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598A -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및 그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및 그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598A
KR20130037598A KR1020110102093A KR20110102093A KR20130037598A KR 20130037598 A KR20130037598 A KR 20130037598A KR 1020110102093 A KR1020110102093 A KR 1020110102093A KR 20110102093 A KR20110102093 A KR 20110102093A KR 20130037598 A KR20130037598 A KR 20130037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protrusions
substrate
block
brail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석
Original Assignee
김보석
주식회사 경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석, 주식회사 경풍 filed Critical 김보석
Priority to KR102011010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7598A/ko
Publication of KR20130037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8Paving elements having direction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시각 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 블록에 있어서,
상기 각 돌출부는 가로와 세로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기재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기재는 접혀지는 재질이고, 상기 각 돌출부의 상부는 비정형의 미세한 미끄럼 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을 제공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시공시 취급이 용이하며 시공이 간편하며,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점자 블록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다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및 그의 시공 방법{Dot block for a blind person preventing the person from sliding for the crosswalk and the sidewal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 장애인이 통상의 보행상태에서 주로 발바닥이나 지팡이의 촉감 등으로 그 존재 및 대강의 형태를 확인하여 안전한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시각 장애인용 보도 블록을 간편하고 용이한 방법으로 제조하고, 시공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2b는 종래의 시각 장애인용 보도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현재 각종 건물이나 도로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유도용 블록(10)이 시공되고 있으나,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것들이 콘크리트 블록(12)의 상면에 시각장애인이 발의 감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감지돌기(14)를 일체로 형성시킨 후 그 표면에 약시자들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노란색의 페인트를 도포한 장애자용 유도블록을 사용하거나, 시각장애인용 유도수단이 형성된 고무판이나 플라스틱판(14)을 블록본체(12)에 접착시키게 되는 형태의 것이거나 또는 시각장애인 유도수단이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본체(12)로 성형한 후 시각장애인 유도수단에만 페인트를 도포토록 함으로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것들은 블록 본체(12)에 접착된 돌출부(14)가 쉽게 박리되어진다는 문제점과 접착 불량등에 의하여 시공상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또한 콘크리트로만 제조된 것은 도포되어진 것이 벗겨진다든지 시각장애인 유도수단이 파손된다는 단점은 물론 실내의 인테리어를 해치게 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시각 장애인용 보도 블록은 보도 블록의 돌출부 일부(14)가 파손되어도 보도 블록(12)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덤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시각 장애인용 보도 블록은 콘크리이트, 플라스틱판 또는 고무판과 같은 딱딱한 사각형의 판 상에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형태이기 때문에 자체 무게가 무겁고 또는 모서리 부분이 뾰족하므로 취급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정형된 형태의 공간에만 시각 장애인용 보도 블록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횡단보도, 지하철 개찰구, 버스 정류장 등 공공기관의 모든 바닥면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유도 블록이 설치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일부 특정한 곳에만 설치되고 있어 장애인이 불편을 겪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취급 및 시공이 용이하며,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시각 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 블록에 있어서,
상기 각 돌출부는 가로와 세로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기재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기재는 접혀지는 재질이고, 상기 각 돌출부의 상부는 비정형의 미세한 미끄럼 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 또는 보도의 일정 공간에 아크릴 수지를 액상으로 투입하고, 기재 상에 다수개의 돌기부를 갖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시각 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 블록을 상기 아크릴 수지에 상기 기재가 매립되도록 형성하고, 일정 시간 방치하여 상기 아크릴 수지가 경화되도록 하며, 상기 각 돌출부는 가로와 세로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기재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기재는 접혀지는 재질이고, 상기 각 돌출부의 상부는 비정형의 미세한 미끄럼 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돌출부는 점형 또는 선형이고, 선형인 경우에는 다수의 홈을 구비한다.
상기 기재는 부직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가 부직포와 같은 공업용 천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시공시 접고 다닐 수 있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며, 그리고, 제조 비용이 종래와 비교하여 절감된다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도 블록 파손시 돌출부만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가 용이하며, 유지 비용이 절감된다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홈을 구비하고 있어, 보행자가 미끄러져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도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을 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를 위한 시각 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 블록을 시공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100)은 횡단보도 및 횡단보도로 통하는 인도, 계단이 시작되는 부분 또는 전철 승강장 구내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시각장애인이 걷거나 딛고 있을 때 발바닥을 통하여 다른 노면과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점자블록이 물에 젖었을 경우 시각장애인 또는 비장애인 모두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 블록은 공업용 천과 같은 기재(120)와, 상기 기재(120) 상의 한쪽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부(140)로 구성된다. 이때, 돌출부(140) 상부에는 미끄럼방지홈(16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기재(120)는 통상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동일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부직포 등과 같은 공업용 천을 사용하여, 시공자들이 시공시 휴대하기 편하고, 또한, 후에 시공시 하부에 형성되는 아크릴 수지와의 접착력을 높인다. 그리고, 기존의 시멘트 또는 콘크리이트로 형성된 보도 블록의 경우에는 짜투리 공간에는 형성될 수 없으나, 본 발명의 점자 블록은 기재가 공업용 천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위 등으로 잘라 일부분을 사용하여 짜투리 공간에도 시각 장애인용 점자 블록을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140)는 메틸메타아크릴 수지(MMA)와 같은 플라스틱을 몰딩하여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140)는 상기 기재와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로 접착한다. 이때, 상기 기재는 부직포 등을 사용하므로 표면이 거칠하기 때문에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상기 돌출부가 용이하고 강력하게 접착되어 시공 후에도 기재로부터 돌출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비가 올 때와 같이, 상기 돌출부 상부에 물기가 있는 경우, 물기가 없더라도 그 상부가 미끄럽기 때문에 상기 각 돌출부의 상부 표면에 비정형의 미세한 미끄럼방지홈(160)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에 물기가 묻은 경우에도 장애인이든 비장애인이든 보행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140)가 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재(120) 상에 돌출부(140)가 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120)는 앞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공업용 천으로 사용되는 부직포 등을 사용한다.
또한,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140)는 선형이면서도, 잘 굽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그 중간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 점자 블록이 가로 방향 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도 접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점자 블록(100) 자체가 잘 휘어지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다라는 장점이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 블록을 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보도 블록, 횡단보도의 아스팔트, 콘크리트(200) 등을 커팅기로 자른 다음 자른 부분을 걷어내고, 바닥(210)을 편평하게 고른 후 그 위에 메틸메타아크릴 수지(MMA)와 같은 아크릴 수지(300)를 액상으로 투입한다.
그리고 나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릴 수지(300) 상부에 앞서 설명한 시각 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 블록(100)을 위치시키고, 상기 점자 블록(100)의 기재(120)가 아크릴 수지(300)에 완전히 매립되도록 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아크릴 수지(300)가 경화되어 상기 점자 블록(100)이 아크릴 수지(300)와 접착하게 된다. 또한, 아크릴 수지(300) 자체와 점자 블록의 돌출부(140)와도 접착이 이루어져 점자 블록이 보도 블록 또는 횡단보도의 도로 등에 매우 견고히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시각 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 블록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시각장애인용 보도 블록의 경우에는 보도 블록의 돌출부 등이 파손된 경우에는 해당하는 파손된 보도 블록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나, 본 발명의 점자 블록은 파손된 돌출부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비용이 기존보다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즉, 파손된 돌출부만을 제거한 후 새로운 돌출부를 기재에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접착하면 되기 때문에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12, 120 : 기재 14, 140 : 돌출부
160 : 미끄럼방지홈

Claims (6)

  1. 다수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시각 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 블록에 있어서,
    상기 각 돌출부는 가로와 세로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기재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기재는 접혀지는 재질이고, 상기 각 돌출부의 상부는 비정형의 미세한 미끄럼 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점형 또는 선형이고, 선형인 경우, 다수의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4. 도로 또는 보도의 일정 공간에 아크릴 수지를 액상으로 투입하고,
    기재 상에 다수개의 돌기부를 갖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시각 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 블록을 상기 아크릴 수지에 상기 기재가 매립되도록 형성하고,
    일정 시간 방치하여 상기 아크릴 수지가 경화되도록 하며,
    상기 각 돌출부는 가로와 세로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기재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기재는 접혀지는 재질이고, 상기 각 돌출부의 상부는 비정형의 미세한 미끄럼 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의 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의 시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점형 또는 선형이고, 선형인 경우, 다수의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의 시공 방법.
KR1020110102093A 2011-10-06 2011-10-06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및 그의 시공 방법 KR20130037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093A KR20130037598A (ko) 2011-10-06 2011-10-06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및 그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093A KR20130037598A (ko) 2011-10-06 2011-10-06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및 그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598A true KR20130037598A (ko) 2013-04-16

Family

ID=4843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093A KR20130037598A (ko) 2011-10-06 2011-10-06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및 그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75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819B1 (ko) 2021-06-04 2021-11-17 한국산재장애인협회(주) 미끄럼 방지용 바닥재
KR102348394B1 (ko) 2021-08-10 2022-01-10 한국산재장애인협회(주) 축광 기능을 겸비한 미끄럼 방지용 바닥재블록 및 그 바닥재블록의 제조방법
US11393993B2 (en) 2019-04-17 2022-07-1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3993B2 (en) 2019-04-17 2022-07-1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327819B1 (ko) 2021-06-04 2021-11-17 한국산재장애인협회(주) 미끄럼 방지용 바닥재
KR102348394B1 (ko) 2021-08-10 2022-01-10 한국산재장애인협회(주) 축광 기능을 겸비한 미끄럼 방지용 바닥재블록 및 그 바닥재블록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9596B1 (en) Textured tile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US8082872B2 (en) Detectable guidance markers for tactile navigation, including indicia of obstacle presence, type, dimensions, direction, and/or proximity
US5303669A (en) Tiles for pedestrian platforms and walkways
RU169534U1 (ru) Тактильный указатель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на пешеход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KR20130037598A (ko) 미끄럼방지를 위한 시각장애인용 보도 및 횡단보도용 점자블록 및 그의 시공 방법
JP4153008B2 (ja) 路面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1156419B1 (ko)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의 보도블럭
KR101091879B1 (ko)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의 시공방법
JP4179466B2 (ja) 弾性床マット
WO2001057341A1 (en) Detectable warning and wayfinding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TVI20100192A1 (it) Sistema di rivestimento di superfici.
RU160792U1 (ru) Тактильный указатель
KR100923730B1 (ko) 구조개선된 시각장애인 유도블록
CA2092367A1 (en) Tiles for pedestrian platforms and walkways
CN214089326U (zh) 一种盲道橡胶卷材
KR200297381Y1 (ko) 보도용 유도블록
BE1019179A3 (nl) Podo-tactiele nop.
KR100938185B1 (ko) 결합돌기를 통해 결합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KR101091877B1 (ko)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
KR200358592Y1 (ko) 보행자 도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우레탄과 콘크리트합성 보도블록 구조
KR200378135Y1 (ko)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럭
KR200423591Y1 (ko)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록
KR200416771Y1 (ko) 블록 구조
KR200366542Y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KR20170071722A (ko) 지체장애인과 시각장애인들의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