손상되어 내구성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블록 구조물에 돌출부를 구성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이를 제조하는 과정도 쉽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배경기술의 내용은 이 건 출원의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블록 구조물을 성형할 때 인서트 방식으로 돌출 구조물을 삽입하여 성형하여 제작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완충력이 우수하여 시각장애인을 포함한 보행자에게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보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점자블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은 높아지도록 하여, 보다 우수한 품질을 구현함과 아울러 경제성도 높아질 수 있도록 하는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점자블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점자블록 제조방법은, 밑면을 갖는 사각틀체 구조의 하부 성형틀의 내측 바닥면에, 점자블록을 구성하는 돌출부를 거꾸로 하여 일정 간격마다 배열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가 완료되면, 하부 성형틀 내에 콘크리트 반죽을 일정 높이만큼 투입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가 완료되면, 상부 성형틀을 이용하여 상측에서 콘크리트 반죽을 눌러 점자블록의 밑면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단계에서 돌출부는 야광성 재질이 포함되어 구성되고, 전체 구조는 점자블록을 구성하는 블록부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블록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블록부 내측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지게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단계에서 이용되는 하부 성형틀은 그 내측 바닥면에 상기 돌출부가 거꾸로 배치된 상태에서 머리부가 일정 깊이만큼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단계는, 상기 상부 성형틀을 이용하여 점자블록의 밑면에 복수의 음각 홈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점자블록은, 밑면에 복수의 음각 홈부가 형성되는 블록부와, 상기 블록부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블록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블록부 내에서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돌출부의 내측과 블록부의 상면 사이에는 다공부재가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부는 상기 돌출부의 연장부 및 걸림부가 삽입되는 장착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 홈부에는 접합부재가 투입되어 상기 돌출부를 블록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점자블록은,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완충력이 우수하여 시각장애인을 포함한 보행자에게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보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또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내구성은 높아지도록 하여, 보다 우수한 품질을 구현함과 아울러 경제성도 높아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충격과 압착으로 인해 균열을 최소화하기 위해 우레탄 소재 돌출부를 장착하여 성형하기 때문에 완충 작용으로 점자블록의 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명과 색상 변색이 종래 점자블록에 비하여 우수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출부가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질 경우에, 밀착력과 마찰력을 강화시켜 보행에 안전감을 제공함과 아울러 완충력이 우수하여 시각 장애인이 보행할 때 발바닥에 부드러운 감각을 주어 보행에 피로를 덜어주고, 지팡이 등의 도구가 접촉할 때 마찰 감각을 부드럽게 하여 손의 피로를 덜어주며, 지팡이 마찰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보행자가 보행할 때도 돌출부가 딱딱하지 않아 안전감을 주고, 노약자, 지체 장애인, 어린이 등이 보행 중 부주의로 넘어졌을 때에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우레탄 소재에 야광축광 안료를 혼합하여 구성할 경우에 야간에 은은한 빛을 발산하여 야간 보행에 식별이 가능하여 보다 안전한 보행 환경을 조성함과 아울러, 도시 미관과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의 배면 방향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의 제조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이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이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이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이 도시된 사시도(도 1), 단면도(도 2), 배면 방향 사시도(도 3)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은 블록부(10)에 봉형 돌출부(2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부(1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면에 봉형 돌출부(20)가 구비되고, 밑면에 다수의 음각 홈부(15)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음각 홈부(15)는 외곽 돌출부와 그 안쪽의 십자형 돌출부 사이에 홈부가 각각 형성된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블록부(10)는 콘크리트 또는, 이와 유사한 페이스트(paste)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봉형 돌출부(20)는 블록부(1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머리부(21)와, 이 머리부(21)에서 블록부(1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3)와, 이 연장부(23)의 끝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블록부(10) 내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25)로 이루어진다.
연장부(23)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부(25)는 연장부(23)에서 플랜지형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봉형 돌출부(20)는 우레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우레탄 소재에 야광성 재질 즉, 야광축광 도료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의 제조 방법을 도면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참고로 예시된 순서 도면은 절개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먼저, 하부 성형틀(30)의 내측 바닥면에, 점자블록을 구성하는 봉형 돌출부(20)를 거꾸로 일정 간격마다 배열하여 배치한다.
여기서, 하부 성형틀(30)은 스티로폴 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밑면을 갖는 사각틀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하부 성형틀(30)의 바닥면은 점자블록의 봉형 돌출부(20)가 거꾸로 위치된 상태에서 머리부(21)가 일정 깊이만큼 삽입되어 안정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안착홈(32)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봉형 돌출부(20)는 도 1 등에 예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것으로 우레탄 재질을 봉 구조로 성형하여 제작한다. 이때 봉형 돌출부(20)는 우레탄 소재에 야광 축광 도료를 혼합시켜 용융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하부 성형틀(30) 내에 봉형 돌출부(20)들이 배열되면, 하부 성형틀(30) 내에 콘크리트 반죽(11)을 일정 높이만큼 투입한다.
이때, 콘크리트 반죽(11)은 모래, 자갈, 시멘트에 물을 혼합하여 믹서에서 배합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콘크리트 재질 외에 블록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재질이면 다른 반죽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하부 성형틀(30)에 콘크리트 반죽(11)이 투입된 후에, 상부 성형틀(40)을 이용하여 상측에서 콘크리트 반죽(11)을 눌러 점자블록의 밑면을 형성한다.
이때, 상부 성형틀(40)도 스티로폴 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성형면은 블록부(10)의 밑면에 형성되는 음각 홈부(15)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블록부(10)의 밑면에 田자 모양으로 4개의 음각 홈부(15)를 갖도록 성형할 수 있다(도 3 참조).
다음, 하부 성형틀(30)과 상부 성형틀(40)을 서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바이브레이터로 성형틀을 진동시켜 콘크리트 반죽(11) 내에 존재하는 기공을 제거한다.
이러한 기공제거 공정은 하부 성형틀(30)에 콘크리트 반죽(11)을 투입한 후에 상부 성형틀(40)로 누르기 전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성형된 점자블록을 이송 컨베이어 또는 운반기구로 이송하고, 건조 장치에서 점자블록을 건조하여 양생한 다음, 포장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하고, 출고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기본으로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한 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이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은 기본적으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되나, 봉형 돌출부(20)의 내측에 다공부재(27)가 삽입되는 구성이 다르게 이루어진다.
즉, 봉형 돌출부(20)의 머리부(21)의 뒤쪽과 연장부(23)의 안쪽 사이에는 다공부재(27)가 삽입되어 블록부(10)의 상부에 위치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다공부재(27)는 통상의 스폰지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공부재(27)의 하부에는 다공부재(27) 보호 시트(29)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봉형 돌출부(20) 안쪽에 다공부재(27)가 설치됨으로써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진 봉형 돌출부(20)와 함께 2중의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어 완충력을 배가할 수 있고, 또 외부 열 등에 의해 블록부(10)가 변형될 때 완충 구역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우레탄 소재의 봉형 돌출부를 형성할 때 야광축광 도료를 포함시키지 않고, 봉형 돌출부(20)의 머리부(21)와 다공부재(27) 사이에 야광체(26)를 삽입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이 도시된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달리, 블록부(10')가 이미 성형된 상태에서, 봉형 돌출부(20)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블록부(10)는 대리석, 이미 성형된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의 블록부(10')는 봉형 돌출부(20)의 연장부(23) 및 걸림부(25)가 삽입되는 장착 홈부(17)가 형성된다. 장착 홈부(17)는 봉형 돌출부(20)의 삽입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연장부(23)가 원통형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링형상의 홈 구조로 형성된 장착 홈부(17)를 예시하고 있다.
블록부(10')의 장착 홈부(17)에 봉형 돌출부(20)의 연장부(23) 및 걸림부(25)를 삽입한 다음, 접합부재(18)를 투입(충진)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블록부(10')에 봉형 돌출부(20)가 고정되어 점자블록이 완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점자블록의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는 봉형 돌출부(20)를 갖는 점자블록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방법으로 막대형 돌출부(20A)를 갖는 점자블록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블록부(10A)에 봉형 돌출부(20) 대신에 막대형 돌출부(20A)가 구성되어, 제1실시예에서 예시한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막대형 돌출부(20A)도 길게 형성된 머리부(21), 연장부(23), 걸림부(25)가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그 내측에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다공부재를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대리석 등으로 이루어진 블록부(10A)에 장착 홈부를 형성한 다음, 막대형 돌출부(20A)를 삽입하여 접합부재를 충진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밑면을 갖는 사각틀체 구조의 하부 성형틀의 내측 바닥면에, 점자블록을 구성하는 돌출부를 거꾸로 하여 일정 간격마다 배열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가 완료되면, 하부 성형틀 내에 콘크리트 반죽을 일정 높이만큼 투입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가 완료되면, 상부 성형틀을 이용하여 상측에서 콘크리트 반죽을 눌러 점자블록의 밑면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블록 제조방법.
  2. 청구항1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돌출부는 야광성 재질이 포함되어 구성되고, 전체 구조는 점자블록을 구성하는 블록부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블록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블록부 내측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지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블록 제조방법.
  3. 청구항1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이용되는 하부 성형틀은 그 내측 바닥면에 상기 돌출부가 거꾸로 배치된 상태에서 머리부가 일정 깊이만큼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블록 제조방법.
  4. 청구항1에 있어서,
    제3단계는, 상기 상부 성형틀을 이용하여 점자블록의 밑면에 복수의 음각 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블록 제조방법.
  5. 상기 청구항1 내지 청구항4 중 어느 하나의 점자블록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블록.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0115215A 2010-11-18 2010-11-18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점자블록 KR101033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215A KR101033294B1 (ko) 2010-11-18 2010-11-18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점자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215A KR101033294B1 (ko) 2010-11-18 2010-11-18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점자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957A Division KR101260604B1 (ko) 2011-02-21 2011-02-21 점자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294B1 true KR101033294B1 (ko) 2011-05-09

Family

ID=4436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215A KR101033294B1 (ko) 2010-11-18 2010-11-18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점자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2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924B1 (ko) * 2012-02-14 2012-08-03 주식회사 호영하이텍 시각장애인용 목재데크 유니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626A (ja) * 1994-08-16 1996-03-05 Nippon Light Metal Co Ltd 視覚障害者誘導用ブロック
KR20040023545A (ko) * 2002-09-09 2004-03-18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와이어 하니스의 변위범위 예측방법, 그 예측장치 및예측프로그램
KR20040089149A (ko) * 2003-04-10 2004-10-21 주식회사 신우아이에스 야광 점자블록
KR200423545Y1 (ko) 2006-05-22 2006-08-10 최병현 점자 블록
KR20090109820A (ko) * 2008-04-16 2009-10-21 박원석 친환경 스톤블록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626A (ja) * 1994-08-16 1996-03-05 Nippon Light Metal Co Ltd 視覚障害者誘導用ブロック
KR20040023545A (ko) * 2002-09-09 2004-03-18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와이어 하니스의 변위범위 예측방법, 그 예측장치 및예측프로그램
KR20040089149A (ko) * 2003-04-10 2004-10-21 주식회사 신우아이에스 야광 점자블록
KR200423545Y1 (ko) 2006-05-22 2006-08-10 최병현 점자 블록
KR20090109820A (ko) * 2008-04-16 2009-10-21 박원석 친환경 스톤블록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924B1 (ko) * 2012-02-14 2012-08-03 주식회사 호영하이텍 시각장애인용 목재데크 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200507314B (en) Unitized thermoplastic foam structures
AR246866A1 (es) Un metodo para producir una plantilla.
KR101033294B1 (ko)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점자블록
KR101260604B1 (ko) 점자블록
PT1331311E (pt) Processo de construcao de uma via ferrea sobre a base de uma via em cimento
KR101083314B1 (ko) 데크의 논슬립
DE502004005590D1 (de) Formteile, enthaltend einen Kunststoff sowie poröse Füllstoffpartikeln mit gefüllten Hohlräumen
KR200455812Y1 (ko) 데크 콘크리트 결합 블록
DE60230383D1 (de) Asymmetrische InGaAsN Oberflächenemittierende-Laser mit vertikalem Resonator
KR200391082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KR101007011B1 (ko) 옹벽블록 제작방법과 옹벽블록 제작용 형틀
KR200447747Y1 (ko) 블록 구조
JP3198012U (ja) 歩車道境界ブロック
DK1020278T3 (da)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t lamineret gummiemne og et lamineret gummiemne fremstillet derved
KR100661268B1 (ko) 점자유도 블록
CN205444638U (zh) 用于十字型砌体的榫卯连接砌块
CN204238541U (zh) 一种中空塑料建筑模板
KR200393642Y1 (ko) 금속재 보도블록
KR200391042Y1 (ko) 점자유도 블록
KR100805733B1 (ko) 가로수 보호덮개용 받침틀 및 가로수 보호덮개용 받침틀의제조방법
KR100676414B1 (ko) 조립식 문틀 및 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KR200179059Y1 (ko) 재생플라스틱 인조목
CN107401239A (zh) 免砌榫卯连接砖体及砌体
CN205577225U (zh) 方形三公榫卯连接砌块及砌体
KR20140055221A (ko) 점자블록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자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