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237B1 -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237B1
KR100703237B1 KR1020050060416A KR20050060416A KR100703237B1 KR 100703237 B1 KR100703237 B1 KR 100703237B1 KR 1020050060416 A KR1020050060416 A KR 1020050060416A KR 20050060416 A KR20050060416 A KR 20050060416A KR 100703237 B1 KR100703237 B1 KR 100703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reinforcing member
filler
blind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5227A (ko
Inventor
이재춘
Original Assignee
이재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춘 filed Critical 이재춘
Priority to KR1020050060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237B1/ko
Publication of KR20070005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상판과 바닥재로 분리 구성되어 상판이 쉽게 변형되거나 깨지게 되는 단점을 보강하기 위한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먼저 상판과 보강부재를 성형한 후, 상판에 보강부재를 안착시켜 고정한 다음 충진물를 통해 상기 상판과 보강부재를 일체화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점자유도블럭은 내부로 충진물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개방부위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으며, 전/후면으로 다수의 협착구가 형성된 육면체의 보강부재 및 상기 보강부재가 상판의 내부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0)에 충진되는 충진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E, PP, 점자유도블럭, 협착, 충진, 폐수지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Raised Letters Block For Blind Ma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상판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7은 도 6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판 11: 제 1요철
12: 보강띠 20: 보강부재
21: 협착구 22: 제 2요철
30: 충진물
본 발명은 기존의 상판과 바닥재로 분리 구성되어 상판이 쉽게 변형되거나 깨지게 되는 단점을 보강하기 위한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먼저 상판과 보강부재를 성형한 후, 상판에 보강부재를 안착시켜 고정한 다음 충진물를 통해 상기 상판과 보강부재를 일체화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점자유도블럭은 내부로 충진물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개방부위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으며, 전/후면으로 다수의 협착구가 형성된 육면체의 보강부재 및 상기 보강부재가 상판의 내부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에 충진되는 충진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은 점자 유도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블럭 전체를 콘크리트로 일체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그 재질상 돌출부가 딱딱하여 감각에 의존하는 시각장애인들이 지팡이로 감지했을 때 강한 반응을 일으겼으며, 돌출부분의 빠른 마모로 인하여 점자유도블럭이 기능을 상실하는 단점과 차량등 무거운 하중을 받을 때 파손이 되어 수명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인도에 콘크리트 바닥재 위에 인식용 돌출부가 일체 구성된 고무재 상판을 부착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고무로 된 인식용 돌출부를 맹인이 발로 밟을때 큐션이 있기 때문에 감각으로 바닥의 상황을 쉽게 구별할 수 있지만 바닥재가 콘크 리트로 구비되어 여전히 차량 등의 통행이나 장기간 사용시 고무제 상판의 네모서리가 쉽게 탈착되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함으로서 시각장애인들의 보행에 위험이 따를 소지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폐수지를 이용한 점자유도블럭이 점차 보급되고 있지만, 이 또한 여름철 고열로 인하여 상판과 바닥재가 분리되는 현상으로 상판이 쉽게 변형되거나 깨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미리 성형된 상판에 충진물를 충진시키는 과정을 거쳐 상판이 금형으로써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조의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2목적은, 점자유도블럭은 내부로 충진물가 충진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개방부위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으며, 전/후면으로 다수의 협착구가 형성된 육면체의 보강부재 및 상기 보강부재가 상판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에 충진되는 충진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3목적은, 환경문제화되고 있는 폐수지에서 원료를 추출하여 친환경에 기여하고, 또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자원의 재활용으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 는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4목적은, 상판과 보강부재를 성형한 후, 상판에 보강부재를 안착시켜 고정한 다음 충진물를 통해 상기 상판과 보강부재를 일체화시켜 제작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점자유도블럭에 있어서,
내부로 충진물(30)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개방부위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1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으며, 전/후면으로 다수의 협착구(21)가 형성된 육면체의 보강부재(20) 및 상기 보강부재(20)가 상판(10)의 내부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0)에 충진되는 충진물(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에서 상판(10)의 내부면에는 충진물(30)을 통해 상기 보강부재(20)와 협착가능하도록 "T" 자 형상의 제 1요철(11)이 상호 등분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판(10)의 내부 측면으로는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보강띠(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판(10)은 PP 또는 P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보강부재(20)는 상기 상판(10)의 제 1요철(11)과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하부면을 따라 연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T" 자 형상의 제 2요철(2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충진물(30) 및 보강부재(20)는 폐플라스틱, 폐비닐과 같은 폐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들은,
PP 또는 P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하여 상부가 개방된 상판(10)을 성형하는 단계;(S100)와, 폐플라스틱 및 폐비닐과 같은 폐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충진물(30)을 생성하는 단계;(S200)와, 충진물(30)을 통해 전/후면으로 다수의 협착구(21)가 형성된 육면체의 보강부재(20)를 성형하는 단계;(S300)와, 상판(10)과 보강부재(20)의 사이에 충진물(30)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10)에 내부면에 형성된 제 1요철(11)까지 충진물(30)을 1차 충진하는 단계;(S400)와, 상기 상판(10)에 1차 충진된 충진물(30)의 상부로 보강부재(20)를 안착시켜 고정하는 단계;(S500)와, 상기 보강부재(20)와 상판(10)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재(20)의 상부로 충진물(30)을 2차 충진하는 단계;(S600) 및 상기 상판(10)과 보강부재(20)가 일체화될 수 있도록 충진물(30)을 경화시켜 완성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 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발췌된 상판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상판과 바닥재로 분리 구성되어 상판이 쉽게 변형되거나 깨지게 되는 단점을 보강하기 위한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먼저 상판(10)과 보강부재(20)를 별도 성형한 후, 상판(10)에 보강부재(20)를 안착시켜 고정한 다음 충진물(30)을 통해 상기 상판(10)과 보강부재(20)를 일체화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점자유도블록은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상판(10)과, 상기 상판(10)에 안착되는 보강부재(20)와, 상기 상판(10)과 보강부재(20)를 일체화시키기 위해 상기 상판(10)에 충진되는 충진물(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10)은 열에 의한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금형의 기능을 겸하도록 PP 또는 P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며, 내부로 충진물(30)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을 취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상판(10)은 내부면으로 충진물(30)이 충진되어 경화될 시 충진물 (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T" 자 형상의 제 1요철(11)이 상호 등분된 간격으로 다수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10)에 내부 측면 즉, 상판(10)의 내벽면으로는 반고형의 충진물(30)에 의한 열팽창으로 뒤틀림이나 휘어짐을 더욱 방지하기 위한 보강띠(12)가 각각 4개씩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보강띠(12)는 상판(10)의 재질에 따라 그 개수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보강띠(12)는 한쌍씩 서로 다른 소정의 기울기를 갖게 형성되어 충진되는 충진물(30)과의 결합을 더욱 공고하는 기능을 겸한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20)는 상기 상판(10)의 개방부위를 통해 상기 제 1요철(11)의 상부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육면체의 형상을 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20)는 폐플라스틱, 폐비닐과 같은 폐합성수지를 용융 성형시켜 이루어진 것으로, 육면체의 형상에 전/후면을 따라 다수의 협착구(21)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보강부재(20)는 협착구(21)를 통해 충진물(30)을 충진시켜 상기 상판(10)과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상판(10)의 제 1요철(11)과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하부면을 따라 연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T" 자 형상의 제 2요철(2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상판(10)에 형성된 제 1요철(11)의 간격은 상기 보강부재(20)의 제 2요철(22)이 원활이 대응 삽입되도록 제 2 요철(22)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간격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 2요철(22)은 상판(10)의 제 1요철(11) 사이로 각각 삽입되어 밀착면적을 더욱 더 증대시켜 충진물(30)에 의한 결합을 더욱 공고히 시켜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은, 상판(10)에 형성된 제 1요철(11)과 보강띠(12)로 인해 보강부재(20)와의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는 동시에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며, 또한 보강부재(20) 역시 전/후면으로 관통된 협착구(21) 및 하부면에 형성된 제 2요철(22)을 통해 상판(10)과의 결합구조가 마련되어 결국, 기존의 상판과 바닥재로 분리 구성되어 상판이 쉽게 변형되거나 깨지게 되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충진물(30)은 용융된 반고형의 상태로 보강부재(20)와 동일한 폐플라스틱, 폐비닐과 같은 폐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열변형에 강한 PP 또는 P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하여 상부가 개방된 상판(10)을 금형을 통해 성형한다.(S100) 이는 상판(10) 자체를 금형으로 하여 충진물(30)을 충진시키기 위해 PP 또는 PE의 재질을 선택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폐플라스틱 및 폐비닐과 같은 폐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충진물(30)을 생성하고,(S200) 생성된 충진물(30)을 통해 전/후면으로 다수의 협착구 (21)가 형성된 육면체의 보강부재(20)를 성형한다.(S300)
여기서 S100 단계와, S200 및 S300단계는 선택적으로 달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판(10)과 보강부재(20)의 사이에 1차 충진물(30)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10)의 내부면에 형성된 제 1요철(11)까지 충진물(30)을 1차 충진한다.(S400) 이는 상판(10)에 형성된 제 1요철(11)에 보강부재(20)가 직접 맞닿도록 하지 않고 1차 충진물(30)을 통해 상판(10)과 보강부재(20)를 임시 고정하기 위함이다.
이 후 상판(10)에 1차 충진된 충진물(30)의 상부로 보강부재(20)를 안착시켜 임시 고정한다.(S500) 이 때 상기 보강부재(20)의 제 2요철(22)이 상기 상판(10)의 제 1요철(11) 사이에 삽입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상판(10)에 임시 고정된 보강부재(20)를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재(20)의 상부로 충진물(30)을 2차 충진한다.(S600) 이 때 충진물(30)이 압축되어 상판(10)에 골고루 충진될 수 있도록 프레스를 통해 고압력으로 충진한다.
이 후 상기 상판(10)과 보강부재(20)가 일체화될 수 있도록 충진물을 경화시켜 완성한다.(S70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환경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폐수지들을 이용함으로써 각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미리 성형된 상판에 충진물를 충진시키는 과정을 거쳐 상판이 금형으로써 기능을 할 수 있어 제조공정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즉 상판과 보강부재를 성형한 후, 상판에 보강부재를 안착시켜 고정한 다음 충진물를 통해 상기 상판과 보강부재를 일체화시켜 제작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완성된 점자유도블럭은 오랜시간이 경과되도 상판과 보강블럭이 잘 분리되지 않아 기존에 문제시되었던 바닥재와 상판과의 분리현상으로 인한 상판의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7)

  1. 점자유도블럭에 있어서,
    내부로 충진물(30)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상판(10);
    상기 상판(10)의 개방부위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10)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으며, 전/후면으로 다수의 협착구(21)가 형성된 육면체의 보강부재(20); 및
    상기 보강부재(20)가 상판(10)의 내부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판(10)에 충진되는 충진물(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의 내부면에는 충진물(30)을 통해 상기 보강부재(20)와 협착가능하도록 "T" 자 형상의 제 1요철(11)이 상호 등분된 간격으로 다수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의 내부 측면으로는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높이방향 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보강띠(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4.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PP 또는 P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20)는 상기 상판(10)의 제 1요철(11)과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하부면을 따라 연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T" 자 형상의 제 2요철(2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물(30) 및 보강부재(20)는 폐플라스틱, 폐비닐과 같은 폐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7. PP 또는 PE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하여 상부가 개방된 상판(10)을 성형하는 단계;(S100)
    폐플라스틱 및 폐비닐과 같은 폐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충진물(30)을 생성하는 단계;(S200)
    충진물(30)을 통해 전/후면으로 다수의 협착구(21)가 형성된 육면체의 보강부재(20)를 성형하는 단계;(S300)
    상판(10)과 보강부재(20)의 사이에 충진물(30)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10)에 내부면에 형성된 제 1요철(11)까지 충진물(30)을 1차 충진하는 단계;(S400)
    상기 상판(10)에 1차 충진된 충진물(30)의 상부로 보강부재(20)를 안착시켜 고정하는 단계;(S500)
    상기 보강부재(20)와 상판(10)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재(20)의 상부로 충진물(30)을 2차 충진하는 단계;(S600) 및
    상기 상판(10)과 보강부재(20)가 일체화될 수 있도록 충진물(30)을 경화시켜 완성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의 제조방법.
KR1020050060416A 2005-07-05 2005-07-05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03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416A KR100703237B1 (ko) 2005-07-05 2005-07-05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416A KR100703237B1 (ko) 2005-07-05 2005-07-05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227A KR20070005227A (ko) 2007-01-10
KR100703237B1 true KR100703237B1 (ko) 2007-04-06

Family

ID=3787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416A KR100703237B1 (ko) 2005-07-05 2005-07-05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2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305B1 (ko) 2008-10-07 2009-01-07 신홍진기업주식회사 시각장애인 유도용 블록
KR20160028467A (ko) * 2013-08-14 2016-03-11 린다우어 도르니어 게젤샤프트 엠바하 움직이는 재료 웨브를 위한 러닝 롤러를 갖는 텐터 클립으로 구성된 체인용 편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2744B (zh) * 2021-11-15 2023-08-04 北京理工大学 一种针对视障儿童的感官益智玩具的制作方法
CN114808590A (zh) * 2022-04-20 2022-07-29 罗蓉 一种防滑瓷砖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822A (ko) * 1997-10-30 1999-05-15 오상수 각속도센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822A (ko) * 1997-10-30 1999-05-15 오상수 각속도센서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 실1999-003482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305B1 (ko) 2008-10-07 2009-01-07 신홍진기업주식회사 시각장애인 유도용 블록
KR20160028467A (ko) * 2013-08-14 2016-03-11 린다우어 도르니어 게젤샤프트 엠바하 움직이는 재료 웨브를 위한 러닝 롤러를 갖는 텐터 클립으로 구성된 체인용 편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227A (ko)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237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078029B (zh) 用于键盘乐器的键
KR102402295B1 (ko) 맨홀, 하수구 입구 또는 배수로용 맨홀 커버
KR100794334B1 (ko)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KR100745095B1 (ko) 복합재료 맨홀뚜껑, 이의 제작을 위한 금형 및 이를 이용한복합재료 맨홀뚜껑 제작방법
JP5219161B2 (ja) 排水性舗装用側溝ブロック、排水性舗装用側溝ブロックの型枠及び排水道路構造。
WO2006070482A1 (ja) 路面ブロック
KR101125719B1 (ko) 시각장애인용 차도유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492221B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KR200441126Y1 (ko) 보도블록
KR200447747Y1 (ko) 블록 구조
KR20090115634A (ko) 인도블록
KR200418596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유도블럭
ES2195808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un elemento de caucho estratificado y elemento de caucho estratificado asi fabricado.
KR200301717Y1 (ko) 수도미터기함의 뚜껑
KR20070048830A (ko) 시공안정성을 부여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고무블록의시공구조
JP6203107B2 (ja) 積層成形品の製造方法
KR200442733Y1 (ko)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록
JP4514325B2 (ja) マンホール又はccボックスの鋳造製蓋体
KR200280811Y1 (ko) 건축용 이질재료 분리대의 시공구조
CN210713677U (zh) 一种双色注塑弹性悬浮拼接地板
KR20100051221A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럭
JP2565379B2 (ja) 合成樹脂製u字溝及びその製造法
WO2019242589A1 (zh) 一体式易铺贴瓷砖及生产方法
JP4058328B2 (ja) 弾性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成形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