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190A -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차량 도난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차량 도난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190A
KR20140112190A KR1020130026567A KR20130026567A KR20140112190A KR 20140112190 A KR20140112190 A KR 20140112190A KR 1020130026567 A KR1020130026567 A KR 1020130026567A KR 20130026567 A KR20130026567 A KR 20130026567A KR 20140112190 A KR20140112190 A KR 20140112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eering
driver
handle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라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라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라홀딩스
Priority to KR1020130026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2190A/ko
Publication of KR2014011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81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combined with personal settings of other vehicle devices, e.g. mirrors, seats, steer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 핸들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 검출부; 및 조향각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른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에 기초하여 차량의 도난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사용 권한이 없는 운전자에 의한 차량의 운행을 불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차량 도난 방지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ROBBERY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그 물질적 가치가 크고, 운반성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잦은 도난 사고의 대상이 되고 있는 바, 최근의 중·대형 차량에는 도난 방지를 위한 장치가 거의 필수적으로 채택되고 있음은 물론, 다양한 방법으로 차량의 도난 위험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이 기울여지고 있다.
종래의 차량 잠금 기능은 자동차 키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을 시동할 수 있는 권한이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권한에 위임된 형태이다. 따라서, 자동차 키를 가진 사람은 차량을 시동할 수 있는 권한과, 시동 후 운전할 수 있는 권한을 동시에 얻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처럼, 종래의 차량 잠금 기능을 갖춘 차량의 경우, 자동차 키를 가진 사람이 차량을 시동할 수 있는 권한과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권한을 동시에 갖게 되기 때문에, 차량의 소유자가 자동차 키를 분실 또는 도난 당했을 때, 자동차 키를 습득한 제 3 자는 자동차를 시동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운전할 수 있게 된다. 차량 소유자의 입장에서는 자동차 키의 분실을 항상 염두하여야 하며, 만약 자동차 키의 분실 또는 도난 시에, 자동차 키의 분실이 곧 자동차의 분실과 동일시 되는 효과를 낳는 문제점이 있다.
전동식 동력 조향 장치가 탑재된 차량에서 차량의 도난 시 차량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조향 핸들의 조작을 방해하는 힘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도난 차량의 운행을 불가능하게 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 장치는 차량 핸들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 검출부; 및 조향각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른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에 기초하여 차량의 도난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의 시동 여부를 검출하는 시동 검출부; 차량 핸들의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부; 미리 설정된 차량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 핸들에 대한 조타 보조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전자 제어 유닛은 시동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시동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의 시동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모터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조타 보조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전자 제어 유닛은 조향각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차량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전자 제어 유닛은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차량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고,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차량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은 차량의 시동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의 시동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차량 핸들에 대한 조타 보조력을 발생시키고; 차량 핸들의 조향각을 검출하고; 검출된 조향각에 따른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에 기초하여 차량의 도난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에 기초하여 차량의 도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검출된 차량 핸들의 조항각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미리 설정된 차량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차량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고,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차량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차량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킨 후, 차량이 도난 상태에 있다는 사실을 외부에 알리기 위한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경보를 발생시킨 후, 차량 핸들의 조타 방향을 검출하고 차량 핸들의 토크를 검출하고, 검출된 토크를 상쇄시키는 조타 방해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제안된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차량 도난 방지 방법에 의하면, 전동식 동력 조향 장치가 탑재된 차량에서 운전자의 핸들 조작에 기초하여 차량의 도난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의 도난 판단 시 차량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조향 핸들의 조작을 방해하는 힘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도난 차량의 운행을 불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전동식 동력 조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동식 동력 조향(EPS: Electric Power Steering, 이하 'EPS'라 칭함) 장치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조향 핸들의 조타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차량의 속도가 증가하면 핸들의 조타력을 무겁게 하여 안정감을 주고, 차량의 속도가 감소하면 핸들의 조타력을 가볍게 하여 적은 힘으로도 핸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EPS 장치는 운전자가 핸들을 조작하면 핸들에 연동된 기어가 회전하고, 이 기어와 연동된 토크 센서에서 검출된 토크 신호를 전자 제어 유닛(ECU : 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라 칭함)에 전달하면 ECU가 EPS 모터에 공급하는 전류를 적정하게 제어한 후 EPS 모터에 공급하고, EPS 모터는 이를 통해 적정한 보조 조향력을 출력하여 운전자의 핸들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전동식 동력 조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전동식 동력 조향 장치는 차량 핸들(10)의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센서(12), 조향축(14) 내에 설치되어 조향 비틀림을 감지하는 토크 센서(16), 차량의 진행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18), 조타 보조력을 발생하는 조타 보조력 발생모터(20) 및 조향각 센서(12), 차속 센서(18)와 토크 센서(1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조타 보조력 발생모터(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조향축(14)의 단부에는 랙바(26)와 기어 결합된 피니언 기어(28)가 설치되어 조향축(14)의 회전 운동이 랙바(26)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바퀴(30)를 조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타 보조력 발생모터(20)의 구동력은 베벨 기어(24)를 통해 조향축(14)에 조타 보조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 장치(100)는 시동 검출부(110), 조향각 검출부(120), 토크 검출부(130), 차속 검출부(140), 저장부(150), ECU(160), 모터 구동부(170), 경보 발생부(180) 및 잠금장치 구동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시동 검출부(110)는 엔진을 시동하기 위한 시동 스위치(미도시)에 의한 시동 상태를 검출하는 구성부로, 시동 검출부(110)는 시동 스위치(미도시)의 일단에 접속되어 시동 스위치가 온 구동됨에 따라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검출하여 ECU(160)로 출력한다.
조향각 검출부(120)는 차량 핸들의 조향각을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 핸들의 조향각 정보를 ECU(160)로 전송한다.
토크 검출부(130)는 차량 핸들의 토크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 핸들의 토크 정보를 ECU(160)로 전송한다.
차속 검출부(140)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의 주행 속도 정보를 ECU(160)로 전송한다.
저장부(150)는 차량이 현재 도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로, 저장부(150)에는 미리 설정된 차량(핸들)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이 저장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 후 차량의 잠금장치(195)의 활성화 상태일 때, 정차 상태에서 운전자의 핸들 조작을 명령 신호로 활용하여 차량의 도난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의 잠금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도난 여부 판단을 위해 차량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을 미리 입력하고 저장할 필요가 있다. 차량의 출고 당시 차량의 잠금장치(195)는 비활성 상태로 있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이 입력 및 저장된 이후에 차량의 잠금장치가 활성 상태로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최초로 차량을 운행하기 전 즉, 차량의 잠금장치(195)의 비활성 상태에서 핸들 조작 패턴의 입력/저장 모드 시 차량 핸들(1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을 입력하고, 사용자를 통해 입력된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은 저장부(150)에 저장된다.
차량의 시동 전에 저장부(150)에 미리 설정된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핸들 조작 패턴의 입력/저장 모드로 진입하고, 차량의 시동 전에 저장부(150)에 미리 설정된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이 저장되어 있으면, 핸들 조작 입력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
ECU(160)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로, ECU(160)는 시동 검출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시동 스위치 구동에 따른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시동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ECU(160)는 시동 검출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의 시동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예: 30초) 동안 모터 구동부(17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조타 보조력 발생모터(20)를 구동시킴으로써 조타 보조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ECU(160)는 조향각 검출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이 있는 경우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된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ECU(160)는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된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사용 권한이 있는 정당한 사용자가 차량의 운전을 시도하는 상태라고 판단하여 잠금장치 구동부(190)에 잠금 상태 해제 신호를 보내어 차량(핸들)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고,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된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사용 권한이 없는 사람이 차량의 운전을 시도하는 상태라고 판단하여 잠금장치 구동부(190)에 잠금 상태 유지 신호를 보내어 차량(핸들)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킨다. 또한 ECU(160)는 차량의 사용 권한이 없는 사람이 차량의 운전을 시도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차량(핸들)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경보 발생부(18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경보를 발생시키고, 조향각 검출부(120)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핸들(10)의 조타 방향을 확인하고, 토크 검출부(130)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핸들(10)의 토크를 확인한 후 모터 구동부(17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검출 토크를 상쇄시키는 조타 방해력을 발생시킨다.
모터 구동부(170)는 ECU(160)에서 출력되는 모터 구동신호에 따른 어시스트 전류를 조타 보조력 발생모터(20)에 인가하여 조타 보조력 발생모터(20)를 구동시켜 조타 보조력을 발생시킨다.
경보 발생부(180)는 ECU(160)로부터 수신된 차량 도난 판단에 의한 경보 발생 신호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켜 현재 차량이 도난 상태(차량의 사용 권한이 없는 사람이 차량의 운전을 시도하는 상태)에 있다는 사실을 외부에 알린다.
잠금장치 구동부(190)는 ECU(160)로부터 수신된 잠금 상태 유지 신호 또는 잠금 상태 해제 신호에 따라 잠금장치(195)를 제어하여 차량(핸들)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차량(핸들)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난 방지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동작 설명을 위한 초기 조건으로서, 저장부(150)에는 차량이 현재 도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차량(핸들)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이 미리 저장되어 있음을 전제한다.
먼저 ECU(160)는 시동 검출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시동 스위치 구동에 따른 전기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시동 온(ON)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210).
차량의 시동 온(ON) 상태라고 판단되면(210에서의 '예') ECU(160)는 미리 설정된 시간(예: 30초) 동안 모터 구동부(17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조타 보조력 발생모터(20)를 구동시킴으로써 조타 보조력을 발생시킨다(220).
다음으로, ECU(160)는 조향각 검출부(120)로부터 입력되는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230).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230에서의 '예') ECU(160)는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된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240).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미리 설정된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되면(240에서의 '예') ECU(160)는 차량의 사용 권한이 있는 정당한 사용자(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을 시도하는 상태라고 판단하여 잠금장치 구동부(190)에 잠금 상태 해제 신호를 보내어 차량(핸들)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다(250).
한편,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미리 설정된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면(240에서의 '아니오') ECU(160)는 차량의 사용 권한이 없는 사람이 차량의 운전을 시도하는 상태라고 판단하여 잠금장치 구동부(190)에 잠금 상태 유지 신호를 보내어 차량(핸들)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ECU(160)는 차량의 사용 권한이 없는 사람이 차량의 운전을 시도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차량(핸들)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경보 발생부(18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경보를 발생시켜 현재 차량이 도난 상태에 있다는 사실을 외부에 알린다(260).
이후 ECU(160)는 조향각 검출부(120)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핸들(10)의 조타 방향을 확인하고(270), 토크 검출부(130)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핸들(10)의 토크를 확인한 후(280) 모터 구동부(17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검출 토크를 상쇄시키는 조타 방해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차량의 사용 권한이 없는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타할 수 없게 한다(290).
10 : 차량 핸들 100 : 차량 도난 방지 장치
110 : 시동 검출부 120 : 조향각 검출부
130 : 토크 검출부 140 : 차속 검출부
150 : 저장부 160 : ECU
170 : 모터 구동부 180 : 경보 발생부
190 : 잠금장치 구동부 195 : 잠금장치

Claims (10)

  1. 차량 핸들의 조향각을 검출하는 조향각 검출부; 및
    상기 조향각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른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에 기초하여 차량의 도난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여부를 검출하는 시동 검출부;
    상기 차량 핸들의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부;
    미리 설정된 상기 차량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차량 핸들에 대한 조타 보조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상기 시동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모터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상기 조타 보조력을 발생시키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상기 조향각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상기 차량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유닛은 상기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상기 차량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상기 차량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는 차량 도난 방지 장치.
  6. 차량의 시동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차량 핸들에 대한 조타 보조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차량 핸들의 조향각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조향각에 따른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에 기초하여 차량의 도난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에 기초하여 차량의 도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검출된 상기 차량 핸들의 조항각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미리 설정된 상기 차량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차량 도난 방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상기 차량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고, 상기 운전자의 핸들 조작이 상기 차량의 잠금 해제를 위한 핸들 조작 패턴과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킨 후, 상기 차량이 도난 상태에 있다는 사실을 외부에 알리기 위한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를 발생시킨 후, 상기 차량 핸들의 조타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차량 핸들의 토크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토크를 상쇄시키는 조타 방해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도난 방지 방법.
















KR1020130026567A 2013-03-13 2013-03-13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차량 도난 방지 방법 KR20140112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567A KR20140112190A (ko) 2013-03-13 2013-03-13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차량 도난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567A KR20140112190A (ko) 2013-03-13 2013-03-13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차량 도난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190A true KR20140112190A (ko) 2014-09-23

Family

ID=51757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567A KR20140112190A (ko) 2013-03-13 2013-03-13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차량 도난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21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6232A (zh) * 2015-11-30 2016-03-23 长沙鹏跃五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方向盘防抢夺的监控系统和方法
WO2016128788A1 (en) * 2015-02-10 2016-08-1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Intelligent car steering wheel security system
CN108407755A (zh) * 2018-02-26 2018-08-17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锁定方向盘的方法、系统及汽车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8788A1 (en) * 2015-02-10 2016-08-1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Intelligent car steering wheel security system
CN105416232A (zh) * 2015-11-30 2016-03-23 长沙鹏跃五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方向盘防抢夺的监控系统和方法
CN108407755A (zh) * 2018-02-26 2018-08-17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锁定方向盘的方法、系统及汽车
CN108407755B (zh) * 2018-02-26 2019-06-18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锁定方向盘的方法、系统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217B1 (ko) 도어락을 위한 스마트키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4476062B2 (ja) 車載制御装置
KR101593937B1 (ko) 오토바이 자동 시동제어 스마트키 시스템
KR100817659B1 (ko) 차량 엔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12190A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차량 도난 방지 방법
JP2015000627A (ja) 車両盗難防止装置
JP4858366B2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
JP2008080968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717801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EP347027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744272B2 (ja) 盗難防止システム及び遠隔エンジン始動装置
JP2001130379A (ja) 車両用ロック装置
JP2009023380A (ja) 盗難防止方法、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4525522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4371760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
JP2017190131A (ja) 二輪車用のロック装置
JP4858365B2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
JP4886475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制御装置
JP6143253B2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CN108340873A (zh) 车辆的防盗控制方法、系统及车辆
JP2009041384A (ja) 制御方法、車載制御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2009051336A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2005350990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2007112381A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2007009625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およびドアロッ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