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041A -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및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및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041A
KR20140113041A KR1020130027912A KR20130027912A KR20140113041A KR 20140113041 A KR20140113041 A KR 20140113041A KR 1020130027912 A KR1020130027912 A KR 1020130027912A KR 20130027912 A KR20130027912 A KR 20130027912A KR 20140113041 A KR20140113041 A KR 20140113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nozzle
spraying
unit
injection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세현
박호영
김영주
김태형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3002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3041A/ko
Publication of KR20140113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486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56Boiler cleaning control devices, e.g. for ascertaining proper duration of boiler blow-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0Clean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31018Nozzles and clean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Nozzles For Spraying Of Liquid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연소반응이 일어나는 연소로와, 일측은 상기 연소로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연소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버너 노즐부와, 상기 버너 노즐부에서 발생한 막힘을 제거하기 위해 막힘 부분에 분사물질을 분사하는 분사로드와, 상기 분사로드가 상기 버너 노즐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버너 노즐부의 일측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분사로드 삽입부 및, 상기 분사로드에 분사물질을 공급하는 분사물질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너 노즐부 막힘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 노즐부 막힘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보일러에 의하면, 버너 노즐부에 막힘이 발생한 분사물질을 분사하여 버너 노즐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애쉬 등을 분쇄하여 버너 노즐부의 막힘을 해소하는 효과 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및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 방법 {BOILER HAVING APPARATUS TO REMOVE BLOCKING IN FUEL NOZZLE AND METHOD TO REMOVE BLOCKING IN FUEL NOZZEL}
본 발명은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및 버너 노즐부 막힘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소로에 연료를 공급하는 버너 노즐부에 막힘일 발생하는 경우 막힘 부분에 분사물질을 분사하여 버너 노즐부의 막힘을 제거하는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및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탄 화력 발전소 보일러에서는 운전중 연소로에서 발생한 애쉬가 버너 노즐 내부에서 연소 조건에 따라 일부는 응집하여 큰 덩어리로 성장하게 되어 버너 노즐의 단부를 막히게 한다.
이 경우, 버너 노즐부의 단부가 일정 부분이상 막히는 경우 정상적인 연소효율을 유지하기 어렵고, 버너 노즐부의 과열을 발생시키기도 하며, 석탄 입자가 정체된 상태에서 역화가 발생되어 버너 장치의 손상이 발생되거나 발전소가 정지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기존 보일러의 운전 중에는 버너 노즐부에 전술한 보일러 버너의 막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버너 노즐부에 막힘현상이 확인된 경우에도 버너 틸팅 등 기존의 운전 장치 조작으로는 제거가 어렵고 또한 보일러를 정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막힘 현상을 해소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버너 노즐부에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막힘 부분을 제거하는 버너 노즐부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버너의 막힘 여부를 온도 또는 압력을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는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버너 노즐부의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 막힘 부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연소반응이 일어나는 연소로와, 일측은 상기 연소로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연소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버너 노즐부와, 상기 버너 노즐부에서 발생한 막힘을 제거하기 위해 막힘 부분에 분사물질을 분사하는 분사로드와, 상기 분사로드가 상기 버너 노즐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버너 노즐부의 일측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분사로드 삽입부 및, 상기 분사로드에 분사물질을 공급하는 분사물질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를 제공한다.
그리고,상기 분사로드는 상기 노즐부 내부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로드 삽입부는 막힘판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분사로드가 제1관통홀을 통해 삽입시 개방가능하게 구비되는 막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물질 공급부는 상기 분사로드에 분사 액체를 공급하는 분사액체 공급부 및, 상기 분사로드에 분사 기체를 공급하는 분사기체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사액체는 물이고, 분사기체는 압축 공기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 노즐부의 일측에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제2관통홀을 통해 상기 버너 노즐부 내부를 볼 수 있는 점검창이 구비된 점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검부는 연료의 분진 등을 제거하여 내부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분사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기체 공급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 노즐부 또는 상기 연소로의 일측에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부 또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서부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력 센서부 및 상기 온도 센서부는 상기 버너 노즐부 단부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온도 또는 압력과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버너 노즐부의 막힘 여부를 나타내는 감지 및 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연소로 또는 버너의 노즐부의 온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설정값과 비교하는 측정 및 비교단계와, 보일러의 막힘이 판단되는 경우 막힘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단계와, 분사로드 삽입부에 분사로드를 삽입하는 분사로드 삽입단계 및, 버너 노즐부 내부의 막힘 부분에 분사 물질을 분사하는 분사물질 분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너 노즐부 막힘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 및 감지 단계는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와 비교하는 온도 측정 및 비교단계 및 압력을 측정하여 설정압력과 비교하는 압력 측정 및 비교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 및 감지 비교 단계는, 측정된 온도 또는 압력이 설정값 이상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설정시간 이상 지속 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시간 측정 및 비교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물질 분사단계는, 상기 버너 노즐부의 막힘 부분에 분사 기체를 분사하는 분사액체 분사단계 및 상기 버너 노즐부의 막힘 부분에 분사 기체를 분사하는 분사기체 분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너 노즐부에 막힘이 발생한 분사물질을 분사하여 버너 노즐부의 단부에 형성된 막힘부를 분쇄하여 버너 노즐부의 막힘을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육안으로 버너 노즐부 내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너 노즐부의 또는 연소로의 온도 또는 압력을 측정하여 버너 노즐부의 막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보일러 작동을 중지시키지 않으면서 버너 노즐부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효과적으로 버너 노즐부의 막힘을 해소시키는 버너 노즐부 막힘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의 단면도.
도 2 도 1에서 A부분의 확대도.
도 3 도 2에서 B부분의 확대도.
도 4 도 2에서 C부분의 확대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 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7은 버너 노즐 단부의 열 유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를 이해시키는데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100)는 내부에 연소반응이 일어나는 연소로(110)와, 상기 연소로(110) 내부에 연소반응이 일어나도록 상기 연소로(110)에 연료를 분사하는 버너 노즐부(120)와, 상기 버너 노즐부(120)에서 발생한 막힘을 제거하기 위해 막힘 부분에 분사물질을 분사하는 분사로드(130)와, 상기 분사로드(130)가 삽입되는 분사로드 삽입부(200)와, 상기 분사로드(130)에 분사물질을 분사하는 분사물질 공급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소로(110) 내부에는 석탄 등 연료가 공급되어 연소반응이 일어나고, 이를 위해 상기 연소로(110)의 일측에는 상기 연소로(110)에 연료를 분사하는 상기 버너 노즐부(120)가 설치된다. 상기 버너 노즐부(120)는 상기 연소로의 일측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버너 노즐부(120)을 통해 상기 연소로(110) 내부에 연료를 공급하여 상기 연소로(110) 내부에서 연소반응이 일어나게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버너 노즐부(120)는 상기 연소로(110)에 원료를 분사하기 위해 상기 버너 노즐부(120)의 단부가 상기 연소로(11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연소로(110)내부에서 원료가 연소될 때 애쉬 등이 발생하고, 애쉬등이 상기 버너 노즐부(120)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버너 노즐부(120)내부에 막힘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상기 버너 노즐부(120)내부의 막힘을 제거하기 위해 막힘 부위에 분사물질을 분사하는 분사로드(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로드(130)는 내부에 분사물질이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버너 노즐부(120)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버너 노즐부(120)내부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버너 노즐부(120) 일측에는 상기 분사로드(130)가 상기 버너 노즐부(120)내부에 삽입되도록 분사로드 삽입부(200)가 구비되고, 상기 분사로드 삽입부(200)는 막힘부(220)와 조임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막힘부(220)는 상기 분사로드(130)가 상기 버너 노즐부(120) 일측에 형성된 제1관통홀(121)을 통해 상기 버너 노즐부(120) 내부로 삽입시 개방될 수 있고, 유출시에는 폐쇄될 수 있도록 막힘판(221)이 상기 버너 노즐부(120)의 내부 일측과 힌지 결합(222)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막힘부(220)가 상기 분사로드(130)가 상기 제1관통홀(121)을 통해 삽입되기 전에는, 상기 연소로(11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막힘판(221)은 상기 연소로(110)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분사로드 삽입부(200)의 몸체 내부의 일측에 턱이진 부분에서 정지된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연소로(110) 내부의 압력을 유지한다.
그런데,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분사로드(130)가 상기 제1관통홀(121)을 통해 삽입되는 경우, 상기 분사로드(130)의 단부가 상기 막힘판(221)과 접촉하며 상기 막힘판(221)을 밀어내며 상기 버너 노즐부(120)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분사로드(130)가 상기 분사 노즐부(120) 내부로 삽입된 후에는 상기 조임부(230)에 의해, 상기 분사로드(130)와 상기 분사로드 삽입부(200)의 몸체부(210) 사이를 밀봉하여 상기 연소실(110)의 온도 및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 경우, 상기 조임부(230)는 일측이 상기 몸체부(210)의 내벽과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분사로드(130)를 감싸며 탄성력을 구비하는 패킹(231)과 상기 패킹(231)의 일측에 힘을 가하여 상기 패킹(231)에 변형력을 제공하는 조임너트(232)로 구비될 수 있다.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조임너트(232)를 회전하면 상기 패킹(232)의 일측이 힘을 받아 변형되어 상기 분사로드(130)와 상기 패킹(231)사이를 밀봉되어 상기 연소로(110)의 내부 온도 및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조임부(230)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밀봉 효과가 있는 한 공지의 다양한 실시예가 채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분사로드(130)에 분사물질을 공급하는 상기 분사물질 공급부(140)는 분사물질이 물과 같은 액체 상태인 분사액체를 분사하는 분사액체 공급부(141)와 상기 분사물질이 공기와 같은 기체 상태인 분사 기체를 분사하는 분사기체 공급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사 액체 공급부와 상기 분사기체 공급부(142)에서 공급된 분사물질은 각각 별도의 관을 통해 상기 분사로드(130)로 유입되고, 각각의 분사물질은 밸브(143)의 개폐를 통해 상기 분사로드(130)로 유입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버너 노즐부(120)의 일측에는 상기 버너 노즐부(120)내부의 막힘 현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점검부(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점검부(150)는 상기 버너 노즐부(120)의 일측에 형성된 제2관통홀(122)을 통해 상기 버너 노즐부(120)내부를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점검창(151)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검부(150) 내부가 상기 연소로(110) 내부의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애쉬 등이 유입되어 상기 버너 노즐부(120)내부의 확인이 어려울 경우, 외부에서 기체가 유입되어 애쉬등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분사기체 공급부(142)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100)는, 상기 버너 노즐부(120)또는 연소로(110)의 일측에 설치된 압력 또는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1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60)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부(162)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부(161)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온도 센서부(162)와 상기 압력 센서부(161)는 상기 버너 노즐부의 단부 하단(123a) 또는 상기 연소로(1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분사 노즐부(120) 주변의 압력과 온도 변화를 열 유동해석을 통해 도시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버너 노즐부(120)는 상기 연소로(110)와 접하는 상기 버너 노즐부(120)의 하단이 먼저 막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 노즐부(120)단부 하단에 막힘이 시작되는 경우, 상기 분사노즐부의 단부의 상부는 유입된 연료의 유속이 빨라지기 때분에 상부까지 전면적으로 막힘이 진행될 가능성은 적게 된다.
그래서, 상기 센서부(160)는 상기 분사 노즐부의 단부 하단에 설치하여 온도 및 압력 변화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160)는 상기 연소부의 측면에 더 설치되어 상기 연소부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더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160)에 의해 측정된 압력 및 온도를 설정값과 비교하여 보일러 막힘 여부를 표시하는 감지 및 표시부(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 및 표시부(170)는 상기 센서부(160)로부터 신호를 받아 설정값과 비교하고, 상기 버너 노즐부(120)의 막힘이 진행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상기 버너 노즐부(120)의 막힘 여부 또는 정상 작동 여부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물질 공급부(140)는 분사물질 공급부(140)에 구비된 밸브(143)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부(180)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 및 표시부(170)와 연결되어 보일러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분사물질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100)의 작용 효과 및 버너 노즐부의 막힘 제거 방법(S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소로(110)에 석탄 등의 연료를 분사하는 버너 노즐부(120)는 상기 버너 노즐부(120)의 단부에 애쉬등에 의한 막힘부(10)가 형성되어 막힘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막힘 현상은 점검창(151)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나, 보일러의 운전여부 판단 단계(S110)와, 온도 및 압력의 측정 및 비교단계(S120)와, 버너 노즐부의 막힘여부 표시단계(S130)와, 분사로드 삽입단계(S140) 및 분사물질 분사단계(S150)를 통해 막힘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센서부(160)에 의해 상기 연소로(110) 또는 버너 노즐부(120)하단의 압력 및 온도를 측정한다.
그래서, 온도 측정 및 비교단계(S121)를 통해 상기 온도 센서부(162)에 의해 상기 연소로(110) 또는 버너 노즐부(120)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버너 노즐부(120)가 막히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의 온도인 설정온도와 비교한다.
그리고, 압력 측정 및 비교단계(S122)에서 상기 압력 센서부(161)에 의해 상기 연소로(110) 또는 버너 노즐부(120)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버너 노즐부(120)가 막히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의 설정압력과 비교한다.
그리고, 시간 측정 및 비교단계(S123)를 통해 측정된 온도 또는 측정된 압력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한 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그래서, 측정된 온도, 압력, 초과온도 또는 초과압력의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표시 단계(S130)에서 상기 버너 노즐부(120)의 막힘알림 또는 정상 작동 여부를 표시하게 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고, 측정된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인 경우이며, 초과 압력이 지속되는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 및 표시부(170)에서 긴급경고 표시를 하여 버너 노즐부(120)의 막힘이 위급함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나, 측정된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인 경우는 초과 온도가 지속되는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에 상기 감지 및 표시부(170)에서 버너 막힘 알림 표시를 하여 버너 노즐부(120)의 막힘이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이고, 측정된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인 경우이며, 초과 압력이 지속되는 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에도 상기 감지 및 표시부(170)에서 버너 막힘 알림 표시를 하여 버너 노즐부(120)의 막힘이 진행되고 있을 나태낸다.
반면에, 측정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고, 측정된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인 경우에는 감지 및 표시부(170)에 정상 표시를 통해 보일러가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래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 및 표시부(170)에 상기 버너 노즐부(120)의 막힘 현상이 진행됨을 알게 되는 경우, 분사로드 삽입단계(S140)를 통해 상기 분사로드(130)를 상기 분사로드 삽입부(200)를 통해 상기 버너 노즐부(120)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로드(130)가 상기 버너 노즐부(120) 내부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분사물질 분사단계(S150)에서 상기 분사로드(130)의 단부에서 분사물질을 분사한다.
이때, 분사물질은 분사액체와 분사기체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 분사액체 공급부(141)와 분사기체 공급부(142)를 통해 상기 분사로드(130)에 유입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분사물질 분사단계(S150)는 분사액체 분사단계(S151)를 거친 후 분사 액체가 분사되는 분사기체 분사단계(S152)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기체가 상기 버너 노즐부(120)내부의 막힘부(10)에 물과 같은 분사액체를 분사한다. 막힘부(10)에 분사액체가 분사된 경우, 고온 상태인 막힘 부분에서 분사액체가 증발함에 따라 분사액체의 체적이 급격히 팽창하여 경질의 애쉬 등에 의한 막힘부(10)를 작은 조각으로 분해시킨다.
그리고, 압축 공기와 같은 분사기체를 작은 조각으로 분해된 막힘 부분에 분사하여 상기 버너 노즐부(120)의 막힘 부분에서 분리된 애쉬 덩어리 등의 조각이 상기 버너 노즐부(120)에서 연소로(110) 내부로 유출시킴으로써 상기 버너 노즐부(120)의 막힘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 노즐부(120)의 내부의 막힘 현상이 해소되면, 상기 분사로드(13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버너 노즐부(120)에서 상기 분사로드(130)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110: 연소로 120: 버너 노즐부
121: 제1관통홀 122:제2관통홀
123: 버너 노즐부 단부 123a: 버너 노즐부 단부 하단
130: 분사로드 140: 분사물질 공급부
141: 분사액체 공급부 142: 분사기체 공급부
150: 점검부 151: 점검창
160: 센서부 161: 압력 센서부
162: 온도 센서부 170: 감지 및 표시부
180: 제어부 200: 분사로드 삽입부
210: 몸체부 220: 막힘부
221: 막힘판 222: 힌지결합
230: 가압부
S100: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 방법
S110: 운전 여부 판단 단계 S120: 측정 및 비교 단계
S121: 온도 측정 및 비교단계 S122: 압력 측정 및 비교단계
S123: 시간 측정 및 비교 단계 S130: 표시단계
S140: 분사로드 삽입단계 S150: 분사물질 분사단계
S151: 분사기체 분사단계 S152: 분사액체 분사단계

Claims (14)

  1. 내부에 연소반응이 일어나는 연소로;
    일측은 상기 연소로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연소로에 연료를 분사하는 버너 노즐부;
    상기 버너 노즐부에서 발생한 막힘을 제거하기 위해 막힘 부분에 분사물질을 분사하는 분사로드;
    상기 분사로드가 상기 버너 노즐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버너 노즐부의 일측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분사로드 삽입부; 및
    상기 분사로드에 분사물질을 공급하는 분사물질 공급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로드는 상기 노즐부 내부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로드 삽입부는,
    막힘판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분사로드가 제1관통홀을 통해 삽입시 개방가능하게 구비되는 막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물질 공급부는,
    상기 분사로드에 분사 액체를 공급하는 분사액체 공급부; 및
    상기 분사로드에 분사 기체를 공급하는 분사기체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분사액체는 물이고, 분사기체는 압축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노즐부의 일측에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고, 제2관통홀을 통해 상기 버너 노즐부 내부를 볼 수 있는 점검창이 구비된 점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는,
    연료의 분진 등을 제거하여 내부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분사기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기체 공급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노즐부 또는 상기 연소로의 일측에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부 또는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부 및 상기 온도 센서부는 상기 버너 노즐부 단부 하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온도 또는 압력과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버너 노즐부의 막힘 여부를 나타내는 감지 및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11. 연소로 또는 버너의 노즐부의 온도 및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설정값과 비교하는 측정 및 비교단계;
    보일러의 막힘이 판단되는 경우 막힘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단계;
    분사로드 삽입부에 분사로드를 삽입하는 분사로드 삽입단계; 및
    버너 노즐부 내부의 막힘 부분에 분사 물질을 분사하는 분사물질 분사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및 감지 단계는,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와 비교하는 온도 측정 및 비교단계; 및
    압력을 측정하여 설정압력과 비교하는 압력 측정 및 비교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및 감지 비교 단계는,
    측정된 온도 또는 압력이 설정값 이상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설정시간 이상 지속 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시간 측정 및 비교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물질 분사단계는,
    상기 버너 노즐부의 막힘 부분에 분사기체를 분사하는 분사액체 분사단계; 및
    상기 버너 노즐부의 막힘 부분에 분사기체를 분사하는 분사기체 분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 방법.
KR1020130027912A 2013-03-15 2013-03-15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및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 방법 KR20140113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912A KR20140113041A (ko) 2013-03-15 2013-03-15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및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912A KR20140113041A (ko) 2013-03-15 2013-03-15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및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041A true KR20140113041A (ko) 2014-09-24

Family

ID=5175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912A KR20140113041A (ko) 2013-03-15 2013-03-15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및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30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155B1 (ko) * 2014-12-08 2016-01-11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 버너 막힘 방지 장치 및 방법
WO2019004648A1 (ko) * 2017-06-29 2019-01-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소실 내벽에 생성되는 슬래그 제거를 위해 별도의 유체 저장부를 포함하는 슬래그 제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155B1 (ko) * 2014-12-08 2016-01-11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로 버너 막힘 방지 장치 및 방법
WO2019004648A1 (ko) * 2017-06-29 2019-01-0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소실 내벽에 생성되는 슬래그 제거를 위해 별도의 유체 저장부를 포함하는 슬래그 제거 장치
KR20190002788A (ko) * 2017-06-29 2019-01-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소실 내벽에 생성되는 슬래그 제거를 위해 별도의 유체 저장부를 포함하는 슬래그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5514B (zh) 确定封闭空间气密性的方法
CN105705205B (zh) 灭火系统
KR101104294B1 (ko) 가스 누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13041A (ko)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가 가능한 보일러 및 버너 노즐의 막힘 제거 방법
CA2589712C (en) A steam generator with external probe housing unit
KR101129865B1 (ko) 가스 탱크 잔량 검지와 가스 상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N109490459B (zh) 一种消防泡沫密封性能的测量装置及测量方法
KR20100049866A (ko) 실물화재실험용 교정버너
JP2009229046A (ja) 水素酸素混合ガス燃焼システムの背圧自動制御逆火防止システム
JP2012188987A (ja) 燃料ノズル及びリーク検出装置
JP4150127B2 (ja) 流動層異常燃焼診断方法及び流動層異常燃焼診断装置
KR20140085174A (ko) 곡관부의 가스누출 차단장치
CN101487807B (zh) 化学品自热试验系统
JP2006292257A (ja) ガスバーナーチューブ破損検出装置
JP6212274B2 (ja) スラグ監視装置及びスラグ監視方法
KR101245680B1 (ko) 화재방지장치
KR101179783B1 (ko) 질소퍼지장치를 이용한 온도챔버의 발화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화방지 방법
CN109869748B (zh) 燃气灶及其控制方法
JPH0670575B2 (ja) ガス圧力異常検知装置
CN112963280B (zh) 一种喷气阀的状态检测方法
US20150315973A1 (en) System for detecting a flashback and mitigating damage from the flashback to a combustion system
CN207299048U (zh) 燃气灶具
KR101562440B1 (ko) 미분기의 화재 감시장치 및 방법
JP6178352B2 (ja) 流動床炉の運転方法及び流動床炉
JP6052201B2 (ja) コークス炉及びコークス炉操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