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198A -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198A
KR20140113198A KR1020130028281A KR20130028281A KR20140113198A KR 20140113198 A KR20140113198 A KR 20140113198A KR 1020130028281 A KR1020130028281 A KR 1020130028281A KR 20130028281 A KR20130028281 A KR 20130028281A KR 20140113198 A KR20140113198 A KR 20140113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ion
extract
hyperlipidemia
pharmaceutical composition
ex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605B1 (ko
Inventor
오좌섭
고혜진
고한직
안은경
김기탁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김기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김기탁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8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60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3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4Amomum, e.g. round cardam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천연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약학적으로 이용 가능할 뿐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으로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fu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hyperlipidemia comprising the tsaoko fructus extract}
본 발명은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급속한 자동화에 따른 편리한 생활환경, 가공식품 및 외식의 증가에 따른 과다 영양 섭취 및 신체활동량의 감소로 인해 비만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당뇨병, 동맥경화증,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성 질환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고지혈증(Hyperlipidemia)은 혈액 내에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인지질, 중성지방 등의 지방질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고지혈증은 대개 그 자체가 증상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혈액 내에 지방 성분이 많으면 혈관 벽에 달라붙어 동맥경화(Asteriosclerosis)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관상동맥 심장질환이나 뇌혈관 질환, 말초혈관폐쇄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E. Falk et al., Circulation 92, 657-671, 1995). 또한, 상기와 같은 과도한 지방성분은 간 조직에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지방간(Fatty liver)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에서 지방간은 간의 무게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5%를 초과한 상태를 말하며, 과다한 지방 성분의 섭취뿐 만 아니라 알코올 섭취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한편, 혈중 지질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콜레스테롤이나 포화지방산이 많이 들어있는 식품의 섭취를 억제하고 열량섭취를 줄이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및 약물요법 등이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은 엄격한 관리 및 실시가 곤란하며, 그 효과에 한계가 있는 경우가 많다. 현재까지 개발된 지질 농도 감소제로는 담즙산 결합수지,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HMG-CoA Reductase Inhibitors), 네오마이신(Neomycin), 프로부콜(Probucol)과 같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약제 및 피브린산 유도체, 니코틴산 및 어유(fish oil)와 같은 중성지방 함량을 낮추는 약제들이 개발되어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약제는 간독성, 위장장애 및 발암성 등의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인체에 안전하며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혈중의 과도한 지질 농도를 감소시켜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 지방간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조직 배양한 산삼의 메탄올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 흰쥐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HDL-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 활성이 있음이 보고된바 있다(E. J. Lee et al., Kor. J. Pharmaceon, 34; 179-184, 2003). 또한, 인삼의 석유 에테르 추출물 및 이 추출물 중 함유성분인 파낙시돌(panaxydol)이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하는 활성이 있음이 보고된바 있으며(H.C.Hyun et al., J. Ginseng Res., 25;162-166, 2001), 표고, 영지, 느타리버섯 분말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B.K. Kim et 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510-515, 2001).
상기와 같은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고중성지방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동맥경화와 같은 고지혈증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천연 약재를 연구하던 중, 초과 추출물이 혈중 콜레스테롤을 조절함으로써 심혈관위험지수 및 동맥경화지수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지혈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초과(草果)"는, 생강과에 속하는 초과의 열매를 말린 것을 의미하여, 초과자, 노구 또는 초과인 등으로 불리며, 비위를 덥게 하고 습을 제거하며 복통, 복부창만, 메스꺼움, 구토 및 설사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초과로부터 액체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특정 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용매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탄올의 농도는 10% 내지 90%가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초과 추출물은, 초과를 추출한 것으로 추출방법은 냉침 추출, 초음파추출, 상온추출, 열수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증기 추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고지혈증"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지방성분 물질이 혈액 내에 존재하면서 혈관벽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고 그 결과 심혈관계질환을 일으키는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고지혈증은 고중성지방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동맥경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과 추출물은 이러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상기 초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상기 초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고지혈증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완치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 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형화할 경우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초과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첨가하여 조제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과제를 포함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솔,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초과 추출물의 일일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500 ㎎/㎏이며, 필요에 따라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은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콜 및 비타민 복합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 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랭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이때,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음료를 포함한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과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품 100 중량%에 1 중량% 내지 15 중량% 포함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천연 추출물로서,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약학적으로 이용 가능할 뿐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으로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중 (a) 총 콜레스테롤(T.CHO, mg/dL), (b) 트리글리세라이드(TG, mg/dL), (c) HDL(mg/dL) 및 (D) LDL(mg/dL)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 분석 결과치(표 1)를 통하여 계산된 (a) 심혈관위험지수(AI) 및 (b) 동맥경화지수(CRF)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탄수화물 식이 조절된실험동물의 당부하 검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탄수화물 식이 조절된 실험동물에 대한 혈중 일슐린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초과 추출물 제조
건조 초과 5 kg에 80% 발효에탄올 25 ℓ를 가하고 24시간 동안 2회 냉침 추출한 후, 감압상태에서 농축시켜 에탄올 추출물(G47)을 얻었다.
실험예 : In - vivo 분석
1) 실험동물 및 시료 투여
6주령의 C57BL/6 마우스를 체중이 높은 순으로 배열하고 각 그룹간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균등하게 되도록 각 그룹당 10 마리씩 분리하였다. 이후 8주간 고탄수화물식이와 함께 하루 한번 시료(실시예에서 제조한 초과 추출물)를 투여하였다. 시료는 milling해서 일일 100 mg/kg 내지 400 mg/kg 기준으로 경구투여 하였으며, 용량은 10 mg/㎖ 내지 40 mg/㎖로 실험동물의 생리상태와 식이습관을 고려하여 매일 오후 3시에 투여하였다. vehicle은 PBS를 사용하였으며 정상군은 vehicle을 투여하고 양성대조군은 오메가-3를 투여하였다. 하기 표 1에 각 그룹을 나타내었다.
구분 시료 투여량
정상군 PBS 200 ㎕~300 ㎕
음성대조군 PBS 200 ㎕~300 ㎕
양성대조군 오메가-3 660 mg/kg
G47 100 초과 추출물 100 mg/kg
G47 200 초과 추출물 200 mg/kg
G47 400 초과 추출물 400 mg/kg
2) 체중변화 분석
상기 실험예 1)의 방법에 따라 8주간 시료를 투여하면서 주 2회 체중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1일째 체중(g) 8일째 체중(g) 실험 마지막날 체중변화(g)
정상군 21.43±0.4 32.45±1.3 11.41
음성대조군 22.14±0.5 34.32±3.1 12.18
양성대조군 21.45±0.2 32.32±2.1 10.87
G47 100 21.63±0.3 33.47±2.1 11.84
G47 200 21.73±0.3 34.22±2.2 12.49
G47 400 21.34±0.3 33.76±1.9 12.42
3) 혈액 생화학적 분석
상기 실험예 1)의 8주간의 시료 투여 기간 종료 후 실험동물을 이소푸르란/산소로 흡입 마취하여 복대동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 분석을 실시하였다. 채취한 혈액을 원심분리기(Centrifuge 5415R, eppendorf)로 3,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수득한 후 자동분석기(7020, HITACHI, Japan)로 GOT, GPT, CREA(Creatinine), BUN, γ-GT, ALP, GLU(Glucose), ALB(Albumin), T-BIL(Bilirubin), IP, LDH, LDL, HDL, TG(Triglyceride), T.CHO(Total cholesterol) 및 TP(Total ptotein)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 판정에 이용되는 동맥경화지수(atherogenic indes, AI)와 심혈관위험지수(cardiac risk factor, CRF)는 하기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3,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구분 TP(g/dL) ALB(g/dL) GOT(U/L) GTP(U/L) BUN(mg/dL) LDH(U/L)
정상군 4.91±0.32 1.45±0.11 131.0±26.2 95.5±22.4 24.6±2.6 167.0±66.8
음성대조군 5.05±0.38 1.54±0.13 137.6±31.4 97.4±23.7 25.3±3.6 182.7±57.4
양성대조군 5.03±0.41 1.50±0.10 125.0±22.5 90.5±22.4 24.3±2.9 161.3±47.0
G47 100 5.10±0.47 1.60±0.09 129.3±21.6 94.3±31.6 24.4±4.5 167.5±63.1
G47 200 5.29±0.51 1.56±0.11 134.1±19.5 95.7±52.4 26.2±1.6 172.5±19.5
G47 400 4.88±0.43 1.51±0.06 128.7±13.5 95.8±35.8 24.8±1.8 165.7±39.6
구분 T.CHO(mg/dL) GLU(mg/dL) TG(mg/dL) T-BIL(mg/dL) HDL(mg/dL) LDL(mg/dL)
정상군 52.3±11.9 148.1±27.3 53.5±10.4 0.00±0.01 37.9±8.0 6.54±0.74
음성대조군 173.7±46.3 142.9±19.4 131.9±25.3 0.01±0.01 69.0±13.5 9.65±0.79
양성대조군 89.8±22.1 136.0±23.5 87.0±11.3 0.01±0.00 44.5±12.8 6.76±0.72
G47 100 168.0±39.3 144.2±22.3 110.4±16.4 0.02±0.01 69.9±10.9 8.65±0.81
G47 200 176.1±30.5 145.2±19.3 109.9±14.4 0.02±0.01 67.0±10.4 7.56±1.09
G47 400 143.1±37.2 132.7±19.5 100.0±13.8 0.01±0.00 69.4±12.3 7.01±0.67
구분 IP(mg/dL) CREA(mg/dL) γ-GT(U/L) AI CRF
정상군 5.07±0.11 0.32±0.01 0.34±0.05 0.38±0.43 1.38±0.43
음성대조군 5.37±0.18 0.34±0.03 0.38±0.01 1.52±0.51 2.52±0.51
양성대조군 5.11±0.96 0.31±0.03 0.39±0.05 1.02±0.48 2.02±0.48
G47 100 5.03±0.36 0.32±0.01 0.38±0.04 1.40±0.51 2.40±0.51
G47 200 5.20±1.03 0.34±0.02 0.42±0.07 1.63±0.50 2.63±0.50
G47 400 5.25±0.91 0.33±0.01 0.37±0.08 1.06±0.37 2.06±0.37
4) 당부하검사 및 혈중 인슐린 농도 측정
고탄수화물 식이를 오래도록 지속할 경우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인 당뇨병의 발생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당부하 검사 및 혈중 인슐린 농도를 분석하였다.
먼저, 고탄수화물 식이로 혈중 지질 및 당이 높아진 실험동물의 인슐린 기능 검사를 위하여 당부하 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기 실험예 1)의 8주간의 시료 투여 기간 종료 후 8주째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실험동물에 포도당 2 g/kg을 복강에 주입한 후 0분, 30분, 60분, 120분, 240분에 혈당을 측정하여 glucose oxidase법으로 혈당값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혈중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Mouse insulin ELISA kit(SHIBAYAGI, Japan)을 이용하여 anti-insulin coated plate에 biotin-conjugated anti-insulin(primary antibody)과 혈장 샘플을 2시간 반응시키고, 4번 세척한 후 HRP-conjugated streptavidin(second antibody)을 넣은 후 30분 반응시켰다. 이를 4번 세척한 후 chromoqenic substrate를 넣고 30분 반응시킨 후 stop buffer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키고, ELISA reader(Molecular Devices, USA) 450 nm에서 흡광도 측정 후 인슐린 표준 곡선(0, 0.156, 0.313, 0.625, 1.25, 2.5, 5, 10 ng/㎖)로 일슐린 분비량을 계산하였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초과 추출물이 혈당 수치와 인슐린의 농도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오직 고지혈증에 선택적으로 작용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과 추출물은 초과를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의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초음파추출, 상온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증기 추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혈증은 고중성지방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동맥경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초과 추출물은 초과를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의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초음파추출, 상온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증기 추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혈증은 고중성지방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동맥경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30028281A 2013-03-15 2013-03-15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691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281A KR101691605B1 (ko) 2013-03-15 2013-03-15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281A KR101691605B1 (ko) 2013-03-15 2013-03-15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198A true KR20140113198A (ko) 2014-09-24
KR101691605B1 KR101691605B1 (ko) 2017-01-24

Family

ID=5175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281A KR101691605B1 (ko) 2013-03-15 2013-03-15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6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090A (ko) * 2019-06-14 2020-12-23 최연길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CN114324678A (zh) * 2022-03-16 2022-04-12 中国农业科学院蜜蜂研究所 异鼠李素-3-o-新橙皮苷作为草果蜜特征性标志物的应用
CN114588093A (zh) * 2021-12-27 2022-06-07 华南农业大学 草果在制备洗发水中的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118A (ko) 2019-09-05 2021-03-15 장영진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882A (ko) * 2000-06-20 2000-11-25 정명식 초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399529B1 (ko) * 2000-05-23 2003-09-26 제노마인(주)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에스터레이즈 저해제조성물
KR20080071730A (ko) * 2007-01-31 2008-08-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가감제호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조성물
KR20120054582A (ko) * 2012-04-26 2012-05-3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초두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529B1 (ko) * 2000-05-23 2003-09-26 제노마인(주)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에스터레이즈 저해제조성물
KR20000071882A (ko) * 2000-06-20 2000-11-25 정명식 초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080071730A (ko) * 2007-01-31 2008-08-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가감제호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조성물
KR20120054582A (ko) * 2012-04-26 2012-05-3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초두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090A (ko) * 2019-06-14 2020-12-23 최연길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CN114588093A (zh) * 2021-12-27 2022-06-07 华南农业大学 草果在制备洗发水中的应用
CN114324678A (zh) * 2022-03-16 2022-04-12 中国农业科学院蜜蜂研究所 异鼠李素-3-o-新橙皮苷作为草果蜜特征性标志物的应用
CN114324678B (zh) * 2022-03-16 2022-06-07 中国农业科学院蜜蜂研究所 异鼠李素-3-o-新橙皮苷作为草果蜜特征性标志物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605B1 (ko) 201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385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20002131A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691605B1 (ko)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0966719B1 (ko) 와송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억제 및 고지혈증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JP4205870B2 (ja) 生活習慣病予防・改善剤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30111073A (ko) 구기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관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육류 조리용 기능성 소스
KR101645991B1 (ko) 거품세포 형성 억제 및 혈관 병변형성 억제 활성을 가지는 상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06543B1 (ko)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9796B1 (ko) 블루베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12599B1 (ko) 석류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203657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169820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92604B1 (ko) 저속으로 추출한 석류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7090849B2 (ja) 肝機能改善用組成物及び肝機能改善用食品組成物
KR20160026595A (ko) 율무, 표고버섯, 탱자 및 옥수수수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비만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9316565B (zh) 一种降血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7416750B1 (en) Composition to provide maintenance and nutritional support in glycemic control deficits
KR102122408B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5104B1 (ko) 초음파 처리를 이용하는 영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60094313A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811210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 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38278B1 (ko) Afg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순환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404029B (zh) 一种具有降血糖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