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010A -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010A
KR20190056010A KR1020170152975A KR20170152975A KR20190056010A KR 20190056010 A KR20190056010 A KR 20190056010A KR 1020170152975 A KR1020170152975 A KR 1020170152975A KR 20170152975 A KR20170152975 A KR 20170152975A KR 20190056010 A KR20190056010 A KR 20190056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raille
panel
block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4727B1 (ko
Inventor
이상민
조우형
박귀문
박수현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2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7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자블록 몸체와 점자블록 몸체에서 돌출되는 점자모듈을 분리 제조한 후, 점자모듈을 점자블록에 삽입 고정하여 설치 사용하고, 사용 중 점자모듈이 파손되었을 때에는 파손된 점자블록만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제안한다. 상기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은, 점자블록 몸체 및 점자모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A braille block for the person with a visual impairmen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자블록 몸체와 점자블록 몸체에서 돌출되는 점자모듈을 분리 제조한 후, 점자모듈을 점자블록에 삽입 고정하여 설치 사용하고, 사용 중 점자모듈이 파손되었을 때에는 파손된 점자블록만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관한 것이다.
점자블록은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유도하도록 보행로에 설치되는 특수블록으로, 표면에 노란색 돌기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콘크리트 몸체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노란색은 일반인이 점자블록을 식별하여 이를 가능하면 피해가도록 하기 위함이고, 돌기는 점자블록을 밟는 시각장애인의 감각 또는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지팡이의 감각을 위한 것이다.
통상의 점자블록은 몸체 및 돌기가 모두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데, 보행자의 신발이나 외부 물체에 의한 충격 등에 의해 돌기가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다. 돌기의 파손은 보행정보를 시각장애인에게 안내하는 점자블록의 고유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기도 하고, 파손된 조각들이 또 다른 장애물이 되어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콘크리트 재질의 돌기가 파손되어 있는 실제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점자블록의 몸체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파손된 상태를 나타내는데, 시각장애인이 착용한 신발의 쿠션 층이 두꺼울 경우 시각장애인이 표식돌기를 촉감만으로 감지하지 못하거나 돌기가 나타내는 보행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56537호(2014년 10월 24일)에서는 고무조성물을 용융하여 몸체와 돌기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제안하였다. 이 발명은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며 돌기의 내부 공간에 탄성부 및 진동판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돌기를 가압할 때 보행정보를 더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외부의 충격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돌기가 파손되고, 또 그 파손이 심각할 때에는 돌기가 아니라 점자블록 전체를 교체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점자블록 몸체와 점자블록 몸체에서 돌출되는 점자모듈을 분리 제조한 후, 점자모듈을 점자블록에 삽입 고정하여 설치 사용하고, 사용 중 점자모듈이 파손되었을 때에는 파손된 점자블록만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은, 점자블록 몸체 및 점자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점자블록 몸체는 내부에 복수의 점자모듈 삽입홀이 형성된 상부패널 및 상기 상부패널의 하부에서 체결되는 하부패널로 구현한다. 상기 점자모듈은 상기 점자모듈 삽입홀에 삽입 고정되는 모듈 몸체, 상기 모듈 몸체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모듈 몸체의 상부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 및 상기 모듈 몸체의 상부에서 위치하여 상기 모듈 몸체를 상기 점자모듈 삽입홀에 고정하는 모듈 헤드로 구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은, 점자블록 몸체와 점자블록 몸체에서 돌출되는 점자모듈을 분리 제조한 후, 점자모듈을 점자블록에 삽입 고정하여 설치 사용하고, 사용 중 점자모듈이 파손되었을 때에는 파손된 점자블록만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콘크리트 재질의 돌기가 파손되어 있는 실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시제품 사진을 나타낸다.
도 3은 점자블록 몸체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점자블록 몸체의 상부패널에 형성된 점자모듈 삽입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점자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점자모듈과 점자블록 몸체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7은 점자모듈을 점자블록 몸체에 삽입하는데 사용되는 점자모듈 체결수단을 나타낸다.
도 8은 점자블록 몸체의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9는 점자블록의 사진이다.
도 10은 모듈 몸체, 모듈 헤드 및 스프링이 결합 된 점자모듈의 사진이다.
도 11은 점자블록 몸체의 상부패널과 점자모듈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2는 실제로 제작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상부에서 찍은 사진이다.
도 13은 실제로 제작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측 상부에서 찍은 사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시제품 사진을 나타낸다.
도 2의 좌측 상부의 사진은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상부에서 찍은 것이고, 우측 상부의 사진은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측면에서 찍은 것이며, 하부의 사진은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가장자리를 확대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200)은, 점자블록 몸체(210)와 점자모듈(250)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점자블록 몸체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3a는 점자블록 몸체를 상부 측면에서 본 것이고, 도 3b는 점자블록 몸체를 하부 측면에서 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점자블록 몸체(210)는 상부패널(220) 및 하부패널(230)로 구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부패널(220)은 중간에 복수의 점자모듈 삽입홀(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복수의 패널 체결홈(225)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복수의 패널 체결홈(225)은 복수의 점자모듈 삽입홀(221)의 사이에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하부패널(230)은 내부에 복수의 패널 체결홈(225)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복수의 패널 체결홀(231)을 이용하여 상부패널(220)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부패널(230)에 형성된 복수의 점자모듈 삽입홀(221)의 하부를 밀폐한다. 상부패널(220)과 하부패널(230)의 체결은 복수의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240)을 이용하면 된다.
도 4는 점자블록 몸체의 상부패널에 형성된 점자모듈 삽입홀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점자모듈 삽입홀(221)은 중간에서 중심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한 고정턱(222) 및 점자모듈 삽입홀(221)의 상부와 고정턱(222) 사이의 내부 면에 제1 나사산(223)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겠지만 고정턱(222)은 점자모듈(250)의 하부 면 가장자리가 안착하는 곳이고, 제1 나사산(223)은 점자모듈(250)이 체결되는 곳이다.
도 5는 점자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5a는 점자모듈의 구성을 분해한 것이고 도 5b는 점자모듈의 결합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점자모듈(250)은 모듈 몸체(260), 모듈 헤드(270) 및 스프링(280)으로 구현할 수 있다.
모듈 몸체(260)는 모듈 하부몸체(261) 및 모듈 상부몸체(263)로 구성된다. 모듈 하부몸체(261)는 하부가 점자모듈 삽입홀(221)에 형성된 고정턱(222)에 걸치며, 하부 내부에는 스프링(28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홈(262)이 형성되어 있다. 모듈 상부몸체(263)는 모듈 하부몸체(261)를 축소한 형태로 모듈 하부몸체(261)의 상부에 돌출되어 모듈 하부몸체(261)의 상부 가장자리에 모듈 헤드 안착부(264)를 형성한다.
스프링(280)의 상부 일부는 스프링 삽입홈(262)에 삽입되고 하부는 하부패널(230)에 접하게 되므로, 점자모듈(250)을 밟을 때 점자모듈(250)에 탄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듈 헤드(270)는 내부가 비어 있어 모듈 상부몸체(263)가 관통하도록 하며, 가장자리에는 점자모듈 삽입홀(221)의 제1 나사산(223)에 대응하는 제2 나사산(27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가 모듈 하부몸체(261)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모듈 헤드 안착부(264)에 안착하며, 상부 면에 체결보조홈(272)이 적어도 2개 형성되어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모듈 헤드(270)의 비어 있는 내부 중간에는 고무링(274)이 삽입되는 고무링 가이드 홈(273)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무링(274)은 모듈 헤드(270)의 내면과 모듈 상부몸체(263)의 외면 사이의 마찰력을 최대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점자모듈과 점자블록 몸체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6a는 점자모듈이 점자블록 몸체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6b는 점자모듈을 점자블록 몸체에 삽입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점자모듈(250)의 하부가 고정턱(222)과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점자모듈(250)의 하부가 고정턱(222)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도 7은 점자모듈을 점자블록 몸체에 삽입하는데 사용되는 점자모듈 체결수단을 나타낸다.
도 7의 좌측 상부의 사진은 점자모듈 체결수단을 상부에서 찍은 것이고, 우측 상부의 사진은 점자모듈 체결수단이 점자모듈에 체결된 사진이며, 좌측 하부의 사진은 상부패널(220)에 점자모듈(250)을 삽입하여 체결하는 과정을 찍은 것이고, 우측 하부의 사진은 상부패널(220)에 점자모듈(250)을 삽입하여 체결하는 과정을 넓은 범위에서 찍은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점자모듈 체결수단(700)은 손잡이(711)와 손잡이(711)로부터 Y자 형태로 분기된 체결부(712)로 구분할 수 있고, 체결부(712)의 종단에는 체결돌기(713)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돌기(713)를 모듈 헤드(270)의 체결보조홈(272)에 삽입한 후 손잡이(711)를 돌리면 모듈 헤드(270)의 제2 나사산(271)이 점자모듈 삽입홀(221)의 내면에 형성된 제1 나사산(22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점자모듈 체결수단(700)의 회전방향에 따라 모듈 헤드(270)가 점자모듈 삽입홀(221)에 체결되거나 점자모듈 삽입홀(221)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점자블록 몸체의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8의 왼쪽 사진은 상부패널의 하부에 하부패널이 체결된 상태를 하부패널의 방향에서 찍은 것이고, 도 8의 오른쪽은 상부패널의 하부에 하부패널을 체결하기 직전 상태를 하부패널의 방향에서 찍은 것이다.
도 9는 점자블록의 사진이다.
도 9의 좌측 사진은 모듈 몸체(260)와 모듈 헤드(270)는 결합하고 스프링(280)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찍은 것이고, 중간의 사진은 모듈 몸체(260), 모듈 헤드(270) 및 스프링(280)을 모두 결합한 후 모듈 몸체(260)의 하부방향에서 찍은 것이며, 오른쪽 사진은 모듈 몸체(260), 모듈 헤드(270) 및 스프링(280)을 모두 결합한 후 측면에서 찍은 것이다.
도 10은 모듈 몸체, 모듈 헤드 및 스프링이 결합 된 점자모듈의 사진이다.
도 10의 좌측 사진은 복수의 점자모듈(250)을 2차원으로 배열한 것을 찍은 것이고, 우측 상부의 사진 및 우측 하부의 사진은 2차원으로 배열된 복수의 점자모듈(250)을 측 상방에서 찍은 것이다.
도 11은 점자블록 몸체의 상부패널과 점자모듈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의 좌측 상부의 사진은 상부패널의 점자모듈 삽입홀의 일부에 점자모듈이 체결된 상태를 찍은 것이고, 우측 상부의 사진은 모서리 일부를 확대한 것이며, 하부의 두 사진은 상부패널의 점자모듈 삽입홀에 점자모듈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와 삽입하려고 하는 상태를 찍은 것이다.
도 12는 실제로 제작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상부에서 찍은 사진이다.
도 13은 실제로 제작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측 상부에서 찍은 사진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210: 점자블록 몸체
220: 상부패널
221: 점자모듈 삽입홀 225: 복수의 패널 체결홈
223: 제1 나사산
230: 하부패널
231: 복수의 패널 체결홀
240: 체결수단
250: 점자모듈
260: 모듈 몸체
261: 모듈 하부몸체 262: 스프링 삽입홈
263: 모듈 상부몸체 264: 모듈 헤드 안착부
270: 모듈 헤드
271: 제2 나사산 272: 체결 보조홈
273: 고무링 가이드 홈 274: 고무링
280: 스프링

Claims (5)

  1. 내부에 복수의 점자모듈 삽입홀이 형성된 상부패널 및 상기 상부패널의 하부에서 체결되는 하부패널로 구현한 점자블록 몸체; 및
    상기 점자모듈 삽입홀에 삽입 고정되는 모듈 몸체, 상기 모듈 몸체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모듈 몸체의 상부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 및 상기 모듈 몸체의 상부에서 위치하여 상기 모듈 몸체를 상기 점자모듈 삽입홀에 고정하는 모듈 헤드로 구현한 점자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2. 제1항에서, 상기 점자블록 몸체의 상부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점자모듈 삽입홀 각각은,
    상기 점자모듈 삽입홀의 중간 부분에서 상기 점자모듈 삽입홀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한 고정턱 및 상기 점자모듈 삽입홀의 상부와 상기 고정턱 사이의 내부 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3. 제2항에서,
    상기 점자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모듈 몸체는, 하부가 상기 점자모듈 삽입홀에 형성된 상기 고정턱에 걸치며, 하부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모듈 하부몸체 및 상기 모듈 하부몸체를 축소한 형태로 상기 모듈 하부몸체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모듈 하부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모듈 헤드 안착부를 형성하는 모듈 상부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자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모듈 헤드는, 내부가 비어 있어 상기 모듈 상부몸체가 관통하도록 하며, 가장자리에는 상기 점자모듈 삽입홀의 상기 제1 나사산에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가 상기 모듈 하부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모듈 헤드 안착부에 안착하며, 상부 면에 체결보조홈이 적어도 2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4. 제3항에서,
    상기 모듈 헤드의 비어 있는 내부 중간에는 고무링이 삽입되는 고무링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5.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점자모듈 삽입홀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패널 체결홈이 상기 상부패널의 하부 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패널에는 상기 패널 체결홈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패널 체결홀이 상기 패널 체결홈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KR1020170152975A 2017-11-16 2017-11-16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KR102054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975A KR102054727B1 (ko) 2017-11-16 2017-11-16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975A KR102054727B1 (ko) 2017-11-16 2017-11-16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010A true KR20190056010A (ko) 2019-05-24
KR102054727B1 KR102054727B1 (ko) 2019-12-11

Family

ID=6668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975A KR102054727B1 (ko) 2017-11-16 2017-11-16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1162A1 (ko) 2019-05-14 2020-1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825A (ko) 2021-11-10 2023-05-17 정우진 야광 점자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368U (ja) * 2001-10-15 2002-04-26 ▼ポーユー▲科技股▼ブン▲有限公司 道路鋲
KR20090015529A (ko) * 2007-08-09 2009-02-12 주식회사 현성리싸이클링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KR20140118240A (ko) * 2013-03-28 2014-10-08 (주)한나산업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368B2 (ja) * 1997-09-18 2000-09-04 文彦 坂井 痛みノ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5368U (ja) * 2001-10-15 2002-04-26 ▼ポーユー▲科技股▼ブン▲有限公司 道路鋲
KR20090015529A (ko) * 2007-08-09 2009-02-12 주식회사 현성리싸이클링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KR20140118240A (ko) * 2013-03-28 2014-10-08 (주)한나산업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1162A1 (ko) 2019-05-14 2020-1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황-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727B1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6010A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US6386703B1 (en) Sunglasses combinable easily and quickly with a pair of near-sight eyeglasses
US20070132944A1 (en) Eyewear having lens retaining member
KR101260584B1 (ko) 점자블록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949647B1 (ko) 시각 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점자블록
KR102287855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장애물 감지 안경
US20060242753A1 (en) Swim mask
KR200351459Y1 (ko) 광고 또는 안전유도가 가능한 점자블록
JP3118062U (ja) 度付きサングラス
WO2012164299A1 (en) Swimming cap and goggles
JP2009529929A (ja) 鐙用鐙挿入部
KR101456537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JP2005006997A (ja) 安全靴先芯用トーキャップサポータ
KR20190001266U (ko) 계단용 논슬립 프레임
KR10056363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자도로 내의 감지블럭 설치구조
KR101395002B1 (ko) 소리 나는 안전 점자 블록
KR200442733Y1 (ko) 시각 장애인용 점자유도블록
JP2003252561A (ja) 広告表示を備えたエスカレータ手すり
KR200286470Y1 (ko) 조립이 용이한 신발
JP7140322B2 (ja) 点字ブロック被覆マット
KR200421713Y1 (ko) 신발의 개폐장치
WO2007023533A1 (ja) 視覚障害者誘導用シート
KR200371758Y1 (ko) 자전거 페달 구조
KR20090109897A (ko) 슬라이딩 부재와 이것을 포함한 강화유리 안전문의 손가락보호대 조립체
JP6857389B2 (ja) 眼用保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