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053A - 브롬화구리 습도 표시 카드 - Google Patents

브롬화구리 습도 표시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053A
KR20140111053A KR1020147024033A KR20147024033A KR20140111053A KR 20140111053 A KR20140111053 A KR 20140111053A KR 1020147024033 A KR1020147024033 A KR 1020147024033A KR 20147024033 A KR20147024033 A KR 20147024033A KR 20140111053 A KR20140111053 A KR 20140111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bromide
copper
indicator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지 이. 맥케디
Original Assignee
멀티서브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멀티서브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멀티서브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11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01N21/81Indicating humid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moisture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1Weather houses or other ornaments for indicating humid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롬화구리, 브롬화물 염, 염료, 및 셀룰로스 섬유를 포함하는 습도 표시 영역 및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습도 표시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각 영역이 브롬화구리, 염료, 및 브롬화물 염을 포함하고, 그 영역 내 브롬화물 이온 대 구리 이온의 몰비가 약 7.5:1인, 기재 상에 복수 개의 습도 표시 영역을 갖는 기재를 포함하는 습도 인디케이터 어레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브롬화구리 습도 표시 카드{Copper Bromide Humidity Indicating Card}
본 발명은 환경 내 상대 습도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습도 인디케이터, 더 특히, 환경 내 상이한 상대 습도에서 색이 변화하는 브롬화구리 습도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습도 인디케이터가 존재한다. 습도 인디케이터 중 하나의 유형은 운송 컨테이너 및 패키지, 이를테면 패키지로 된 전자 통신 제품 내 상대 습도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많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습도 표시 카드이다. 습도 인디케이터 카드는 전형적으로 습도 민감성 조성물에 침지되고 건조된다. 오늘날 만들어지는 대부분의 습도 표시 카드는 인디케이터로써 염화코발트를 사용하고, 이는 염화코발트의 수화 수준에 기초하여 색이 변한다. 염화코발트는 1 수화수를 가질 때 청색으로부터, 6 수화수를 가질 때 분홍색으로까지 변할 수 있다. 즉, 청색은 각 부가적인 수화수와 함께 점점 적색으로 된다. 따라서, 카드에 보이는 색에 기초하여 대략적인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 표시 영역들의 어레이 (array)가 카드 상에 포함될 수 있고, 청색으로부터 분홍색으로 카드상의 상이한 표시 영역을 변화시키기 위해 증가하는 습도 수준이 요구된다.
염화코발트를 사용하는 습도 인디케이터에 관한 문제점은 염화코발트가 알려진 자극물 및 독소라는 것이다. 또한, 염화코발트의 사용은 식품 및 제약적 제품과 함께 사용시 규제된다. 따라서, 염화코발트 습도 인디케이터는 제한된 응용을 가지고 식품 및 제약 산업에 유용하지 않다.
습도 인디케이터 카드의 일부 유형은 Cu2 + 이온을 방출할 수 있는 침지된 할라이드 또는 기타 염을 가진다. 국제 공보 제 WO 02/44712호는 구리염, 상승작용성 염, 및 염료로 침지된 습도 인디케이터 종이를 개시한다.
습도 인디케이터의 다른 유형은 습도 표시 겔의 사용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 2004/0051081호에서, 모어톤(Moreton)은 상대 습도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구리 및 브롬화물로 침지된 실리카겔 물질을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 6,655,315호에서, 가티글리아(Gattiglia)는 실리카겔이 수분의 존재를 표시하기 위해 색이 변하는, 염화구리 및 흡습성 염으로 침지된 실리카겔을 개시한다.
쉽게 검출가능한 색 변화를 제공하고 비독성인 개선된 습도 인디케이터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있다.
본 발명은 브롬화구리, 브롬화물 염, 염료, 및 셀룰로스 섬유를 포함하는 습도 표시 영역 및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습도 표시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기재 상에 복수 개의 습도 표시 영역을 가진 기재를 포함하는 습도 인디케이터 어레이를 포함하며, 각 영역은 브롬화구리, 염료 및 브롬화물 염을 포함하며, 상기 영역에서 브롬화물 이온 대 구리 이온의 몰비는 약 7.5:1이다.
본 발명은 이전 실행들의 단점을 극복한다. 본 발명은 비독성 습도 인디케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식품 및 제약적 제품 패키지에 사용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건조제가 교체될 필요가 있을 때를 표시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에 의해 쉽게 검출가능한 카드 또는 다른 기재의 영역에서 색 변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디케이터 영역의 색을 다르게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및 기타 이점들은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습도 표시 영역을 가지는 습도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본 발명은 기재 상에 복수 개의 습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습도 인디케이터 어레이를 포함한다. 습도 표시 영역은 각각 특정 상대 습도에서 색이 변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가진다. 습도 표시 조성물은 수증기와 반응하여 [Cu(H2O)6]2+ 이온을 제공하는 유효한 조합의 브롬화구리, 브롬화물 염 및 염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조성물은 황산구리(II) 5수화물, 브롬화나트륨, 셀룰로스 섬유, 염료 및 물을 함께 혼합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증가하는 양의 구리(II) 5수화물 및 브롬화나트륨 및 같은 양의 염료 및 셀룰로스 섬유를 가진 용액의 어레이는 기재의 별도의 영역에 캐스팅된다. 상기 염료는 일반적으로 종이에 흡수되고 하기 언급되는 것처럼 [Cu(H2O)6]2+ 이온의 연한 황갈색이 제시될 때에만, 오직 볼 수 있다.
황산구리 II 5수화물 및 브롬화나트륨은 반응하여 무수 형태에서 진갈색 외관을 제공하고 염료를 차폐하는 브롬화구리 착물을 형성한다. 브롬화구리가 특정 상대 습도에 노출될 때, 환경 내 수증기 분자는 연한 황갈색이고 실질적으로 무색인, [Cu(H2O)6]2+ 이온을 형성하는 브롬화구리 착물로부터의 구리와 결합한다. 상기 [Cu(H2O)6]2+ 이온은 염료를 차폐할 수 없다. 따라서, 특정 상대 습도에 도달할 때, [Cu(H2O)6]2+ 이온의 존재가 브롬화구리 착물의 진갈색으로부터 일반적으로 보이지 않는 연한 황갈색까지로 습도 표시 영역에서의 색 변화를 가져온다. 염료 색은 따라서 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황산구리 II 및 브롬화나트륨의 양은 색 변화가 일어나는 상대 습도 수준을 제어하기 위해 각 습도 표시 영역에서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즉, 조성물 내 존재하는 브롬화구리 및 브롬화나트륨의 양의 증가는 색 변화가 관찰되는 상대 습도 수준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조성물 내 과량의 브롬화물이 물과 경쟁하고 [Cu(H2O)6]2+ 이온의 형성을 지연시키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재 상에 용액의 어레이보다 오히려 단일 용액을 캐스팅하는 것은 단일 상대 습도 표시 영역을 형성하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단일 표시 영역의 경우, 사용자는 색이 변하였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상대 습도가 특정 상대 습도 초과 또는 미만인지 측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습도 표시 영역의 색을 한 세트의 염료를 가진 카드 상의 영역과 비교함으로써 습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 이 세트의 염료는 특정 상대 습도에서 어떤 색이 나타나는지 보여준다. 예를 들어, 환경에서 30% 상대 습도에 도달할 때 표시 영역이 갈색으로부터 황색으로 색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재 상 영역은 습도 표시 영역과 비교될 수 있는 갈색 염료 부위 및 황색 염료 부위를 포함한다. 한 세트의 염료 대신에, 상기 기재는 오직 하나의 염료 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색은 특정 상대 습도에 도달할 때 표시 영역이 가지는 색을 나타낸다.
브롬화물과의 혼합에 바람직한 황산구리는 황산구리 II 5수화물인데, 그 이유는 이 물질이 브롬화물 염과 혼합될 경우, 건조할 때 진한 색 및 예정된 습도 수준에 도달할 때 옅은 황갈색을 형성하고, 식용 염료와 반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적합한 다른 황산구리 II 물질은 황산구리 II 무수물 또는 황산구리 II 수화물이다. 전형적인 다른 황산구리는 아미노 황산구리 (황산구리, 아미노화됨) 및 삼염기 황산구리이다.
황산구리 II와 혼합하기에 바람직한 브롬화물 염은 브롬화나트륨 또는 브롬화칼륨인데, 이는 이 물질이 황산구리 II와 혼합될 경우, 건조할 때 진한 색 및 예정된 습도 수준에 도달할 때 옅은 황갈색을 제공하고, 식용 염료와 반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적합한 다른 브롬화물 염은 브롬화칼슘, 브롬화마그네슘, 브롬화아연 또는 브롬화암모늄이다. 놀랍게도, 브롬화물 염으로써 브롬화구리를 사용하는 것은 검출하기 쉬운 정도의 색 변화를 만들지 못하였다. 사용될 수 있는 기타 전형적인 염은 염화구리, 요오드화구리, 플루오르화구리, 질산구리, 크롬산염 및 과망간산염을 포함한다.
식용 착색의 임의의 유형이 염료로써 사용될 수 있으나, FD&C 염료가 손쉽게 이용가능하고 식품, 화장품 및 제약과 함께 사용하기 안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염료는 FD&C 적색 #40과 조합된 FD&C 황색 #5인데, 이는 특정 상대습도에 도달할 경우 이것이 쉽게 검출가능한 색 변화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다른 바람직한 염료는 FD&C 황색 #5과 조합된 FD&C 녹색 #3이다. 이 실시예에서, 기재는 특정 상대 습도에 도달할 경우 갈색으로부터 녹색으로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오직 FD&C 황색 #5, FD&C 녹색 #3, 또는 FD&C 적색 #40만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갈색 염료를 제외한 다른 염료가 또한 본 발명에서 쓰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셀룰로스 용액은 습도 표시 용액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헤라큘라스, 인크.(Hercules, Inc.)로부터 제조된, 클루셀(Klucel)®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제이에프(jf)가 사용될 수 있다. 클루셀®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제이에프는 99%가 20% 그물 스크린(851 마이크로미터)을 통과하거나 또는 85%가 30% 그물 스크린(600 마이크로미터)을 통과하는 입자 크기를 가진 분말이다. 셀룰로스 용액은 습도 표시 용액의 점도를 증가시키고, 그 용액이 습도 표시 카드에 캐스팅될 때 그 용액이 너무 멀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셀룰로스는 또한 브롬화구리 착물의 응집을 최소화하여 균일한 색 분포를 제공하고 브롬화구리 착물로부터 진한 부위의 형성을 방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셀룰로스 섬유 용액은 각 습도 표시 영역이 더 작고, 더 큰 수의 상대 습도 검출 영역들이 카드에 포함될 수 있게 허용하도록 습도 표시 용액을 포함한다. 또한, 브롬화구리 착물 및 염료가 더 농축되고 균일한 영역에 있기 때문에 색 변화를 검출하기 더 쉽다. 습도 표시 용액 중 셀룰로스 섬유의 바람직한 농도 범위는 약 0.8% - 1.2%인데, 이는 그것이 습도 인디케이터 카드 상의 원하는 영역에 황산구리 II 및 브롬화물 염 용액을 유지시키는데 적합한 점도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습도 표시 용액 중 셀룰로스 섬유의 적합한 범위는 약 0.5% - 1.5%이다. 다른 증점제가 습도 표시 용액의 점도를 증가시키는데 적합하며, 이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프로필 셀룰로스 카라지난, 구아 검, 또는 크산탄 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사용된 기재는 압지(blotting paper)인데, 이는 그것이 쉽게 염료를 흡수하고 빠르게 건조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유형의 기재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 습도 표시 화학은 다른 유형의 종이, 접착 스탬프, 플라스틱 판, 필름, 또는 백킹재(backing material)의 코팅층, 이를테면 금속과 같은 기재 상의 중합체 또는 섬유 코팅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습도 표시 화학은 고체 형태로, 또는 물질로, 이를테면 수지 중합체 및 열 용융형 접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 특별하게,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나이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는 습도 표시 화학을 포함할 수 있다. 습도 표시 화학은 전체 물질 이내에 또는 물질의 일 부분 이내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물질은 색 변화가 더 잘 보이도록 일반적으로 투명하거나 무색이다. 이 습도 표시 화학은 또한 결합제와 또는 결합제 없이 다양한 분말 또는 응집체를 압축함으로써 만들어진 압축품 또는 정제에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정균제 및 살진균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가 습도 표시 용액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습도 표시 영역의 색은 조성물에 존재하는 브롬화구리 및 브롬화나트륨의 양에 영향을 받는다. 조성물에 존재하는 브롬화구리 및 브롬화나트륨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색 변화가 관찰되는 상대 습도 수준이 증가한다. 바람직하게, 10% 내지 60% 범위의 상대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용액 내 브롬화나트륨 대 황산구리(II) 5수화물은 상기 중량비가 약 3:1 내지 5:1의 범위인 양으로 존재한다. 더 특별하게, 10% 내지 50% 범위의 상대 습도를 검출하는 용액에 대한 바람직한 브롬화나트륨 대 황산구리 (II) 5수화물 중량비는 약 3:1이다. 60% 상대 습도 수준에 도달하기 전 브롬화구리의 색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브롬화물의 더 많은 초과량이 요구되기 때문에, 60% 초과의 상대 습도를 검출하는 용액에 대한 바람직한 브롬화나트륨 대 황산구리 (II) 5수화물 중량비는 5:1 이상이다.
유사하게, 조성물에 존재하는 구리 이온 및 브롬화물 이온의 양이 증가할 때, 색 변화가 관찰되는 상대 습도 수준이 증가한다. 10% 내지 60% 범위의 상대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용액에서, 브롬화물 이온 대 구리 이온의 몰비는 약 7.5:1 내지 12.2:1의 범위에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10% 내지 50% 범위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표시 용액을 위한 바람직한 브롬화물 이온 대 구리 이온 몰비는 약 7.5:1이고 60% 초과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표시 용액의 브롬화물 이온 대 구리 이온 몰비는 12.2:1 이상이다.
본 발명은 건조제 물질이 여전히 활성인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것과 같은 다양한 용도에서 사용을 위해 또한 언급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식품, 화장품 및 제약 패키지 및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제품 패키지 및 컨테이너 내, 및 실험실, 제조 시설, 및 동물 우리 및 시설과 같이 바람직한 상대 습도를 요구하는 환경 내에서 상대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제 도면에 대해 언급하면, 도 1은 6 개의 상대 습도 표시 영역 (12), (14), (16), (18), (20), (22)를 가진 습도 표시 카드 (10)을 보여준다. 이 배치에서, 영역 (12)는 황산구리 II 5수화물 및 브롬화나트륨의 최소량을 가진 용액을 포함하고 영역 (22)는 황산구리 II 5수화물 및 브롬화나트륨의 최대량을 가진 용액을 포함한다. 상대 습도 검출 영역 (12), (14), (16), (18), (20), (22)는 각각, 10%, 20%, 30%, 40%, 50% 및 60%에서 10% 간격으로 증가하며 갈색에서 황색으로 색이 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드 (10)를 습도를 지닌 환경에 가져가서 황색 염료를 보여주는 최고 백분율 상대 습도 인디케이터 영역을 읽음으로써 환경의 상대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각 영역 (12), (14), (16), (18), (20) 및 (22)는 원 (24)로 경계가 나타나고, 이는 원 (24)로 경계가 정해진 내부 영역을 넘어 이동한 임의의 용액을 숨긴다. 바람직하게, 원 (24)는 불투명하고, 예를 들어 흑색이다.
인디케이터 카드 (10) 상의 각 습도 인디케이터 영역에 대해, 브롬화나트륨의 상이한 농도를 가진 상이한 용액이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10%, 20%, 30%, 40%, 50% 및 60%에서 상대 습도 수준을 검출하는 상대 습도 검출 영역을 가진 인디케이터 카드 (10)을 만들기 위하여, 황산구리 (II) 5수화물, 브롬화나트륨, 물 및 염료 용액을 가진 표 1에 보여지는 다음 용액이 다양한 상대 습도 수준에 대한 다음 농도에서 첨가된다:
Figure pat00001
염료 용액은 이 아래의 표 2에 보여지는 농도로 물, 프로필렌 글리콜, FD & C 적색 제 40호, 및 FD & C 황색 #5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02
상기에 언급된 10% 상대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습도 표시 영역에 대한 용액을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만들어진다.
1. 10% 표시 영역에 대해 상기 특정된 양으로 황산구리(II) 5수화물 4.1 그램, 브롬화나트륨 12.3 그램 및 황색 염료 용액 9.4 그램을 물 900.0 그램 및 10% 셀룰로스 용액의 100.0 그램에 첨가; 및
2. 10 분 동안 강하게 교반하며 성분을 혼합하여 모든 성분이 확실하게 용액 상태로 있게 함.
20% - 60% 용액은 표 1에 따라 같은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그 다음, 각 용액을 원하는 영역 내 카드 상에 분사, 블로팅 또는 프리킹한다. 그리고 나서 약 2-5 분 동안 300 ℉에서 재래식 오븐에서 카드를 건조시켜 물을 증발시킨다.
황산구리(II) 5수화물 및 상기 용액에 첨가된 브롬화나트륨은 습도 인디케이터 카드 (10)가 영역 (12), (14), (16), (18), (20) 또는 (22)에서 건조될 때 브롬화구리(II) 착물을 형성한다.
10%, 20%, 30%, 40%, 50%, 및 60% 용액은 각각 황산구리(II) 5수화물 및 브롬화나트륨의 증가하는 양을 가지고, 이는 카드 상의 상이한 영역이 다른 습도 수준에서 색을 변하게 한다. 10% 습도 표시 영역은 10% 습도에서 갈색에서 황색으로 완전하게 색이 변하고, 임의의 10% 초과 습도 수준에서는 황색으로 남아있을 것이라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유사하게, 50% 습도 표시 영역은 50% 습도에서 완전하게 색이 변하고 임의의 50% 초과 습도 수준에서는 황색으로 남아있을 것이다. 50% 습도 표시 영역은 50% 상대 습도에 도달하기 전에 색 변화가 시작될 수 있고 예를 들어 45% 상대 습도에서 갈색/황색의 색을 보여줄 수 있지만, 이 색 변화는 더 낮은 습도 표시 영역과 비교시 미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2에서 언급된 염료 용액을 포함하는 표 1에 언급된 습도 표시 용액을 사용할 때, 다음의 색 변화가 관찰된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그 영역의 계획된 상대 습도 수준에 도달할 때 그 영역은 갈색에서 황색으로 변한다. 예를 들어, 15% 상대 습도 수준에서, 10% 상대 습도 표시 영역은 황색이고 20%-60% 표시 영역은 갈색이다. 35% 상대 습도 수준에서, 10%-30% 상대 습도 표시 영역은 황색이고 40%-60% 습도 표시 영역은 갈색이다.
본 발명이 이처럼 설명되었지만, 언급된 본 발명이 많은 방식으로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본 발명의 기본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인식되지 않고 이러한 모든 수정은 다음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의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습도 인디케이터 카드의 상면도이다.

Claims (27)

  1. 각 습도 표시 영역이 브롬화구리, 브롬화물 염, 염료, 및 셀룰로스 섬유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습도 표시 영역을 갖는 기재를 포함하고,
    브롬화물 이온 대 구리 이온의 몰비가 7.5:1 내지 12.2:1의 범위에 있고, 각 습도 표시 영역이 여러 양의 브롬화물 및 구리를 포함함으로써 여러 상대 습도를 표시하도록 형성된, 습도 인디케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압지인 습도 인디케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롬화물 염이 브롬화나트륨인 습도 인디케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스 섬유가 1 중량%의 농도에 있는 습도 인디케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가 FD&C 황색 염료인 습도 인디케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가 FD&C 황색 염료 및 FD&C 적색 염료인 습도 인디케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롬화구리가 황산구리(II) 5수화물 및 브롬화물 염의 반응으로부터 형성되는 습도 인디케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브롬화나트륨 대 황산구리 5수화물의 중량비가 3:1 내지 5:1의 범위에 있는 습도 인디케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롬화구리가 브롬화구리 착물을 포함하는 습도 인디케이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스탬프, 플라스틱 판, 중합체 필름, 및 백킹재 상의 흡수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습도 인디케이터.
  11. 제1항에 있어서, 습도 인디케이터의 복수 개의 영역 각각이 증가하는 양의 브롬화구리 및 브롬화물 염을 가지고, 10% 내지 50% 범위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인디케이터.
  12. 제1항에 있어서, 황산구리(II) 및 브롬화나트륨이 반응하여 브롬화구리를 생성하는 습도 인디케이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염료가 FD&C 컬러(color)인 습도 인디케이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습도 인디케이터의 복수 개의 영역이 10%에서 50%까지 10% 간격을 가지는 습도 인디케이터.
  15. 제12항에 있어서, 브롬화나트륨 대 황산구리(II) 5수화물의 중량비가 3:1 내지 5:1의 범위에 있는 습도 인디케이터.
  16. 제12항에 있어서, 브롬화나트륨 대 황산구리(II) 5수화물의 중량비가 3:1인 습도 인디케이터.
  17. 각 영역이 브롬화구리, 염료, 셀룰로스 섬유 및 브롬화물 염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습도 표시 영역 각각이 복수 개의 나머지 습도 표시 영역 각각과 다른 양의 브롬화구리 및 브롬화물 염을 포함하고, 각 영역 내 브롬화물 이온 대 구리 이온의 몰비가 7.5:1 내지 12.2:1의 범위에 있는, 인디케이터 카드 상에 낮은 습도에서부터 높은 습도까지 여러 습도를 검출하는 복수 개의 습도 표시 영역을 제공하는 단계;
    인디케이터 카드를 습도 수준을 포함하는 환경으로 가져감으로써, 상기 습도 수준 미만의 습도 표시 영역들이 색 변화하는 단계;
    색 변화를 갖는 가장 높은 습도 영역에 있는 습도 수준을 읽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습도 표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이 10%-50% 범위에서 10% 간격으로 습도를 검출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가 FD&C 황색인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가 압지인 방법.
  21. 용액에서 브롬화물 및 황산구리(II)의 양이 다르고 염료 양은 일 군의 각 용액에서 실질적으로 같은, 브롬화물 염, 황산구리(II), 셀룰로스 섬유 및 염료로 된 용액들의 군을 제공하는 단계; 및
    각 용액을 기재의 분리된 영역에 캐스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각 용액에서 브롬화물 이온 대 구리 이온의 몰비가 7.5:1 내지 12.2:1의 범위에 있고, 각 분리된 영역이 여러 상대 습도에서 색이 변화하는,
    습도 인디케이터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낮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각 영역의 브롬화물 염 및 황산구리(II) 농도가, 높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영역에 존재하는 것보다 더 낮은, 습도 인디케이터의 제조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높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각 영역의 브롬화물 염 및 황산구리(II) 농도가, 낮은 습도를 감지하기 위한 영역에 존재하는 것보다 더 높은, 습도 인디케이터의 제조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압지인, 습도 인디케이터의 제조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브롬화물 대 구리의 몰비가 7.5:1인, 습도 인디케이터의 제조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의 군이 10% 내지 50% 범위의 습도를 검출하는 것인, 습도 인디케이터의 제조 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의 군이 10% 내지 50% 범위에서 10% 간격으로 습도를 검출하는 것인, 습도 인디케이터의 제조 방법.
KR1020147024033A 2009-04-06 2010-04-01 브롬화구리 습도 표시 카드 KR20140111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19,116 2009-04-06
US12/419,116 US20100252779A1 (en) 2009-04-06 2009-04-06 Copper bromide humidity indicating card
PCT/US2010/029567 WO2010117865A2 (en) 2009-04-06 2010-04-01 Copper bromide humidity indicating car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309A Division KR20120012463A (ko) 2009-04-06 2010-04-01 브롬화구리 습도 표시 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053A true KR20140111053A (ko) 2014-09-17

Family

ID=428254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033A KR20140111053A (ko) 2009-04-06 2010-04-01 브롬화구리 습도 표시 카드
KR1020117026309A KR20120012463A (ko) 2009-04-06 2010-04-01 브롬화구리 습도 표시 카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309A KR20120012463A (ko) 2009-04-06 2010-04-01 브롬화구리 습도 표시 카드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100252779A1 (ko)
EP (1) EP2417439A4 (ko)
JP (1) JP2012522991A (ko)
KR (2) KR20140111053A (ko)
CN (1) CN102803937B (ko)
AR (1) AR076209A1 (ko)
AU (1) AU2010234760B2 (ko)
BR (1) BRPI1013323A2 (ko)
CA (1) CA2757825A1 (ko)
CL (1) CL2011002483A1 (ko)
IL (1) IL215522A0 (ko)
MA (1) MA33249B1 (ko)
MX (1) MX2011010566A (ko)
RU (1) RU2011144868A (ko)
SG (1) SG175031A1 (ko)
TN (1) TN2011000496A1 (ko)
WO (1) WO2010117865A2 (ko)
ZA (1) ZA2011072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0652B1 (en) 2016-11-11 2017-10-17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Variable traffic safety sign for displaying roadbed conditions in response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1831B2 (en) * 2011-08-24 2015-09-01 Multisorb Technologies, Inc. Copper, starch and iodide moisture indicator
US8911681B2 (en) * 2011-09-12 2014-12-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indicator having varied hues
CN106859000B (zh) * 2015-12-14 2021-06-18 吉弟产品公司 指示潮湿度的发刷
TWI625525B (zh) * 2016-11-21 2018-06-01 國立臺灣大學 檢測嘉磷塞或其代謝物之試劑及使用其之檢測方法
US20180356379A1 (en) * 2017-06-09 2018-12-13 Clariant Corporation Non-reversible humidity indicator card
TWI654420B (zh) 2018-04-02 2019-03-21 英群邦生技股份有限公司 吸濕型濕度感應模組以及具有該模組的濕度感應貼紙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0072A (en) * 1949-01-25 Copper chloride relative humidity
US2249867A (en) * 1938-01-15 1941-07-22 Marjorie G Snelling Dampness detecting and indicating device
US2460067A (en) * 1945-02-07 1949-01-25 Davison Chemcial Corp Copper bromide relative humidity indicators
US3963442A (en) * 1974-12-04 1976-06-15 Bullard Wade A Colorimetric indicator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S597024U (ja) * 1982-07-02 1984-01-18 新越化成工業株式会社 乾燥剤用容器
US4931051A (en) * 1987-02-06 1990-06-05 Edge Enterprises, Inc. Wetness indicator
JP3312438B2 (ja) * 1993-08-20 2002-08-05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水検知インジケ−タ−
JPH1090244A (ja) * 1996-09-20 1998-04-10 Nof Corp 水分検知ラベル
EP0937245A1 (en) * 1996-10-16 1999-08-25 Environmental Test Systems, Inc. Device an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water
JP2000107551A (ja) * 1998-10-05 2000-04-18 Ooe Kagaku Kogyo Kk 乾燥剤
GB9909219D0 (en) * 1999-04-22 1999-06-16 Crosfield Joseph & Sons Humidity indicators
IT1313584B1 (it) * 1999-07-30 2002-09-09 Levosil S P A Indicatori di umidita' per segnalare la capacita' assorbente di unmateriale disidratante.
CA2414114A1 (en) 2000-07-13 2002-0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fume composition and cleaning compositions comprising the perfume composition
IT1319669B1 (it) * 2000-12-01 2003-10-23 Levosil S P A Indicatori di umidita' cartacei con supporto colorato.
GB0101381D0 (en) * 2001-01-19 2001-03-07 Crosfield Joseph & Sons Silica-based indicating desiccants
SE0104206D0 (sv) * 2001-12-12 2001-12-12 Alf Andersen Sensor
GB2401072B (en) * 2003-03-19 2006-04-26 Ineos Silicas Ltd Silica-based indicating desiccants
JP2006017599A (ja) * 2004-07-02 2006-01-19 Piatekku Kk 湿度検知材
EP1705484A1 (en) * 2005-03-23 2006-09-27 GP&E America, LLC Composition for non-toxic, non-hazardou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humidity-indicating agent and its application
JP4385161B2 (ja) * 2006-05-31 2009-12-16 Apテック株式会社 湿度インジケータと乾燥剤パックとの結合ユニット
JP4853247B2 (ja) * 2006-11-16 2012-01-11 凸版印刷株式会社 酸素インジケーター
JP4930997B2 (ja) * 2007-02-20 2012-05-1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発色型温湿度センサー、発色型温湿度センサーの使用方法及び発色型温湿度センサーの製造方法
JP2008261681A (ja) * 2007-04-11 2008-10-30 Kyodo Printing Co Ltd 湿度インジケータ
CN101393134A (zh) * 2008-10-23 2009-03-25 杨德成 湿度指示剂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0652B1 (en) 2016-11-11 2017-10-17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Variable traffic safety sign for displaying roadbed conditions in response to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7439A2 (en) 2012-02-15
IL215522A0 (en) 2011-12-29
TN2011000496A1 (en) 2013-05-24
CL2011002483A1 (es) 2012-05-25
RU2011144868A (ru) 2013-05-20
KR20120012463A (ko) 2012-02-10
EP2417439A4 (en) 2014-12-31
SG175031A1 (en) 2011-11-28
AU2010234760B2 (en) 2014-01-23
AR076209A1 (es) 2011-05-26
ZA201107251B (en) 2012-12-27
WO2010117865A2 (en) 2010-10-14
BRPI1013323A2 (pt) 2016-03-29
CN102803937A (zh) 2012-11-28
MX2011010566A (es) 2011-10-19
CN102803937B (zh) 2016-06-29
AU2010234760A1 (en) 2011-11-03
CA2757825A1 (en) 2010-10-14
WO2010117865A3 (en) 2011-01-13
JP2012522991A (ja) 2012-09-27
MA33249B1 (fr) 2012-05-02
US20100252779A1 (en) 201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1053A (ko) 브롬화구리 습도 표시 카드
EP1200819B1 (en) Moisture indicators for the absorbent capacity of a dessicant
Zhang et al. Colorimetric array indicator for NH3 and CO2 detection
CN109016746B (zh) 一种可指示鲜度的生鲜肉吸水保鲜膜制备方法与用途
US20150300958A1 (en) Adjustable colorimetric moisture indicators
KR100676777B1 (ko) 코발트프리 습도지시용액의 제조 및 적용방법
CA2629262A1 (en) Oxygen scavenger/indicator
KR20160031486A (ko) 산소 검지제 조성물, 산소 검지 시트, 탈산소제용 포장 재료, 및 탈산소제 포장체
CN102029143A (zh) 氧吸收剂和氧吸收性树脂组合物以及氧吸收性薄膜
CN104535563B (zh) 一种在干燥与潮湿环境下均能很好使用的喷雾雾滴密度和大小的检测体系、制备方法和检测方法
TWI491876B (zh) 濕度指示卡及其製造方法
KR101270475B1 (ko) 중금속 무함유 습도지시제 및 이를 이용한 습도지시키트
EP1705484A1 (en) Composition for non-toxic, non-hazardou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humidity-indicating agent and its application
KR100822454B1 (ko) 습도지시제의 제조방법
JP7219922B2 (ja) 食品の誤った取り扱いおよび誤用の検出方法
US9121831B2 (en) Copper, starch and iodide moisture indicator
KR101491332B1 (ko) 폴리페놀계 화합물 및 포타슘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탈산소 필름용 조성물, 탈산소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1447B1 (ko) 중금속 무함유 습도지시제 및 이를 이용한 습도지시키트
JP4898824B2 (ja) 有機物質をベースとする酸素スカベンジャー/インジケーター
EP1340073A1 (en) Humidity paper indicators with coloured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