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835A - 선도장 강판용 폴리에스테르 도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선도장 강판용 폴리에스테르 도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835A
KR20140113835A KR1020130027984A KR20130027984A KR20140113835A KR 20140113835 A KR20140113835 A KR 20140113835A KR 1020130027984 A KR1020130027984 A KR 1020130027984A KR 20130027984 A KR20130027984 A KR 20130027984A KR 20140113835 A KR20140113835 A KR 20140113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ating composition
resin
core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환오
박종명
정호수
김정택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7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3835A/ko
Publication of KR20140113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83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2Mel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8Particle size between 100-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선도장 강판용 폴리에스테르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경도와 가공성이 우수하여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은, 수산기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와 이를 변성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및 멜라민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하며, 충격보강제로서 코아셀 고무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도장 강판용 폴리에스테르 도료조성물{RESIN COMPOSITION WITH POLYESTER RESIN FOR PRE-COATED STEEL SHEET}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선도장 강판용 폴리에스테르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경도와 가공성이 우수하여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도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제조사에서 제조원가 절감, 친환경적 공정 개발 및 공정의 단순화를 위해 자동차용 고성형성 칼라 강판 제조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선도장 강판을 이용한 완성차의 조립 방법은 기존의 스프레이 도장 공정을 모두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산업에서는 환경친화 및 생산성 측면에서 획기적인 기술이다.
그런데 선도장 강판의 성형과정에서 강판과 도막의 성형물질의 물성 차이로 인해 도막이 손상되거나, 완성된 차량의 경우 주행 중에 외부 작용에 의한 충격으로 도막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료조성물 분야에서, 경도와 유연성은 상반되는 성질이다. 즉, 경도가 높은 도막은 취성이 커서 내충격성과 가공성이 취약해지고, 반대로 가공성이 우수한 도막은 경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도막의 경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가소제를 첨가하거나, 수지의 분자량을 증대시키거나, 강화용 필러(filler)를 첨가하거나, 주쇄 및 측쇄에 유리전이온도(Tg)가 낮은 세그먼트(segment)를 도입하는 등의 방법으로 취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가소제의 첨가는 강인화(toughening)의 측면에서는 효과가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인장 강도, 연화점 등의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자량 증가와 강화용 필러(filler)의 첨가 등의 방법은 가공이 까다로우며 강인성이 크게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효과가 크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도와 가공성 및 내충격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선도장 강판용 폴리에스테르 도료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로, 수산기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와 이를 변성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및 멜라민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하며, 충격보강제로서 코아셀(core/shell) 고무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코아셀 고무 입자의 코아(core)는, 공액 디엔계 고무(conjugated diene based rubber), 아크릴계 고무, 실리콘계 고무 또는 이들의 공중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코아셀 고무 입자의 셀(shell)은,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릭산, 메타크릴릭산,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비닐모노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코아셀 고무 입자의 크기는 30nm ~ 2,000n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코아셀 고무 입자의 함량은 전체 도료 중량의 25%이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의 수산기값이 5 ~ 100 mgKOH/g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 ~ 25,00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군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또는 그 유도체의 블록화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군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산기에 대한 당량비로 0.9 ~ 1.2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경화촉매는 주석 근간의 유기염으로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가 바인더의 0.05wt.% ~ 1.0wt.%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 군은, 알킬레이티드, 이미노 및 카르복실레이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 군은 중량비로 도료조성물 전체 수지 함량의 10% ~ 4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 화합물의 경화촉매는 이차 아민 또는 에폭시 수지로 블록화된 술폰산이 바인더의 0.5wt.% ~ 2.0wt.%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강판의 표면에,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도막을 180℃ ~ 300℃로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 강판의 경화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조성물에는, 코아셀 고무 구조의 충격 보강제가 함유되어 있어, 우수한 경도와 가공성 및 내충격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선박, 건축용 외장재 및 가전제품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은, 수산기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변성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군 또는 멜라민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하며, 충격보강제로서 코아셀 고무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수산기(hydroxyl group)를 함유하며, 수산기값은 5 ~ 100 mgKOH/g가 바람직한데, 이는 수산기값이 5 mgKOH/g 미만인 경우에는 도막의 경화성이 부족하고 내약품성 및 내용제성이 저하되고, 반대로 수산기값이 100 mgKOH/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공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을 위한 보다 바람직한 수산기값의 범위는 5 ~ 50 mgKOH/g이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한정되지만, 알키드(alkyd) 또는 아크릴(acryl) 수지 및 이것들을 변성한 수지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 ~ 25,0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일 경우 가공성이 저하되고, 25,000을 초과할 경우 높은 점도로 인해 고체 함량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경화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화합물과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경화제로는 멜라민 또는 멜라민 수지가 이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또는 그 유도체의 블록화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monomer) 화합물 또는 그것의 비우렛(biuret)체 및 이소시아누레이트(isocyanurate)체 등과 같은 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블록화제로 블록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화제는 카프로락탐(caprolactam), 메틸에틸케토옥심(methyl ethyl ketone oxime), 1,2-피라졸(pyrazole), 디이소프로필아민(diisopropylamine) 또는 3,5-디메틸피라졸(dimethylpyrazol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수산기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당량비로 0.9 ~ 1.2인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1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당량비로 0.9보다 적은 량의 경화제를 포함하는 도막이 점착 특성을 보일 수 있으며, 1.2보다 많은 량의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우 취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막의 가교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의 경화촉매는 주석 근간의 유기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가 선호된다. 상기, 경화촉매의 적절한 양은 바인더의 0.02wt.% ~ 1.0wt.%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5wt.% ~ 1.0wt.%가 사용될 수 있다. 경화 촉매가 0.02wt.%보다 적은 양이 사용될 경우 도막의 내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wt.%보다 많은 양이 사용될 경우 도막에 황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멜라민 화합물은 수산기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비로 0.1 ~ 0.4인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 0.3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중량비로 0.1보다 적은 량의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우 도막이 이 점착 특성을 보일 수 있으며, 0.4보다 많은 량의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우 취성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도막의 가교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멜라민 경화제의 경화촉매는 이차 아민 또는 에폭시 수지로 블록화된 술폰산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톨루엔 술폰산을 포함하는 술폰산, 도데실벤젠 술폰산, 디노닐나프탈렌 술폰산 및 디노닐나프탈렌 술폰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파라톨루엔 술폰산, 디노닐나프탈렌 술폰산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제는 열적으로 분해가능한 물질로 블록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블록화 물질은 이차 아민과 에폭시 수지를 포함한다. 일차 또는 삼차 아민이 이차 아민 대신에 사용될 수는 있으나 이차 아민이 선호되어진다. 일차 아민으로 블록화될 경우 도막에 황변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삼차 아민으로 블록화될 경우 도막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을 수 있다. 이차 아민을 예로 들면, 디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디노말프로필아민, 디-ni-부틸아민, 디세컨드리프로필아민, 디아릴아민, 디아밀아민, N-에틸-1,2-디이소부틸아민, 디메틸프로필아민, N-메틸헥실아민, 디-ni-옥틸아민, 피페리딘, 2-피페콜린, 3-피페콜린, 4-피에콜린 및 모르핀을 포함한다.
상기, 경화촉매의 적절한 양은 바인더의 0.5wt.% ~ 2.0wt.%가 사용될 수 있으며, 경화촉매가 도료에 적당량 포함될 경우에 도막의 외관 물성 및 물리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경화 촉매가 0.5wt.%보다 적은 양이 사용될 경우 도막이 미경화되어 점착특성이 나타날 수 있으며, 2.0wt.%보다 많은 양이 사용될 경우 도막이 과경화되어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코아셀 고무의 입자크기는 30nm ~ 2,000nm인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코아셀 고무의 입자크기가 30nm 미만일 경우 분산이 어려울 수 있고, 2,000nm 초과일 경우 내충격성이 크게 향상되지 않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100nm ~ 1,000nm인 것이 사용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nm ~ 600nm인 것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코아셀 고무 입자의 성분 중에서, 탄성적 또는 고무의 성질을 지닌 코아(core)의 성분은 공액 디엔계 고무, 아크릴계 고무, 실리콘계 고무 또는 그들의 공중합물로 구성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셀(shell)은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릭산, 메타크릴릭산,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비닐모노머 성분이 중합되어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아셀 고무 입자의 사용량은 도료 조성에 대하여 25wt.%까지 사용되는데, 25wt.%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충격성 및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거나 그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도장 강판의 경화처리방법은, (a) 강판의 표면에, 전술한 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도막을 180~300℃로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선도장 강판에 사용될 수 있는 강판이라면 예를 들어 합금화아연도금강판, 전기아연도금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과 같이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합금화아연도금강판이 바람직한 예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도장 도료조성물은 열경화형 도료조성물로서, 구체적으로는 1액형 열경화 도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료 조성물의 경화온도(강판의 최고도달온도, peak metal temperature)는 180℃ ~ 300℃가 바람직한데, 이는 180℃ 미만일 경우 미경화 상태로 약간의 점착 특성을 보이는 문제점이 있고, 300℃를 초과할 경우 너무 빠른 경화에 의해 도막의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한 가열온도는 180℃ ~ 250℃ 범위이다.
또한, 상기 1차 경화단계는 10초 ~ 2분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10초 미만일 경우 도막의 경화가 충분하지 않아 후속되는 성형공정을 수행하기 어렵고 2분 이내로도 성형공정에서 요구하는 물성을 구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2분을 초과할 경우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충격보강제를 제외한 조성물임), 하기 표 1과 같은 배합비의 것을 사용하였다.
충격보강제를 제외한 도료조성물의 성분별 배합비
성분 비휘발 성분
(NV)
함량
(wt.%)
VDA-0185-65(polyester, PPG Korea) 0.65 20.96
1-methoxy-2-propanol acetate 11.79
Carbon black 1.00 0.66
Titanium dioxide 1.00 8.52
Anticor.101(Sambo Fine chemical) 1.00 10.48
EFKA-4050(BASF) 0.33
Kocosol#150 10.03
Kocosol#150 10.93
ES-955(polyester, SK chemical) 0.40 21.26
Cymel 303LF 0.98 4.51
p-toluene sulfonic acid 0.53
합계 0.46 100
본 발명의 실시예 1 ~ 8은, 상기 도료 조성물에 충격보강제인 코아셀 고무 입자를 하기 표 2와 같은 중량비로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 7은 충격보강제로서 GANS Chemical Co., LTD.의 AC-3355를 하기 표 2의 함량별로 첨가하여 도료를 제조하였고, 실시예 8은 LG화학사의 IM812를 하기 표 2의 함량으로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충격보강제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예에는 충격보강제를 첨가하지 않았다.
실시예 1 ~ 8과 비교예에 첨가된 충격보강제 함량과 코아셀 입자의 크기
코아셀 입자크기
[㎛]
충격보강제함량
[wt.%]
코팅
적합여부
비교예 - 0
실시예1 0.5 5
실시예2 0.5 10
실시예3 0.5 15
실시예4 0.5 20
실시예5 0.5 25
실시예6 0.5 30
실시예7 0.5 35
실시예8 0.2~0.3 15 O
상기 표 1과 표 2의 성분을 포함하는 실시예 1 ~ 8과, 표 1의 성분만을 포함하는 비교예에 따른 도료조성물을 시편에 도포하고, PMT(Peak Metal Temperature) 214℃로 건조하여, 20㎛ 두께의 도막을 얻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도막의 내충격성, 가공성(T-bend test, ASTM D4145), 경도(ASTM D3363) 및 부착성(ASTM D3359) 등의 도막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도막 물성 평가 결과
내충격성 [m/kg] 가공성 경도 부착성
비교예 0.2 3T HB 5B
실시예1 0.3 3T HB 5B
실시예2 0.4 2T HB 5B
실시예3 0.5 2T HB 5B
실시예4 0.4 2T HB 5B
실시예5 0.2 4T B 5B
실시예8 0.2 2T B 5B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내충격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 4는 비교예에 비해 우수하고, 실시예 5 및 8의 경우, 비교예와 동등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공성의 측면에서는 실시예 2~4, 실시예 8의 경우, 비교예의 3T에 비해 우수한 2T 이하를 나타내며, 실시예 5의 경우에는 비교예에 비해 다소 낮은 4T를 나타내었으나, 경도의 측면에서는 비교예에 비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경도의 측면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5 및 8은 비교예에 비해 경도가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 1 ~ 4는 비교예와 동등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착성의 측면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 5 및 8은 비교예와 동등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 5 및 8은 비교예와 대비할 때, 내충격성이 향상되면서도 가공성이 향상되거나, 경도가 향상되면서도 가공성이나 부착성 등의 특성이 저하되지 않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경우, 내충격성이 비교예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되면서도, 경도가 비교예와 동등하여, 도막의 물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로,
    수산기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와 이를 변성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및 멜라민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하며,
    충격보강제로서 코아셀 고무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의 수산기값이 5~100 mgKO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1,000~25,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군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또는 그 유도체의 블록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군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산기에 대한 당량비로 0.9~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경화촉매는 주석 근간의 유기염으로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가 바인더의 0.05~1.0wt.%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 군은, 알킬레이티드, 이미노 및 카르복실레이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 군은 중량비로 도료조성물 전체 수지 함량의 1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 화합물의 경화촉매는 이차 아민 또는 에폭시 수지로 블록화된 술폰산이 바인더의 0.5~2.0wt.%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셀 고무 입자의 코아(core)는, 공액 디엔계 고무, 아크릴계 고무, 실리콘계 고무 또는 이들의 공중합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셀 고무 입자의 셀(shell)은,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릭산, 메타크릴릭산,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비닐모노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셀 고무 입자의 크기는 30~2,0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셀 고무 입자의 함량은 전체 도료 중량의 25%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 강판용 도료조성물.
  14. 선도장 강판의 경화처리방법으로,
    (a) 강판의 표면에,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료조성물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도막을 180 내지 300℃로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도장 강판의 경화처리방법.
KR1020130027984A 2013-03-15 2013-03-15 선도장 강판용 폴리에스테르 도료조성물 KR20140113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984A KR20140113835A (ko) 2013-03-15 2013-03-15 선도장 강판용 폴리에스테르 도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984A KR20140113835A (ko) 2013-03-15 2013-03-15 선도장 강판용 폴리에스테르 도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835A true KR20140113835A (ko) 2014-09-25

Family

ID=5175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984A KR20140113835A (ko) 2013-03-15 2013-03-15 선도장 강판용 폴리에스테르 도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38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533A1 (ko) * 2015-12-09 2017-06-15 주식회사 포스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흑색 수지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533A1 (ko) * 2015-12-09 2017-06-15 주식회사 포스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흑색 수지 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11066573B2 (en) 2015-12-09 2021-07-20 Posco Resin composition, black resin coated steel sheet using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9419B2 (en) Curable resin composition, structural adhesive, coating material or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using the same, foam body using the same, laminate using the same, and cured material thereof
DE60128038T2 (de) Härtbare Harz- und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JP5116548B2 (ja) 顔料分散用樹脂の製造方法
KR101378336B1 (ko) 내화학성, 내스크래치성 및 스크래치 복원성이 우수한 1액형 자동차 상도용 투명 도료 조성물
US8236895B2 (en) Paint compositions, a method of finish-painting and painted objects
KR100893134B1 (ko) 경화성 도료 조성물
JP6785924B2 (ja) 熱硬化性離型コーティング剤及び積層フィルム
KR10206659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CN112300508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利用其的模制产品
WO2022107848A1 (ja) 高固形分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形成方法
WO2022107847A1 (ja) 高固形分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形成方法
JP6230473B2 (ja) 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形成方法
KR101292292B1 (ko) 강판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강판
KR20140113835A (ko) 선도장 강판용 폴리에스테르 도료조성물
KR102496192B1 (ko) 2코트 방식의 도장용 도료 조성물
KR101676900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용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A1338361C (en) Coating composition curable at a low temperature
KR20210048339A (ko) 도료 조성물
US9018291B2 (en) Polyalkylene carbonate diol paint composition
DE102009000570A1 (de) Copolymere von langkettigen Alkylestern der (Meth)acrylsäure und ihre Verwendung als Bindemittel für Beschichtungsmittel
JPH11148049A (ja) 塗料組成物、塗装物及び無機酸化物ゾルの製造方法
KR102274395B1 (ko) 도료 조성물
KR100609093B1 (ko) 내화학성 및 내후성이 개선된 분체도료 조성물
DE112012005181B4 (de) Wasserbasierend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die Polytrimethylenetherpolyol aus Bioressourcen enthält, Mehrschichtlackierung und Verfahren zum Bilden einer Mehrschichtlackierung
KR20210048338A (ko)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