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965A - 스터드 타이어 - Google Patents

스터드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965A
KR20140113965A KR1020147020177A KR20147020177A KR20140113965A KR 20140113965 A KR20140113965 A KR 20140113965A KR 1020147020177 A KR1020147020177 A KR 1020147020177A KR 20147020177 A KR20147020177 A KR 20147020177A KR 20140113965 A KR20140113965 A KR 20140113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tread
tire
bridges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파빙
일리예스 바트니니
Original Assignee
꽁빠니 제네날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꽁빠니 제네날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 미쉐린 러쉐르슈 에 떼크니크 에스.에이. filed Critical 꽁빠니 제네날 드 에따블리세망 미쉘린
Publication of KR20140113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25Arrangements thereof in the tread patterns, e.g. irre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37Attachment of the plugs into the tread, e.g. screw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43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with special shape of the plug-body portion, i.e. not cylindrical
    • B60C11/165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with special shape of the plug-body portion, i.e. not cylindrical concave or convex, e.g. barrel-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얼음으로 덮일 수도 있는 지면 상에서 굴러가도록 설계된 스터드들을 가진 타이어로서, 적어도 하나의 고무 화합물로 형성되고 트레드 표면을 가진 트레드와, 오리피스를 통해 트레드 표면 상에서 개방되고 스터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하우징들로서, 오리피스는 스터드가 하우징 내에 있을 때 트레드 표면 상에서 최대 치수(D0)를 갖는, 복수의 하우징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스터드는: 트레드 내의 스터드를 고정시키도록 설계된 베이스와, 얼음과 접촉하도록 트레드로부터 돌출하도록 설계된 팁과, 베이스와 팁을 연결하고 대칭축을 가진 몸체, 및 몸체의 대칭축을 통과하는 길이 방향축을 포함하며, 스터드를 둘러싸는 트레드는 스터드에 대한 고정 플랫폼을 형성하고, 플랫폼은 차례대로 트레드 표면 상의 캐비티 개구에 의해 둘러싸이고, 따라서 스터드의 길이 방향축에 대해 D0/2 이상 및 D0/2 + 2mm 이하의 반경 내의 트레드 표면 상의 리세스 개구의 체적은 20mm3 이하이고, 스터드의 길이 방향축에 대해 D0/2 + 2mm 이상 및 D0/2 + 4mm 이하의 반경 내의 트레드 표면 상의 리세스 개구의 체적은 60mm3 이상 및 100mm3이하이다.

Description

스터드 타이어{STUDDED TYRE}
본 발명은 스터드들을 포함하는 얼음 상에서 구동하는 타이어들("스터드 타이어들")에 관한 것이다.
스터드 타이어들은 스터드 타이어들이 예를 들면, 눈 덮인 도로면 상에서 구동할 때, 겨울 구동 조건들 하에서 어떻게 거동하는지에 관하여 명백한 장점들을 갖는다. 얼음과의 접촉, 및 더 구체적으로는 스터드가 얼음 내에 구멍 등을 파는 방법이 타이어 트레드의 트레드 패턴에서 관찰되는 접지력의 감소를 보상한다. 스터드들은 얼음을 긁고 얼음 상에서 추가의 힘들을 생성한다.
스터드 타이어들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어려움들 중 하나는 접지력 값들(grip value)이 예상될 수 있는 값들의 아래에 있는 값들에서 그 상한 제한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스터드 근처에서, 트레드 내에 그루브들 또는 캐비티들을 제공하여, 스터드가 얼음을 긁을 때 생성되는 얼음의 어떤 부스러기 또는 입자들이 더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는 것을 제안하였다(예를 들어, 특허 출원 WO 2009/147046 및 WO 2009/147047 참조). 이 부스러기들이 더 신속하게 제거되기 때문에, 타이어의 트레드 표면과 얼음의 표면 사이의 경계면의 두께는 감소되고, 이는 이어서 유효한 돌출부(또는 얼음이 긁히는 깊이)를 증가시키고 얼음 내의 더 확실한 고정을 야기하고 얼음 상의 접지력에 대한 성능을 눈에 띄게 개선한다.
방법은 얼음 상에서 구동하기 위해 스터드들을 포함하는 타이어의 접지력의 상당한 개선을 허용하였지만, 타이어가 아스팔트 상에서 사용될 때 얼음 상의 접지력의 레벨과 스터드 유지 사이의 절충안을 개선해야 할 여지가 여전히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 중 하나는 타이어가 아스팔트 상에서 사용될 때 스터드 유지와 얼음 상의 스터드들에 의해 성취된 접지력의 레벨 사이의 절충안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얼음으로 덮일 수도 있는 지면 상에서 굴러가도록 설계된 타이어를 사용하여 성취되고, 상기 타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고무 화합물로 형성되고 트레드 표면을 가진 트레드와, 오리피스를 통해 트레드 표면 상에서 개방되고 스터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하우징들로서, 오리피스는 스터드가 하우징 내에 있을 때 트레드 표면 상에서 최대 치수(D0)를 갖는, 상기 복수의 하우징들을 포함하며; 스터드는: 트레드 내의 스터드를 고정시키도록 설계된 베이스와, 얼음과 접촉하도록 트레드로부터 돌출하도록 설계된 팁과, 베이스와 팁을 연결하고 대칭축을 가진 몸체, 및 몸체의 대칭축을 통과하는 길이 방향축을 포함하며, 스터드를 둘러싸는 트레드는 스터드에 대한 고정 플랫폼을 형성하고, 플랫폼은 차례대로 트레드 표면 상의 캐비티 개구에 의해 둘러싸이고, 따라서 스터드의 길이 방향축에 대해 D0/2 이상 및 D0/2 + 2mm 이하의 반경 내의 트레드 표면 상의 리세스 개구의 체적은 20mm3 이하이고, 스터드의 길이 방향축에 대해 D0/2 + 2mm 이상 및 D0/2 + 4mm 이하의 반경 내의 트레드 표면 상의 리세스 개구의 체적은 60mm3 이상 및 100mm3이하이다.
제 1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캐비티의 최대 깊이는 HA/2 이하이고, 여기서 HA는 스터드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깊이이다. HA/2 초과의 깊이들은 사실상 손상된 스터드 유지를 야기한다.
제 2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트레드의 나머지에 상기 스터드에 대한 상기 고정 플랫폼을 연결하는 고무 화합물의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는 상기 캐비티를 가로질러 통과한다. 캐비티의 횡단은 캐비티의 깊이를 줄이도록 이와 같이 국소적으로 있는 것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브릿지의 존재는 타맥으로 포장된, 젖은, 눈 및/또는 얼음으로 덮인 지면 상의 스터드들의 유지를 개선한다.
적합하게도, 캐비티를 통해 통과하는 고무 화합물의 상기 브릿지들의 수는 1 초과이고, 이는 반경 방향에 대해 수직인 몇몇의 방향들에서 스터드의 고정을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적합하게도, 고무 화합물의 이러한 브릿지들의 수는 3 이상이고, 브릿지들은 스터드에 대해 고르게 분포된다.
하나의 특히 유리한 구성에서, 스터드에 대해 고르게 분포된 브릿지들의 수는 6이다. 이 수는 심지어 브릿지들 중 하나가 심각해지는 경우에도 양호한 스터드 유지를 보장하는데 매우 충분하다.
고무 화합물의 브릿지들은 새로운 (닳지 않은) 상태(as-new (unworn) condition)에서 타이어의 트레드 표면과 교차할 수도 있고, 새로운 (닳지 않은) 상태에서 타이어의 트레드 표면과의 교차 지점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적합하게도, 고무 화합물의 브릿지들은 둥근 기하학적 구조를 갖고, 이는 트레드의 내부를 향해 퍼지는 크랙들의 위험을 줄인다.
제 3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스터드에 대한 고정 플랫폼을 둘러싸는 캐비티는 깊이에 따라 좁아진다.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몇몇의 또는 심지어 모든 상술된 실시예들을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종종 바람직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스터드들과 정합된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터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터드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터드 하우징 내에 삽입된 스터드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터드 타이어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도시한 도면들.
도 7 및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러한 타이어의 트레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들.
도 12 내지 도 15는 스터드의 삽입 전 및 후에,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의 일부를 나타낸 사진들.
도 1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트레드의 일부를 장착하기 위한 주형 요소(mould element)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의 고무 블록(40)의 평면도.
용어 "방사상"의 사용에서,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쓰이는 많은 다양한 사용 사이에서 차이를 두는 것이 적절하다. 우선, 그 표현은 타이어의 반경을 지칭한다. 지점(P2)에 있는 것보다 타이어의 회전축에 더 가깝다면, 지점(P1)이 지점(P2)의 "방사상 내부"(또는 지점(P2)의 "내부 상에서 방사상으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역으로, 지점(P4)에 있는 것보다 타이어의 회전축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면, 지점(P3)이 지점(P4)의 "방사상 외부"(또는 지점(P4)의 "외부 상에서 방사상으로")에 있다고 한다. 더 작은(또는 더 큰) 반경의 방향에서, 진전이 "방사상 내향으로(또는 외향으로)" 있다고 한다. 반경 방향이 고려된다면, 또한 적용되는 용어의 의미이다.
그와 대조적으로, 스레드(thread) 또는 보강부의 보강 요소들이 원주 방향과 80°이상 및 90°이하의 각을 이룰 때 스레드 또는 보강부는 "방사상"에 있다고 한다. 이 문서에서, 용어 "스레드"는 완전히 일반적인 의미로 이해되고 멀티필라멘트들, 코드, 합쳐 꼬은 실 또는 동등한 어셈블리의 형태로 그리고 고무와의 결합을 강화하도록 수용될 수도 있는 표면 처리 또는 스레드가 제조되는 재료에 관계없이 덮인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결국, "방사상 섹션" 또는 "방사상 교차 섹션"은 여기서 타이어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섹션 또는 교차 섹션을 의미한다.
"축" 방향은 타이어의 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이다. 지점(P6)에 있는 것보다 타이어의 중간 면에 더 가깝다면, 지점(P5)이 지점(P6)의 "축 방향으로 내부"(또는 지점(P6)의 "내부 상에서 축 방향으로")에 있다고 한다. 역으로, 지점(P8)에 있는 것보다 타이어의 중간 면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면, 지점(P7)이 지점(P8)의 "축 방향으로 외부"(또는 지점(P8)의 "외부 상에서 축 방향으로")에 있다고 한다. 타이어의 "중간 면"은 타이어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인 평면이고, 각각의 비드의 환형 보강 구조체들 사이의 동일한 거리들에 있다. 어떤 방사상 교차 섹션에서, 중간 면이 타이어를 2개의 타이어 "절반들"로 분할한다고 말할 때, 그것은 중간 면이 반드시 타이어의 대칭면을 구성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표현 "타이어 절반"은 여기서 더 넓은 의미를 갖고 타이어의 축 폭의 절반에 가까운 축 폭을 가진 타이어의 일부를 나타낸다.
"원주" 방향은 타이어의 반경 및 축 방향 모두에 수직인 방향이다.
트레드의 "트레드 표면"은 여기서 -스터드들 없이 서비스 압력으로 팽창되는- 타이어가 지면 상에서 굴러갈 때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의 모든 지점들을 나타낸다.
이 문서의 맥락에서, 표현 "고무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토머와 필러를 포함하는 고무의 화합물을 나타낸다.
도 1은 개략적으로 타이어가 굴러갈 때 지면과 접촉하도록 설계된 트레드 표면을 가진 트레드(20)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이어(10)를 도시한다. 트레드(20)는 복수의 가로 그루브들(25) 및 복수의 원주 그루브들(26) 및 복수의 스터드들(30)을 포함한다. 스터드들(30)은 트레드(20)의 고무 블록들(40) 내의 트레드 표면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배열되고; "고무 블록들"은 가황 고무 화합물로 구성되고 그루브들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 트레드의 요소를 의미한다. 트레드의 중앙 리브(rib; 50)는 스터드들(30)과 또한 정합될 수도 있다. 스터드들(30)은 타이어의 주변 주위의 다양한 위치들에서 배열되어, 어떤 예에서 타이어가 굴러가는 지면과 접촉하는 스터드들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터드(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스터드(30)는 길이 방향축(33)을 갖는다. 스터드(30)의 프로파일은 원통형이고 축(33)의 중앙에 놓인다. 스터드(30)는 2개의 축 단부들을 갖고: 축 단부들 중 하나는 스터드(30)가 타이어(10)에 정합되고 타이어(10)가 지면 상에서 굴러갈 때 지면(얼음, 눈 또는 포장되지 않은 노면)과 접촉하도록 설계된, 여기서 팁(60)에 의해 구현되는, 제 1 부분을 규정한다. 팁은 유리하게는 스터드의 나머지의 것으로부터 분리된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것은 매우 높은 기계적 응력들을 받기 쉬운, 부분을 위해 사용될 더 단단한 재료를 허용한다. 그것은 또한 특정한 제품 패밀리들이 팁이 부착되는 성형되거나 또는 사출 성형된 몸체를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분명히, 단일 재료로부터 완전히 제조되는 스터드들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스터드(30)의 다른 단부는 타이어(10)의 트레드(20) 내의 스터드(30)를 고정하도록 설계되는 베이스(70)로 형성된다.
몸체(80)는 스터드(30)의 베이스(70) 및 제 1 부분(60)을 연결한다. 몸체의 평균 직경(DC)은 스터드(30)의 베이스(70)의 평균 직경(DT)보다 더 작고, 스터드의 축(33)에 대해 수직인 이 직경들이 측정된다. 몸체(80)는 몸체의 직경과 베이스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 부분(85)에 의해 베이스(70)로부터 분리된다.
도 3은 타이어(10)의 트레드(20)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트레드에는 하우징(90)이 제공된다. 각각의 하우징은 타이어(10)의 트레드(20)의 외부에 대해 개방된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고 스터드(30)와 협력하도록 설계된다.
도 4는 스터드(30)가 삽입된 후에 트레드(20)의 동일한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트레드가 형성되는 고무 화합물의 탄성 때문에, 트레드(20)는 완벽하게 스터드(30)를 감싸고 스터드를 타이어 내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 1 스터드 타이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5는 스터드의 부분을 둘러싸는 고무 화합물로 제조된 트레드(20)의 부분과 스터드(30)의 부분을 도시한다. 스터드는 스터드가 얼음(100)과 접촉하는 때에 도시된다. 타이어의 회전(R) 방향은 화살표(R)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스터드(30)의 제 1 부분(60)은 평균 깊이(P)까지 얼음(100)을 판다. 얼음(100)을 파고 얼음을 긁음으로써, 스터드(30)는 국소적으로 얼음을 깨고 트레드(20)와 얼음(100) 사이의 경계면에서 축적되고 궁극적으로 스터드(30)의 제 1 부분(60)이 얼음(100)을 깊게 파는 것을 방지하는 다량의 얼음 부스러기(110)를 생성하고, 이것은 따라서 타이어 접지력 상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도 6은 이 부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종래 기술(특허 출원 WO 2009/147047 참조)의 개선된 타이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이 타이어는 스터드(30)가 얼음(100)을 팔 때 형성되는 부스러기들(110)이 저장되는, 캐비티(200)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부스러기들(110)은 얼음(100)과 트레드(20)의 트레드 표면 사이에 쌓이지 않는다. 따라서, 스터드(30)는 얼음(100)을 더 깊게 팔 수 있어 더 큰 평균 관통 깊이(P)가 획득되고 타이어는 얼음에 더 잘 접지력 있게 밀착한다.
도 7 및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러한 타이어의 트레드의 일부를 도시한다. 이 도면들은 투시법으로(도 8) 그리고 트레드의 외부 상에서 방사상으로 위치로부터 본(도 7), 타이어의 트레드(20)의 고무 블록(4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이 고무 블록(40)은 복수의 다른 블록들에 의해 둘러싸이고 가로(25) 및 원주(26) 그루브들에 의해 다른 블록들로부터 분리된다.
고무 블록(40)은 고무 블록(40)에 의해 형성된 트레드 표면의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팁(60)을 가진, 길이 방향축(33)(도 8 참조)을 가진 스터드를 포함한다. 스터드는 몸체(80)(도 8 참조)에 의해 트레드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고, 그 일부만이 점선으로 도시된다. 고무 블록(40)은 또한 각각 60mm3의 체적을 가진, 스터드(30)와 연관된 3개의 캐비티들(201 내지 203)을 포함한다.
스터드 타이어의 이 형태가 얼음 상의 접지력에서의 상당한 개선을 허용했지만, 타이어가 아스팔트 상에서 사용될 때 스터드 유지와 얼음 상의 접지력의 레벨 사이의 절충안을 개선해야 할 여지가 여전히 있다. 이러한 개선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사용하여 획득되고, 트레드의 일부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스터드(스터드의 팁(60)은 트레드로부터 돌출함)를 둘러싸는 트레드는 스터드에 대해 고정 플랫폼(120)을 형성하고, 이 플랫폼은 트레드 표면 상에서 개방되는 캐비티(130)에 의해 차례로 둘러싸여, 2개의 조건들이 만족된다.
첫째로, D0/2 이상(여기서 트레드 상의 스터드(30)의 윤곽에 해당함) 및 D0/2 + 2mm(원(142)을 사용하여 나타냄) 이하의 반경 내의 트레드 표면 상의 리세스 개구의 체적은 20mm3 이하이다(도시된 스터드에 대해, D0은 6.5mm임). 이 조건은 트레드 내에 단단히 스터드를 고정하도록 고정 플랫폼이 충분히 있는 것에 해당한다. 이 부분에는 작은 캐비티들이 있을 수도 있지만 고정에 대해 상당히 타협(compromise)하지 않기 위해서, 캐비티들이 크면 안 된다. 출원인은 20mm3의 체적이 초과되지 않아야 할 값임을 찾아냈다. 작은 캐비티들은 도 12 내지 도 15에 보이는 표면 상에 도시되고 도 13에서 도면 부호 150으로 식별된다.
둘째로, D0/2 + 2mm이상(원(142)을 사용하여 나타냄) 및 스터드의 길이 방향축에 대한 D0/2 + 4mm(원(144)을 사용하여 나타냄) 이하의 반경 내의 트레드 표면 상의 리세스 개구의 체적은 60mm3 이상 및 100mm3 이하이다(이 특정한 예에서, 체적은 80mm3임). 이 조건은 스터드의 축으로부터 떨어져서 충분하게 짧은 거리에서 얼음 부스러기들의 특정 양을 보유할 수 있는 캐비티가 있다는 것에 해당한다.
적합하게도, 캐비티의 최대 깊이(H)는 HA/2 이하이고, 여기서 HA는 스터드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깊이이다(도 10 참조). 이 특정한 실시예에서, 스터드에 대한 고정 플랫폼을 둘러싸는 캐비티는 깊이에 따라 좁아진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드의 나머지에 대해 스터드에 대한 고정 플랫폼을 연결하는 고무 화합물의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는 캐비티를 가로질러 통과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스터드의 삽입 전(도 12 내지 도 14) 및 삽입 후(도 15)에, 고정 플랫폼이 6개의 브릿지들(140)에 의해 트레드의 나머지에 연결되는 지점에서 타이어 트레드의 일부를 도시한다.
이 특정한 예에서, 브릿지들은 새로운 상태(as-new condition)에서 타이어의 트레드 표면과 교차하지 않지만, 새로운 상태에서 트레드 표면과 교차하는 브릿지들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고정 플랫폼을 둘러싸는 캐비티는 사실상 복수의 캐비티들로 형성될 수 있고, 캐비티들 각각은 트레드 표면 상에서 개방된다. 이것은 캐비티들(160)로서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5에서 볼 수 있는 브릿지들은 브릿지들의 형태 및/또는 캐비티 벽들과의 접합 지점들에 관하여 둥근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이것은 트레드의 내부를 향해 크랙들이 퍼지는 위험을 감소시킨다. 다른 이유들 때문에, 이 위험이 무시해도 될 정도일 때, 브릿지들을 제공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고, 그 기하학적 구조는 뾰족한 코너들을 포함한다. 브릿지들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 부분을 성형하는 주형 요소를 도시한다. 트레드의 나머지에 고정 플랫폼을 연결하는 브릿지들을 성형하도록 설계된, 이(300)로 구성된 환형과 하우징(90)(도 3 참조)을 성형하도록 설계된 부분(290)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표 1은 참조로서 사용된, 얼음 저장소("A")가 없는 스터드 타이어, WO 2009/147047("B")에 따른 스터드 타이어 및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C")로부터 획득한 결과들을 비교한다. 사용된 재료들 및 타이어의 아키텍처는 모든 3개의 타이어들에 대해 동일하였다.
Figure pct00001
해결책 "B"가 스터드 유지를 희생하여 얼음 상의 접지력을 개선하고, 해결책 "C"가 얼음 상의 접지력을 개선하고(해결책 "B"만큼은 아니지만) 특히 스터드 유지를 개선하지만, 따라서 전체 접지력/유지 절충안에 대해 매우 상당히 개선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얼음으로 덮일 수도 있는 지면 상에서 굴러가도록 설계된 타이어로서,
    적어도 하나의 고무 화합물로 형성되고 트레드 표면을 가진 트레드(20)와,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트레드 표면 상에서 개방되고 스터드(30)를 포함하는 복수의 하우징들(90)로서,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스터드가 상기 하우징 내에 있을 때 상기 트레드 표면 상에서 최대 치수(D0)를 갖는, 상기 복수의 하우징들(90)을 포함하며,
    상기 스터드는: 상기 트레드 내의 상기 스터드를 고정시키도록 설계된 베이스(70)와, 상기 얼음과 접촉하도록 상기 트레드로부터 돌출하도록 설계된 팁(60)과, 상기 베이스와 상기 팁을 연결하고 대칭축을 가진 몸체(80), 및 상기 몸체의 상기 대칭축을 통과하는 길이 방향축(33)을 포함하며,
    상기 스터드를 둘러싸는 상기 트레드는 상기 스터드에 대한 고정 플랫폼(120)을 형성하고, 상기 플랫폼은 차례대로 상기 트레드 표면 상의 캐비티(130) 개구에 의해 둘러싸이고, 따라서
    상기 스터드의 상기 길이 방향축에 대해 D0/2 이상 및 D0/2 + 2mm 이하의 반경 내의 상기 트레드 표면 상의 리세스 개구의 체적은 20mm3 이하이고,
    상기 스터드의 상기 길이 방향축에 대해 D0/2 + 2mm 이상 및 D0/2 + 4mm 이하의 반경 내의 상기 트레드 표면 상의 리세스 개구의 체적은 60mm3 이상 및 100mm3이하인,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기 최대 깊이는 HA/2 이하이고, 여기서 HA는 상기 스터드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깊이인, 타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의 나머지에 상기 스터드(30)에 대한 상기 고정 플랫폼(120)을 연결하는 고무 화합물의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140)는 상기 캐비티(130)를 가로질러 통과하는, 타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고무 화합물의 상기 브릿지들(140)의 수는 1 초과인, 타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고무 화합물의 상기 브릿지들(140)의 수는 3 이상이고, 상기 브릿지들은 상기 스터드에 대해 고르게 분포되는, 타이어.
  6. 제 5 항에 있어서,
    브릿지들(140)의 수는 6인, 타이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30)에 대한 상기 고정 플랫폼(120)을 둘러싸는 상기 캐비티(130)는 깊이에 따라 좁아지는, 타이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무 화합물의 상기 브릿지들(140)은 새로운 상태(as-new condition)에서 상기 타이어의 상기 트레드 표면과 교차하는, 타이어.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무 화합물의 상기 브릿지들(140)은 새로운 상태에서 상기 타이어의 상기 트레드 표면과 교차하지 않는, 타이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무 화합물의 상기 브릿지들(140)은 둥근 기하학적 구조를 가진, 타이어.
KR1020147020177A 2011-12-21 2012-12-14 스터드 타이어 KR201401139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62122 2011-12-21
FR1162122A FR2984803B1 (fr) 2011-12-21 2011-12-21 Pneumatique cloute perfectionne
US201261610282P 2012-03-13 2012-03-13
US61/610,282 2012-03-13
PCT/EP2012/075613 WO2013092434A1 (en) 2011-12-21 2012-12-14 Studded ty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965A true KR20140113965A (ko) 2014-09-25

Family

ID=4581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177A KR20140113965A (ko) 2011-12-21 2012-12-14 스터드 타이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40326384A1 (ko)
EP (1) EP2794302B1 (ko)
JP (1) JP6099668B2 (ko)
KR (1) KR20140113965A (ko)
CN (1) CN103998259B (ko)
CA (1) CA2858159C (ko)
FR (1) FR2984803B1 (ko)
RU (1) RU2605652C2 (ko)
WO (1) WO20130924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723B1 (ko) 2014-10-08 2016-02-1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스노우 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09001A (zh) * 2013-12-17 2015-06-17 魏玉斌 一种防滑轮胎
JP6052311B2 (ja) * 2015-02-04 2016-12-27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成形用金型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6565574B2 (ja) * 2015-10-08 2019-08-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冬用タイヤ
DE102015221118A1 (de) * 2015-10-29 2017-05-04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DE102015221117A1 (de) 2015-10-29 2017-05-04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WO2017116821A1 (en) 2015-12-29 2017-07-06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Tire projection and housing system
JP6790441B2 (ja) * 2016-04-28 2020-11-25 横浜ゴム株式会社 スタッドピン、空気入りタイヤ、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スタッドピン装着方法
JP6790442B2 (ja) * 2016-04-28 2020-11-25 横浜ゴム株式会社 スタッドピン、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6986420B2 (ja) * 2017-11-08 2021-12-22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16330893A (zh) * 2018-07-13 2023-06-27 倍耐力轮胎股份公司 带防滑钉的轮胎
CN112423997B (zh) * 2018-07-13 2023-02-17 倍耐力轮胎股份公司 用于车辆车轮的嵌钉轮胎
JP7116659B2 (ja) * 2018-10-19 2022-08-10 Toyo Tire株式会社 タイヤ
JP7085454B2 (ja) * 2018-10-19 2022-06-16 Toyo Tire株式会社 タイヤ
CN110315910A (zh) * 2019-08-09 2019-10-11 王少波 一种聚氨酯轮胎
CN110422016A (zh) * 2019-09-09 2019-11-08 正新橡胶(中国)有限公司 一种轮胎及其防滑钉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029872A (en) * 1910-12-23 1911-12-21 William George Skew Improvements in the Treads of Non-skid Pneumatic Tyres.
SE227398C1 (ko) * 1964-02-11 1969-10-14
DE1228158B (de) * 1965-06-28 1966-11-03 Dr Georg Groetsch Fahrzeugluftreifen mit Gleitschutzkoerpern
JPS502006U (ko) * 1973-05-04 1975-01-10
JPS5996005A (ja) * 1982-11-25 1984-06-02 Bridgestone Corp スパイク装着用車両タイヤ
JPH0354005A (ja) * 1989-07-14 1991-03-08 Neste Oy スパイクタイヤ
NZ242909A (en) * 1991-06-04 1994-12-22 Ishikawa Giken Gomu Kk Rubber spike pin projects within tread open mounting recess
CA2069696C (en) * 1991-06-04 1998-06-23 Hiroshi Yamada Spike pin and system for mounting a spike pin
JP2600172Y2 (ja) * 1993-05-17 1999-10-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冬用タイヤ
FR2909037B1 (fr) * 2006-11-28 2009-01-16 Michelin Soc Tech Ensemble pneumatique et crampons avec fixation par clipsage.
JP5098383B2 (ja) * 2007-03-16 2012-12-1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スタッドタイヤ
FR2931729B1 (fr) 2008-06-03 2010-07-30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pour roulage sur glace
FR2931728B1 (fr) * 2008-06-03 2010-07-30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pour roulage sur glace
DE102009044547A1 (de) * 2009-11-16 2011-05-19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Laufstreifenprofil eines Fahrzeugluftreife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723B1 (ko) 2014-10-08 2016-02-1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스노우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58159C (en) 2020-02-11
FR2984803B1 (fr) 2014-01-03
JP2015502292A (ja) 2015-01-22
RU2014129562A (ru) 2016-02-10
RU2605652C2 (ru) 2016-12-27
CA2858159A1 (en) 2013-06-27
CN103998259A (zh) 2014-08-20
WO2013092434A1 (en) 2013-06-27
US20140326384A1 (en) 2014-11-06
CN103998259B (zh) 2016-06-29
JP6099668B2 (ja) 2017-03-22
EP2794302B1 (en) 2018-05-30
EP2794302A1 (en) 2014-10-29
FR2984803A1 (fr) 201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3965A (ko) 스터드 타이어
JP6061306B2 (ja) トレーラ型重車両用タイヤトレッド及び成形コンポーネント
CN104837654B (zh) 包括切口和空腔的雪地轮胎的胎面
US20140290814A1 (en) Tread including at least one wavy groov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110162771A1 (en) Tire for Driving on Ice
EP2028024A1 (en) Precured tread and retreaded tire
WO2010039148A1 (en) Undulated progressive tire mold element
US20150183274A1 (en) Tread for tire of a drive axle of a heavy goods vehicle and tire
US8919399B2 (en) Tire tread
CN107454875B (zh) 包括包含通道的胎面层的轮胎
US11186054B2 (en) Variable thickness sipes
EP2070729A1 (en) Pneumatic tire with improved tie bar
CN110254142B (zh) 具有胎纹沟槽的经过改进的轮胎胎面
US20170021675A1 (en) Method for forming a tire having a zero thickness sipe and tire obtained thereby
US20180326794A1 (en) Twisted sipes
WO2015080799A1 (en) Method of moulding tire treads having a zero thickness sipe and tire obtained thereby
WO2019108173A1 (en) Tire sipe design for aggression resistance
JP6336999B2 (ja) 方向性設計のタイヤトレッド
US7544053B2 (en) Flexible molding device for manufacturing a sunken groove or surface tie bar in a tire tread
US9393841B2 (en) Tyre tread having cavities and incisions
JP5755659B2 (ja) 特定のキャビティを有するタイヤトレッド
CN111065529A (zh) 用于包括隐藏通道的轮胎胎面的模具
EP3200988A1 (en) Tire treads having a zero thickness si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