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714B1 - 시각장애인용 신발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714B1
KR100629714B1 KR1020040063352A KR20040063352A KR100629714B1 KR 100629714 B1 KR100629714 B1 KR 100629714B1 KR 1020040063352 A KR1020040063352 A KR 1020040063352A KR 20040063352 A KR20040063352 A KR 20040063352A KR 100629714 B1 KR100629714 B1 KR 100629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shoes
blind
spring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4009A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1020040063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714B1/ko
Priority to CNU2005201032947U priority patent/CN2878464Y/zh
Publication of KR20060014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신발에 관련된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상면에 하나 이상의 발바닥 자극봉을 돌출 형성시킨 자석과, 상기 자석의 하부에 장착되어 항상 자석을 상측으로 떠받쳐 주는 스프링과, 상기 자석 및 스프링을 넣어 보호하는 소정의 케이스로 구성된 신호기를 신발의 깔창 밑 소정위치에 자극봉 만이 돌출되도록 내장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자력이 통하는 철편, 또는 철칩이 내장 설치된 점자블록, 보도블록, 인터록킹 블록, 콘크리트보도, 횡단보도 위를 시각장애인이 보행하는 과정에서 자석이 점자블록 등의 각종 블록이나 보도 속에 내장된 철편, 또는 철칩에 근접할 때 자석이 작용하여 압축스프링을 누르면서 하강하다가 자석이 철편 또는 철칩을 벗어나면 스프링의 복원력이 순간적으로 자석을 상승시켜 자극봉이 발바닥을 자극하도록 함으로서 시각장애인이 보다 더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석을 인체에 매우 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는 헤라이트 자석을 이용하게 되면 발바닥의 혈액순환 등을 촉진시켜 발 건강유지에도 크게 도움이 되며, 따라서 오랜 시간의 보행에도 발의 피로감소를 유도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이 따르는 시각장애인용 신발을 제공하게 된다.
맹인용 신발, 마그네트 스위치, 신발용 마그네트 스위치, 맹인용 구두, 맹인용 운동화.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신발{shoes for eyesight impedment person}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신발의 단면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이 착용하는 구두, 운동화, 슬리퍼 등의 각종 신발의 소정위치에 상단에 하나 이상의 자극봉을 가진 자석과, 상기 자석을 받쳐주는 스프링 및 이들을 내장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신호기를 내장 설치하여 시각장애인이 철편 또는 철칩이 내장된 점자블록이나 인터록킹블록, 보도블록, 콘크리트보도, 횡단보도 등의 위를 보행할 때 자석에 의해 발바닥에 자극을 줌으로서 보행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점자블록 등을 비롯한 각종 블록이나 보도 위에 이물질이 끼거나 눈이 쌓이거나 또는 비가 와서 물이 고여 점자블록의 돌기가 제대로 감지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자석에 의해 매우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어 더욱 더 시각장애인의 안전보행을 유도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은 사물을 보고 인식할 수 있는 시력이 극히 약하거나 사물이 보이지 않게 됨에 따라 소리나 감각에 의존하여 보행할 수밖에 없게 되며, 따라서 안전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도, 공원, 공공건물 등을 비롯한 각종 사회적 기물에 점자블록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또, 시각 장애인은 가고자 하는 방향등을 보다 안전하게 걸어가기 위해 가급적 점자블록의 촉감이 원활하게 전달되는 신발이나 지팡이에 의존하여 보행하게 된다.
그러나 아무리 감각이나 촉감이 발달 된 시각장애인이라 하더라도 근본적으로 사물을 볼 수 있는 시력이 극히 저하되었거나 없기 때문에 단순히 신발이나 지팡이에 의존하여 보행하는 과정에서 점자블록 위에 이물질이 끼었거나, 물이 고였다거나, 또는 눈이 쌓였거나 얼어 빙판이 형성된 경우는 점자블록의 돌기를 감지할 수 없게 되며, 심한 경우는 시각장애인이 넘어지거나 상당히 위험한 지경에 놓이게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눈, 비, 바람 등의 날씨 변화를 비롯한 주변의 환경적 요인 등이 변화하더라도 어떠한 상황에서도 시각장애인이 상황판단을 명확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신발을 제공함으로서 시각장애인의 안전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구두, 운동화, 슬리퍼 등을 비롯하여 시각장애인이 즐겨 신는 통상의 신발에 있어서,
신발(1)의 소정위치에 점자블록, 인터록킹블록, 보도블록, 콘크리트 보도, 아스팔트 보도, 횡단보도 등의 시설물(2)에 내장된 철편 또는 철칩 등의 철부재(3)에 의해 작동하는 신호기(4)를 장착하되, 상기 신호기(4)는 상면에 하나 이상의 발바닥 자극봉(41')을 돌출 형성시킨 자석(41)과, 상기 자석(41)의 하부에 장착되는 스프링(42)과, 상기 자석(41) 및 스프링(42)을 넣어 보호하는 소정의 케이스(43)로 구성되며, 이를 신발(1)의 밑창(11)과 깔창(12) 사이에 장착하였을 때 자극봉(41')이 신발 깔창(12) 위로 돌출되게 설치 구성한 것이다.
상기 자석(41)은 금속제로 형성된 것이나 합성수지제로 된 것 등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신발(1)을 보다 가볍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합성수지제로 된 자석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며, 형상 모양에 있어서는 원형을 비롯하여 사각, 육각, 팔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또, 자석의 형태에 있어서도 도 2a와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부에 구멍(41")을 수직으로 관통형성하고 케이스(43)의 바닥 중앙부에 축봉(44)을 돌출 형성시켜 자석(41)이 축봉(44)에 끼워진 상태에서 승강되게 한다거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석(41)의 저면에 스프링(42)의 상단이 삽입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41a)을 형성하는 등의 변형이 가능하며, 더불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43)의 상부를 개방시키지 아니하고 별도의 캡(45)을 형성하여 막되 자극봉(41')이 돌출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는 등의 변형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 구성으로 변형이 가능하나 본 고안의 목적 및 취지가 점자블록, 인터록킹블록, 보도블록, 콘크리트 보도, 아스팔트 보도, 횡단보도 등의 시설물(2)에 내장된 철편 또는 철칩 등의 철부재(3)에 자석(41)이 근접될 때 자석(41)이 하강하고, 멀어지면 스프링(42)의 복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튀어 올라 발바닥에 자극을 줌으로서 시각장애인이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는 데 있으므로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 하겠다.
또한, 본 발명의 신호기는 도1에 표시된 것처럼 신발의 중앙위치, 즉 발바닥의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 위치에 설치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신발의 어느 위치든 보행에 장애가 되지 않는 부분이라면 설치가 가능하다 하겠다.
그리고 케이스(43)는 가급적 자력이 통하지 않는 합성수지나 또는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프링(42)은 철금속으로 이용하여도 되지만 상기와 같이 합성수지나 비철금속의 스프링을 이용하여도 된다.
자석(41)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자극봉(41')은 자석이 합성수지제로 형성된 경우 자석(41)과 일체로 되게 형성할 수 있고, 금속으로 된 자석의 경우는 제조상황에 따라 별도 구성하여 결합 구성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자극봉(41')의 구성변화도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하겠다.
한편, 상기 자석(41)을 인체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헤라이트 자석으 로 이용하게 되면 발바닥의 혈액순환을 도와 피로감소 및 회복을 유도하는 작용을 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점자블록, 인터록킹블록, 보도블록, 콘크리트 보도, 아스팔트 보도, 횡단보도 등의 시설물(2)의 내부에 자력이 통하는 철편, 또는 철칩 등의 철부재(3)가 내장 설치된 것을 전제로 하며, 시각장애인이 본 발명의 신발(1)을 신고 보행하는 과정에서 점자블록, 인터록킹블록, 보도블록, 콘크리트 보도, 아스팔트 보도, 횡단보도 등의 시설물(2)에 내장된 철편이나 철칩 등의 철부재(3)에 자석이 근접하게 되면 자석(41)이 스프링(42)을 가압하면서 하강하게 되어 깔창(12)위로 돌출되어 있던 자극봉(41')이 하강하고 멀어지면 스프링(42)이 복귀되면서 자석(41)을 순간적으로 밀어 올려주어 자극봉(41')이 발바닥을 자극함으로서 시각장애인에게 신호를 전달하게 됨으로서 매우 안전한 보행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철편이나 철칩 등 자력이 통하는 물질은 반드시 점자블록에만 내장 설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인터록킹블록이나 보도블록, 또는 일반 콘크리트보도나 석재보도, 그리고 횡단보도 등의 시설물(2)에도 상기와 같은 철편 또는 철칩을 소정의 간격으로 내장 설치한다면 더욱 더 시각장애인의 안전보행을 유도할 수 있게 되어 시각장애인의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함과 동시에 사회보장적 효과 또한 발휘될 수 있는 등의 특징도 따르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신는 신발(1)의 소정위치에 자극 봉(41')을 가진 자석(41) 및 스프링(42)이 내장된 신호기(4)를 내장 설치함으로서 철편이나 철칩 등의 철부재(3)이 내장된 점자블록, 인터록킹블록, 보도블록, 횡단보도, 콘크리트보도 등을 보행할 때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행할 수 있게 하고, 더불어 보행시 올바른 방향을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특징이 따르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구두, 운동화, 슬리퍼 등을 비롯하여 시각장애인이 즐겨 신는 통상의 신발에 있어서,
    신발의 밑창과 깔창 사이에 점자블록에 내장된 철편 또는 철칩에 의해 작동하는 신호기를 장착하되, 상기 신호기는 상면에 하나 이상의 발바닥 자극봉을 돌출 형성시킨 자석과, 상기 자석의 하부에 장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자석 및 스프링을 넣어 보호하는 소정의 케이스로 구성되며, 이를 신발에 장착하였을 때 자극봉이 신발 깔창 위로 돌출되게 설치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신발.
KR1020040063352A 2004-08-09 2004-08-09 시각장애인용 신발 KR100629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352A KR100629714B1 (ko) 2004-08-09 2004-08-09 시각장애인용 신발
CNU2005201032947U CN2878464Y (zh) 2004-08-09 2005-08-08 视觉障碍人用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352A KR100629714B1 (ko) 2004-08-09 2004-08-09 시각장애인용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009A KR20060014009A (ko) 2006-02-14
KR100629714B1 true KR100629714B1 (ko) 2006-09-28

Family

ID=37123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352A KR100629714B1 (ko) 2004-08-09 2004-08-09 시각장애인용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9714B1 (ko)
CN (1) CN2878464Y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0637A (zh) * 2013-07-10 2013-10-02 贵州大学 导盲拖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8819B (zh) * 2016-02-03 2018-05-04 王桂生 一种磁石指引的盲人行道
KR102027316B1 (ko) 2017-11-20 2019-10-01 한국기계연구원 신발 용 정보 전달 기능을 갖는 스마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신발
KR102126697B1 (ko) 2018-03-05 2020-06-25 한국기계연구원 정보 전달용 스마트 신발의 정보 인식률 향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신발
CN113171275B (zh) * 2021-04-23 2023-07-07 保定登羿鞋服制造有限公司 一种盲人专用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179Y1 (ko) 2003-05-30 2003-08-30 서종민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신발
KR200338255Y1 (ko) 2003-10-14 2004-01-13 전영환 신발 깔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179Y1 (ko) 2003-05-30 2003-08-30 서종민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신발
KR200338255Y1 (ko) 2003-10-14 2004-01-13 전영환 신발 깔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0637A (zh) * 2013-07-10 2013-10-02 贵州大学 导盲拖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878464Y (zh) 2007-03-14
KR20060014009A (ko) 200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714B1 (ko) 시각장애인용 신발
CN105568819B (zh) 一种磁石指引的盲人行道
KR101072943B1 (ko)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KR101630373B1 (ko) 컬러사가 매립된 금연안내 보도블록
JP2006063793A (ja) バリアフリー用ブロック
KR100705713B1 (ko) 점자블록
KR200304815Y1 (ko) 시각장애인용 전자보도블록
CN108260889A (zh) 一种方便使用的防滑鞋
KR20110100033A (ko)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KR100926505B1 (ko) 시각장애인용 차도 경보 장치
WO2001057341A1 (en) Detectable warning and wayfinding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N205368952U (zh) 一种磁石指引的盲人行道
US10969096B2 (en) Modular mat system with solar powered illumination
KR20060014008A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200171376Y1 (ko) 시각장애인용점자유도블럭
KR20050090065A (ko) 장애인을 위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KR10265145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도로경계석용 조명기구
KR100471733B1 (ko) 규석알과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공동 주택 단지내 미끄럼방지 블럭
KR200291989Y1 (ko) 보행자 도로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지압판 보도 블록의 구조
KR200378135Y1 (ko)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럭
CN104382728A (zh) 一种盲人磁控导航鞋
KR102027316B1 (ko) 신발 용 정보 전달 기능을 갖는 스마트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신발
KR200435577Y1 (ko) 매설부재를 포함한 매립형 점자블록
KR10056363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자도로 내의 감지블럭 설치구조
KR200444455Y1 (ko) 시각장애인용 식생보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