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454A -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 - Google Patents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454A
KR20140110454A KR1020130024782A KR20130024782A KR20140110454A KR 20140110454 A KR20140110454 A KR 20140110454A KR 1020130024782 A KR1020130024782 A KR 1020130024782A KR 20130024782 A KR20130024782 A KR 20130024782A KR 20140110454 A KR20140110454 A KR 20140110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indoor
frame
groove
insertion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7880B1 (ko
Inventor
심석래
정도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Priority to KR1020130024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88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7Length, width or depth adjustment
    • E05Y2800/372Telescop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5Cyclic ventilation, e.g. alternating air supply volume or reversing flow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 환기를 위해 유리와 창호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환기장치가 유리의 두께 변화에 따라 달라짐에 대응하기 위해 폭을 조정가능하고 환기 용량을 다 단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마감실외프레임의 실외상부단에는 상부끼움단이 하부 방향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실외상부단의 하부로 연장된 중앙에는 실외프레임의 끝단 일부가 삽입되는 실외삽입단이 형성되며, 상기 실외삽입단의 하부로 연장된 실외하부단(23)의 하부면에는 하부끼움단이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마감실내프레임의 실내상부단에는 상부끼움단이 끼움되는 상부끼움홈이 다수 열로 형성되고, 상기 실내상부단의 하부로 연장되는 중앙에는 실외삽입단으로 삽입되는 실내삽입단이 형성되며, 상기 실외삽입단의 내부에는 실내측에서 플랩의 개폐 작동을 위한 작동부가 결합되고, 상기 실내삽입단의 하부로 연장된 실내하부단의 상부면에는 하부끼움단이 끼움되는 하부끼움홈이 다수 열로 구성하여, 상기 유리의 두께가 변화됨에 따라 창호프레임과 유리에 끼워지는 자연환기장치의 폭에 변화에 대응하도록 상/하부끼움단을 상/하부끼움홈에 끼워 마감실내/외프레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Ventilator end finishes}
본 발명은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연 환기를 위해 유리와 창호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환기장치가 유리의 두께 변화에 따라 달라짐에 대응하기 위해 폭을 조정가능하고 환기 용량을 다 단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란, 온갖 창과 문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써,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는 내 외부간의 온도 차이 및 송풍에 따른 기압 차이를 이용한 자연 대류방식의 환기장치이다.
이에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10-937691호에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이하, 종래기술)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종래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는 외측프레임; 상기 외측프레임의 상단은 우측으로 돌출되고, 그 끝단에는 상기 외측프레임의 아래쪽 또는 위쪽으로 절곡되는 제1끼움편이 형성되며, 내측프레임; 상기 내측프레임의 상단에는 좌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의 상단에서 하부 또는 하단에서 상부로 파인 다수개의 제1끼움홈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프레임의 제1끼움홈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외측프레임의 제1끼움편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는 유리의 두께 변화로 인해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결합하는 위치를 변화시켜 유리의 두께에 따라 폭을 변화시켜 체결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자연환기장치의 양 끝단에 결합되는 마감구는 유리의 두께가 두꺼워져 자연환기창지의 폭이 변화되면 사용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는 플랩을 개폐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가 외부로 노출되어져 있어 장시간 사용할 경우 동작을 하는 틈새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어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는 체결을 위한 돌출부위로 인해 유리와 창호의 틈새로 삽입되지 못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이 나빠지고 일체의 프레임이 일체의 형태로 제작되어 색상을 창호와 함께 통일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유리의 두께 변화에 따라 폭의 크기가 달라지는 자연환기장치의 폭의 변화에 따라 폭변화가 자유로워 체결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양 끝단에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외프레임과 실내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실내프레임의 내측 중앙에실내외를 연통시키는 플랩이 회전되게 결합되며, 필터가 끼워진 그립이 실내프레임의 실내측면에 결합되어 창호의 창호프레임과 유리의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이 구성되고, 상기 자연환기장치를 구성하는 실외프레임과 실내프레임의 각각 끼움 결합되는 마감실외프레임과 플랩을 개폐작동시키는 작동부가 중앙에 형성된 마감실내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마감구에 있어서, 상기 마감실외프레임의 실외상부단에는 상부끼움단이 하부 방향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실외상부단의 하부로 연장된 중앙에는 실외프레임의 끝단 일부가 삽입되는 실외삽입단이 형성되며, 상기 실외삽입단의 하부로 연장된 실외하부단(23)의 하부면에는 하부끼움단이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마감실내프레임의 실내상부단에는 상부끼움단이 끼움되는 상부끼움홈이 다수 열로 형성되고, 상기 실내상부단의 하부로 연장되는 중앙에는 실외삽입단으로 삽입되는 실내삽입단이 형성되며, 상기 실외삽입단의 내부에는 실내측에서 플랩의 개폐 작동을 위한 작동부가 결합되고, 상기 실내삽입단의 하부로 연장된 실내하부단의 상부면에는 하부끼움단이 끼움되는 하부끼움홈이 다수 열로 구성하여, 상기 유리의 두께가 변화됨에 따라 창호프레임과 유리에 끼워지는 자연환기장치의 폭에 변화에 대응하도록 상/하부끼움단을 상/하부끼움홈에 끼워 마감실내/외프레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유리의 두께 변화에 따라 폭의 크기가 달라지는 자연환기장치의 폭의 변화에 따라 폭변화가 자유로워 체결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동부가 마감구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여 오염이 예방되며, 실내측과 실외측프레임으로 분리되어 각각 다른 색상으로 구현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작동부의 동작 위치를 다단으로 조정되도록 하여 플랩의 개방과 닫힘 동작이 세분화되어 공기가 자연 순환시 통풍량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작동레버가 실내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마감구를 창호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구가 적용된 자연환기장치를 설치한 창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와 마감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와 마감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구에 작동에 따라 자연환기장치의 플랩이 완전개방된 작동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구에 작동에 따라 자연환기장치의 플랩이 절반 상태로 개방된 작동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구에 작동에 따라 자연환기장치의 플랩이 완전폐쇄된 작동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두께에 따라 폭이 달라지는 자연환기장치에 끼워지도록 마감구의 폭을 조절하는 사용 상태도,
도 5b는 도 5a의 창호에 결합된 단면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100)는 창호(200)의 상부측 창호프레임(201)과 유리(G)의 사이에 자연 통풍 장치인 자연환기장치(10)의 양 끝단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자연환기장치(10)는 실외프레임(11)과 실내프레임(12)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프레임(12)의 내측 중앙에 실내외를 연통시키는 플랩(13)이 회전되게 결합된다.
아울러, 필터(14)가 끼워진 그립(15)이 실내프레임(12)의 실내측면에 결합되어 창호(200)의 창호프레임(201)과 유리(G)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실외프레임(11)은 상부단에는 다수 열의 제1끼움단(11a)이 형성되며, 하부단에는 제2끼움단(11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내프레임(12)의 상부 끝단과 하부 끝단에는 제1끼움단(11a)이 끼움되는 다수 열의 제1끼움홈(12c)과 제2끼움단(11b)이 끼움되는 제2끼움홈(12d)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마감구(100)는 자연환기장치(10)를 구성하는 실외프레임(11)과 실내프레임(12)의 각각 끼움 결합되는 마감실외프레임(20)과 플랩(13)을 개폐작동시키는 작동부(30)가 중앙에 형성된 마감실내프레임(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마감실외프레임(20)의 실외상부단(21)에는 상부끼움단(21a)이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상부단(21)의 하부로 연장된 중앙에는 실외프레임(11)의 끝단 일부가 삽입되는 실외삽입단(2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실외삽입단(22)의 하부로 연장된 실외하부단(23)의 하부면에는 하부끼움단(23a)이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반면, 상기 마감실내프레임(40)의 실내상부단(41)에는 상부끼움단(21a)이 끼움되는 상부끼움홈(41a)이 다수 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내상부단(41)의 하부로 연장되는 중앙에는 실외삽입단(22)으로 삽입되는 실내삽입단(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삽입단(22)의 내부에는 실내측에서 플랩(13)의 개폐 작동을 위한 작동부(3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실내삽입단(42)의 하부로 연장된 실내하부단(43)의 상부면에는 하부끼움단(23a)이 끼움되는 하부끼움홈(43a)이 다수 열로 구성한다.
즉, 상기 유리(G)의 두께가 변화됨에 따라 창호프레임(201)과 유리(G)에 끼워지는 자연환기장치(10)의 폭에 변화에 대응하도록 상/하부끼움단(21a)(23a)을 상/하부끼움홈(41a)(43a)에 끼워 마감실내/외프레임(30)(4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마감실외프레임(20)의 실외삽입단(22)에서 연장되는 하부에 체결홈단(2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실내프레임(40)의 실내삽입단(42)에서 연장되는 하부에는 체결홈단(22a)에 끼움되는 체결단(42a)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마감실내프레임(40)의 실내삽입단(42)의 주변으로는 실내프레임(1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홈(12a)과 결합홀(12b)에 삽입 결합되는 다수개의 결합단(42b)과 결합돌기(42c)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부연하자면, 상기 작동부(30)는 플랩(13)에 끼움되는 작동핀(31a')이 원판(31a)에서 돌출 편심되게 형성되는 반대편으로 회전축(31b)으로 가동구(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구(31)의 회전축(31b)이 공회전하지 않도록 삽입 끼움되는 걸림축홀(32a)이 중공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하는 한 쌍의 스톱퍼(32b)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스톱퍼(32b)가 형성된 반대편에는 실내측에서 조작하는 작동레버(50)가 결합되는 레버체결단(32c)으로 이루어지는 작동구(32)를 형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레버체결단(32c)이 실내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반대편으로 작동구(32)가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회전되게 끼워지는 케이스(33)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마감실내프레임(40)의 실내삽입단(42)을 형성하는 외벽면에는 가동구(31)의 회전축(31b)이 통과되는 관통홀(42d)의 주변으로 원판(31a)이 삽입되는 원판홈(42e)의 일측내주면에 작동핀(31)이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핀홈(42f)이 연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33)에 결합되는 레버체결단(32c)이 실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케이스(33)가 체결되는 케이스홀(33)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작동구(32)는 탄성돌기(32d)가 형성된 탄성단(32f)이 작동구(32)의 일측 끝단에서 반대 방향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삽입단(42)을 형성하는 내벽면에는 관통홀(42d)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닫힘홈(42g), 절반개방홈(42h), 개방홈(42i)이 각각 한 쌍씩 마주보는 탄성단홈(42j)이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단(32f)이 탄성홈단(42j)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돌기(32d)가 가동구(31)가 작동구(32)의 회전으로 함께 회전되어 닫힘홈(42g), 절반개방홈(42h), 개방홈(42i)에 순차적으로 걸림과 이탈작동에 의해 플랩(13)을 닫힘과 절반개방 및 완전개방의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프레임(11)과 실내프레임(12)을 결합한 상태에서 실내프레임(12)의 내측으로 플랩(13)을 회전되게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프레임(12)의 실내측면에 필터(14)가 끼움되어진 그립(15)을 결합하여 자연환기장치(10)를 완성한다.
한편, 상기 마감구(100)는 케이스(33)에 작동구(32)를 결합한 상태에서 케이스(33)를 케이스홀(33)에 결합하여 작동구(32)의 탄성단(32f)을 탄성단홈(42j)에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단(32f)에 형성된 탄성돌기(32d)를 닫힘홈(42g), 절반개방홈(42h), 개방홈(42i) 중 하나에 삽입되도록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레버체결단(32c)은 케이스홀(33)을 통해 실내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노출된 상태에서 작동레버(50)를 체결하여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작용력으로 작동구(32)가 회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동구(31)의 회전축(31b)을 관통홀(42d)을 통해 작동구(32)의 걸림축홀(32a)에 삽입한다.
이러한, 상기 걸림축홀(32a)의 내주면에는 걸림돌기(32a')가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31b)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32a')가 끼움되는 걸릴돌기홈(31b')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작동구(32)가 회전할 경우 가동구(31)가 함께 회전하도록 마감실내프레임(40)에 작동부(30)의 결합을 완료한다.
이후, 상기 마감실내프레임(40)의 실외측면으로 마감실외프레임(20)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마감실내/외프레임(40)(20)은 유리(G)의 두께가 변화됨에 따라 창호프레임(201)과 유리(G)에 끼워지는 자연환기장치(10)의 폭에 변화한다.
즉, 상기 유리(G)의 두께로 인한 자연환기장치(10)의 실내/외프레임(12)(11)의 폭이 변화되어, 마감구(10)의 마감실내/외프레임(40)(20)이 이루는 두께를 변화시켜 결합하기 위하여, 상/하부끼움단(21a)(23a)을 상/하부끼움홈(41a)(43a)에 끼워 마감실내/외프레임(30)(40)의 폭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상기 자연환기장치(10)와 마감구(100)를 결합한 상태에서 작동레버(50)를 상하 방향으로 올리거나 내리게 되면, 상기 작동구(32)는 케이스(33)의 내측에서 회전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작동구(32)의 회전력은 가동구(31)의 회전축(31b)으로 전달되어 플랩(31)에 끼움된 작동핀(31a')의 회전으로 플랩(31)을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구(32)의 회전에 따라 탄성돌기(32d)가 함께 회전되어 닫힘홈(42g), 절반개방홈(42h), 개방홈(42i)에 순차적으로 걸림과 이탈작동에 의해 플랩(13)을 닫힘과 절반개방 및 완전개방의 상태로 작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플랩(13)을 절반 가량 개방시켜 놓은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경우 기존의 환기장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플랩(13)이 자연적으로 회전되어 개방면적이 변화되는 것을 탄성돌기(32d)가 절반개방홈(42h)에 걸림되어 장시간 개방 상태를 유지하더라고 개방면적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자연환기장치(10)의 폭과 마감실내/외프레임(40)(20)의 폭이 일치하게 되어 시공 마감성이 우수하게 되며, 상기 마감실내/외프레임(40)(20)이 각각 구성되어 색상을 다르게 표현할 수 있는 동시에 동일하게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마감구(100)의 작동부(30)가 마감실내/외프레임(40)(20)가 결합된 내측에 위치됨으로써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아 작동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자연환기장치 11 : 실외프레임 11a : 제1끼움단
11b : 제2끼움단 12 : 실내프레임 12a : 결합홈
12b : 결합홀 12c : 제1끼움홈 12d : 제2끼움홈
13 : 플랩 14 : 필터 15 : 그립
20 : 마감실외프레임 21 : 실외상부단 21a : 상부끼움단
22 : 실외삽입단 22a : 체결홈단 23 : 실외하부단
23a : 하부끼움단 30 : 작동부 31 : 가동구
31a : 작동핀 31b : 회전 31b' : 걸림돌기홈
32 : 작동구 32a : 걸림축홀 32a' : 걸림돌기
32b : 스톱퍼 32c : 레버체결단 32d : 탄성돌기
32f : 탄성단 33 : 케이스 40 : 마감실내프레임
41 : 실내상부단 41a : 상부끼움홈 42 : 실내삽입단
42a : 체결단 42b : 결합단 42c : 결합돌기
42d : 관통홀 42e : 원판홈 42f : 핀홈
42g : 단힘홈 42h : 절반개방홈 42i : 개방홈
42j : 탄성홈단 43 : 실내하부단 43a : 하부끼움홈
50 : 레버 100 : 마감구 200 : 창호
201 : 창호프레임 G : 유리

Claims (5)

  1. 실외프레임(11)과 실내프레임(12)이 결합되고, 상기 실내프레임(12)의 내측 중앙에 실내외를 연통시키는 플랩(13)이 회전되게 결합되며, 필터(14)가 끼워진 그립(15)이 실내프레임(12)의 실내측면에 결합되어 창호(200)의 창호프레임(201)과 유리(G)의 사이에 설치되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10)가 구성되고, 상기 자연환기장치(10)를 구성하는 실외프레임(11)과 실내프레임(12)의 각각 끼움 결합되는 마감실외프레임(20)과 플랩(13)을 개폐작동시키는 작동부(30)가 중앙에 형성된 마감실내프레임(40)으로 이루어진 마감구에 있어서,
    상기 마감실외프레임(20)의 실외상부단(21)에는 상부끼움단(21a)이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실외상부단(21)의 하부로 연장된 중앙에는 실외프레임(11)의 끝단 일부가 삽입되는 실외삽입단(22)이 형성되며, 상기 실외삽입단(22)의 하부로 연장된 실외하부단(23)의 하부면에는 하부끼움단(23a)이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마감실내프레임(40)의 실내상부단(41)에는 상부끼움단(21a)이 끼움되는 상부끼움홈(41a)이 다수 열로 형성되고, 상기 실내상부단(41)의 하부로 연장되는 중앙에는 실외삽입단(22)으로 삽입되는 실내삽입단(42)이 형성되며, 상기 실외삽입단(22)의 내부에는 실내측에서 플랩(13)의 개폐 작동을 위한 작동부(30)가 결합되고, 상기 실내삽입단(42)의 하부로 연장된 실내하부단(43)의 상부면에는 하부끼움단(23a)이 끼움되는 하부끼움홈(43a)이 다수 열로 구성하여, 상기 유리(G)의 두께 변경에 따라 창호프레임(201)과 유리(G)에 끼워지는 자연환기장치(10)의 폭에 변화에 대응하도록 상/하부끼움단(21a)(23a)을 상/하부끼움홈(41a)(43a)에 끼워 마감실내/외프레임(40)(2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실외프레임(20)의 실외삽입단(22)에서 연장되는 하부에 체결홈단(22a)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실내프레임(40)의 실내삽입단(42)에서 연장되는 하부에는 체결홈단(22a)에 끼움되는 체결단(42a)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실내프레임(40)의 실내삽입단(42)의 주변으로는 실내프레임(1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홈(12a)과 결합홀(12b)에 삽입 결합되는 다수개의 결합단(42b)과 결합돌기(42c)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0)는 플랩(13)에 끼움되는 작동핀(31a')이 원판(31a)에서 돌출 편심되게 형성되는 반대편으로 회전축(31b)으로 가동구(31)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구(31)의 회전축(31b)이 공회전하지 않도록 삽입 끼움되는 걸림축홀(32a)이 중공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하는 한 쌍의 스톱퍼(32b)가 형성되며, 상기 스톱퍼(32b)가 형성된 반대편에는 실내측에서 조작하는 작동레버(50)가 결합되는 레버체결단(32c)으로 이루어지는 작동구(32)를 형성하며,상기 레버체결단(32c)이 실내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 반대편으로 작동구(32)가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회전되게 끼워지는 케이스(33)를 형성하고, 상기 마감실내프레임(40)의 실내삽입단(42)을 형성하는 외벽면에는 가동구(31)의 회전축(31b)이 통과되는 관통홀(42d)의 주변으로 원판(31a)이 삽입되는 원판홈(42e)의 일측내주면에 작동핀(31)이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핀홈(42f)이 연통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3)에 결합되는 레버체결단(32c)이 실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케이스(33)가 체결되는 케이스홀(33)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32)는 탄성돌기(32d)가 형성된 탄성단(32f)이 작동구(32)의 일측 끝단에서 반대 방향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실내삽입단(42)을 형성하는 내벽면에는 관통홀(42d)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닫힘홈(42g), 절반개방홈(42h), 개방홈(42i)이 각각 한 쌍씩 마주보는 탄성단홈(42j)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단(32f)이 탄성홈단(42j)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돌기(32d)가 작동구(32)의 회전으로 함께 회전되어 닫힘홈(42g), 절반개방홈(42h), 개방홈(42i)에 순차적으로 걸림과 이탈작동에 의해 플랩(13)을 닫힘과 절반개방 및 완전개방의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

KR1020130024782A 2013-03-08 2013-03-08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 KR101447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782A KR101447880B1 (ko) 2013-03-08 2013-03-08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782A KR101447880B1 (ko) 2013-03-08 2013-03-08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454A true KR20140110454A (ko) 2014-09-17
KR101447880B1 KR101447880B1 (ko) 2014-10-08

Family

ID=5175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782A KR101447880B1 (ko) 2013-03-08 2013-03-08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8811B2 (en) 2016-01-05 2021-01-12 Coway Co., Ltd. Air purifying unit and air cleaning/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639B1 (ko) 2023-04-19 2024-03-04 유진상 공기여과기를 갖는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491B1 (ko) * 2007-09-11 2009-06-23 주식회사 케이엔월덱스 슬라이딩 시스템-창호용 자연환기 장치
KR100814449B1 (ko) 2007-09-18 2008-03-17 정도갑 창호용 자연 환기장치
KR100937691B1 (ko) 2008-12-31 2010-01-20 정도갑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8811B2 (en) 2016-01-05 2021-01-12 Coway Co., Ltd. Air purifying unit and air cleaning/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880B1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2795B (zh) 具备有门组件的衣物处理装置
KR101447880B1 (ko)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
KR200460516Y1 (ko) 롱작동레버가 구비된 창문용 통풍장치
WO2012137466A1 (ja) 差圧作動式の換気口
JP6479066B2 (ja) 建具及び換気弁操作部品
KR101249337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0832912B1 (ko) 클린룸 공기 압력 조절용 댐퍼
KR101249338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JP3972771B2 (ja) 給排気グリル風量調整装置
PL222809B1 (pl) Nawiewnik powietrza
JP2009186112A (ja) 給排気用グリル
KR200372389Y1 (ko) 환기창용 회전유닛 및 이를 채용한 환기창 개폐장치
KR200355677Y1 (ko) 환기공을 구비하는 창문용 프레임
KR200387062Y1 (ko) 창짝의 환기구조
KR101446523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JP6184152B2 (ja) 建具及び換気弁操作部品
KR101503744B1 (ko) 환기창 개폐장치
KR200460517Y1 (ko) 창문용 통풍장치
PL206475B1 (pl) Okno
KR200452110Y1 (ko) 다분지 배기팬의 풍량조절 장치
KR200481687Y1 (ko) 환기창용 셔터 개폐장치의 결로 방지 장치
JP3983181B2 (ja) 換気装置
KR102616162B1 (ko) 결로방지용 환기장치와 이를 구비한 루버창
JP2013050291A (ja) 換気装置
KR101290662B1 (ko) 차량용 에어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