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507A -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및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및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507A
KR20140113507A KR1020140030161A KR20140030161A KR20140113507A KR 20140113507 A KR20140113507 A KR 20140113507A KR 1020140030161 A KR1020140030161 A KR 1020140030161A KR 20140030161 A KR20140030161 A KR 20140030161A KR 20140113507 A KR20140113507 A KR 20140113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ly conductive
flame retardant
flam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래리 디. 주니어 크리시
민 웨이 슈
이 쉔 린
Original Assignee
라이르드 테크놀로지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르드 테크놀로지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라이르드 테크놀로지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40113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5Forming flame retardant coatings or fire resistant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08J7/0423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with at least one layer of in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backing impregnating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9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fibres, e.g. metal fibres, carbon fibres, metallised textile fibres, electro-conductive mesh, woven, non-woven mat, fleece, cross-link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개시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테이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는 일반적으로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전기 도전성 직물층이 접착제층 상에 존재한다. 난연성 코팅이 전기 도전성 직물층 상에 존재한다. 난연성 코팅은 탄소함유 수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및 관련 방법{FLAME RETARDANT,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MATERIALS AND RELATED METHODS}
본 발명은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절에서는 반드시 종래 기술인 것만은 아닌 본 개시와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한다.
전자 장치의 작동은 장비의 전기 회로 내에 전자기 방사선을 생성한다. 이런 방사선은 일정 근접도 내에 있는 다른 전자 장치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 전자파 장해(EMI) 또는 고주파 장해(RFI)를 초래할 수 있다. 적절한 차폐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EMI/RFI 장해는 중요한 신호의 열화 또는 완전한 상실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자 장비는 비효율적이 되거나 작동 불능이 될 수 있다. EMI/RFI의 영향을 개선하는 일반적인 해법은 EMI 에너지를 흡수 및/또는 반사할 수 있는 차폐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들 차폐물은 EMI/RFI를 그 발생원 내에 국지화하고 EMI/RFI 발생원에 근접한 다른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EMI"는 일반적으로 EMI 방사와 RFI 방사를 포함 및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용어 "전자파"는 외부 발생원 및 내부 발생원으로부터의 전자파와 고주파를 포함 및 지칭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차폐는 예컨대 전자 장비가 배치되는 하우징 또는 여타의 봉입체에 대한 EMI와 RFI의 입출을 방지하는(또는 적어도 저감하는) EMI 차폐와 RFI 차폐를 일반적으로 포함 및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테이프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및 관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절은 본 개시의 일반적인 요약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전체 범위 또는 특징 전부에 대한 포괄적인 개시는 아니다.
다양한 양태에 따르면,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테이프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는 일반적으로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전기 도전성 직물층이 접착제층 상에 존재한다. 난연성 코팅이 전기 도전성 직물층 상에 존재한다. 난연성 코팅은 탄소함유 수지를 포함한다.
테이프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를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이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 방법은 탄소함유 수지 코팅으로 전기 도전성 직물층의 제1 면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전기 도전성 직물층의 제2 면에 접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난연성, 전기 도전성 테이프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도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L510 화염 등급을 갖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테이프는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 전기 도전성 직물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난연성 탄소함유 수지가 전기 도전성 직물의 제1 면 상에 존재한다. 전기 도전성 감압 접착제가 전기 도전성 직물의 제2 면 상에 존재한다.
추가적인 적용 분야는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설명을 통해 명확히 드러날 것이다. 본 요약부의 설명과 특정한 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시되는 것으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테이프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및 관련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도면은 가능한 모든 구현례가 아니라 선정된 실시형태만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도 1은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UL510 기준에 따른 화염 시험을 실시하기 전의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시험 샘플을 도시한다.
도 2b는 UL510 기준에 따른 화염 시험을 실시한 후의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시험 샘플을 도시한다.
도면 전반에 걸쳐 대응하는 참조번호는 대응하는 부품을 가리킨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테이프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는 감압 접착제(PSA)층이 그 위에 마련되는(예컨대 적층되는) 전기 도전성 직물층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PSA층은 하나 이상의 난연제(FR)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는 접착 재료에 소기의 난연성 레벨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PSA에 함유되는 난연제의 양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것이 유익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및 관련 방법을 개발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양태를 구현하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감압 접착 재료(20)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접착 재료(20)는 유리하게는 할로겐계 물질(예컨대 브롬, 염소 등)을 사용하지 않고(또는 극미량만을 사용하면서) 내화성 또는 난연성과 함께 전기 도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특성을 갖춘 본 접착 재료(20)는 예컨대 컴퓨터, 개인 휴대용 단말기, 휴대폰 및 여타의 전자 장치에 널리 사용되는 전자파 장해(EMI) 차폐 장치와 관련하여 테이프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재료(20)는 일반적으로 접착제층(24)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접착제(24)는 전기 도전성 입자(28)을 가지는 전기 도전성 감압 접착제(CPSA)이다. 대안적인 실시형태는 전기 도전성이 아닌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가 감압성이 아닌 추가 실시형태가 제공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도전성 직물층(32)이 접착제층(24) 상에 마련되고/되거나 접착제층(24)에 결합된다. 예컨대 접착제층(24)은 직물층(32) 상에 적층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난연성 코팅(36)이 전기 도전성 직물층(32) 상에 마련된다. 다양한 양태에서, 코팅(36)은 탄소함유 수지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아크릴레이트 계열, 고무 계열, 실리콘 폴리머 계열 등인 접착 재료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재료가 접착제층(24)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는, 숙성 공정 및 건조 공정 중에 가교가 일어날 수 있다. 일례로서, 접착제층(24)은 모노머(예컨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크릴 등)로부터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로 변환되는 아크릴레이트 계열 재료를 포함한다. 이 특정 실시형태에서는, 건조 공정이 용매의 증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건조 공정 중에, (실제로 합성은 아니지만) 비교적 경미한 가교가 몇몇 폴리머/올리고머의 기능군을 대상으로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가교는 건조 후에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형태는 건조 공정이 아니라 숙성 공정 중에 대부분의 가교 반응이 일어나도록 수일(예컨대 몇몇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하루 내지 14일) 동안의 추가 숙성을 포함한다.
추가 예로서, 접착제층(24)은 합성 고무나 천연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 이소프렌 스티렌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나, 고무와 유사한 유연성, 탄력성 또는 압축변형성, 낮은 압축영구변형성, 신축성 및 변형 후 복원 능력을 나타내는 여타의 수지,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층(24)은 실질적으로 고체 형태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접착제층(24)의 형성 전에, 접착제층(24)은 전기 도전성 입자(28) 등과 같은 첨가제를 수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액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코팅(36)은 접착제층(24)에서 난연제를 생략할 수 있도록 충분한 난연성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어느 정도의 난연제가 접착제층(24)에 여전히 제공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접착제층(24)의 전기 도전성 입자(28)는 전기 도전성 니켈 분말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넓은 범위의 적절한 재료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니켈 분말은 필요에 따라 소기의 입도까지 가공된 후에 접착제층(24)에 첨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입도를 얻기 위해 니켈 분말을 가공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의 니켈 분말은 약 0.0005 mm와 약 0.1 mm 사이의 평균 입도를 가지거나 약 0.0001 mm와 약 0.2 mm 사이의 입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입자(28)는 예컨대 구리 분말, 흑연, 은 분말, 은 코팅된 구리 분말, 은 코팅된 유리 분말, 니켈 코팅된 흑연 또는 여타의 도전성 분말, 여타의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형태는 평균 입도가 0.2 mm 미만인 전기 도전성 입자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전기 도전성 재료는 입도가 0.2 mm보다 크거나 0.0001 mm보다 작은 입자를 가질 수 있다.
직물층(32)은 지지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금속화된 전기 도전성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직물층(32)을 형성하는 금속은 구리, 니켈, 은, 팔라듐 알루미늄, 주석, 이들의 합금 및/또는 조합일 수 있다. 직물층(32)은 금속망 또는 금속 도금 직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접착제(24)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직물층(32)에 접착제(24) 혼합물을 침지하기 위해 쌍롤식 적층기를 사용하는 적층 공정에 의해 직물(32)에 도포된다.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온도와 압력은 예컨대 사용되는 입상 재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접착제(24)의 액체 캐리어를 증발시키기 위해 오븐에서 접착제(24) 혼합물을 건조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층(24)으로 침지된 전기 도전성 직물(32)을 지지하기 위해 추가 지지층(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전기 도전성 직물층(32)은 예컨대 니켈, 구리, 이들의 조합 등으로 코팅되는(예컨대 도금되는) 나일론 립스톱(NRS) 재료, 폴리에스테르 재료, 면 재료, 이들의 조합 등과 같은 금속 코팅된 섬유 재료(예컨대 직물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예시적인 실시형태 중 몇몇 실시형태에서, 전기 도전성층(32)은 도금된 도전성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기 도전성 직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해당 재료에 난연성 탄소함유 코팅(예컨대 코팅(36))을 도포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허용 가능한 난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여타의 재료나 추가적인 재료가 전기 도전성층(32)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재료로는 예컨대 금속성 포일(예컨대 알루미늄 포일 등), 금속 코팅된 플라스틱 필름(예컨대 알루미늄 포일과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체, 알루미늄 포일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체 등), 이후 개시되는 여타의 재료 등이 있을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전기 도전성 직물층(32)에는 무할로겐 난연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코팅(36)이 마련될 수 있다(적층, 코팅, 함침, 혼합, 도금, 기상 증착, 제작, 형성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양태에서, 코팅(36)은 무할로겐 난연성 탄소함유 수지를 포함한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예컨대 산업 기준에 명시된 바와 같이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성분, 예컨대 난연제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환경 친화적이며 산업 기준에 따른 무할로겐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형태는 국제전기표준회의(IEC)의 국제표준(IEC 61249-2-21(15 페이지, 2003년 11월, 제1판))에 따른 무할로겐으로 간주할 수 있다. 국제표준(IEC 61249-2-21)은 유럽연합 유해물질 규제(RoHS) 지침이 적용되는 전기 및 전자 장비의 "무할로겐"(또는 할로겐 미함유)을 최대 900 백만분율 이하의 염소, 최대 900 백만분율 이하의 브롬 및 최대 1500 백만분율의 총 할로겐을 갖는 것으로 정의한다. 표현 "무할로겐", "할로겐 미함유" 등은 본 명세서에서는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그러나 탄소를 반드시 함유하는 것만은 아닌 코팅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모종의 수지 처리제를 가지고 예컨대 무기 및/또는 유기 안료와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코팅이 사용될 수 있다. 수지는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코팅(36)의 두께는 달라질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코팅(36)의 두께는 직물층(32)의 영역에 걸쳐 달라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코팅(36)의 두께는 직물층(32)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도전성의 유지에 도움이 되도록 전기 도전성 직물(32)은 코팅(36)으로 완전히 함침되거나 캡슐화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는 보험업자 연구소(Underwriters Laboratories)(UL) 기준 제510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및 고무 절연 테이프"에 약술된 화염 등급 시험을 성공적으로 충족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를 제공한다. 배경 설명으로서, UL510 표준은 600 볼트 이하 및 80℃(176℉)에서, 그리고 와이어 및 케이블의 접합부 및 이음부에서는 보다 낮은 온도에서 전기 절연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및 고무 테이프에 적용된다. 화염 시험에서는 가스 화염이 시험 샘플에 인가되며, 시험 샘플은 5회의 15초 인가 동안 화염 내에 유지된다. UL510에 따라 "난연성" 인증을 받으려면, 테이프는 5회의 15초 시험 화염 인가 후에 한 번이라도 60초를 초과하여 연소해서는 안 된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코팅, 예컨대 개시된 바와 같이 탄소함유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36)은 UL510 화염 등급 시험을 충족하기 위해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에 포함되는 유일한 난연제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실시예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결코 본 개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1
일 실시예에서, 두께가 0.1 mm이고 니켈 및 구리로 도금된 얇은 전기 도전성 폴리에스테르 태피터 직물로 전기 도전성 감압 접착 재료를 제조하였다. 직물은 수지 코팅으로 코팅되지 않았다. 두께가 0.055 mm인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를 직물에 적층하였다. 감압 접착제는 CPSA이었으며, 이 중 30%는 암모늄-폴리포스페이트계 난연성 첨가제였다. UL510 화염 시험 표준 절차에 따라 네 개의 재료 샘플을 시험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도시되어 있다.
샘플 t1(s) t2(s) t3(s) t4(s) t5(s) 평가
1 0.00 29.40 3.42 1.95 0.00 합격
2 0.00 26.72 4.48 2.42 0.00 합격
3 0.00 26.6 7.38 2.71 0.00 합격
4 0.00 27.42 2.49 3.89 3.17 합격
실시예 2
다른 실시예에서, 두께가 0.1 mm이고 니켈 및 구리로 도금된 전기 도전성 폴리에스테르 태피터 직물로 전기 도전성 감압 접착 재료를 제조하였다. 직물은 수지 코팅으로 코팅되지 않았다. 두께가 0.055 mm인 감압 접착제를 직물에 적층하였다. 감압 접착제는 CPSA이었고 이 중 30%는 암모늄-폴리포스페이트계 난연성 첨가제였다. 결과로 얻은 세 개의 재료 샘플을 UL510 화염 시험 표준 절차에 따라 시험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도시되어 있다.
샘플 t1(s) t2(s) t3(s) t4(s) t5(s) 평가
1 0.00 >90.00 / / / 불합격
2 0.00 31.22 2.64 0.00 0.00 합격
3 0.00 >90.00 / / / 불합격
실시예 3
다른 실시예에서, 두께가 0.1 mm이고 니켈 및 구리로 도금된 얇은 전기 도전성 폴리에스테르 태피터 직물로 전기 도전성 감압 접착 재료를 제조하였다. 직물은 수지 코팅으로 코팅되지 않았다. 두께가 0.055 mm인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를 직물에 적층하였다. 감압 접착제는 CPSA이었고 이 중 16%는 암모늄-폴리포스페이트계 난연성 첨가제였다. 결과로 얻은 세 개의 재료 샘플을 UL510 화염 시험 표준 절차에 따라 시험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도시되어 있다.
샘플 t1(s) t2(s) t3(s) t4(s) t5(s) 평가
1 48.57 2.60 2.32 1.02 0.00 합격
2 >90 / / / / 불합격
3 >90 / / / / 불합격
실시예 4
다른 실시예에서, 니켈 및 구리로 도금된 전기 도전성 폴리에스테르 태피터 직물로 전기 도전성 감압 접착 재료를 제조하였다. 직물은 두께가 0.1 mm이고 수지 코팅으로 코팅되지 않았다. 두께가 0.055 mm인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를 직물에 적층하였다. 감압 접착제는 CPSA이었고 이 중 16%는 암모늄-폴리포스페이트계 난연성 첨가제였다. 결과로 얻은 세 개의 재료 샘플을 UL510 화염 시험 표준 절차에 따라 시험하였다. 결과는 표 4에 도시되어 있다.
샘플 t1(s) t2(s) t3(s) t4(s) t5(s) 평가
1 17.89 44.71 1.33 0.00 0.00 합격
2 8.22 21.22 4.31 1.22 0.00 합격
3 39.14 5.55 2.44 0.00 0.00 합격
실시예 5
제5 실시예에서, 두께가 0.085 mm이고 니켈 및 구리로 도금된 전기 도전성 폴리에스테르 태피터 직물로 전기 도전성 감압 접착 재료를 제조하였다. 0.003 mm 두께의 탄소함유 우레탄계 수지 코팅을 직물에 적층하였다. 코팅은 40%와 60% 사이의 폴리우레탄 수지, 60%와 40% 사이의 탄소 및 1% 미만의 첨가제를 함유하였다. 두께가 0.055 mm인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를 직물에 적층하였다. 감압 접착제는 CPSA이었고 이 중 16%는 암모늄-폴리포스페이트계 난연성 첨가제였다. 결과로 얻은 다섯 개의 재료 샘플을 UL510 화염 시험 표준 절차에 따라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5에 도시되어 있다.
샘플 t1(s) t2(s) t3(s) t4(s) t5(s) 평가
1 5.39 4.93 3.96 5.28 0.00 합격
2 2.60 3.49 3.49 5.58 0.00 합격
3 2.94 5.35 3.64 3.24 0.00 합격
4 3.83 3.19 5.08 5.95 0.00 합격
5 12.82 2.22 10.07 5.32 0.00 합격
실시예 6
다른 실시예에서, 두께가 0.050 mm이고 니켈 및 구리로 도금된 전기 도전성 폴리에스테르 태피터 직물에 0.003 mm 두께의 탄소함유 우레탄계 수지 코팅을 적층하였다. 코팅은 40%와 60% 사이의 폴리우레탄 수지, 60%와 40% 사이의 탄소 및 1% 미만의 첨가제를 함유하였다. 두께가 0.055 mm인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를 직물에 적층하였다. 감압 접착제는 CPSA이었고 이 중 16%는 암모늄-폴리포스페이트계 난연성 첨가제였다. 결과로 얻은 세 개의 재료 샘플을 UL510 화염 시험 표준 절차에 따라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6에 도시되어 있다.
샘플 t1(s) t2(s) t3(s) t4(s) t5(s) 평가
1 2.71 3.10 7.19 3.35 0.00 합격
2 1.67 2.50 4.35 0.00 0.00 합격
3 2.90 6.10 4.66 0.00 0.00 합격
실시예 7
제7 실시예에서, 두께가 0.050 mm이고 니켈 및 구리로 도금된 전기 도전성 폴리에스테르 태피터 직물에 0.003 mm 두께의 탄소함유 우레탄계 수지 코팅을 적층하였다. 코팅은 40%와 60% 사이의 폴리우레탄 수지, 60%와 40% 사이의 탄소 및 1% 미만의 첨가제를 함유하였다. 아크릴계 감압 접착제를 코팅된 직물에 적층하였다. 감압 접착제는 약 2 중량%와 약 20 중량% 사이의 니켈 흑연 분말을 함유하였다. 난연제는 감압 접착제에 첨가하지 않았다. 결과로 얻은 여섯 개의 재료 샘플을 UL510 화염 시험 표준 절차에 따라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7과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샘플 t1(s) t1(s) t1(s) t1(s) t1(s) 평가
1 14.93 1.60 0.00 0.00 0.00 합격
2 46.60 1.22 0.00 0.00 0.00 합격
3 9.61 1.83 0.00 0.00 0.00 합격
4 55.65 0.00 0.00 0.00 0.00 합격
5 7.98 1.74 0.00 0.00 0.00 합격
6 5.69 2.41 3.53 0.00 0.00 합격
도 2a와 도 2b는 샘플(200), 즉 실시예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화염 시험을 받은 샘플 중 하나를 도시한다. 직물 부분(204)은 전술한 탄소함유 수지 코팅으로 코팅되었고 인접한 부분(208)은 노출된 상태였다. 도 2a는 코팅된 직물 부분(204)에 화염 시험을 실시하기 전의 샘플(200)을 도시한다. 도 2b는 화염 시험을 실시한 후의 시험 샘플(200)을 도시한다. 코팅된 부분(204)은 ULS510 표준에 따른 난연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온전한 상태를 시험 내내 유지하였다.
실시예 8
제8 실시예에서, 두께가 0.050 mm이고 니켈 및 구리로 도금된 전기 도전성 폴리에스테르 태피터 직물에 0.8 mm 두께의 탄소함유 우레탄계 수지 코팅을 적층하였다. 코팅은 약 7 그램/제곱미터와 약 10 그램/제곱미터 사이의 도포 중량(weight pickup)을 가졌다. 감압 접착제를 코팅된 직물에 적층하였다. 감압 접착제는 약 2 중량%와 약 20 중량% 사이의 니켈 흑연 분말을 함유하였다. 난연제는 감압 접착제에 첨가하지 않았다. 결과로 얻은 세 개의 재료 샘플을 UL510 화염 시험 표준 절차에 따라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8에 도시되어 있다.
샘플 t1(s) t2(s) t3(s) t4(s) t5(s) 평가
1 3.27 1.83 5.8 0.00 0.00 합격
2 32.56 10.88 10.91 0.00 0.00 합격
3 4.66 1.23 5.42 0.00 0.00 합격
실시예 9
제9 실시예에서, 두께가 0.050 mm이고 니켈 및 구리로 도금된 전기 도전성 폴리에스테르 태피터 직물에 0.8 mm 두께의 탄소함유 우레탄계 수지 코팅을 적층하였다. 코팅은 약 7 그램/제곱미터와 약 10 그램/제곱미터 사이의 중량 픽업을 가졌다. 감압 접착제를 코팅된 직물에 적층하였다. 감압 접착제는 약 2 중량%와 약 20 중량% 사이의 니켈 흑연 분말을 함유하였다. 난연제는 감압 접착제에 첨가하지 않았다. 결과로 얻은 세 개의 재료 샘플을 UL510 화염 시험 표준 절차에 따라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9에 도시되어 있다.
샘플 t1(s) t2(s) t3(s) t4(s) t5(s) 평가
1 6.19 4.11 4.93 0.00 0.00 합격
2 4.60 3.80 3.21 0.00 0.00 합격
3 3.56 2.38 4.49 0.00 0.00 합격
실시예 10
제10 실시예에서, 두께가 0.050 mm이고 니켈 및 구리로 도금된 전기 도전성 폴리에스테르 태피터 직물에 0.8 mm 두께의 탄소함유 우레탄계 수지 코팅을 적층하였다. 코팅은 약 7 그램/제곱미터와 약 10 그램/제곱미터 사이의 중량 픽업을 가졌다. 감압 접착제를 코팅된 직물에 적층하였다. 감압 접착제는 약 2 중량%와 약 20 중량% 사이의 니켈 흑연 분말을 함유하였다. 난연제는 감압 접착제에 첨가하지 않았다. 결과로 얻은 세 개의 재료 샘플을 UL510 화염 시험 표준 절차에 따라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10에 도시되어 있다.
샘플 t1(s) t2(s) t3(s) t4(s) t5(s) 평가
1 6.64 2.01 10.81 0.00 0.00 합격
2 3.86 1.39 12.28 0.00 0.00 합격
3 5.66 2.18 26.80 0.00 0.00 합격
실시예 11
제11 실시예에서, 두께가 0.050 mm이고 니켈 및 구리로 도금된 전기 도전성 폴리에스테르 태피터 직물에 0.2 mm 두께의 탄소함유 우레탄계 수지 코팅을 적층하였다. 코팅은 약 3 그램/제곱미터와 약 5 그램/제곱미터 사이의 중량 픽업을 가졌다. 감압 접착제를 코팅된 직물에 적층하였다. 감압 접착제는 약 2 중량%와 약 20 중량% 사이의 니켈 흑연 분말을 함유하였다. 난연제는 감압 접착제에 첨가하지 않았다. 결과로 얻은 세 개의 재료 샘플을 UL510 화염 시험 표준 절차에 따라 시험하였다. 샘플은 시험 구조물의 종이 깃발을 발화시켰다. 시험 결과는 표 11에 도시되어 있다.
샘플 t1(s) t2(s) t3(s) t4(s) t5(s) 평가
1 3.35 27.14 / / / 불합격
2 56.70 / / / / 불합격
3 37.78 / / / / 불합격
추가 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에 요약하였다.
실시예 12
니켈 및 구리 도금된 0.050 mm 두께의 전기 도전성 폴리에스테르 태피터에 0.2 mm 두께의 우레탄계 탄소함유 수지 코팅을 적층하여 샘플을 형성하였다. 수지 코팅은 일정량의 방화제도 포함하였다. 코팅된 직물에 감압 접착제를 적층하였다. 감압 접착제는 약 2 중량%와 약 20 중량% 사이의 니켈 흑연 분말을 함유하였다. 난연제는 감압 접착제에 첨가하지 않았다. 샘플은 UL510 표준에 따른 난연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온전한 상태를 시험 내내 유지하였다.
실시예 13
니켈 및 구리 도금된 0.050 mm 두께의 전기 도전성 폴리에스테르 태피터에 0.2 mm 두께의 우레탄계 탄소함유 수지 코팅을 적층하여 샘플을 형성하였다. 수지에는 추가적인 방화제가 존재하지 않았다. 코팅된 직물에 감압 접착제를 적층하였다. 감압 접착제는 약 2 중량%와 약 20 중량% 사이의 니켈 흑연 분말을 함유하였다. 샘플은 UL510 표준에 따른 난연성을 제공하는 데 실패했다.
실시예 14
니켈 및 구리 도금된 0.050 mm 두께의 전기 도전성 폴리에스테르 태피터에 0.8 mm 두께의 우레탄계 탄소함유 수지 코팅을 적층하여 샘플을 형성하였다. 수지에는 추가적인 방화제가 존재하지 않았다. 코팅된 직물에 감압 접착제를 적층하였다. 감압 접착제는 약 2 중량%와 약 20 중량% 사이의 니켈 흑연 분말을 함유하였다. 샘플은 UL510 표준에 따른 난연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온전한 상태를 시험 내내 유지하였다.
이상의 시험 결과는 탄소함유 코팅을 난연제로서 제공함으로써, 그렇지 않을 경우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를 제조하기 위해 접착제에 첨가되어야 하는 난연제의 비율을 낮추거나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포함하는 테이프는 유리하게는 높은 접착력을 나타내는 동시에 박형일 수 있다. 또한 접착제에 난연제를 첨가하는 비용을 제거하거나 낮출 수 있고, 따라서 전기 도전성 테이프 및 여타의 제품을 보다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접착제 내의 난연제 사용을 대체하거나 적어도 저감하는 전술한 코팅 실시예를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높은 박리 접착력 또는 접합 강도를 나타내는 전기 도전성 테이프를 얻을 수 있다. 접착제에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는 접착제에 넣는 난연제를 함유하는 전기 도전성 감압 접착제보다 높은 박리 강도 또는 박리 접착력을 가진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는 비난연성 테이프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박리 강도 또는 박리 접착력을 가진다. 예로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는 180도 박리 시험으로 측정시 적어도 1.6 파운드/인치폭(inch width) 또는 25.6 온스/인치폭 이상의 박리 접착력, 예컨대 약 28 온스/인치폭 또는 약 36 온스/인치폭 내지 약 40 온스/인치폭 범위 내에 속하는 박리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코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EMI 차폐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이런 코팅이 사용되는 제품은 전술한 코팅 이외의 난연제를 함유하는 몇몇 제품의 차폐 특성에 비해 통상적으로 우수한 EMI 차폐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테이프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는 전기 도전성 접착제층과, 전기 도전성 접착제층 상의 전기 도전성 직물층과, 전기 도전성 직물층 상에 마련되고 탄소함유 수지를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을 포함한다.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테이프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는 감압 접착제층과, 감압 접착제층 상의 전기 도전성 직물층과, 직물 상에 마련되는 코팅 내의 탄소함유 수지를 포함한다.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테이프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전기 도전성 직물층의 제1 면을 탄소함유 수지 코팅으로 코팅하는 단계와, 전기 도전성 직물층의 제2 면에 접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UL510 화염 등급을 갖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테이프는 제1 면과 제2 면을 가지는 전기 도전성 직물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난연성 탄소함유 수지가 전기 도전성 직물의 제1 면 상에 존재한다. 전기 도전성 감압 접착제가 전기 도전성 직물의 제2 면 상에 존재한다.
제1, 제2, 제3 및/또는 제4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접착제는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또는 제4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접착제는 감압 접착제일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또는 제4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접착제는 전기 도전성일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제1 및/또는 제2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접착 재료로 제조되고/되거나 제3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제1, 제2, 제3 및/또는 제4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직물은 0.01 mm와 1 mm 사이(예컨대 0.01 mm, 0.5 mm, 1 mm 등)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또는 제4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접착제는 0.01 mm와 0.2 mm 사이(예컨대 0.01 mm, 0.1 mm, 0.2 mm 등)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또는 제4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코팅은 0.2 mm와 2 mm 사이(예컨대 0.2 mm, 0.8 mm, 2 mm 등)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두께 및 두께 범위는 (모든 치수 및 범위와 같이) 성질상 예시적인 것으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는 직물의 상부에 탄소함유 수지를 코팅하고, 이어서 감압 접착제를 적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탄소함유 코팅은 감압 접착제에 첨가되는 난연제의 비율을 크게 저감하고 최종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시험은 예컨대 비난연성 감압 접착제를 적층한 0.8 mm 두께의 탄소함유 수지 코팅 직물이 UL510FR을 통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개 종래의 난연성, 전기 도전성 직물 테이프는 도전성 직물층과 감압 접착제로 구성된다. 테이프가 UL510 FR 등급을 통과할 수 있도록 감압 접착제에는 약간의 난연제가 첨가될 수 있다. 종래의 감압 접착제에 첨가되는 난연제로 인해 접착력이나 전기 전도도와 같은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흔히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UL510FR 등급의 도전성 직물 테이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흑색 제품을 제공하고, 우수한 전기 전도도 또한 가질 수 있다. UL510 화염 등급을 가지면서 우수한 접착력 및 전기 전도도 또한 가지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테이프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개시된다. 예컨대 난연성, 전기 도전성 테이프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전자파 차폐 용례에 적절한 Z-축 전도도 또는 벌크 비저항을 나타낼 수 있고, 0.009 옴 이하(예컨대 0.007 옴 등)의 z-축 저항 및/또는 0.07 옴/스퀘어 이하(예컨대 0.02 옴/스퀘어)의 표면 비저항 등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난연성, 전기 도전성 테이프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우수한 접착력, 예컨대 180도 박리 시험으로 측정시 1.6 파운드/인치폭(25.6 온스/인치폭) 이상의 박리 강도 또는 박리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난연성, 전기 도전성 테이프는 약 36 온스/인치폭 내지 약 40 온스/인치폭 범위(예컨대 36, 37, 38, 39 또는 40 온스/인치폭 등)의 박리 강도 또는 박리 접착력을 가진다.
특정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가 제시된다. 접착 재료는 전기 도전성 접착제와, 전기 도전성 접착제층 상에 적층되는 전기 도전성 직물과, 전기 도전성 직물 상의 난연성 코팅을 포함한다. 코팅은 탄소함유 수지를 포함하고 두께가 0.3 mm이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0.007 옴의 z-축 저항, 0.02 옴/스퀘어의 표면 비저항 및 약 36 온스/인치폭 내지 약 40 온스/인치폭 범위 내의 박리 강도 또는 박리 접착력을 가진다.
탄소함유 코팅이 마련되는 다양한 실시형태에서는 PSA 내의 방화제가 불필요하다. 이는 PSA 내의 방화제가 박리 접착력 또는 박리 강도를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탄소함유 코팅은 방화제만큼 큰 영향을 차폐 효과에 미치지 않으며, 따라서 결과로 얻는 제품은 우수한 EMI 차폐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층" 또는 "층들"(예컨대 CPSA층, 직물층 등)은 특정한 형태, 형상 또는 구성에 본 개시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대신에 접착 재료의 상이한 특징부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용어 "층" 또는 "층들"은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용어 "내화성", "방화성", "내연성" 및 "난연성"은 본 명세서에서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이들 용어는 상응하는 의미를 갖도록 의도되어 있고, 다른 용어 대신에 어느 한 용어를 사용한다고 해서 이것이 제한의 의도를 갖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개시를 완전하게 하고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범위를 완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철저히 이해할 수 있도록 특정 구성요소, 장치 및 방법과 같은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이 개진된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특정한 세부사항은 사용될 필요가 없으며,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세부사항 및 실시예는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분명히 알 것이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널리 공지된 공정, 널리 공지된 장치 구조 및 널리 공지된 기술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가 위에서 언급한 장점 및 개선 사항의 전부를 제공하거나 전혀 제공하지 못하더라도 여전히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하는 것처럼,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달성할 수 있는 장점 및 개선 사항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시되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치수, 특정 재료 및/또는 특정 형상은 성질상 예시적인 것으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주어진 매개변수에 대한 특정한 값과 특정한 값의 범위에 대한 본 명세서의 개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 중 하나 이상에 유용할 수 있는 다른 값과 값의 범위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제시된 특정 매개변수에 대한 어떤 두 개의 특정 값은 주어진 매개변수에 적절할 수 있는 값의 범위의 종점을 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즉, 주어진 매개변수에 대한 제1 값과 제2 값의 개시는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의 어떤 값도 주어진 매개변수를 위해 채택될 수 있음을 개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매개변수에 대한 두 가지 이상의 값의 범위에 대한 개시는 (이런 범위가 포개지는지, 중첩되는지, 뚜렷이 구분되는지와는 상관없이) 개시된 범위의 종점을 사용하여 주장될 수 있는 일체의 가능한 값의 범위의 조합을 포괄하도록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는 오직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만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한적인 의도는 없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단수 형태(a, an, the)는 문맥에서 다른 의미임이 뚜렷이 드러나지 않는 한 복수 형태 역시 포함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내포하는", "구비하는"은 포괄적인 의미이며, 따라서 언급된 특징부, 정수, 단계, 작업, 요소 및/또는 부품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 정수, 단계, 작업, 요소, 부품 및/또는 이들의 조합의 존재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단계, 과정, 및 작업은 수행 순서임이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한, 반드시 검토되거나 예시된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당연히 추가적 또는 대안적 단계가 채택될 수도 있다.
어떤 요소나 층이 다른 요소나 층에 "접촉", "체결" "연결", "결합"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그것은 다른 요소나 층에 직접적으로 접촉, 체결, 연결, 결합될 수 있거나, 개재 요소나 층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에 반해,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나 층에 "직접적으로 접촉", "직접적으로 체결", "직접적으로 연결",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개재 요소나 층이 존재할 수 없다.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용어도 비슷한 방식으로(예컨대, "그 사이에" 대 "직접적으로 그 사이에", "인접하는" 대 "바로 인접하는" 등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것으로, 용어 "및/또는"은 관련 열거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 또는 그 전부의 조합을 포함한다.
용어 "약"은 값에 사용될 때는 해당 계산 또한 측정이 (정확한 값의 근사치, 즉 해당 값에 대략 또는 상당히 가깝거나 거의 동일한 값이더라도) 어느 정도는 약간 부정확한 값을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 않고 만약 어떤 이유로 "약"에 의해 제공되는 부정확성이 이 보통의 의미로 기술분야에서 이해되지 않는다면,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약"은 보통의 측정 방법이나 이런 매개변수의 사용 방법에서 기인할 수 있는 최소한의 편차를 가리킨다. 예컨대 용어 "일반적으로", "약" 및 "실질적으로"는 제조 공차 이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사용될 수 있다. 혹은 예컨대 본 발명의 재료 또는 반응제의 양을 변경할 때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약"은 사용되는 통상적인 측정 및 취급 절차를 통해, 예컨대 현실 세계에서 농축물이나 용액을 제조할 때 해당 과정에서 발생하는 의도하지 않은 오류를 통해 일어나거나, 조성물을 제조하거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의 제조, 공급원 또는 순도의 차이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수량의 변동을 가리킨다. 용어 "약"은 또한 특정한 최초 혼합물에서 유래하는 조성물의 상이한 평형 상태로 인해 달라지는 양을 망라한다. 용어 "약"에 의해 보정되었는지 여부와는 상관없이, 특허청구범위는 양에 대한 균등례를 포함한다.
용어 제1, 제2, 제3 등이 다양한 요소, 부품, 구역, 층 및/또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사용될 수 있긴 하지만, 이들 요소, 부품, 구역, 층 및/또는 부분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는 어떤 요소, 부품, 구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구역, 층 또는 부분과 구분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제1" "제2" 및 기타 숫자와 관련된 용어는 문맥에 의해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 한, 절차 또는 순서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하 검토되는 제1 요소, 부품, 구역, 층 또는 부분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설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제2 요소, 부품, 구역, 층 또는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다.
"내측", "외측", "밑에", "아래에", "하부", "위에", "상부" 등과 같은 공간적 상대어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 요소 또는 특징부의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부(들)에 대한 관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 상대어는 도면에 묘사된 배향에 추가하여, 사용 또는 작동 중인 장치의 각기 다른 배향을 포괄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의 장치가 뒤집힌다면, 다른 요소나 특징부의 "아래에" 또는 "밑에" 있는 것으로 설명되는 요소가 다른 요소나 특징부의 "위에" 배향될 것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 "밑에"는 위아래의 배향을 둘 다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다른 방식으로(90도 회전되거나 다른 배향으로) 배향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공간적 상대어는 이에 맞춰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치수, 특정 재료 및/또는 특정 형상은 성질상 예시적인 것으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주어진 매개변수에 대한 특정한 값과 특정한 값의 범위에 대한 본 명세서의 개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 중 하나 이상에 유용할 수 있는 다른 값과 값의 범위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제시된 특정 매개변수에 대한 어떤 두 개의 특정 값은 주어진 매개변수에 적절할 수 있는 값의 범위의 종점을 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즉, 주어진 매개변수에 대한 제1 값과 제2 값의 개시는 제1 값과 제2 값 사이의 어떤 값도 주어진 매개변수를 위해 채택될 수 있음을 개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매개변수에 대한 두 가지 이상의 값의 범위에 대한 개시는 (이런 범위가 포개지는지, 중첩되는지, 뚜렷이 구분되는지와는 상관없이) 개시된 범위의 종점을 사용하여 주장될 수 있는 일체의 가능한 값의 범위의 조합을 포괄하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에 대한 앞의 설명은 예시와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그것은 모든 것을 빠짐없이 망라하거나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았다. 특정 실시예의 개개의 요소나 특징부는 대체로 특정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해당되는 경우 서로 교환 가능하며 선택된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이런 변형은 본 발명을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이런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되어 있다.

Claims (21)

  1. 테이프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로서,
    전기 도전성 접착제층과,
    상기 전기 도전성 접착제층 상의 전기 도전성 직물층과,
    상기 전기 도전성 직물층 상에 마련되고 탄소함유 수지를 포함하는 난연성 코팅을 포함하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고/않거나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전기 도전성 직물 상에 적층되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전기 도전성 감압 접착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도전성 직물층은 0.01 mm와 1 mm 사이의 두께를 가지고/가지거나, 상기 접착제층은 0.01 mm와 0.2 mm 사이의 두께를 가지고/가지거나, 상기 코팅은 0.2 mm와 2 mm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5. 제1항에 있어서, UL510 화염 등급, 0.007 옴 이하의 z-축 저항, 0.07 옴/스퀘어의 표면 비저항 및/또는 36 온스/인치폭 내지 40 온스/인치폭 범위 내의 박리 접착력을 가지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를 포함하는 테이프.
  7. 제6항에 있어서, UL510 화염 등급을 가지고/가지거나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테이프.
  8. 테이프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로서,
    감압 접착제층과,
    상기 감압 접착제층 상의 전기 도전성 직물층과,
    상기 전기 도전성 직물 상의 코팅 내의 탄소함유 수지를 포함하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고/않거나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전기 도전성 직물 상에 적층되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도전성 직물층은 0.01 mm와 1 mm 사이의 두께를 가지고/가지거나, 상기 접착제층은 0.01 mm와 0.2 mm 사이의 두께를 가지고/가지거나, 상기 코팅은 0.2 mm와 2 mm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11. 제8항에 있어서, UL510 화염 등급, 0.007 옴 이하의 z-축 저항, 0.07 옴/스퀘어의 표면 비저항 및/또는 36 온스/인치폭 내지 40 온스/인치폭 범위 내의 박리 접착력을 가지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를 포함하는 테이프.
  13. 제12항에 있어서, UL510 화염 등급을 가지고/가지거나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테이프.
  14. UL510 화염 등급을 가지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테이프로서,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 전기 도전성 직물과,
    상기 전기 도전성 직물의 제1 면 상의 난연성 탄소함유 수지와,
    상기 전기 도전성 직물의 제2 면 상의 전기 도전성, 감압 접착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테이프.
  15. 테이프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의 제조 방법으로서,
    탄소함유 수지 코팅으로 전기 도전성 직물층의 제1 면을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 도전성 직물층의 제2 면에 접착제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난연제를 함유하지 않고/않거나 상기 접착제는 전기 도전성 직물 상에 적층되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의 제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전기 도전성 감압 접착제를 포함하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의 제조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도전성 직물층은 0.01 mm와 1 mm 사이의 두께를 가지고/가지거나, 상기 접착제층은 0.01 mm와 0.2 mm 사이의 두께를 가지고/가지거나, 상기 코팅은 0.2 mm와 2 mm 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의 제조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는 UL510 화염 등급, 0.007 옴 이하의 z-축 저항, 0.07 옴/스퀘어의 표면 비저항 및/또는 36 온스/인치폭 내지 40 온스/인치폭 범위 내의 박리 접착력을 가지는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의 제조 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테이프.
  21. 제20항에 있어서, UL510 화염 등급을 가지고/가지거나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테이프.
KR1020140030161A 2013-03-14 2014-03-14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및 관련 방법 KR201401135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PCT/CN2013/072621 2013-03-14
PCT/CN2013/072621 WO2014139126A1 (en) 2013-03-14 2013-03-14 Flame-retardant electrically-conductive adhesiv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764A Division KR20150107645A (ko) 2015-03-11 2015-03-11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를 포함하는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507A true KR20140113507A (ko) 2014-09-24

Family

ID=5152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161A KR20140113507A (ko) 2013-03-14 2014-03-14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및 관련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968861B2 (ko)
KR (1) KR20140113507A (ko)
TW (2) TWM487313U (ko)
WO (1) WO2014139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9126A1 (en) 2013-03-14 2014-09-18 Laird Technologies, Inc. Flame-retardant electrically-conductive adhesiv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16095185A1 (en) * 2014-12-19 2016-06-23 Laird Technologies,Inc. High-temperature-resistant, flame-retardant, electrically-conductive adhesive materials
WO2016118746A1 (en) * 2015-01-21 2016-07-28 Stretchline Holdings Stretchable electric conductive paths narrow fabrics for smart textiles/garments
CA2981852A1 (en) * 2015-04-08 2016-10-13 Aviation Devices & Electronic Components, L.L.C. A metal mesh with a low electrical resistance conversion coating for use with aircraft structures
US10772200B2 (en) * 2017-12-28 2020-09-08 Wave Company Co., Ltd. Fabric coated with functional silicone rubber
NO20181604A1 (en) * 2018-12-13 2020-06-15 Nexans Cable with metallic fabric lay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41527C (en) * 1994-03-24 2001-03-13 Dennis G. Fontanilla Butt strip tape for insulation application
US5851663A (en) 1994-05-25 1998-12-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ame retardant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tapes
US20010028953A1 (en) 1998-11-16 2001-10-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6022914A (en) * 1995-11-27 2000-02-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apes
EP1124890A1 (en) 1998-10-22 2001-08-22 Parker-Hannifin Corporation Intumescent, flame retardan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emi shielding applications
US6646199B2 (en) 1999-10-20 2003-11-11 Chemque, Inc. Polymeric foam gaskets and seals
JP2003258480A (ja) * 2002-03-05 2003-09-12 Nitto Shinko Kk 難燃性電磁波シールド材
US7060348B2 (en) 2002-03-08 2006-06-13 Laird Technologies, Inc. Flame retardant, electrically conductive shielding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866928B2 (en) * 2002-04-08 2005-03-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eanly removable tapes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KR101022541B1 (ko) 2002-06-24 2011-03-16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난연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
JP2005133054A (ja) 2003-10-30 2005-05-26 Nippon Jitsupaa Chiyuubingu Kk Emi対策製品用のノンハロゲン難燃性を有する合成樹脂組成物及びその塗工方法
KR100550808B1 (ko) 2003-11-17 2006-02-09 주식회사 에스테크 전자파 차폐 성능이 우수한 다층 구조의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238054B1 (ko) * 2004-01-16 2013-02-28 세이렌가부시끼가이샤 난연성 금속 피복포백
US8545974B2 (en) 2005-02-09 2013-10-01 Laird Technologies, Inc. Flame retardant EMI shields
JP4663386B2 (ja) 2005-04-19 2011-04-06 セーレン株式会社 難燃性金属被覆布帛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波シールド用ガスケット
CN100546432C (zh) 2005-10-25 2009-09-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挠性印刷线路板的制造方法
US20080157915A1 (en) * 2007-01-03 2008-07-03 Ethan Lin Flame retardant, electrically-conduct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090104444A1 (en) * 2007-10-19 2009-04-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alogen-free flame retardant adhesive compositions and article containing same
KR100898604B1 (ko) * 2008-06-20 2009-05-21 두성산업 주식회사 비할로겐계 난연 접착제가 코팅된 도전성 난연 원단 및 그제조 방법
JP5153558B2 (ja) 2008-10-08 2013-02-27 日本ジッパーチュービング株式会社 粘着性熱伝導シート
JP5838569B2 (ja) 2011-03-09 2016-01-0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CN103201352B (zh) 2011-10-25 2014-07-09 3M创新有限公司 非织造粘合胶带以及由其制得的制品
CN202721947U (zh) 2011-11-03 2013-02-06 卢子鬯 电子仪器用之无卤素阻燃电磁干扰防护垫片
WO2014139126A1 (en) 2013-03-14 2014-09-18 Laird Technologies, Inc. Flame-retardant electrically-conductive adhesiv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8884168B2 (en) 2013-03-15 2014-11-11 Laird Technologies, Inc. Selectively conductive EMI gask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35040A (zh) 2014-09-16
US8968861B2 (en) 2015-03-03
WO2014139126A1 (en) 2014-09-18
TWM487313U (zh) 2014-10-01
US20160007509A1 (en) 2016-01-07
US9674993B2 (en) 2017-06-06
TWI498409B (zh) 2015-09-01
US20140272351A1 (en)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3507A (ko)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 및 관련 방법
JP4695655B2 (ja) 難燃性emi遮蔽ガスケット
EP1846493B1 (en) Flame retardant emi shields
KR20090122913A (ko) 방염성 전기 전도성 압력 감응성 접착제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EP2763520B1 (en) Electrically conductive porous material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080064279A1 (en) Densified conductive materials and articles made from same
CA2762218A1 (en) Electromagnetic shielding article
US20100258344A1 (en) Flame retardant emi shields
KR20130086902A (ko) 도전성 난연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전자파 차폐필름
KR20150031301A (ko) 금속화 필름 오버 폼 접점
JP2010514916A5 (ko)
US7105234B2 (en) Flame retardant corrosive resistant conductive fabric article and method
WO2016095185A1 (en) High-temperature-resistant, flame-retardant, electrically-conductive adhesive materials
KR101953555B1 (ko) Fpc용 도전성 접착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fpc
JP2003258480A (ja) 難燃性電磁波シールド材
KR20150107645A (ko) 난연성, 전기 도전성 접착 재료를 포함하는 테이프
CN109401656B (zh) 具有稳定粘性的抗静电保护膜
CN104046299B (zh) 阻燃导电粘合材料、其制造方法及包括该材料的带
US20140199904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Porous Material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203833867U (zh) 阻燃导电粘合件及包括该粘合件的带
KR20030042481A (ko) 전자파 차폐에 사용하기 위한 전도성 점착 가스킷 및 이의제조 방법
KR20190051183A (ko) 고내열성 및 난연성을 특성을 갖는 아라미드 섬유를 이용한 도전성 섬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