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691B1 -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691B1
KR100937691B1 KR1020080138617A KR20080138617A KR100937691B1 KR 100937691 B1 KR100937691 B1 KR 100937691B1 KR 1020080138617 A KR1020080138617 A KR 1020080138617A KR 20080138617 A KR20080138617 A KR 20080138617A KR 100937691 B1 KR100937691 B1 KR 100937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ner frame
outer frame
fitt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갑
Original Assignee
정도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갑 filed Critical 정도갑
Priority to KR102008013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25Ventilation using vent ports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과 결합하는 내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한 개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로도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사이에 설치하고자 하는 유리의 두께에 따라 상기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리의 두께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생산되었던, 종래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의 생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창호, 자연환기

Description

창호용 자연환기장치{Ventilating apparatus for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사이에 설치하고자 하는 유리의 두께에 따라 상기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窓戶)란, 온갖 창과 문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써,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는 내 외부간의 온도 차이 및 송풍에 따른 기압 차이를 이용한 자연 대류방식의 환기장치이다.
이에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814449호에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이하, 종래기술)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종래기술은 실외와 실내를 구분하는 창호, 즉 창 유리(G)와 창틀(W) 사이에 설치되고 외측 프레임(10)과 내측 프레임(20) 및 그릴(30)들의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수단에 의해 각각 끼움 결합되고, 내측 프레임(20)의 일측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측 프레임(10)과 내측 프레임(20)의 공기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플랩(40)으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외측 프레임(10)은 중간 부위에 공기가 통과되는 공기 통풍구가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된 외측 상,하부 프레임(12)(14)으로 구성되며, 외부에 설치되므로 빗물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고려하여 내식성과 적정 강도를 갖는 알루미늄 소재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프레임(20)은 일측면에 개폐플랩(40)의 상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연결홈(25)이 형성되며, 외측 프레임(10)의 일측면에 상,하 단부가 결합수단을 매개로 끼움 결합되고, 외측 프레임(10) 및 그릴(30)과의 결합을 위해 성형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계열(일 예로 폴리염화비닐)의 소재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수단은 외측 상,하부 프레임(12)(14)의 내측(타측)면에 각각 끼움홈(12a)과 돌출부(14a)가 형성되고, 내측프레임(20)의 일측면 상,하 부위에 끼움홈(12a)과 돌출부(14a)에 각각 대응되는 끼움부(22)와 요홈부(23)가 형성된 것이다.
끼움홈(12a)은 레일 형태로 절곡된 홈부를 갖는 구조를 가지며, 끼움부(22)는 끼움홈(12a)의 절곡된 내측면에 탄력적으로 수용되어 밀착되도록 상,하 대향되는 형태의 제 1,2끼움편(22a,22b)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내측 프레임(20)은 탄성을 갖는 소재 자체 특성상 탄력적으로 외측 상, 하부 프레임(12)(14)의 끼움홈 (12a)과 돌출부(14a)가 끼움 결합되거나, 측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진입되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내측 프레임(20)의 일측 하부에는 요홈부(23)와 이격된 위치에 홈형태의 수용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4)에 끼워져 결합되고 외측 하부 프레임(14)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4b)를 더 구 비하여서, 내측 프레임(20)과 외측 하부 프레임(14)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내측 프레임(20)은 공기층을 갖는 중공부(21a,21b)가 상,하 내부에 형성되며, 중공부(21a,21b)는 외부와 실내온도차이에 의한 결로 현상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내측 프레임(20)의 일측 하부에는 개폐플랩(40)의 닫힘동작시 하단부가 촉되어 밀착되도록 고정턱(29)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 그릴(30)의 일측면에는 내측 프레임(20)의 타측면과의 결합을 위해 홈을 갖는 상,하 결합리브(32,34)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측 프레임(20)의 타측면에는 그 상,하 결합리브(32,34)의 홈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태로 돌출된 제 1,2 결합돌기(26,2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릴(30)의 일측에 필터(60)가 수용되도록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기의 외부 이물질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외측 하부 프레임(14)과 내측 프레임(20)의 하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창유리가 수용되는 홈을 갖도록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양측 마감재(50A)(50B)는 내측 프레임(20)과 외측 상,하부 프레임(12)(14)의 측단부에 별도의 체결부재(스크류,볼트등)를 매개로 일체화되도록 결합되며, 개폐플랩(40)의 양측단과 결합되어 개폐플랩(40)을 회전시키는 개폐수단이 설치된다.
또, 내측 프레임(20)과 외측 상,하부 프레임(12)(14)의 측단부에는 체결부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암나사산을 갖는 체결부(미도시됨)가 형성된다.
개폐수단은 양측 마감재(50A)(50B)의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스위치(51)와, 그 조작스위치(51)의 단부에 결합되고 조작스위치(51)의 회전 동작시 연동 회전되고 개폐플랩(40)과 결합되도록 결합핀(53)이 일체로 연장 형성된 회전캠(52)과, 회전캠(52)의 외주면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톱퍼 돌기(52a)와, 양측 마감재(50A)(50B)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캠(52)의 회전시 스톱퍼 돌기(52a)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고정홈(55a)을 갖는 원호 형태의 고정편(55)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수단의 보다 자세한 구조 및 설명은 본 출원인의 "통풍장치용 개폐구조체"(한국등록특허 제802595호)를 참조하기로 한다.
개폐플랩(40)은 상단부가 내측 프레임(2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홈(25)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결합되고, 측면으로 결합핀(53)이 삽입되어 연동되도록 연결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상,하 서로 이격된 외측 상,하부 프레임(12)(14)의 내측면에 형성된 끼움홈(12a)과 돌출부(14a)에 상호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내측 프레임(20)의 끼움부(22)와 요홈부(23)를 각각 끼움 결합시킨다.
이때, 내측 프레임(20)은 자체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소재인 폴리염화비닐 소재이므로 끼움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부 측면으로 진입되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어서, 내측 프레임(20)의 타측에 그릴(30)을 밀착시켜 내측 프레임(20)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 1,2결합돌기(26,27)에 그릴(30)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하 결합리브(32,34)를 각각 끼움 결합시킨다.
한편, 내측 프레임(20)과 외측 상,하부 프레임(12)(14)의 결합전에 개폐플랩(40)의 상단부를 내측 프레임(20)의 연결홈(25)에 끼워서 일체화시킨 후에, 외측 상,하부 프레임(12)(14)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양측 마감재(50A)(50B)를 각기 결합된 외측 상,하부 프레임(12)(14)과 내측 프레임(20)의 단부에 밀착시킨 후에, 각각의 체결부에 체결부재를 결합시켜 일체화시킨다.
이때, 회전캠(52)에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핀(53)을 개폐플랩(40)의 연결공(42) 내부로 삽입시켜 회전캠(52)과 개폐플랩(40)이 연동되도록 결합시킨다.
이러한 결합과정이 완료된 후에,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 내측 프레임(20)과 외측 상부 프레임(12)의 상단부가 창틀(W)에 끼워지도록 접촉되고, 창 유리(G)가 내측 프레임(20)과 외측 하부 프레임(14)의 하단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조립한다.
이후에, 조작스위치(51)를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조작하면, 양측 마감재(50A)(50B)에 축결합된 조작스위치(51)가 회전 동작되면서 회전캠(52)이 연동 회전되고, 결합핀(53)이 개폐플랩(40)의 연결공(42)에 끼워져 있으므로, 회전캠(52)의 회전시 개폐플랩(40)이 회전 동작되어 공기 유로를 개폐시키게 된다.
즉, 조작스위치(51)의 회전시 회전캠(52)이 연동 회전되고, 회전캠(52)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핀(53)이 개폐플랩(40)의 연결공(42)에 삽입되어 개폐플랩(40)을 연동 회전시킴에 따라 공기 유로를 개폐시키는 것이다.
이때 공기 유로의 개폐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외와 실내가 연통되어 실외의 공기가 공기 통풍구과 통풍공(20a) 및 통기공(30a)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어 실내 환기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공기층을 갖는 중공부(21a,21b)는 실외와 실내의 온도 차이에 따라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차단할 수 있으며, 중공부(21a,21b)가 형성되는 공간만큼의 원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그릴(30)의 일측 상,하면에 조립홈이 각각 형성되고, 그 조립홈내에 필터(60)가 결합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기의 외부 이물질을 차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외측프레임(10)과 내측프레임(20) 사이에 개재되는 유리(G)의 두께에 따라 상기 외측프레임(10)과 내측프레임(2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유리(G)의 두께마다 각각 여러벌의 금형이 제작되어야 했고, 그에 따른 비용이 매우 고가임은 물론, 아무리 다양한 금형을 제작하더라도 사용처나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조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개폐플랩(40)의 하부에 형성된 별도의 연질부(41)의 뒷부분에는 그 개방된 부분으로 빗물이 유입되어, 먼지가 쌓이거나 곰팡이 등이 발생되어, 상기 연질부(41)가 부식되었다.
한편, 한국공개실용 제1998-66150호에는 건물의 일측벽면에 환기를 위해서 설치하는 창호를 제작하는 창틀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 한쌍의 고정돌기를 갖는 요입홈이 적어도 두개이상 형성되며 상기 요입홈에 선택적으로 삽 입되며 상부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부재로 구성된 창틀용 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가 요입홈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므로, 한 개의 창틀용 프레임으로 건물 및 조립식 건물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별도 생산에 따른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시공 및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프레임은 유리의 두께에 따라 조절되는 프레임의 구조에 대해서는 나타나 있지가 않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한국공고실용 제1979-1551호에는 단일규격으로도 다양한 두께의 유리를 부착 시공할 수 있도록 유리삽입간격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창틀용 유리고정장치에 대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창틀용 유리고정장치에서는 유리가 창틀에 조립되어 지지 고정될 때, 창틀에 고정테(4)를 고정하는 괘지턱(5)과 지지턱(5')이 유리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창틀의 두께가 굉장히 두꺼웠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유리의 두께에 따라 상기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창틀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는, 외측프레임; 상기 외측프레임과 결합하는 내측프레임;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한 개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로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사이에 설치하고자 하는 유리의 두께에 따라 상기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에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내측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1고정부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끼움홈; 상기 외측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끼움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1끼움홈 중 하나에 상기 제1끼움편이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에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제1고정부재와 이격되도록, 상기 내측프레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고정부재; 상기 제2고정부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2끼움홈; 상기 외측프레임에 형성되 는 제2끼움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2끼움홈 중 하나에 상기 제2끼움편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유리를 지지하는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의 결합이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창틀에 유리를 지지하는 고정테가 유리의 두께 방향(즉, 좌우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창틀의 두께가 두꺼워졌던 종래기술에 비해 창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는,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에 형성된 통풍공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는,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통풍공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플랩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플랩의 일단부는 중공형상을 갖는 밀폐된 연질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통풍공을 통하여 실내외 공기를 환기시킬 때, 개폐플랩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고, 개폐플랩이 닫히면서 발생되는 접촉소음이 연질부에 의해 완충되어 저감되는 동시에, 통풍공의 밀폐를 더욱 확실히 할 수 있으며, 종래의 연질부 뒷부분의 개방된 부분으로 빗물이 유입되어 먼지가 쌓이거나 곰팡이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질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는, 한 개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로도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사이에 설치하고자 하는 유리의 두께에 따라 상기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리의 두께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생산되었던 종래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의 생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는 실질적으로 유리를 지지하는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의 결합이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창틀에 유리를 지지하는 고정테가 유리의 두께 방향(즉, 좌우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창틀의 두께가 두꺼워졌던 종래기술에 비해 창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에는 중공형상을 갖는 밀폐된 연질부로 이루어진 개폐플랩이 설치되어 있어, 통풍공을 통하여 실내외 공기를 환기시킬 때, 개폐플랩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고, 개폐플랩이 닫히면서 발생되는 접촉소음이 연질부에 의해 완충되어 저감되는 동시에, 통풍공의 밀폐를 더욱 확실히 할 수 있으며, 종래의 연질부 뒷부분의 개방된 부분으로 빗물이 유입되어, 먼지가 쌓이거나 곰팡이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질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는 그 상부가 실리콘(501)에 의해 창틀(W)에 고정되고, 외측프레임(100)과, 상기 외측프레임(100)과 결합하는 내측프레임(200)과, 상기 외측프레임(100)과 상기 내측프레임(200)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측프레임(100)은 상기 내측프레임(200)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내측프레임(20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210)와, 상기 제1고정부재(2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1끼움홈(215)과, 상기 외측프레임(100)에 형성되는 제1끼움편(1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끼움홈(21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1끼움편(115)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제1고정부재(210)와 이격되도록, 상기 내측프레임(20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고정부재(220)와, 상기 제2고정부재(2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2끼움홈(225)과, 상기 외측프레임(100)에 형성되는 제2끼움편(125)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끼움홈(22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2끼움편(125)이 결합된다.
상기 외측프레임(100)과 상기 내측프레임(200)에는 통풍공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프레임(100)의 통풍공은 통풍구(111)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프레임(100)과 상기 내측프레임(200) 사이에는 상기 통풍구(111)와 통풍공(20a)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플랩(400)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플랩(400)의 일단부는 중공(406)형상을 갖는 밀폐된 연질부(405)로 이루어진다.
외측프레임(100)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간 부위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통풍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외측프레임(100)의 상단은 실내쪽으로 돌출되고, 그 끝단에는 상기 외측프레임(100)의 아래쪽으로 절곡되는 제1끼움편(1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실내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끼움편(115)에 이격되고, 그 끝단이 상기 외측프레임(100)의 위쪽으로 절곡되는 끼움편(115a)이 더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외측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실내쪽으로 돌출되어 그 끝단이 상기 외측프레임(100)의 위쪽으로 절곡되는 제2끼움편(125)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프레임(100)의 하단에는 유리(G)를 지지하는 실링부재인 개스킷(500)이 삽입고정되도록 걸림부(130)가 형성된다.
내측프레임(200)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상단에는 실외쪽으로 돌출된 제1고정부재(210)가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프레임(200)의 중간 부위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풍공(20a)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210)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210)의 상단에서 하부로 파인 다수개의 제1끼움홈(215a)(215b)(215c)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끼움홈(215a)(215b)(215c)은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실내에서 실외방향(즉,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210)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210)의 하단에서 상부로 파인 다수개의 제1끼움홈(215d)(215e)(215f)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끼움홈(215d)(215e)(215f)은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실내에서 실외방향(즉,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내측프레임(200)의 하부에는 실외쪽으로 돌출된 제2고정부재(220)가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220)에는, 상기 제2고정부재(220)의 하단에서 상부로 파인 다수개의 제2끼움홈(225a)(225b)(225c)이 형성된다.
즉, 제2끼움홈(225a)(225b)(225c)은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실내에서 실외방향(즉,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측프레임(200)의 하단에는 ㄱ자 형상의 하측프레임(260)이 결 합된다.
즉, 상기 내측프레임(200)의 하단에는 요홈부(23)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프레임의 일측에는 돌출부(14a)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4a)가 요홈부(23)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프레임(200)과 하측프레임(260)이 결합된다.
상기 하측프레임(260)의 하단에는 걸림부(130a)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30a)에는 유리(G)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실링부재인 개스킷(500a)이 삽입 고정된다.
즉, 상기 외측프레임(100)의 하단에 설치되는 개스킷(500)과 상기 하측프레임(260)의 하단에 설치되는 개스킷(500a)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그 사이에는 유리(G)가 개재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내측프레임(200)과 상기 하측프레임(260)은 서로 이어지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프레임(200) 제1고정부재(210)의 끼움홈c(215c)에는 외측프레임(100)의 끼움편(115)이 삽입되고, 내측프레임(200) 제2고정부재(220)의 끼움홈c(225c)에는 외측프레임(100)의 끼움편(115a)이 삽입된다.
따라서, 외측프레임(100)과 하측프레임(260) 사이에는 두께가 얇은 유리(G)(본 실시예에서는 유리의 두께를 12mm로 한정함)를 개재할 수 있다.
이때, 내측프레임(200) 제1고정부재(210)의 끼움홈f(215f)에는 외측프레 임(100)의 끼움편(115a)이 삽입되어, 상기 내측프레임(200)과 상기 외측프레임(100)의 결합력이 더욱 높아진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프레임(200) 제1고정부재(210)의 끼움홈b(215b)에는 외측프레임(100)의 끼움편(115)이 삽입되고, 내측프레임(200) 제2고정부재(220)의 끼움홈b(225b)에는 외측프레임(100)의 끼움편(115a)이 삽입된다.
따라서, 외측프레임(100)과 하측프레임(260) 사이에는 두께가 중간인 유리(G1)(본 실시예에서는 유리의 두께를 16mm로 한정함)를 개재할 수 있다.
이때, 내측프레임(200)의 제1고정부재(210)의 끼움홈e(215e)에는 외측프레임(100)의 끼움편(115a)이 삽입되어, 상기 내측프레임(200)과 상기 외측프레임(100)의 결합력이 더욱 높아진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프레임(200) 제1고정부재(210)의 끼움홈c(215c)에는 외측프레임(100)의 끼움편(115)이 삽입되고, 내측프레임(200) 제2고정부재(220)의 끼움홈a(225a)에는 외측프레임(100)의 끼움편(115a)이 삽입된다.
따라서, 외측프레임(100)과 하측프레임(260) 사이에는 두께가 두꺼운 유리(G2)(본 실시예에서는 유리의 두께를 18mm로 한정함)를 개재할 수 있다.
이때, 내측프레임(200) 제1고정부재(210)의 끼움홈d(215d)에는 외측프레임(100)의 끼움편(115a)이 삽입되어, 상기 내측프레임(200)과 상기 외측프레임(100)의 결합력이 더욱 높아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는, 한 개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로도 외측프레임(100)과 내측프레임(200)(즉, 하측프레임(260)) 사이 에 설치하고자 하는 유리(G)의 두께에 따라 상기 외측프레임(100)과 내측프레임(20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리(G)의 두께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생산되었던, 종래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의 생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를 구성하는 내측프레임(200)의 상부에는 제1끼움홈(215)이 형성된 제1고정부재(2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2끼움홈(225)이 형성된 제2고정부재(220)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는 외측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제1끼움편(115)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2끼움편(125)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는 실질적으로 유리(G)를 지지하는 상기 내측프레임(200)과 외측프레임(100)의 결합이 상하 종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창틀에 유리를 지지하는 고정테가 유리의 두께 방향(즉, 좌우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창틀의 두께가 두꺼워졌던 종래기술에 비해 창호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종래기술과 같이, 내측프레임(200)의 일측면에는 개폐플랩(400)의 상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연결홈(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프레임(200)에는 상기 내측프레임(200)의 일측면에 결합된 개폐플랩(400)이 회전될 때, 상기 개폐플랩(400)의 일단부가 밀착되는 고정턱(29)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플랩(400)의 일단부(즉, 하단부)는 내부에 중공(406)이 형성된 밀폐된 형상이며, 상기 개폐플랩(400)의 일단부 중에서 상기 고정턱(29)과 맞닿는 부분은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연질부(405)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통풍공(20a)을 밀폐하기 위해 상기 개폐플랩(400)을 회전시키면, 상기 연질부(405)는 고정턱(29)에 눌러지고, 상기 고정턱(29)은 다수의 돌기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질부(405)에 의해, 상기 개폐플랩(400)이 닫힐 때, 상기 개폐플랩(400)과 고정턱(29)이 맞닿아 발생되는 접촉소음이 완충되어 저감되는 동시에, 통풍공(20a)의 밀폐를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밀폐된 연질부(405)에 의하여, 종래의 연질부 뒷부분의 개방된 부분으로 빗물이 유입되어, 먼지가 쌓이거나 곰팡이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연질부(405)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립(30)의 일측에는 외부 이물질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창호용 자연환기장치는, 미래형 주거 환경 조성을 위해 자연 친화적인 깨끗한 환경 개선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도 1은 종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에서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에서, 양측마감재가 내,외측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5는 종래 창호용 자연환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께가 얇은 유리가 개재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께가 중간인 유리가 개재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께가 두꺼운 유리가 개재된 사용상태도.
도 9는 종래 창틀용 유리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외측프레임 111 : 통풍구 115 : 제1끼움편
125 : 제2끼움편 130 : 걸림부 200 : 내측프레임
210 : 제1고정부재 215 : 제1끼움홈 220 : 제2고정부재
225 : 제2끼움홈 260 : 하측프레임 400 : 개폐플랩
405 : 연질부 406 : 중공 500 : 개스킷
501 : 실리콘

Claims (5)

  1. 외측프레임;
    상기 외측프레임의 상단은 우측으로 돌출되고, 그 끝단에는 상기 외측프레임의 아래쪽 또는 위쪽으로 절곡되는 제1끼움편이 형성되며,
    내측프레임;
    상기 내측프레임의 상단에는 좌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의 상단에서 하부 또는 하단에서 상부로 파인 다수개의 제1끼움홈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프레임의 제1끼움홈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외측프레임의 제1끼움편이 결합되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의 하부에는 좌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의 하단에서 상부로 파인 다수개의 제2끼움홈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프레임의 하부에는 좌측으로 돌출되고 위쪽으로 절곡되는 제2끼움편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프레임의 제2끼움홈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외측프레임의 제2끼움편이 결합되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의 중간 부위에는 통풍구가 형성되는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통풍공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플랩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플랩의 일단부는 중공형상을 갖는 밀폐된 연질부로 이루어진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20080138617A 2008-12-31 2008-12-31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0937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617A KR100937691B1 (ko) 2008-12-31 2008-12-31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617A KR100937691B1 (ko) 2008-12-31 2008-12-31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958A Division KR20100080311A (ko) 2009-08-07 2009-08-07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691B1 true KR100937691B1 (ko) 2010-01-20

Family

ID=41810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617A KR100937691B1 (ko) 2008-12-31 2008-12-31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6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880B1 (ko) 2013-03-08 2014-10-08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
CN110439424A (zh) * 2019-09-03 2019-11-12 安徽永盛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窗套结构及安装方法
KR102269583B1 (ko) * 2019-12-24 2021-06-25 이용운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창호용 환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301A (ko) * 2003-07-15 2005-01-21 최용권 건축물용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301A (ko) * 2003-07-15 2005-01-21 최용권 건축물용 환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880B1 (ko) 2013-03-08 2014-10-08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창호의 자연환기장치용 양끝단 마감구
CN110439424A (zh) * 2019-09-03 2019-11-12 安徽永盛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窗套结构及安装方法
CN110439424B (zh) * 2019-09-03 2024-06-04 安徽永盛精工科技有限公司 一种窗套结构及安装方法
KR102269583B1 (ko) * 2019-12-24 2021-06-25 이용운 설치편의성이 향상된 창호용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449B1 (ko) 창호용 자연 환기장치
KR100616537B1 (ko) 고정창문을 이용한 이중단열창 및 그 설치방법
KR20180026732A (ko)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37691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0438290Y1 (ko) 벽체 또는 천장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패널구조
EP3252249A1 (en) A roof window refurbishment system and method for refurbishing a roof window
KR101017573B1 (ko) 환기창용 루버
KR101031126B1 (ko) 구조가 개선된 창호
KR20100080311A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0536464B1 (ko) 건축용 밀폐 창틀 구조
KR101148286B1 (ko) 조립식 일체형 단열 복합창호
KR101121121B1 (ko) 창호의 가로프레임 구조
KR200387062Y1 (ko) 창짝의 환기구조
KR101905934B1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KR101575670B1 (ko) 단열효과를 극대화한 덧창 및 그 덧창의 설치방법
KR101286260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구조
KR102064613B1 (ko) 단열 방풍 현관문
KR102063967B1 (ko) 개구부 일체형 커튼월 시스템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004524A (ko) 루버 조립체
KR200487614Y1 (ko) 방풍모의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문틀용 방풍구
KR101171468B1 (ko) 결로방지용 문틀
KR101086370B1 (ko) 소음 차단구조를 구비한 이중창호
KR101114886B1 (ko) 창호용 통풍 환기장치
KR200358357Y1 (ko) 결로배수 및 공틀겸용의 합성수지재 창호용 형재
KR100802595B1 (ko) 통풍장치용 개폐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