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670B1 -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 - Google Patents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670B1
KR102469670B1 KR1020220054935A KR20220054935A KR102469670B1 KR 102469670 B1 KR102469670 B1 KR 102469670B1 KR 1020220054935 A KR1020220054935 A KR 1020220054935A KR 20220054935 A KR20220054935 A KR 20220054935A KR 102469670 B1 KR102469670 B1 KR 102469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fence
post
display unit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54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61H2003/063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 A61H2003/065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with tactile perception in the form of brail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도로나 인도, 차도 등을 구획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하는 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휀스를 설치함에 있어서 시각 장이인의 보행 시 인도와 차도의 구분을 휀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점자를 표시하되, 개인차가 있는 촉감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점자를 제외한 부분들은 변형되거나 이동 가능하여 점자가 더욱 부각되게 할 수 있는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는 도로의 지반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휀스를 형성하는 지지바, 상기 포스트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포스트 캡 및 상기 포스트 캡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점자를 표시하는 점자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Fence with braille display}
본 발명은 자전거 도로나 인도, 차도 등을 구획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하는 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휀스를 설치함에 있어서 시각 장이인의 보행 시 인도와 차도의 구분을 휀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점자를 표시하되, 개인차가 있는 촉감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점자를 제외한 부분들은 변형되거나 이동 가능하여 점자가 더욱 부각되게 할 수 있는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도로나 인도, 차도 등을 구획하는 수단으로 도로를 따라 연장되게 휀스를 설치하여 구획하고 있다.
이러한 휀스는 도로를 구획함에 있어서, 진입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되어지는 경우가 많다.
일반인들은 진입 시부터 도로를 구분하여 진입하고자 하는 도로로 진입할 수 있지만 시각장애인의 경우 진입을 잘못하게 되면 자전거 도로나 차도 등으로 진입하여 위험에 처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시각장애인들은 진입로부터 진행 경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가 없어서 도로의 구분이 명확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시각 장애인을 안내할 수 있는 점자를 통해 도로의 구분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관련하여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1239481 시각장애인 안내용 난간)에서는 보도 등에 사람이 잡고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통행제한구역 등에 출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난간에 시각장애인들이 진행방향이나 목적지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점자를 통해 안내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은 점자를 통해 안내함에 있어서 표시된 점자를 변경하거나 교체하기가 어렵고, 사람마다 촉각의 차이로 인해 인지가 어렵거나, 장기간 사용 시 점자의 마모로 명확한 인지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문헌 1(등록특허 10-1239481 시각장애인 안내용 난간)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로상 구획을 위해 설치되는 휀스에 점자를 설치하여 시각장애인어 점자를 통해 도로를 구획하며 보행 가능하게 하여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고, 간편한 탈착 구조에 의해 점자가 표시되는 부분만을 간편하게 교체하여 도로 사정에 따라 적절한 안내 내용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점자를 제외한 외측 부분들이 변형되거나 하강되어 점자가 더욱 돌출되게 할 수 있어서 촉각이 둔감하거나 장기간 사용으로 점자가 마모된 경우에도 용이하게 점자를 인지할 수 있는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는, 도로의 지반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포스트(100), 상기 포스트(100)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휀스를 형성하는 지지바(200), 상기 포스트(10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포스트 캡(300) 및 상기 포스트 캡(3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점자를 표시하는 점자 표시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 캡(300)은, 상기 포스트(100)의 상부에는 상기 점자 표시부(400)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점자 설치부(3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점자 표시부(400)는 상기 점자 설치부(330)에 탈착 가능하게 케이싱 형태로 이루어진 탈착 케이싱(410)과, 상기 탈착 케이싱(410)의 바닥면에서부터 돌출되어 점자를 형성하는 점자 형성부(420) 및 상기 점자 형성부(420)의 외측 부분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점자를 인식할 때 힘을 가하면 하강되었다가 손을 떼면 탄성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점자 바닥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는 도로를 구획하는 휀스에 있어서 시각 장애인이 도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점자로 표시하여 안내할 수 있고, 방향이나 휀스 설치 위치에 따라 점자를 간편하게 교체하여 재설치하거나 변경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점자 부위를 제외한 바닥부분이 변형되거나 승하강되도록 하여 촉각이 예민하지 못한 시각 장애인이나 장기간 사용으로 마모된 상태에서도 바닥부분이 변형되면서 점자가 돌출되어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에서 점자 표시부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에서 점자 표시부의 동작 상태도
본 발명은 점자 표시부가 구비되는 휀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변에 설치되어 도로를 구획하는 휀스에 있어서 시각 장애인을 통해 도로의 구분을 안내할 수 있고, 점자는 손으로 인식할 때 힘을 가하면 점자를 제외한 바닥부분이 하강되며 점자를 더욱 돌출되게 하여 인식을 용이하게 하고, 손을 떼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도록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로의 경계부분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포스트(100)와, 상기 포스트(100)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이어지게 설치되는 지지바(200)와, 상기 포스트(1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포스트 캡(300) 및 상기 포스트 캡(300)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점자를 표시할 수 있는 점자 표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100)는, 상단에 상기 포스트 캡(300)이 결합되는 것으로 포스트(100)의 외주연보다 내측으로 단턱지게 이루어진 캡 결합부(110) 및 상기 캡 결합부(1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는 캡 결합 볼트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스트 캡(300)은, 포스트(100)와 동일한 외주면을 이루되 하부 내측이 비워지도록 이루어져 상기 캡 결합부(110)의 외측으로 끼워지며 결합되는 포스트 결합부(310)와, 상기 포스트 결합부(3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캡 결합 볼트홀(120)과 대응되는 위치로 구비되어 포스트 캡(300)을 포스트에 결합할 수 있는 포스트 결합 볼트홀(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포스트 캡(300)의 상면에는 점자 표시부(400)가 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점자 설치부(330)가 구비되고, 포스트 캡(300)의 중간 부분에는 지지바(200)의 설치 방향과 대응되도록 직선 형태로 돌출되어 포스트 캡(300)의 상부를 2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구획 돌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획 돌부(340)는 지지바(200)의 방향과 일치되게 형성되어 촉각에 의해 도로의 구분선가 경계 방향을 보다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점자 표시부(400)는, 상기 점자 설치부(330)에 탈착되는 것으로 케이싱 형태로 이루어진 탈착 케이싱(410)과, 상기 탈착 케이싱(41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점자를 형성하는 점자 형성부(420)와, 상기 점자 형성부(420)의 외측에 탄성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점자 인식 시 힘을 가하면 하강하며 점자 형성부(420)를 돌출시키는 점자 바닥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탈착 케이싱(410)의 하부에는 상기 포스트 캡(300)의 점자 설치부(330)에 결합될 때, 축 구조로 끼워지며 고정되는 고정축(440)이 구비된다.
이로 인해 포스트(100)를 설치하고, 도로 경계에 따라 방향에 맞게 포스트 캡(300)을 설치한 후 포스트 캡(300)의 점자 설치부(330)에 점자 표시부(400)를 설치하여 도로의 경계를 점자로 표시할 수 있게 되고, 도로의 용도에 따라 점자 표시부(400)를 선택적으로 탈착하면서 점자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에서 점자 표시부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점자 표시부(400)에서 탈착 케이싱(41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점자 형성부(420)는 탈착 케이싱(4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되, 탈착 케이싱(410)의 상단보다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점자 형성부(420)의 상단은 호형을 이루고 상단의 볼록한 면적에는 시각 장애인이 손가락 등 접촉 시에 엠보싱 형태나 샌딩 형태로 촉각을 보다 명확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촉각 강조부(421)가 형성된다.
상기 점자 바닥부(430)는 상기 탈착 케이싱(410)의 상단과 같은 높이의 평면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하로 승강되며 점자 형성부(420)를 보다 돌출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가장 상부에는 연질의 쿠션부(431)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경질의 승하강 플레이트(432)가 구비된다.
상기 쿠션부(431)는 시각 장애인이 점자를 인식할 때 점자 형성부(420)와 달리 쿠션에 의해 변형되며 점자 형성부(420)를 보다 명확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32)는 하부에 탄성에 의해 승하강 플레이트(432)를 지지하면서 외력이 가해지면 하강하는 탄성 지지부(433)가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433)는 승하강 플레이트(432)의 하부에서 승하강 플레이트(432)의 상하 수직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승하강축(433a)이 구비되고, 그 외측에 스프링(433b)이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축(433a)은 탈착 케이싱(410)의 바닥면에서 하부로 함몰되는 공간에 의해 승하강 플레이트(432)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스프링(433b)은 승하강축(433a)의 외측에서 승하강 플레이트(432)의 하부와 탈착 케이싱(410)의 바닥면 사이를 탄성에 의해 지지하며 승하강 플레이트(432)에 외력이 가해지면 하부로 하강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승강되어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시각 장애인이 점자를 인식할 때 감각이 둔감한 경우 쿠션부(431)의 변형에 의해 점자가 보다 명확하게 파악되고, 장기간 사용으로 점자 형성부(420)가 마모되어 돌출된 정도가 작을 경우 인식하고자 하는 시각 장애인이 점자 형성부(420)를 제외한 외측부분을 눌러주게 되면 점자 형성부(420)가 보다 돌출되게 느껴짐에 따라 명확한 점자의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에서 점자 표시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점자 표시부(400)는, 점자 형성부(420)가 돌출된 상태로 포스트 캡(300)에 설치되어 포스트(100)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구획 돌부(340)가 지지바(200)의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도로 사이의 경계를 구획하고, 구획 돌부(34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도로에 대한 안내가 점자로 표시된다.
점자를 표시하는 점자 형성부(420)는 탈착 케이싱(410)의 상단보다 돌출되게 구비되어 점자를 표시한다.
시각 장애인은 점자 형성부(420)의 돌출된 부분을 감지하여 점자를 파악하고 점자의 내용에 따라 도로의 구분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점자 형성부(420)의 상단에는 촉각 강조부(421)가 형성되어 시각 장애인이 보다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기 점자 바닥부(430)는 상기 점자 형성부(420)를 제외한 바닥부분의 일정 범위에 구비되는 것으로, 감지 시 점자 형성부(420)와 달리 쿠션부(431)가 변형되며 점자 형성부(420)와의 구분을 명확하게 해준다.
그리고 점자 형성부(420)가 마모되거나 시각 장애인의 촉각이 예민하지 못한 경우 감지를 위해 손을 접촉하며 누르는 압력에 의해 승하강 플레이트(432)가 하강되면서 점자 형성부(420)를 더욱 돌출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승하강 플레이트(432)는 탄성 지지부(433)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시각 장애인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면 다시 승강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로 인해 도로의 구획을 명확하게 안내하면서 시각 장애인의 촉각의 차이나 점자 형성부(420)의 마모로 감지가 어려울 경우 점자 바닥부(430)가 변형되거나 승하강되면서 점자 형성부(420)를 보다 돌출되게 하여 명확한 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자전거 전용 도로나 통행로, 차도 등을 구획하는 휀스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게 설치되는 포스트에 점자 표시부를 설치하여 시각장애인으로부터 도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점자 점자 형성부를 제외한 주변 바닥 부분을 쿠션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하면서 승하강 플레이트로 점자 형성부를 제외한 부분을 승하강 가능하게 하여 촉각이 둔감한 시각장애인이나 점자 형성부의 마모 시에도 점자의 명확한 감지가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된다.
100 : 포스트 110 : 캡 결합부
120 : 캡 결합 볼트홀 200 : 지지바
300 : 포스트 캡 310 : 포스트 결합부
320 : 포스트 결합 볼트홀 330 : 점자 설치부
340 : 구획 돌부 400 : 점자 표시부
410 : 탈착 케이싱 420 : 점자 형성부
421 : 촉각 강조부 430 : 점자 바닥부
431 : 쿠션부 432 : 승하강 플레이트
433 : 탄성 지지부 433a : 승하강축
433b : 스프링 440 : 고정축

Claims (3)

  1. 도로의 지반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포스트(100);
    상기 포스트(100)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휀스를 형성하는 지지바(200);
    상기 포스트(10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포스트 캡(300); 및
    상기 포스트 캡(3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점자를 표시하는 점자 표시부(40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캡(300)은, 상기 포스트(100)의 상부에는 상기 점자 표시부(400)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점자 설치부(330)가 구비되고,
    상기 점자 표시부(400)는 상기 점자 설치부(330)에 탈착 가능하게 케이싱 형태로 이루어진 탈착 케이싱(410)과, 상기 탈착 케이싱(410)의 바닥면에서부터 돌출되어 점자를 형성하는 점자 형성부(420) 및 상기 점자 형성부(420)의 외측 부분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점자를 인식할 때 힘을 가하면 하강되었다가 손을 떼면 탄성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점자 바닥부(430)를 포함하되,
    상기 점자 바닥부(430)는 가장 상부에는 연질의 쿠션부(431)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경질의 승하강 플레이트(432)가 구비되며,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432)의 하부에는 탄성에 의해 승하강 플레이트(432)를 지지하면서 외력이 가해지면 하강하는 탄성 지지부(433)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433)는, 승하강 플레이트(432)의 하부에서 승하강 플레이트(432)의 상하 수직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승하강축(433a) 및 그 외측에 구비되는 스프링(433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
  2. 삭제
  3. 삭제
KR1020220054935A 2022-05-03 2022-05-03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 KR102469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935A KR102469670B1 (ko) 2022-05-03 2022-05-03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935A KR102469670B1 (ko) 2022-05-03 2022-05-03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670B1 true KR102469670B1 (ko) 2022-11-23

Family

ID=8423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935A KR102469670B1 (ko) 2022-05-03 2022-05-03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6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7433A (ja) * 1998-10-29 2000-05-16 Denenchoufu Roman:Kk 触感用情報記録媒体
KR101050715B1 (ko) * 2011-01-18 2011-07-21 (주)이레이앤엘 타공형 친환경 데크
KR101239481B1 (ko) 2011-04-11 2013-03-06 배용준 시각장애인 안내용 난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7433A (ja) * 1998-10-29 2000-05-16 Denenchoufu Roman:Kk 触感用情報記録媒体
KR101050715B1 (ko) * 2011-01-18 2011-07-21 (주)이레이앤엘 타공형 친환경 데크
KR101239481B1 (ko) 2011-04-11 2013-03-06 배용준 시각장애인 안내용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0087A (en) Railless walkway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KR200438197Y1 (ko) 횡단보도의 신호등과 연계한 신호기능을 하는 시각장애인용점자블럭
KR100977091B1 (ko) 시각장애인의 도로 안내 장치
CN101522992A (zh) 改进的可觉察的警告及导引用地砖
US6785992B2 (en) Emergency exit sign
KR102469670B1 (ko) 점자 표시부가 구비된 휀스
KR200304815Y1 (ko) 시각장애인용 전자보도블록
KR102100399B1 (ko) 장애인 보도블럭 시스템
KR101210690B1 (ko) 보차도용 안전표시판
JP2000226162A (ja) エレベータ呼出し操作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0171376Y1 (ko) 시각장애인용점자유도블럭
KR100629714B1 (ko) 시각장애인용 신발
KR101456537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CN216428076U (zh) 一种工地边界触感警示地盒及警示带
KR20210025248A (ko) 사용자 반응형 스마트 보도 블럭 시스템
KR200324258Y1 (ko) 유도 블록 및 타일
KR100776300B1 (ko) 보행자용 안전 유도블록
KR101673408B1 (ko) 도로용 경계블럭구조
JP7084029B2 (ja) 誘導標示およびその敷設方法
KR102093215B1 (ko) 하이브리드 계단 논슬립 시스템
EP3248927A1 (en) Emergency button
KR102465283B1 (ko) 하중 균등 분산장치
KR19990004441U (ko) 시각장애자용 안내표지판
KR200272874Y1 (ko) 시각장애자용 점자블럭
KR200255629Y1 (ko) 바닥 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